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724B1 -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724B1
KR102293724B1 KR1020210055519A KR20210055519A KR102293724B1 KR 102293724 B1 KR102293724 B1 KR 102293724B1 KR 1020210055519 A KR1020210055519 A KR 1020210055519A KR 20210055519 A KR20210055519 A KR 20210055519A KR 102293724 B1 KR102293724 B1 KR 10229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efruit extract
group
fermented
strain
k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기성
김자이
백소영
이학용
박영미
김택한
정유정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내츄럴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내츄럴코어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23Y2220/6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NUT 0118 균주(기탁번호 KCTC 14531BP)는 자몽추출물에 내성이 있어 자몽추출물을 효과적으로 발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를 이용한 발효 자몽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며, 체지방 감소 효과가 있어 비만 치료에 이용될 수 있고, 총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이상지질혈증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등 관련된 식품 및 의약품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 및 이의 용도{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KNUT 0118 strai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기탁번호 KCTC 14531BP) 및 이의 다양한 용도 등에 관한 것이다.
자몽은 우리에게 낯선 열대과일이었지만, 최근 신선과일뿐만 아니라, 주스, 젤리, 술, 껌 등 가공식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습의 식품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FTA 발효와 같은 국제적 환경 변화와 더불어 디톡스, 다이어트, 풍부한 비타민 등과 같은 효능이 알려지면서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수입 과일로 인식되고 있다.
자몽에는 쓴맛을 내는 나린진(Naringin)과 헤스페리딘(Hesperidin)이 함유되어 있어 지방을 분해하는 효능이 있고 비타민C와 각종 미네랄은 면역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자몽은 또한 강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어 발효를 위한 원료로는 부적합하며 유산균과 같은 유익균의 발효를 통한 기능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한편 유산균 프로바이오틱스는 최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과 연계하여 다양한 기능성이 규명되고 있으며 인체 체지방 감소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10-2065584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항균활성이 강한 자몽추출물에서 생존 및 발효가 가능한 유산균주를 선발하고 선발균주의 자몽추출물 발효를 통하여 항산화, 총 콜레스테롤 감소, 저밀도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 감소 및 체지방 감소 효능이 증대된 기능성 소재에 대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NUT 0118 균주(기탁번호 KCTC 14531BP)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이용한 발효 자몽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의 배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NUT 0118 균주(기탁번호 KCTC 14531B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이용한 발효 자몽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0 내지 20 brix의 자몽추출물 및 효모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NUT 0118 균주(KCTC 14531BP)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균주의 배양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고지방 식이로 증가된 혈중 렙틴(leptin) 농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이상지질혈증은 혈중 총 콜레스테롤 또는 저밀도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NUT 0118 균주(기탁번호 KCTC 14531BP)는 자몽추출물에 내성이 있어 자몽추출물을 효과적으로 발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를 이용한 발효 자몽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며, 체지방 감소 효과가 있어 비만 치료에 이용될 수 있고, 총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이상지질혈증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등 관련된 식품 및 의약품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자몽추출물 농도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의 생균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자몽추출물(탄산나트륨으로 pH 5.0 조절) 농도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의 생균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탄소원(포도당, 자당; 1%) 혹은 질소원(효모추출물; 3%)이 첨가된 자몽추출물(10brix, 탄산나트륨으로 pH 5.0 조절)에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의 생균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로 발효한 자몽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로 발효한 자몽추출물의 주간 체중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Normal: 정상군, Control: 대조군, 100~1000: 발효 자몽추출물 100~1000 mg/kg 투여군, CAE: 자몽추출물 1000 mg/kg 투여군, PC: 양성대조군(Garcinia 200 mg/kg 투여군)).
도 6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로 발효한 자몽추출물의 주간 체중 변화량(g)을 타나낸 것이다 (A: 주간 체중변화량(g), B: 8주차 체중변화량(g). Normal: 정상군, Control: 대조군, 100~1000: 발효 자몽추출물 100~1000 mg/kg 투여군, CAE: 자몽추출물 1000 mg/kg 투여군, PC: 양성대조군(Garcinia 200 mg/kg 투여군)).
도 7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로 발효한 자몽추출물의 주간 체중 변화량(%)을 나타낸 것이다. (A: 주간 체중변화량(%), B: 8주차 체중변화량(%). Normal: 정상군, Control: 대조군, 100~1000: 발효 자몽추출물 100~1000 mg/kg 투여군, CAE: 자몽추출물 1000 mg/kg 투여군, PC: 양성대조군(Garcinia 200 mg/kg 투여군)).
도 8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로 발효한 자몽추출물의 부고환지방 조직중량 감소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A: 부고환지방조직 절대중량(g), B: 체중 대비 부고환지방조직 중량. Normal: 정상군, Control: 대조군, 100~1000: 발효 자몽추출물 100~1000 mg/kg 투여군, CAE: 자몽추출물 1000 mg/kg 투여군, PC: 양성대조군(Garcinia 200 mg/kg 투여군)).
도 9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로 발효한 자몽추출물의 후복막지방 조직중량 감소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A: 후복막지방 조직 절대중량(g), B: 체중 대비 후복막지방 조직 중량. Normal: 정상군, Control: 대조군, 100~1000: 발효 자몽추출물 100~1000 mg/kg 투여군, CAE: 자몽추출물 1000 mg/kg 투여군, PC: 양성대조군(Garcinia 200 mg/kg 투여군)).
도 10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로 발효한 자몽추출물의 혈중 간 손상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A: 혈중 ALT, B: 혈중 AST. Normal: 정상군, Control: 대조군, 100~1000: 발효 자몽추출물 100~1000 mg/kg 투여군, CAE: 자몽추출물 1000 mg/kg 투여군, PC: 양성대조군(Garcinia 200 mg/kg 투여군)).
도 11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로 발효한 자몽추출물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Normal: 정상군, Control: 대조군, 100~1000: 발효 자몽추출물 100~1000 mg/kg 투여군, CAE: 자몽추출물 1000 mg/kg 투여군, PC: 양성대조군(Garcinia 200 mg/kg 투여군)).
도 12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로 발효한 자몽추출물의 혈중 Triglyceride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Normal: 정상군, Control: 대조군, 100~1000: 발효 자몽추출물 100~1000 mg/kg 투여군, CAE: 자몽추출물 1000 mg/kg 투여군, PC: 양성대조군(Garcinia 200 mg/kg 투여군)).
도 13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로 발효한 자몽추출물의 혈중 HDL-C와 LDL-C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A: 혈중 HDL-C, B: 혈중 LDL-C. Normal: 정상군, Control: 대조군, 100~1000: 발효 자몽추출물 100~1000 mg/kg 투여군, CAE: 자몽추출물 1000 mg/kg 투여군, PC: 양성대조군(Garcinia 200 mg/kg 투여군)).
도 14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로 발효한 자몽추출물의 혈중 Leptin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Normal: 정상군, Control: 대조군, 100~1000: 발효 자몽추출물 100~1000 mg/kg 투여군, CAE: 자몽추출물 1000 mg/kg 투여군, PC: 양성대조군(Garcinia 200 mg/kg 투여군).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NUT 0118 균주(기탁번호 KCTC 14531BP)를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는 자몽추출물에 대한 저항성이 있어 자몽추출물을 발효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신규한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로 명명하고, 2021년 4월 12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번호 KCTC 14531BP로 기탁하였다.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염기서열을 포함한다.
[서열번호 1]
Figure 112021050113018-pat00001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이용한 발효 자몽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을 용매에 침지한 다음 저온,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헥산(Hexane)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10 내지 20 brix의 자몽추출물 및 효모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NUT 0118 균주(KCTC 14531BP)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균주의 배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효모추출물은 3% 농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성 식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비만이란 체내의 지방 조직량이 과잉으로 증가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비만은 지방세포 내 지방의 합성과 분해의 불균형으로 나타나는데 필요 이상의 지방 축적으로 발생하는 비만은, 만성적 퇴행성 질환 발생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며, 특히 복부비만은 관상동맥 질환, 고혈압, 뇌졸중, 고지혈증 및 당뇨병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사이클로덱스트린,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안과용 점안액,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화에 관해서는 레밍턴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제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점안제, 주사제 또는 경구 섭취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점막, 정맥 내, 피하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투여 경로, 질환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식품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된 혈중 렙틴(leptin) 농도를 낮출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치료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치료, 예방, 개선,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이상지질혈증이란 혈청 지질이 정상보다 증가하거나 감소한 상태를 의미하며, 혈중 총 콜레스테롤 또는 저밀도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이 증가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재료 및 방법>
실시예 1-1. 자몽추출물 발효를 위한 유산균주 선발
자몽추출물에 내성이 있는 유산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레드자몽농축액(이스라엘산) 10brix, 20brix 및 30brix 액체배지와 고체배지를 제조하여 600균주를 대상으로 내성을 확인하였다. 액체배지는 각각의 배지 200ul에 균 배양액 1%를 접종한 후 경시적으로(0, 12, 24, 36, 48시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고체배지는 균 배양액을 각 배지에 점적한 후 37℃에서 48시간 배양하면서 10brix, 20brix 및 30brix에서 생장한 유산균주를 확인하였다. 액체 및 고체배지에서 내성이 가장 강한 유산균주를 선발하여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실시예 1-2. 선발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의 자몽추출물 발효 시 배양 최적화
자몽추출물 발효 시 선발 균주의 증식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도조절제, 탄소원, 질소원을 첨가하여 생균수와 pH를 비교하였다. 산도조절제로 탄산나트륨을 사용하였고 탄소원으로 포도당과 자당을 질소원으로 효모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발효 자몽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를 활용하여 최적 조건(자몽추출물 10brix, pH 5.0, 37℃, 12시간)으로 배양한 발효 자몽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0.2mM DPPH 반응용액 200ul와 시료 10ul를 혼합하여 20분간 암반응 후 517nm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물질 ascorbate를 기준으로 농도를 결정하였으며 아래 식을 이용하였다.
[식 1]
Figure 112021050113018-pat00002
실시예 1-4. 발효 자몽추출물의 체지방 감소 효능 및 혈액 검사
실험동물은 ㈜오리엔트바이오에서 Specific-pathogen free (SPF) 상태의 웅성 C57BL/6 mouse 5주령을 분양받아 일주일 순화기간을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순화기간 중 실험식이는 일반 고형사료(Purina Lab Rodent Chow #38057, Purina Co., Seoul, Korea)를 급여하며 음수는 필터링된 음용수를 매일 교체하여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사육기간 중 온도는 23±1℃, 습도 50±5%, 소음 60 phone 이하, 조명시간 07:00-19:00(1일 12시간), 조도 150-300 lux, 환기는 시간당 10-12회의 환경을 유지하였다. 동물 입수 시 모든 동물의 일반 건강상태에 대한 수의학적 검역을 실시하였으며, 시험을 실시하는데 적합하도록 설치류용 일반사료(Samtako, Gyeonggi, Korea)와 필터 및 자외선 살균기로 여과 살균된 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본 실험은 주식회사 인비보의 동물실험윤리규정을 준수하여 수행하였다(승인번호 IV-RA-04-2006-28).
비만동물모델의 확립은 고지방식이의 급이로 진행되었고 시료투여를 함께 병행하여 시료투여에 대한 항비만효능을 입증하였다. 고지방식이는 Rodunt Diet with 60%Kcal Fat (#D12492, Research diets INC.)를 샘타코(한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군 구성은 군별로 체중이 비슷할 수 있도록 각 개체별 체중측정을 통하여 진행되었으며 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정상군(Normal group; 일반사료급이군)
-대조군(Control group; 고지방식이급이 및 vehicle 투여)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KNUT 0118-100; 고지방식이급이 및 KNUT 0118-100 mg/kg 투여군)
-발효 자몽추출물 중농도 투여군(KNUT 0118-500; 고지방식이급이 및 KNUT 0118-500 mg/kg 투여군 투여군)
-발효 자몽추출물 고농도 투여군(KNUT 0118-1000; 고지방식이급이 및 KNUT 0118-1000 mg/kg 투여군)
-자몽추출물 투여군(CAE; 고지방식이급이 및 자몽추출물 1000 mg/kg 투여군)
-양성대조군(PC; 고지방식이급이 및 Garcinia 200 mg/kg 투여군)
발효 자몽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를 활용하여 최적 조건(자몽추출물 10brix, pH 5.0, 37℃, 12시간)에서 500 mL 배양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주간 체중은 주 1회 일정시간에 측정되었음. 부검을 위하여 흡입마취를 진행하고 동물 마취 후 채혈을 진행하였다. 조직은 부고환지방 및 후복막지방이 적출되었고, 적출된 조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채혈된 혈액을 30분 동안 응고 과정을 거친 후 원심분리기로 10분 동안 3,000 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혈청은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gerase (ALT) 분석에 사용하며 케이피앤티(KPNT CO., Cheongju, Korea)에 분석을 의뢰하였다. 혈중 leptin의 함량은 ELISA kit (leptin, ab19908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에 따른 통계분석은 ANOVA(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Duncan 사후검정 비교를 실시하여 p<0.05일 때 유의한 것으로 판정 하였다 (SPSS V12., SPSS Inc, Chicago, IL, USA).
<실시예 2: 자몽추출물 발효를 위한 유산균주 선발>
유산균 600균주를 대상으로 자몽추출물 내성 균주를 선발한 결과, 최종적으로 김치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가 선발되었다. 레드자몽농축액(이스라엘산)을 이용하여 제조한 액체배지에 균주를 1% 접종한 후 37℃에서 12시간 정치배양하면서 발효 전·후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10brix에서는 약 0.08 Log CFU/mL 정도 증가하였고, 20brix에서는 유지, 30brix에서는 생균수가 약간 감소하였다(도 1).
<실시예 3: 선발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의 자몽추출물 발효 시 배양 최적화>
산도조절제인 탄산나트륨으로 pH 5.0으로 조정한 10, 20, 30brix의 자몽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를 접종한 후 12시간 배양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을 때 10brix와 20brix에서 각각 1.38, 0.77 Log CFU/mL로 증가한 반면 30brix는 약간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2).
탄소원(포도당, 자당) 1%와 질소원(효모추출물) 3%를 각각 10brix 자몽추출물 (pH 5.0)에 첨가한 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했을 때 탄소원 첨가는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효모추출물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생균수가 0.44 Log CFU/mL 증가됨이 확인되었다(도 3).
<실시예 4: 발효 자몽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DPPH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자몽추출물은 37.87 AEAC(mg eq. AA/100mg)을 나타냈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로 발효한 자몽추출물은 42.22 AEAC로 나타나 자몽추출물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4).
<실시예 5: 발효 자몽추출물이 체중 및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 확인>
발효 자몽추출물(KNUT 0118)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모델에서의 체중 증가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고지방식이와 시료를 주간 경구 투여하며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0~3주차에서는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4주차에 접어들면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실험 종료 시점인 8주차를 기준으로 정상군의 체중은 26.42±0.27 g, 대조군은 33.40±0.54 g로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100 mg/kg)은 32.86±0.49 g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중농도 투여군(500 mg/kg)과 고농도 투여군(1000 mg/kg)은 각각 30.54±1.21 g, 28.68±0.40 g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자몽추출물 투여군은 32.46±0.28 g로 대조군보다는 낮은 경향을 보였고, 양성대조군은 31.53±0.37 g으로 발효 자몽추출물은 자몽추출물과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더 많은 감소를 보였다(도 5).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동물모델에서 발효 자몽추출물(KNUT 0118)이 체중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0~4주차의 결과에서는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5주차에는 정상군이 4.75±0.28 g, 23.28±1.59%, 대조군이 6.81±0.28 g, 32.40±1.71%로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에서 유의적인 체중 증가를 보였다. 실험 종료 시점인 8주차에서는 정상군이 5.95±0.39 g, 대조군이 11.75±0.31 g,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이 11.68±0.47 g, 중농도 투여군이 10.11±0.88 g, 고농도 투여군이 7.83±0.32 g, 자몽추출물 투여군이 12.22±0.27 g, 양성대조군이 11.16±0.43 g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하여 발효 자몽추출물 중농도 투여군과 고농도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체중량 감소를 보였으며 이는 자몽추출물과 비교하여 더 많은 감소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도 6, 7).
발효 자몽추출물(KNUT 0118)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 모델에서 지방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고환지방 및 후복막지방(Retroperitoneal fat)의 조직 중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부고환지방의 조직중량 결과에서는 정상군이 0.360±0.014 g, 대조군이 1.642±0.102 g,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이 1.461±0.102 g, 중농도 투여군이 1.224±0.167 g, 고농도 투여군이 0.881±0.118 g, 자몽추출물군이 1.333±0.078 g, 양성대조군이 1.363±0.078 g으로 나타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과 자몽추출물 투여군 및 양성 대조군은 낮은 경향을, 중농도 투여군과 고농도 투여군은 유의하게 낮게 조사되었다(도 8A). 체중 대비 부고환 지방의 상대 중량은 정상군이 1.473±0.088 g, 대조군이 4.940±0.282 g,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이 4.522±0.277 g, 중농도 투여군이 4.558±0.234 g, 고농도 투여군이 3.083±0.409 g, 자몽추출물군이 4.124±0.252 g, 양성대조군이 4.256±0.254 g으로, 정상군과 비교하여 대조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발효 자몽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투여농도에 따라 감소하여 고농도 투여군의 경우 자몽추출물과 양성 대조군보다도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도 8B). 후복막지방 조직중량의 측정 결과 정상군은 0.097±0.011 g로 대조군의 0.548±0.029 g와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은 0.523±0.029 g으로 대조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중농도 투여군은 0.439±0.067 g으로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고농도 투여군은 0.305±0.052 g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반면, 자몽추출물군은 0.474±0.024 g, 양성대조군은 0.402±0.024 g으로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여 실험군 중에는 발효 자몽추출물 고농도 투여군이 가장 낮았다(도 9A). 더불어 체중 대비 후복대 지방의 중량은 정상군 0.364±0.042 g, 대조군 1.655±0.099 g,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군 1.621±0.084 g, 중농도 투여군 1.674±0.115 g, 고농도 투여군 1.066±0.179 g, 자몽추출물군 1.463±0.063 g, 양성대조군 1.434±0.122 g으로 나타나 실험군 중 발효 자몽추출물 고농도 투여군에서만 대조군 대비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조사되었다(도 9B).
<실시예 6: 발효 자몽추출물이 혈중 간 손상인자에 미치는 영향 확인>
발효 자몽추출물(KNUT 0118)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 모델에서 혈중 간 손상인자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ALT (Alanine transaminase)와 AST (Aspartate transaminase)의 수치를 측정하였다. 혈중 ALT는 정상군이 31.7±2.93 U/L, 대조군이 30.3±1.36 U/L,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이 30.3±2.24 U/L, 중농도 투여군이 25.9±1.29 U/L, 고농도 투여군이 28.5±2.32 U/L, 자몽추출물군이 26.1±1.15 U/L, 양성대조군이 26.6±1.74 U/L으로 측정되었고, 정상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도 10A). 혈중 AST 또한 ALT와 유사하게 나타나 정상군이 101.3±9.02 U/L, 대조군이 94.3±4.51 U/L,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이 103.7±2.61 U/L, 중농도 투여군이 108.7±4.16 U/L, 고농도 투여군이 97.3±4.26 U/L, 자몽추출물군이 102.2±4.31 U/L, 양성대조군이 96.0±3.32 U/L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도 10B).
<실시예 7: 발효 자몽추출물이 혈중 지질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확인>
발효 자몽추출물(KNUT 0118)이 혈중 지질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혈중 TC (Total cholesterol)과 TG (Triglyceride),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를 측정하였다. 먼저 혈중 Total cholesterol의 측정 결과 정상군은 93.3±1.63 mg/dL로 대조군의 167.5±3.94 mg/dL와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은 148.7±4.97 mg/dL, 중농도 투여군은 160.2±6.86 mg/dL, 고농도 투여군은 132.8±3.96 mg/dL, 자몽추출물군은 147.3±7.39 mg/dL, 양성대조군은 163.0±5.41 mg/dL로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 대비 낮은 수치를 보였는데, 실험군 중에서는 발효 자몽추출물 고농도 투여군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도 11). 혈중 Triglyceride (TG)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정상군이 80.8±2.24 mg/dL로 대조군의 95.0±4.67 mg/dL 보다는 유의하게 낮았다. 반면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은 76.0±2.41 mg/dL, 중농도 투여군은 70.0±2.76 mg/dL, 고농도 투여군은 69.0±4.97 mg/dL, 자몽추출물군은 95.3±7.00 mg/dL, 양성대조군은 79.8±2.68 mg/dL으로 나타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발효 자몽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과 양성 대조군은 모두 유의하게 낮았으며, 자몽추출물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도 12). 혈중 HDL-cholestrol 함량은 정상군이 57.3±1.08 mg/dL, 대조군이 77.4±0.50 mg/dL,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이 77.0±1.41 mg/dL, 중농도 투여군이 72.5±1.05 mg/dL, 고농도 투여군이 70.4±1.43 mg/dL, 자몽추출물군이 80.4±2.02 mg/dL, 양성대조군이 78.1±1.22 mg/dL로 나타나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군간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도 13A). 반면 혈중 LDL-cholestrol 함량은 정상군이 3.1±0.24 mg/dL로 대조군의 8.4±0.55 mg/mL와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이 8.0±0.83 mg/dL, 중농도 투여군이 6.1±0.55 mg/dL, 고농도 투여군이 6.5±0.52 mg/dL, 자몽추출물군이 8.0±0.21 mg/dL, 양성대조군이 7.0±0.47 mg/dL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과 자몽추출물 투여군 및 양성 대조군은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발효 자몽추출물 중농도 투여군과 고농도 투여군은 혈중 LDL-C의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3B).
<실시예 8: 발효 자몽추출물이 혈중 렙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 확인>
발효 자몽추출물(KNUT 0118)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 모델에서 지방축적과 관련된 adipokine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혈중 leptin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정상군의 1113.3±308.5 pg/mL에 비해 대조군은 21245.8±2491.7 pg/mL로 매우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나 발효 자몽추출물 저농도 투여군과 중농도 투여군은 각각 17460.0±2363.3 pg/mL, 15940.4±1972.9 pg/mL로 나타나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고, 고농도 투여군은 10337.9±4076.0 pg/mL로 유의하게 낮았다. 반면 자몽추출물군은 23375.4±1870.0 pg/mL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양성대조군은 17264.6±2563.5 pg/mL로 대조군보다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도 14).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4531BP
수탁일자 : 20210412
<110>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Naturalcore Co.,Ltd. <120> 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KNUT 0118 strain and uses thereof <130> P210421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00 <212> DNA <213> 16s rRNA <400> 1 ttggtgcttg catcatgatt tacatttgag tgagtggcga actggtgagt aacacgtggg 60 aaacctgccc agaagcgggg gataacacct ggaaacagat gctaataccg cataacaact 120 tggaccgcat ggtccgagct tgaaagatgg cttcggctat cacttttgga tggtcccgcg 180 gcgtattagc tagatggtgg ggtaacggct caccatggca atgatacgta gccgacctga 240 gagggtaatc ggccacattg ggactgagac acggcccaaa ctcctacggg aggcagcagt 300 agggaatctt ccacaatgga cgaaagtctg atggagcaac gccgcgtgag tgaagaaggg 360 tttcggctcg taaaactctg ttgttaaaga agaacatatc tgagagtaac tgttcaggta 420 ttgacggtat ttaaccagaa agccacggct aactacgtgc cagcagccgc ggtaatacgt 480 aggtggcaag cgttgtccgg atttattggg cgtaaagcga gcgcaggcgg ttttttaagt 540 ctgatgtgaa agccttcggc tcaaccgaag aagtgcatcg gaaactggga aacttgagtg 600 cagaagagga cagtggaact ccatgtgtag cggtgaaatg cgtagatata tggaagaaca 660 ccagtggcga aggcggctgt ctggtctgta actgacgctg aggctcgaaa gtatgggtag 720 caaacaggat tagataccct ggtagtccat accgtaaacg atgaatgcta agtgttggag 780 ggtttccgcc cttcagtgct gcagctaacg cattaagcat tccgcctggg gagtacggcc 840 gcaaggctga aactcaaagg aattgacggg ggcccgcaca agcggtggag catgtggttt 900 aattcgaagc tacgcgaaga accttaccag gtcttgacat actatgcaaa tctaagagat 960 tagacgttcc cttcggggac atggatacag gtggtgcatg gttgtcgtca gctcgtgtcg 1020 tgagatgttg ggttaagtcc cgcaacgagc gcaaccctta ttatcagttg ccagcattaa 1080 gttgggcact ctggtgagac tgccggtgac aaaccggagg aaggtgggga tgacgtcaaa 1140 tcatcatgcc ccttatgacc tgggctacac acgtgctaca atggatggta caacgagttg 1200 cgaactcgcg agagtaagct aatctcttaa agccattctc agttcggatt gtaggctgca 1260 actcgcctac atgaagtcgg aatcgctagt aatcgcggat cagcatgccg cggtgaatac 1320 gttcccgggc cttgtacaca ccgcccgtca caccatgaga gtttgtaaca cccaaagtcg 1380 gtggggtaac cttttaggaa 1400

Claims (13)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NUT 0118 균주(기탁번호 KCTC 14531B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NUT 0118 균주.
  3. 자몽추출물이 첨가된 배지에서 제1항의 균주를 배양한 발효 자몽추출물.
  4. 10 내지 20 brix의 자몽추출물 및 효모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NUT 0118 균주(KCTC 14531BP)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균주의 배양방법.
  5. 제3항의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6. 제3항의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혈중 렙틴(leptin) 농도를 낮추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제3항의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혈중 렙틴(leptin) 농도를 낮추는 것인, 식품 조성물.
  10. 제3항의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지질혈증은 혈중 총 콜레스테롤 또는 저밀도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이 증가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3항의 발효 자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지질혈증은 혈중 총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이 증가된 것인, 식품 조성물.
KR1020210055519A 2021-04-29 2021-04-29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9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519A KR102293724B1 (ko) 2021-04-29 2021-04-29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519A KR102293724B1 (ko) 2021-04-29 2021-04-29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724B1 true KR102293724B1 (ko) 2021-08-26

Family

ID=7746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519A KR102293724B1 (ko) 2021-04-29 2021-04-29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7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7452A (zh) * 2010-06-30 2010-12-01 集美大学 蜜柚果汁脱苦酶的发酵生产方法
CN103919205A (zh) * 2014-04-03 2014-07-16 闽南师范大学 一种乳酸菌发酵柚子汁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40094952A (ko) * 2013-01-23 2014-07-31 한국식품연구원 자몽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장성이 향상된 막걸리
KR20190079202A (ko) * 2017-12-27 2019-07-05 신홍식 감귤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065584B1 (ko) 2018-12-19 2020-01-13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2223 균주를 이용한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이 증진된 토마토 발효액의 제조방법
KR20200080804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해피브런치 자몽 발효물 및 스쿠알렌 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7452A (zh) * 2010-06-30 2010-12-01 集美大学 蜜柚果汁脱苦酶的发酵生产方法
KR20140094952A (ko) * 2013-01-23 2014-07-31 한국식품연구원 자몽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장성이 향상된 막걸리
CN103919205A (zh) * 2014-04-03 2014-07-16 闽南师范大学 一种乳酸菌发酵柚子汁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79202A (ko) * 2017-12-27 2019-07-05 신홍식 감귤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065584B1 (ko) 2018-12-19 2020-01-13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2223 균주를 이용한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이 증진된 토마토 발효액의 제조방법
KR20200080804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해피브런치 자몽 발효물 및 스쿠알렌 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3189B2 (en) Lactobacillus plantarum TCI378 and its uses in losing fat and improving gastrointestinal functions
US11104878B2 (en) Lactic acid bacteria capable of controlling blood sugar and use thereof
US11278579B2 (en) Lactobacillus paracasei AO356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method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obesity using the same
KR102397916B1 (ko) 건강한 임산부 모유 유래 혐기성 인체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KR102543494B1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TW201024412A (en) An inhibitor for production of IL-8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inhibitor
JP6458059B2 (ja) 決明子乳酸菌発酵物を有効成分とする便秘改善、治療又は予防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10004769B2 (en) Lactobacillus brevis G-101 strain and use thereof
TWI734322B (zh) 用於預防或治療幽門螺旋桿菌相關疾病之韓國泡菜
EP3932416A2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s or metabolic diseases, including novel lactobacillus sakei cvl-001 strain and culture medium thereof
TW201609120A (zh) 含乳酸菌之腸道屏障功能促進劑
KR102293724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nut 0118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865075B1 (ko)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KR20190077714A (ko)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28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20059972A (ko) 비타민 k2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169984B (zh) 一种发菜藻粉在调节肠道菌群结构中的应用
KR20180040894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3956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nchbl-004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이용한 비만, 당뇨 또는 지방간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95246B1 (ko)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bcc-lh-0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679094B1 (ko) 항비만 효능을 지닌 한국인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85342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ac03 균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535077B1 (ko)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을 가지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hy81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RU2793287C2 (ru) Кимчи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связанных с helicobacter pylori заболеваний
KR102403664B1 (ko) 녹용 발효물을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 또는 운동능력 향상용 조성물
JP2009254236A (ja) 新規乳酸菌並びに新規乳酸菌を利用した飲食品及び免疫賦活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