KR102214872B1 -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872B1
KR102214872B1 KR1020190044777A KR20190044777A KR102214872B1 KR 102214872 B1 KR102214872 B1 KR 102214872B1 KR 1020190044777 A KR1020190044777 A KR 1020190044777A KR 20190044777 A KR20190044777 A KR 20190044777A KR 102214872 B1 KR102214872 B1 KR 102214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unit
wall
piles
inter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030A (ko
Inventor
이경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아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아이에스
Priority to KR102019004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87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반에 박혀 토벽을 지지하는 주열식 말뚝들을 포함하는 차수벽; 그 차수벽의 내측 영역 지반에 박힌 다수 개의 중간파일들; 상기 차수벽을 따라 다수 개의 콘크리트패널들이 배열된 내측콘크리트벽체;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의 내측 지하바닥에 시공된 바닥체; 상기 바닥체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높이에 시공된 제1 층간바닥체; 상기 바닥체와 제1 층간바닥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시공된 제1 외측콘크리트벽체; 상기 바닥체와 제1 층간바닥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중간파일들에 각각 콘크리트로 감싸 시공된 제1 중간지지체들; 상기 제1 층간바닥체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높이에 시공된 제2 층간바닥체; 상기 제1,2 층간바닥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설정된 두께로 시공된 제2 외측콘크리트벽체; 상기 제1,2 층간바닥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중간파일들에 각각 콘크리트로 감싸 시공된 제2 중간지지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이 간단하면서 공사 기간을 단축시키고 토벽의 압력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지중에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수직 방향으로 다수 층의 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STRUCTURE USING SUPPORT BEA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파기 후 지중에 설치되는 구조물들은, 지반에 말뚝들을 박고 지반을 굴착하면서 토류판들과 띠장들을 설치하고 어스앵커들을 토벽에 설치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설정된 깊이까지 굴착하고 그 지하 바닥으로부터 합판이나 철판 등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 방법은 지중수직구조물을 시공한 후 합판이나 철판 등의 거푸집을 철거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2089호(2013.10.28. 공고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흙막이벽체에 띠장을 설치하여 띠장과 PC벽체를 버팀보로 지지하여 설치하는 벽체 시공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PC벽체 설치 순서가 복잡하며, 배면에 띠장이 설치되어 있어 되메우기 시공이 불가능하여 지하에 공극이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도로의 안전 사고에 대한 중대한 문제가 되고 있는 씽크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수직파일에 띠장을 설치할 때 용접 및 볼트체결을 하게 되는데 PC벽체 배면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띠장 해체가 어려워 가시설 강재를 해체 및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경제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간단하면서 공사 기간을 단축시키는,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벽의 압력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지중에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수직 방향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중구조물을 시공할 지반에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를 이루도록 주열식 말뚝들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차수벽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차수벽 내측 영역 지반에 중간파일들을 박는 단계; 상기 주열식 말뚝들로 둘러 싸여진 지반 굴착영역을 단위 깊이로 굴착하고 상기 단위 깊이로 굴착되어 노출된 주열식 말뚝들에 접촉되도록 주열식 말뚝들을 따라 콘크리트패널들을 수평 방향으로 다각형 또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열시키고 상기 배열된 콘크리트패널들을 지지하도록 층간버팀보들을 설치하여 단위내측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하는 제1 시공단계; 상기 제1 시공단계에 이어 상기 주열식 말뚝들로 둘러 싸여진 지반 굴착영역을 단위 깊이로 굴착하고 상기 단위 깊이로 굴착되어 노출된 주열식 말뚝들에 접촉되도록 주열식 말뚝들을 따라 콘크리트패널들을 수평 방향으로 다각형 또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열시키고 상기 배열된 콘크리트패널들을 지지하도록 강재버팀보들을 설치하여 단위내측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하는 제2 시공단계; 상기 제2 시공단계에 이어 설정된 깊이까지 제1 시공단계와 제2 시공단계를 반복하여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의 내측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의 내부 지하 바닥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와 버림콘크리트에 방수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버림콘크리트의 방수층에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바닥콘크리트에 인접한 제2 시공단계로 설치된 강재버팀보들을 철거하는 단계; 상기 강재버팀보들이 철거된 영역의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이어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를 타설하도록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제1 거푸집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중간파일들에 각각 단위중간지지체를 타설하도록 제2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거푸집 및 제2 거푸집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와 단위중간지지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와 단위중간지지체 위에 인접하는, 제1 시공단계로 설치된 층간버팀보들에 데크슬래브들을 거치하고, 상기 데크슬래브들 위에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간바닥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층간바닥체 위로 인접하는 제2 시공단계로 설치된 강재버팀보들을 철거하는 단계; 상기 강재버팀보들이 철거된 영역의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이어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를 타설하도록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제1 거푸집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중간파일들에 각각 단위중간지지체를 타설하도록 제2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거푸집 및 제2 거푸집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와 단위중간지지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와 단위중간지지체 위에 인접하는, 제1 시공단계로 설치된 층간버팀보들에 데크슬래브들을 거치하고, 상기 데크슬래브들 위에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간바닥체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지중구조물을 시공할 지반에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를 이루도록 주열식 말뚝들을 설치하여 차수벽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차수벽 내측 영역 지반에 중간파일들을 박는 단계; 상기 주열식 말뚝들로 둘러 싸여진 지반 굴착영역을 단위 깊이로 굴착하고 상기 단위 깊이로 굴착되어 노출된 주열식 말뚝들에 접촉되도록 주열식 말뚝들을 따라 콘크리트패널들을 수평 방향으로 다각형 또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열시키고 상기 배열된 콘크리트패널들을 지지하도록 층간버팀보들을 설치하여 단위내측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하는 제1 시공단계; 상기 제1 시공단계에 이어 상기 주열식 말뚝들로 둘러 싸여진 지반 굴착영역을 단위 깊이로 굴착하고 상기 단위 깊이로 굴착되어 노출된 주열식 말뚝들에 접촉되도록 주열식 말뚝들을 따라 콘크리트패널들을 수평 방향으로 다각형 또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열시키고 상기 배열된 콘크리트패널들을 지지하도록 강재버팀보들을 상기 중간파일들에 설치하여 단위내측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하는 단위내측벽체시공단계를 복수 회 반복시공하는 제2 시공단계; 상기 제2 시공단계에 이어 설정된 깊이까지 제1 시공단계와 제2 시공단계를 반복하여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의 내측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의 내부 지하 바닥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와 버림콘크리트에 방수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버림콘크리트의 방수층에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바닥콘크리트에 인접한, 제2 시공단계로 설치된 강재버팀보들을 아래로부터 순차적으로 철거하면서 상기 강재버팀보들이 철거된 영역의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이어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를 타설하도록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제1 거푸집을 설치함과 함께 단위중간지지체를 타설하도록 상기 중간파일들에 각각 제2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제1,2 거푸집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들과 단위중간지지체들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와 단위중간지지체 위에 위치하는, 제1 시공단계로 설치된 층간버팀보들에 데크슬래브들을 거치하고, 상기 데크슬래브들 위에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간바닥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층간바닥체에 인접한, 제2 시공단계로 설치된 강재버팀보들을 아래로부터 순차적으로 철거하면서 상기 강재버팀보들이 철거된 영역의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이어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를 타설하도록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제1 거푸집을 설치함과 함께 단위중간지지체를 타설하도록 상기 중간파일들에 각각 제2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제1,2 거푸집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들과 단위중간지지체들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들과 단위중간지지체들 위에 위치하는, 제1 시공단계로 설치된 층간버팀보들에 데크슬래브들을 거치하고, 상기 데크슬래브들 위에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간바닥체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콘크리트패널은 지지수단에 의해 차수벽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콘크리트패널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구멍들과, 상기 콘크리트패널의 관통구멍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차수벽에 박히는 앵커볼트 또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거푸집은 내측콘크리트벽체와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콘크리트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들과, 상기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들을 각각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층간버팀보들은 상기 주열식 말뚝들을 따라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열된 콘크리트패널들에 띠장을 설치하고 상기 띠장에 연결하고, 상기 강재버팀보들을 상기 주열식 말뚝들을 따라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열된 콘크리트패널들에 띠장을 설치하고 상기 띠장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로 지반에 박혀 토벽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주열식 말뚝들을 포함하는 차수벽; 상기 차수벽의 내측 영역 지반에 박힌 다수 개의 중간파일들; 상기 차수벽에 접촉되도록 차수벽을 따라 수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의 콘크리트패널들이 배열된 내측콘크리트벽체;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의 내측 지하바닥에 시공된 바닥체; 상기 바닥체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높이에 시공된 제1 층간바닥체; 상기 바닥체와 제1 층간바닥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설정된 두께로 시공된 제1 외측콘크리트벽체; 상기 바닥체와 제1 층간바닥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중간파일들에 각각 콘크리트로 감싸 시공된 제1 중간지지체들; 상기 제1 층간바닥체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높이에 시공된 제2 층간바닥체; 상기 제1,2 층간바닥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설정된 두께로 시공된 제2 외측콘크리트벽체; 상기 제1,2 층간바닥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중간파일들에 각각 콘크리트로 감싸 시공된 제2 중간지지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2 층간바닥체는 각각 상기 중간파일들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층간버팀보들과, 상기 층간버팀보들에 거치되는 데크슬래브들과, 상기 데크슬래브들에 타설되는 토핑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외측콘크리트벽체는 내측콘크리트벽체와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들과, 상기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과 내측콘크리트벽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연결하는 연결유닛과, 상기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들과 내측콘크리트벽체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충진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은 지반에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로 차수벽이 설치되어 토벽을 지지하고 차수벽에 접촉되도록 차수벽에 수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의 콘크리트패널들이 배열되어 내측콘크리트벽체를 구성하고 내측콘크리트벽체의 내측 지하 바닥에 바닥체가 구비되고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설정된 두께로 제1,2 외측콘크리트벽체가 구비되고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1,2 층간바닥체가 구비되므로 토벽의 압력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 시공방법은 주열식 말뚝들과 중간파일들을 설치하고, 제1 시공단계와 제2 시공단계를 반복하면서 설정된 깊이를 갖는 내측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하고 내측콘크리트벽체의 내측 지하 바닥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어 방수층을 시공하고 이어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와 단위중간지지체 그리고 제1,2 층간바닥체를 시공하게 되므로 토벽을 지지하면서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내부 공간을 갖는 구조물을 간단하게 시공하게 되어 빠르고 견고하게 구조물을 시공하게 되며, 또한, 내측콘크리트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어스앵커 등의 지보재 없이 내측콘크리트벽체를 지지하게 되므로 지중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어 건물들이 인접하게 되어도 구조물 시공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설치가 완료된 후 구조물 배면 되메우기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 큼 지하 굴착토량이 적어 경제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a에서 2k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수직구조물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시공 단계별로 각각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는, 지중구조물을 시공할 지반에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를 이루도록 주열식 말뚝(10)들을 설치하여 차수벽(W)을 시공하는 단계(S1)가 진행된다(도 2a, 2b 참조). 차수벽(W)은 위에서 볼 때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로, 사각형, 육각형, 원형, 타원형 중 한 개의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주열식 말뚝(10)들이 사각형으로 설치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열식 말뚝(10)들을 지반에 설치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차수벽(W)을 시공한 다음 차수벽(W) 내측 영역 지반에 중간파일(20)들을 박는 단계(S2)가 진행된다(도 2a, 2b 참조). 중간파일(W)들은 차수벽(W)의 내측 영역 크기에 따라 일렬로 배열하거나 복수 개의 열로 배열하며, 서로 간격이 균일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파일(W)들을 박은 다음 주열식 말뚝(10)들로 둘러 싸여진 지반 굴착영역을 단위 깊이로 굴착하고, 그 단위 깊이로 굴착되어 노출된 주열식 말뚝(10)들에 접촉되도록 주열식 말뚝(10)들을 따라 콘크리트패널(30)들을 수평 방향으로 다각형 또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열시키고, 그 배열된 콘크리트패널(30)들을 지지하도록 층간버팀보(40)들을 설치하여 단위내측콘크리트벽체(UW1)를 시공하는 제1 시공단계(S3)가 진행된다(도 2c 참조). 콘크리트패널(30)들은 각각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평면을 이루는 사각패널이며, 또한 육각패널, 또는 삼각패널이 될 수도 있다. 단위내측콘크리트벽체(UW1)가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단위내측콘크리트벽체(UW1)를 구성하는 콘크리트패널(30)들은 각각 두께가 균일하며 곡률반경이 서로 같은 곡면패널로 형성된다. 콘크리트패널(30)들을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되, 각각 수직 방향으로 세워 차수벽(W)에 지지되며, 수평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콘크리트패널(30)들은 층간버팀보(40)들로 지지한다. 콘크리트패널(30)은 지지수단에 의해 차수벽(W)에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지지수단의 일예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은 콘크리트패널(30)에 구비된 다수 개의 관통구멍(1)들과, 그 콘크리트패널(30)의 관통구멍(1)에 관통 삽입되어 차수벽(W)에 박히는 고정핀(또는 앵커볼트)(2)을 포함한다. 즉, 콘크리트패널(30)을 차수벽(W)에 지지한 상태에서 고정핀(2)을 콘크리트패널(30)의 관통구멍(1)을 통해 차수벽(W)에 박아 콘크리트패널(30)을 지지한다. 지지수단(70)의 다른 일예로, 지지수단은 차수벽(W)의 주열식 말뚝(10)들에 결합된 걸림브라켓들과, 콘크리트패널(30)의 배면에 구비되어 걸림브라켓들에 걸리는 걸림홈을 포함한다. 즉, 걸림브라켓들을 차수벽(W)의 주열식 말뚝(10)에 결합시키고 콘크리트패널(30)을 차수벽(W)에 지지시 콘크리트패널(30)의 후면에 구비된 걸림홈을 걸림브라켓들에 걸어 지지하게 된다. 제1 시공단계에서, 주열식 말뚝(10)들을 따라 배열된 콘크리트패널(30)들에 띠장(50)을 설치하고 그 띠장(50)에 층간버팀보(40)들을 설치하여 콘크리트패널(30)들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간버팀보(40)의 일예로, 층간버팀보(40)는 강재 파일(41)과, 그 강재파일(41)의 양단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콘크리트로 커버한 콘크리트커버부(42)와, 강재파일(41)의 한쪽 단부 또는 양쪽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잭(43)을 포함한다. 층간버팀보(40)의 다른 일예로, 층간버팀보(4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콘크리트파일과, 그 콘크리트파일의 양단에 각각 매립되게 구비된 강재파일과, 한쪽 강재파일 또는 양쪽 강재파일에 연결된 연결잭을 포함한다. 층간버팀보(40)들은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며, 층간버팀보(40)의 한쪽은 중간파일(W)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띠장(50)에 연결된다. 다른 층간버팀보(40)는 양단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중간파일(W)들에 연결된다.
제1 시공단계(S3)를 진행한 다음 제1 시공단계(S3)에 이어 주열식 말뚝(10)들로 둘러 싸여진 지반 굴착영역을 단위 깊이로 굴착하고, 그 단위 깊이로 굴착되어 노출된 주열식 말뚝(10)들에 접촉되도록 주열식 말뚝(10)들을 따라 콘크리트패널(30)들을 수평 방향으로 다각형 또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열시키고, 그 배열된 콘크리트패널(30)들을 지지하도록 강재버팀보(60)들을 설치하여 단위내측콘크리트벽체(UW1)를 시공하는 제2 시공단계(S4)가 진행된다(도 2d 참조). 제2 시공단계(S4)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패널(30)은 제1 시공단계(S3)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패널(30)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패널(30)은 지지수단(70)에 의해 차수벽(W)에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주열식 말뚝(10)들을 따라 배열된 콘크리트패널(30)들에 띠장(50)을 설치하고 그 띠장(50)에 강재버팀보(60)들을 설치하여 콘크리트패널(30)들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재버팀보(60)들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강재버팀보(60)들의 위치는 층간버팀보(40)들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시공단계(S4)는 연속해서 복수 회 진행될 수도 있다. 제2 시공단계(S4)가 복수 회 진행될 경우 단위내측콘크리트벽체(UW1)가 아래로 복수 개 시공되고, 강재버팀보(60)들도 복수 개의 층이 설치된다.
제2 시공단계(S4)를 진행한 다음 제2 시공단계(S4)에 이어 설정된 깊이까지 제1 시공단계(S3)와 제2 시공단계(S4)를 반복하여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의 내측콘크리트벽체(UW)를 시공하는 단계(S5)가 진행된다(도 2e 참조). 즉, 단위내측콘크리트벽체(UW1)들로 이루어진 내측콘크리트벽체(UW)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층간버팀보(40)들과 강재버팀보(60)들이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교번되게 위치한다.
한편, 제2 시공단계(S4)를 진행한 다음 제2 시공단계(S4)에 이어 제1 시공단계(S3)를 한 번 진행한 후 이어 제2 시공단계(S4)를 복수 회 진행하는 것을 설정된 깊이까지 반복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내측콘크리트벽체(UW)를 시공한 다음 내측콘크리트벽체(UW)의 내부 지하 바닥에 버림콘크리트(71)를 타설하는 단계(S6)가 진행된다(도 2f 참조).
버림콘크리트(71)를 타설한 다음 그 버림콘크리트(71)가 양생된 후 내측콘크리트벽체(UW)와 버림콘크리트(71)에 방수층(72)을 시공하는 단계(S7)가 진행된다(도 2f 참조).
버림콘크리트(71)에 방수층(72)을 시공한 다음 버림콘크리트(71)의 방수층(72)에 바닥콘크리트(73)를 타설하는 단계(S8)가 진행된다(도 2f 참조). 바닥콘크리트(73)의 상면은 내측콘크리트벽체(UW)의 하단 위에 위치하도록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콘크리트(73)를 타설한 다음 바닥콘크리트(73)에 인접한, 제2 시공단계(S4)로 설치된 강재버팀보(60)들을 철거하는 단계(S9)가 진행된다. 즉, 바닥콘크리트(73)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는 강재버팀보(60)들을 철거한다.
강재버팀보(60)들을 철거한 다음 강재버팀보(60)들이 철거된 영역의 내측콘크리트벽체(UW)에 이어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OW1)를 타설하도록 내측콘크리트벽체(UW)에 제1 거푸집(M1)을 설치함과 함께 중간파일(20)들에 각각 단위중간지지체를 타설하도록 제2 거푸집(M2)을 설치하는 단계(S10)가 진행된다. 제1 거푸집(M1)은 바닥콘크리트(73)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며 내측콘크리트벽체(UW)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제1 거푸집(M1)의 일예로, 제1 거푸집(M1)은 내측콘크리트벽체(UW)와 간격을 두고 바닥콘크리트(73)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판 형상의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81)들과, 그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81)들을 각각 내측콘크리트벽체(UW)에 간격이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연결유닛(8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유닛(82)의 일예로, 연결유닛(82)은 내측콘크리트벽체(UW)에 매립되되, 수나사부가 외부로 노출된 내측볼트(3)와, 그 내측볼트(3)의 수나사부에 연결너트(4)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되며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81)에 관통 삽입되는 양쪽 볼트(5)와,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81)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여 양쪽 볼트(5)의 한쪽 수나사산부에 체결되는 두 개의 고정너트(6)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 거푸집(81)을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81)으로 설치할 경우 별도의 거푸집용 비계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단위중간지지체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기둥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중간지지체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기둥과, 서로 인접하는 기둥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벽이 될 수도 있다. 단위중간지지체(CW1)가 사각형 형상의 기둥인 경우 제2 거푸집(M2)은 단면이 디귿자 형상이며 설정된 길이를 갖는 두 개의 반사각통 콘크리트패널(82)들과, 그 두 개의 반사각통 콘크리트패널(82)들을 연결하는 연결유닛(미도시)을 포함하며, 두 개의 반사각통 콘크리트패널(82)들은 중간파일(20)을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제1,2 거푸집(M1)(M2)을 설치한 다음 제1 거푸집(M1) 및 제2 거푸집(M2)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OW)와 단위중간지지체(CW1)를 시공하는 단계(S11)가 진행된다.
한편, 바닥콘크리트(73)에 인접한 제2 시공단계(S4)가 복수 회 인 경우 제2 시공단계(S4)로 1회 설치된 강재버팀보(60)들을 철거하고 강재버팀보(60)들이 철거된 영역의 내측콘크리트벽체(UW)에 이어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OW1)를 타설하도록 내측콘크리트벽체(UW)에 제1 거푸집(M1)을 설치함과 함께 중간파일(20)들에 각각 단위중간지지체(CW1)를 타설하도록 제2 거푸집(M2)을 설치하고 제1,2 거푸집(M1)(M2)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위의 3개의 단계를 복수 회 진행한다(도 2h 참조).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OW1)와 단위중간지지체(CW1)를 시공한 다음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OW1)와 단위중간지지체(CW1) 위에 인접하는, 제1 시공단계(S3)로 설치된 층간버팀보(40)들에 데크슬래브(91)들을 거치하고, 데크슬래브(91)들 위에 토핑콘크리트(92)를 타설하여 층간바닥체(S)를 시공하는 단계(S12)가 진행된다(도 2i 참조). 데크슬래브(9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데크슬래브(91)들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바닥콘크리트(73)와 층간바닥체(S)와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들)(OW1)는 한 개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층간바닥체(S)를 시공한 다음 층간바닥체(S) 위로 인접하는 제2 시공단계(S4)로 설치된 강재버팀보(60)들을 철거하는 단계(S13)가 진행된다.
강재버팀보(60)들을 철거한 다음 강재버팀보(60)들이 철거된 영역의 내측콘크리트벽체(UW)에 이어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OW1)를 타설하도록 내측콘크리트벽체(UW)에 제1 거푸집(M1)을 설치함과 함께 중간파일(20)들에 각각 단위중간지지체(CW)를 타설하도록 제2 거푸집(M2)을 설치하는 단계(S14)가 진행된다. 제1,2 거푸집(M1)(M2)을 설치하는 것은 위의 단계에서 제1,2 거푸집(M1)(M2)을 설치하는 것과 같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거푸집(M1) 및 제2 거푸집(M2)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OW1)와 단위중간지지체(CW1)를 시공하는 단계(S15)가 진행된다(도 2j 참조). 한편, 층간바닥체(S)에 인접한 제2 시공단계(S4)가 복수 회 진행된 경우 제2 시공단계(S4)로 1회 설치된 강재버팀보(60)들을 철거하고 강재버팀보(60)들이 철거된 영역의 내측콘크리트벽체(UW)에 이어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OW1)를 타설하도록 내측콘크리트벽체(UW)에 제1 거푸집(M1)을 설치함과 함께 중간파일(20)들에 각각 단위중간지지체(CW1)를 타설하도록 제2 거푸집(M2)을 설치하고 제1,2 거푸집(M1)(M2)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위의 3개의 단계를 복수 회 진행한다.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OW1)와 단위중간지지체(CW1)를 시공한 다음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OW1)와 단위중간지지체(CW1) 위에 인접하는, 제1 시공단계(S3)로 설치된 층간버팀보(40)들에 데크슬래브(91)들을 거치하고, 데크슬래브(91)들 위에 토핑콘크리트(92)를 타설하여 층간바닥체를 시공하는 단계(S16)가 진행된다(도 2k 참조). 이와 같이 층간바닥체를 시공하는 단계는 위의 층간바닥체를 시공하는 단계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층간바닥체(S)들과, 그 두 개의 층간바닥체(S)들 사이의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들)(OW1)는 한 개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제2 시공단계(S4)에 의해 설치된 강재버팀보(60)들을 철거하고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OW1)와 단위중간지지체(CW1)를 시공하고 층간버팀보(40)들에 층간바닥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지면과 인접한 층간버팀보(40)들에 층간바닥체를 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의 일실시예는, 차수벽(W), 중간파일(20)들, 내측콘크리트벽체(UW), 바닥체(70), 제1 층간바닥체(S1), 제1 외측콘크리트벽체(80A), 제1 중간지지체(C1)들, 제2 층간바닥체(S2), 제2 외측콘크리트벽체(80B), 제2 중간지지체(C2)들을 포함한다.
차수벽(W)은 위에서 볼 때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로 지반에 박힌 주열식 말뚝(10)들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주열식 말뚝(10)들이 사각형으로 설치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열식 말뚝(10)들을 지반에 설치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파일(20)들은 차수벽(W)의 내측 영역 지반에 박힌다. 중간파일(20)들은 차수벽(W)의 내측 영역 크기에 따라 일렬로 배열하거나 복수 개의 열로 배열하며, 서로 간격이 균일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콘크리트벽체(UW)는 차수벽(W)에 접촉되도록 차수벽(W)을 따라 수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콘크리트패널(30)들을 포함한다. 콘크리트패널(30)은 지지수단에 의해 차수벽(W)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수단의 일예로, 지지수단은 콘크리트패널(30)에 구비된 다수 개의 관통구멍(1)들과, 그 콘크리트패널(30)의 관통구멍(1)에 관통 삽입되어 차수벽(W)에 박히는 고정핀(또는 앵커볼트)(2)을 포함한다.
바닥체(70)는 내측콘크리트벽체(UW)의 내측 지하바닥에 시공된다. 바닥체(70)는 내측콘크리트벽체(UW)의 내부 지반지하 바닥에 타설된 버림콘크리트(71)와, 그 버림콘크리트(71)의 상면에 구비되는 방수층(72)과, 그 방수층(72)의 위로 타설된 바닥콘크리트(73)를 포함한다.
제1 층간바닥체(S1)는 바닥체(7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높이에 시공되어 내측콘크리트벽체(UW) 및 바닥체(70)와 함께 공간을 형성한다. 제1 층간바닥체(S1)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여 내측콘크리트벽체(UW)를 지지하는 띠장(50)들과, 그 띠장(50)들과 중간파일(20)들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층간버팀보(40)들과, 그 층간버팀보(40)들에 배열되는 데크슬래브(91)들과, 그 데크슬래브(91) 위에 타설되는 토핑콘크리트(92)를 포함한다. 띠장(50)들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네 개의 내측콘크리트벽체(UW) 면에 위치하여 내측콘크리트벽체(UW)를 지지한다. 데크슬래브(9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데크슬래브(91)들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층간버팀보(40)의 일예로, 층간버팀보(40)는 강재 파일(41)과, 그 강재파일(41)의 양단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콘크리트로 커버한 콘크리트커버부(42)와, 강재파일(41)의 한쪽 단부 또는 양쪽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잭(43)을 포함한다. 층간버팀보(40)들은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며, 층간버팀보(40)의 한쪽은 중간파일(20)(W)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띠장(50)에 연결된다. 다른 층간버팀보(40)는 양단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중간파일(20)들에 연결된다.
제1 외측콘크리트벽체(80A)는 바닥체(70)와 제1 층간바닥체(S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내측콘크리트벽체(UW)에 설정된 두께로 시공된다. 제1 외측콘크리트벽체(80A)는 내측콘크리트벽체(UW)와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81)과, 내측콘크리트벽체(UW)와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81)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유닛(82)과, 내측콘크리트벽체(UW)와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81) 사이에 타설되어 양생된 충진콘크리트(86)를 포함한다. 연결유닛(82)의 일예로, 연결유닛(82)은 내측볼트, 양쪽 볼트, 고정너트들을 포함하며, 연결유닛(82)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외측콘크리트벽체(80A), 바닥체(70), 그리고 제1 층간바닥체(S1)는 한 개의 공간을 형성한다.
제1 중간지지체(C2)들은 바닥체(70)와 제1 층간바닥체(S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중간파일(20)들에 각각 중간파일(20)을 감싸는 콘크리트로 형성된다. 제1 중간지지체(C2)는 단면이 디귿자 형상이며 중간파일(20)을 감싸는 두 개의 반사각통 콘크리트패널(83)들과, 그 두 개의 반사각통 콘크리트패널(83)들을 연결하는 연결유닛(미도시)과, 반사각통 콘크리트패널(83) 사이에 채워지는 충진콘크리트를 포함한다. 한편, 반사각통 콘크리트패널(83)은 반원통 콘크리트패널로 대체될 수 도 있다.
제2 층간바닥체(S2)는 제1 층간바닥체(S1)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높이에 시공되어 제1 층간바닥체(S1) 및 내측콘크리트벽체(UW)와 함께 공간을 형성한다. 제2 층간바닥체(S2)는 제1 층간바닥체(S1)의 구성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외측콘크리트벽체(80B)는 제1,2 층간바닥체(S1)(S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내측콘크리트벽체(UW)에 설정된 두께로 시공된다. 제2 외측콘크리트벽체(80B)는 제1 외측콘크리트벽체(80A)의 구성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중간지지체(C2)들은 제1,2 층간바닥체(S1)(S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중간파일(20)들에 각각 중간파일(20)을 감싸도록 콘크리트로 시공된다. 제2 중간지지체(C2)는 제1 중간지지체(C1)의 구성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은, 지반에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로 차수벽(W)이 설치되어 토벽을 지지하고 차수벽(W)에 접촉되도록 차수벽(W)에 수평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의 콘크리트패널(30)들이 배열되어 내측콘크리트벽체(UW)를 구성하고 내측콘크리트벽체(UW)의 내측 지하 바닥에 바닥체(70)가 구비되고 내측콘크리트벽체(UW)에 설정된 두께로 제1,2 외측콘크리트벽체(80A)(80B)가 구비되고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1,2 층간바닥체(S1)(S2)가 구비되므로 토벽의 압력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 시공방법은 주열식 말뚝(10)들과 중간파일(20)들을 설치하고, 제1 시공단계와 제2 시공단계를 반복하면서 설정된 깊이를 갖는 내측콘크리트벽체(UW)를 시공하고 내측콘크리트벽체(UW)의 내측 지하 바닥에 버림콘크리트(71)를 타설하고 이어 방수층(72)을 시공하고 이어 바닥콘크리트(73)를 타설한 후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OW1)와 단위중간지지체(CW1) 그리고 제1,2 층간바닥체(S1)(S2)를 시공하게 되므로 토벽을 지지하면서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내부 공간을 갖는 구조물을 간단하게 시공하게 되어 빠르고 견고하게 구조물을 시공하게 되며, 또한, 내측콘크리트벽체(UW)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어스앵커 등의 지보재 없이 내측콘크리트벽체(UW)를 지지하게 되어 지중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어 건물들이 인접하게 되어도 구조물 시공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설치가 완료된 후 구조물 배면 되메우기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 큼 지하 굴착토량이 적어 경제성도 우수하게 된다.
W; 차수벽 20; 중간파일(20)
UW; 내측콘크리트벽체 70; 바닥체
S1; 제1 층간바닥체 80A; 제1 외측콘크리트벽체
C1; 제1 중간지지체 S2; 제2 층간바닥체
80B; 제2 외측콘크리트벽체 C2; 제2 중간지지체

Claims (7)

  1. 지중구조물을 시공할 지반에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를 이루도록 주열식 말뚝들을 설치하여 차수벽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차수벽 내측 영역 지반에 중간파일들을 박는 단계;
    상기 주열식 말뚝들로 둘러 싸여진 지반 굴착영역을 단위 깊이로 굴착하고 상기 단위 깊이로 굴착되어 노출된 주열식 말뚝들에 접촉되도록 주열식 말뚝들을 따라 콘크리트패널들을 수평 방향으로 다각형 또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열시키고 상기 배열된 콘크리트패널들을 지지하도록 층간버팀보들을 설치하여 단위내측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하는 제1 시공단계;
    상기 제1 시공단계에 이어 상기 주열식 말뚝들로 둘러 싸여진 지반 굴착영역을 단위 깊이로 굴착하고 상기 단위 깊이로 굴착되어 노출된 주열식 말뚝들에 접촉되도록 주열식 말뚝들을 따라 콘크리트패널들을 수평 방향으로 다각형 또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열시키고 상기 배열된 콘크리트패널들을 지지하도록 강재버팀보들을 설치하여 단위내측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하는 제2 시공단계;
    상기 제2 시공단계에 이어 설정된 깊이까지 제1 시공단계와 제2 시공단계를 반복하여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의 내측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의 내부 지하 바닥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와 버림콘크리트에 방수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버림콘크리트의 방수층에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바닥콘크리트에 인접한 제2 시공단계로 설치된 강재버팀보들을 철거하는 단계;
    상기 강재버팀보들이 철거된 영역의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이어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를 타설하도록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제1 거푸집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중간파일들에 각각 단위중간지지체를 타설하도록 제2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거푸집 및 제2 거푸집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와 단위중간지지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와 단위중간지지체 위에 인접하는, 제1 시공단계로 설치된 층간버팀보들에 데크슬래브들을 거치하고, 상기 데크슬래브들 위에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간바닥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층간바닥체 위로 인접하는 제2 시공단계로 설치된 강재버팀보들을 철거하는 단계;
    상기 강재버팀보들이 철거된 영역의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이어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를 타설하도록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제1 거푸집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중간파일들에 각각 단위중간지지체를 타설하도록 제2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거푸집 및 제2 거푸집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와 단위중간지지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와 단위중간지지체 위에 인접하는, 제1 시공단계로 설치된 층간버팀보들에 데크슬래브들을 거치하고, 상기 데크슬래브들 위에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간바닥체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2. 지중구조물을 시공할 지반에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를 이루도록 주열식 말뚝들을 설치하여 차수벽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차수벽 내측 영역 지반에 중간파일들을 박는 단계;
    상기 주열식 말뚝들로 둘러 싸여진 지반 굴착영역을 단위 깊이로 굴착하고 상기 단위 깊이로 굴착되어 노출된 주열식 말뚝들에 접촉되도록 주열식 말뚝들을 따라 콘크리트패널들을 수평 방향으로 다각형 또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열시키고 상기 배열된 콘크리트패널들을 지지하도록 층간버팀보들을 설치하여 단위내측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하는 제1 시공단계;
    상기 제1 시공단계에 이어 상기 주열식 말뚝들로 둘러 싸여진 지반 굴착영역을 단위 깊이로 굴착하고 상기 단위 깊이로 굴착되어 노출된 주열식 말뚝들에 접촉되도록 주열식 말뚝들을 따라 콘크리트패널들을 수평 방향으로 다각형 또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열시키고 상기 배열된 콘크리트패널들을 지지하도록 강재버팀보들을 상기 중간파일들에 설치하여 단위내측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하는 단위내측벽체시공단계를 복수 회 반복시공하는 제2 시공단계;
    상기 제2 시공단계에 이어 설정된 깊이까지 제1 시공단계와 제2 시공단계를 반복하여 다각형 또는 폐곡선 형태의 내측콘크리트벽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의 내부 지하 바닥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와 버림콘크리트에 방수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버림콘크리트의 방수층에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바닥콘크리트에 인접한, 제2 시공단계로 설치된 강재버팀보들을 아래로부터 순차적으로 철거하면서 상기 강재버팀보들이 철거된 영역의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이어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를 타설하도록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제1 거푸집을 설치함과 함께 단위중간지지체를 타설하도록 상기 중간파일들에 각각 제2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제1,2 거푸집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들과 단위중간지지체들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와 단위중간지지체 위에 위치하는, 제1 시공단계로 설치된 층간버팀보들에 데크슬래브들을 거치하고, 상기 데크슬래브들 위에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간바닥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층간바닥체에 인접한, 제2 시공단계로 설치된 강재버팀보들을 아래로부터 순차적으로 철거하면서 상기 강재버팀보들이 철거된 영역의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이어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를 타설하도록 상기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제1 거푸집을 설치함과 함께 단위중간지지체를 타설하도록 상기 중간파일들에 각각 제2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제1,2 거푸집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들과 단위중간지지체들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단위외측콘크리트벽체들과 단위중간지지체들 위에 위치하는, 제1 시공단계로 설치된 층간버팀보들에 데크슬래브들을 거치하고, 상기 데크슬래브들 위에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간바닥체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패널은 지지수단에 의해 차수벽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콘크리트패널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구멍들과, 상기 콘크리트패널의 관통구멍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차수벽에 박히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푸집은 내측콘크리트벽체와 간격을 두고 상기 바닥콘크리트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들과, 상기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들을 각각 내측콘크리트벽체에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열식 말뚝들을 따라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열된 콘크리트패널들에 띠장을 설치하고 상기 층간버팀보들이 상기 띠장에 연결되고, 상기 주열식 말뚝들을 따라 폐곡선을 이루도록 배열된 콘크리트패널들에 띠장을 설치하고 상기 띠장에 상기 강재버팀보들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90044777A 2019-04-17 2019-04-17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14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77A KR102214872B1 (ko) 2019-04-17 2019-04-17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77A KR102214872B1 (ko) 2019-04-17 2019-04-17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030A KR20200122030A (ko) 2020-10-27
KR102214872B1 true KR102214872B1 (ko) 2021-02-10

Family

ID=7313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777A KR102214872B1 (ko) 2019-04-17 2019-04-17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6893B (zh) * 2021-04-24 2022-06-17 浙江兴业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连接通道的单元化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4727A (ja) * 2009-10-01 2011-04-14 Ohbayashi Corp 山留め壁構造、山留め壁構造の構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970B1 (ko) * 2010-05-04 2013-01-15 양숙경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4727A (ja) * 2009-10-01 2011-04-14 Ohbayashi Corp 山留め壁構造、山留め壁構造の構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030A (ko)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497B1 (ko) 지하 구조물 구축공법
JP4060323B2 (ja) ブラケット支持タイプの下向骨組打設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下向骨組打設方法
KR102084829B1 (ko)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JP6855296B2 (ja) 建物基礎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214872B1 (ko)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28540B1 (ko)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0673475B1 (ko)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764894B2 (ja) 筒体の構築方法
KR101296856B1 (ko) 지하 구조물의 벽체 보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구축방법
KR20210119935A (ko) 버팀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15867B1 (ko) 건축물의 지하구조물 역공사 pc공법
KR101534641B1 (ko) 건축물 지하 시공 방법
JP6083788B2 (ja) 基礎の仮支持方法
KR102355446B1 (ko) 지중수직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30100878A (ko) 복합 강관파일을 이용한 건축물
KR101473218B1 (ko)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JP3342891B2 (ja) 柱状構造物に架設される水平梁の構築工法
KR101426511B1 (ko) 건물의 지하구조물 축조 시 사용되는 가설 골조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KR100967496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KR200370135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JP6418683B2 (ja) 仮支持方法
KR101971554B1 (ko) 가설구조물을 이용한 지중구조물시공방법
KR20210098162A (ko) 주열식 강관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736830B2 (ja) 地下躯体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構築物の建替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