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517B1 -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517B1
KR102292517B1 KR1020200044055A KR20200044055A KR102292517B1 KR 102292517 B1 KR102292517 B1 KR 102292517B1 KR 1020200044055 A KR1020200044055 A KR 1020200044055A KR 20200044055 A KR20200044055 A KR 20200044055A KR 102292517 B1 KR102292517 B1 KR 102292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der
raw material
opening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아이비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비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아이비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00044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04Filling molds with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03Apparatus, e.g. furn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2Compacting only
    • B22F3/03Press-moulding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퍼로부터 유입된 분말원료를 분말투입유닛에 의해 프레스금형이 설치된 위치까지 이동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말성형 프레스에 의한 제품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메인프레임바디(100);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호퍼(10)로부터 유입되는 분말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200);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로부터 낙하된 분말원료를 수용하여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에 설치된 유닛이송수단(340)을 매개로 왕복이동되되 개폐조작부(330)에 의해 하부가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분말투입유닛(300); 상기 유닛이송수단(340)을 통해 이동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유닛승하강부(500);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의 상부에 전후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프레임부(600); 상기 유닛승하강부(500)에 의해 승강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고정하고, 상기 개폐조작부(330)을 조작하여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에 수용된 분말원료가 금형에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왕복프레임부(600)에 설치되는 유닛조작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POWDER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FOR POWDER MOLDING PRESS}
본 발명은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퍼로부터 유입된 분말원료를 분말투입유닛에 의해 프레스금형이 설치된 위치까지 이동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말성형 프레스에 의한 제품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분말 성형은 금속가루인 분말소재를 다이의 성형구멍 내로 충전하고 이를 압축성형하여 그린컴팩트(Green Compact)라 지칭하는 원하는 모양의 분말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으로, 성형된 제품의 정도가 우수하고 일반적인 기계가공을 생략할 수 있는 성형 방법들 중 하나이다. 또한, 유압식 금속분말 성형 프레스는 대체로 금형에서 작업을 하기에 까다로운 제품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업계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분말성형 프레스의 기본적인 구성과 작동은 호퍼에서 분말 원료를 공급받는 분말 공급장치가 실린더나 기타 장치에 의해 전후 유동하면서 하부금형에 분말 원료를 충진시킨 후 상부금형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부금형과의 압축에 의해 하부금형에 충진되어 있는 분말 원료를 압축하여 성형 되고, 상부금형이 다시 상측으로 이송하면 하부금형에 성형 된 제품을 금형에서 이탈시키고 다시 분말 공급장치를 이송시켜 하부금형에 분말 원료를 충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분말성형 프레스에 의한 제품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분말성형 프레스 분말 공급장치에 의해 분말 원료를 하부금형에 공급하게 되면, 분말 공급장치가 전후 일직선으로 움직이면서 하부금형에 분말 원료를 충진 시키게 되어, 분말 원료가 하부금형 내부에 고르게 쌓이지 못하고 일측으로 치우쳐서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프레스금형에 의해 제품을 생산후에는 별도로 제품을 탈거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됨에 따른 제품의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1235호의 금속분말 유압성형 프레스용 분말소재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호퍼로부터 유입되어 분말투입유닛으로 수용되는 분말원료의 양을 정량 파악한 후, 유닛이송수단과 유닛승하강부를 매개로 상기 분말투입유닛을 프레스 금형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자동으로 하부를 개방함으로써 프레스 금형으로 정량의 분말원료를 자동공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프레스 금형에 의해 성형된 제품을 제품흡착부에 의해 흡착하여 손쉽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시간의 단축은 물론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메인프레임바디(100);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호퍼(10)로부터 유입되는 분말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200);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로부터 낙하된 분말원료를 수용하여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에 설치된 유닛이송수단(340)을 매개로 왕복이동되되 개폐조작부(330)에 의해 하부가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분말투입유닛(300); 상기 유닛이송수단(340)을 통해 이동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유닛승하강부(500);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의 상부에 전후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프레임부(600); 상기 유닛승하강부(500)에 의해 승강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고정하고, 상기 개폐조작부(330)을 조작하여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에 수용된 분말원료가 금형에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왕복프레임부(600)에 설치되는 유닛조작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왕복프레임부(600)에 설치되어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으로부터 투입된 분말원료를 통해 성형된 성형제품을 금형으로부터 흡착하여 들어올리 수 있도록 하는 제품흡착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에 설치된 상태로 분말원료가 수용되는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중량을 측정하여 금형투입을 위한 정량의 분말원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량측정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로부터 낙하된 분말원료를 수용하는 중공형 바스켓(310)과, 상기 개폐조작부(33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바스켓(31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게이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닛조작부(700)는,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상측에 형성된 픽싱체결편(312)에 체결되는 체결고정부(710)와, 상기 개폐조작부(330)를 조작하여 상기 개폐게이트(3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푸쉬실린더(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량의 분말원료를 프레스 금형에 공급할 수 있어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분말원료의 공급과 탈거 작업을 하나의 장치에서 이룰 수 있게 됨에 따라 제품의 생산효율 및 제조시간의 단축, 인건비의 절감효과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투입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투입유닛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투입유닛이 유닛이송수단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닛이송수단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투입유닛이 유닛승하강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투입유닛이 유닛승하강부에 의해 승강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투입유닛이 왕복프레임부에 의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왕복프레임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닛조작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흡착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투입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투입유닛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투입유닛이 유닛이송수단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닛이송수단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투입유닛이 유닛승하강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투입유닛이 유닛승하강부에 의해 승강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투입유닛이 왕복프레임부에 의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왕복프레임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닛조작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흡착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는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메인프레임바디(100)와,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20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로부터 낙하된 분말원료를 수용하여 유닛이송수단(340)에 의해 왕복이동되는 분말투입유닛(300)과,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유닛승하강부(500)와,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의 상부에 전후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프레임부(600)와,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에 수용된 분말원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조작하는 유닛조작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는 호퍼(10)로부터 유입된 분말원료를 분말투입유닛(300)에 의해 프레스가 설치된 위치까지 이동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말성형 프레스에 의한 제품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는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는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폴(110)과, 상기 수직폴(110)의 길이방향 상측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상부프레임(120)과, 상기 상부프레임(120)으로써 하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커넥트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는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호퍼(10)로부터 유입되는 분말원료를 이송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는 상기 상부프레임(120)에 설치된 밀실케이스(210)의 내측에서 무한궤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분말원료에 일정량의 수분이 포함된 경우, 상기 밀실케이스(210)로 인해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한 이송과정에서 수분증발이 방지되어 금형프레스에 의한 제품의 성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호퍼(10)의 하부에는 상기 밀실케이스(210)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말원료가 상기 밀실케이스(210)의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버켓(11)이 설치되고, 상기 밀실케이스(210)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는 분말원료의 상태 확인을 위한 상태확인창(2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밀실케이스(210)의 하부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어 낙하되는 분말원료가 후술되는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투입호퍼구(22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로부터 낙하된 분말원료를 수용하여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에 설치된 유닛이송수단(340)을 매개로 왕복이동되되 개폐조작부(330)에 의해 하부가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은 상기 유닛이송수단(340)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유닛이송수단(340)의 왕복구동에 의해 왕복이동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로부터 낙하된 분말원료를 수용하는 중공형 바스켓(310)과, 상기 개폐조작부(33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바스켓(31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게이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바스켓(31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작아지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되 상측단에 다수개의 픽싱체결편(312)이 형성된 중공형 바디구(311)와, 상기 바디구(311)의 길이방향 하측에 장착되는 틀 형상의 마운팅틀(315)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픽싱체결편(312)에는 픽싱홀(3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게이트(320)는 상기 마운팅틀(315)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게이트(320)의 일측단에 형성된 회전축(321)은 상기 마운팅틀(315)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노출된 상기 회전축(321)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조작부(330)가 연결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구(311)의 외측면에는 상기 개폐조작부(330)가 장착되고, 상기 마운팅틀(315)에는 다수개의 끼움홀(317)이 형성된 록킹편(316)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개폐조작부(330)는 상기 바디구(311)의 외측면에 장착되되 길이방향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가이드공(미도시)이 형성된 안내몸체(331)와, 상기 안내몸체(331)의 가이드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길이방향 상측에 눌림편(334)이 형성된 무빙폴(333)과, 상기 회전축(32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캠(335)과, 상기 무빙폴(333)의 하측과 상기 회전캠(335)에 길이방향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관절운동구(336)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눌림편(334)과 안내몸체(33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무빙폴(333)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스프링부재(3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무빙폴(333)의 눌림편(334)이 눌려지게 되면 상기 스프링부재(337)가 압축되면서 상기 관절운동구(336)에 의해 상기 회전캠(335)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캠(335)의 회전으로 상기 개폐게이트(320)가 개방되어 상기 바스켓(310)의 내측에 수용된 분말원료가 배출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눌림편(334)의 누름조작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부재(337)의 인장에 의해 상기 관절운동구(336)와 회전캠(335)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개폐게이트(320)가 상기 바스켓(310)의 하부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닛이송수단(340)은 상기 커넥트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무한궤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무빙밸트(341)와, 상기 무빙밸트(341)에 연결되는 구동회전체(342)에 회전축(345)이 연결되어 상기 무빙밸트(341)를 무한궤도록 회전시키는 구동기어부(343)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부(343)는 상기 구동회전체(342)에 연결되는 상기 회전축(345)이 설치되는 기어박스(344)와 상기 기어박스(344)를 연결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구(346)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바스켓(310)이 상기 무빙밸트(34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구(346)가 정회전 구동되면 상기 무빙밸트(3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커넥트프레임(130)이 일측방향으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이 이동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구(346)가 역회전 구동하게 되면 상기 무빙밸트(341)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부(343)가 설치된 상기 커넥트프레임(130)의 타측방향으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이 복귀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넥트프레임(130)의 길이방향 일측이나 타측에는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에는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이 상기 커넥트프레임(130)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로부터 낙하된 분말원료를 수용하는 경우,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으로 투입되는 분말원료의 양을 정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량측정부(40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정량측정부(400)는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의 커넥트프레임(130)에 설치된 상태로 분말원료가 수용되는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중량을 측정하여 금형투입을 위한 정량의 분말원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자체 중량을 기준으로 증가되는 중량값을 측정하여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에 수용되는 분말원료의 정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에 정량의 분말원료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의 회전구동이 정지되어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으로 분말원료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정량측정부(400)는 상기 무빙밸트(341)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이 안착되는 안착검출판(410)과, 상기 안착검출판(4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중량측정구(420)와, 상기 중량측정구(420)의 하측에 설치되는 리프팅판(430)과, 상기 커넥트프레임(130)에 설치되는 연결플레이트(131)에 장착된 상태로 신축로드(441)가 상기 리프팅판(430)에 연결되는 구동실린더부재(44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안착검출판(410)의 상측면에는 상기 록킹편(316)의 끼움홀(317)에 끼워지는 승강끼움구(411)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판(430)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131)에 형성된 가이드파이프(132)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승강가이드봉(431)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구동실린더부재(4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신축로드(441)가 상측으로 신장되면 상기 안착검출판(410)이 상기 무빙밸트(341)의 상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안착검출판(410)의 상측면에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이 안착되면서 상기 승강끼움구(411)가 상기 록킹편(316)이 끼움홀(317)에 끼워져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으로 분말원료가 투입되면 상기 중량측정구(420)에서 분말원료의 정량을 측정하게 되고, 정량의 분말원료가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으로 투입되면 상기 구동실린더부재(4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신축로드(441)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안착검출판(410)을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안착검출판(410)이 상기 무빙밸트(341)의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이 상기 무빙밸트(341)의 상측에 안착되면서 상기 승강끼움구(411)가 상기 끼움홀(317)에서 이탈되어 상기 무빙밸트(341)의 회전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닛승하강부(500)는 상기 유닛이송수단(340)을 통해 이동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것으로, 상기 유닛승하강부(500)는 상기 무빙밸트(341)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분말원료가 수용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이 상기 유닛이송수단(340)의 무빙밸트(341)에 의해 상기 커넥트프레임(130)의 일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의 상부프레임(120)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유닛승하강부(500)는 상기 커넥트프레임(130)에 설치되는 로워마운팅판(133)에 장착되되 실린더로드(511)가 상기 로워마운팅판(13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실린더(510)와, 상기 승강실린더(510)의 실린더로드(511)에 연결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측면에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이 안착되되 상기 록킹편(316)의 끼움홀(317)에 끼움되는 승강삽입구(521)가 형성된 리프팅보드(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무빙밸트(341)에 의해 상기 커넥트프레임(130)의 일측으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이 이동되면 상기 승강실린더(510)가 구동하게 되고, 상기 승강실린더(5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로드(511)가 신장하게 되면 상기 리프팅보드(520)가 승강되면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상기 상부프레임(120) 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리프팅보드(520)의 승강삽입구(521)가 상기 끼움홀(317)에 끼워져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왕복프레임부(600)는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의 상부에 전후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닛승하강부(500)에 의해 승강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이 후술되는 상기 유닛조작부(700)에 고정되면 전방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프레스금형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왕복프레임부(600)는 상기 상부프레임(12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톱니형 대응구(61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무빙프레임(610)과, 상기 상부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121)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대응구(611)에 기어결합되는 조인트기어구(631)가 설치된 동력발생구(63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동력발생구(6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조인트기어구(631)가 정회전되면 상기 무빙프레임(610)이 전방으로 신장되어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프레스금형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동력발생구(6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조인트기어구(631)가 역회전되면 상기 무빙프레임(610)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닛조작부(700)은 상기 유닛승하강부(500)에 의해 승강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고정하고, 상기 개폐조작부(330)를 조작하여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에 수용된 분말원료가 금형에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왕복프레임부(600)에 설치된다.
즉, 상기 유닛승하강부(500)에 의해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이 상기 상부프레임(120)방향으로 승강되면 상기 왕복프레임부(600)에 설치된 상기 유닛조작부(700)에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픽싱체결편(312)이 체결되어 고정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왕복프레임부(600)의 무빙프레임(610)이 전방으로 신장되면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에 설치된 상기 개폐조작부(330)를 조작하여 상기 개폐게이트(320)를 개방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유닛조작부(700)는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픽싱체결편(312)에 체결되는 체결고정부(710)와, 상기 개폐조작부(330)를 조작하여 상기 개폐게이트(3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푸쉬실린더(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체결고정부(710)는 상기 픽싱체결편(312)의 픽싱홀(313)에 끼움되는 픽싱구(711)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무빙프레임(610)에 마련된 조작부장착판(6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실린더(720)의 로드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푸쉬실린더(730)는 상기 조작부장착판(620)에 설치된 상태로 푸쉬로드(731)가 상기 조작부장착판(620)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조작부(330)의 눌림편(334)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작부장착판(620)에는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승강시 상기 바디구(311)에 형성된 상기 픽싱체결편(312)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편돌출홈(6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유닛조작부(700)의 구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승강에 의해 상기 픽싱체결편(312)이 상기 조작부장착판(620)의 상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고정실린더(720)가 구동하여 상기 체결고정부(710)의 픽싱구(711)가 상기 픽싱홀(313)에 끼워져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무빙프레임(610)이 신장되어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이 프레스금형이 설치된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푸쉬실린더(730)의 구동에 푸쉬로드(731)가 신장되어 상기 개폐조작부(330)의 눌림편(334)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개폐게이트(320)가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에는 프레스금형에 의해 성형된 제품을 흡착하여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흡착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품흡착부(800)는 상기 왕복프레임부(600)에 설치되어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으로부터 투입된 분말원료를 통해 성형된 성형제품을 금형으로부터 흡착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제품흡착부(800)를 살펴보면 상기 무빙프레임(610)의 선단에 신장로드(811)가 지면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흡착실린더(810)와, 상기 흡착실린더(810)의 신장로드(811)를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흡착마운팅판(820)과, 상기 흡착마운팅판(820)에 설치된 상태로 진공흡착에 의해 성형제품을 진공흡착하는 진공흡착부(83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진공흡착부(830)는 상기 흡착마운팅판(820)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착체결구(840)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흡착체결구(840)를 감싸는 탄성스프링(850)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진공흡착부(830)는 상기 흡착체결구(840)에 결합되는 흡착부프레임(831)과, 상기 흡착부프레임(831)에 장착되어 성형제품에 밀착되는 진공흡착패드(8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공흡착부(830)에는 공압의 공급을 위한 공압호스(86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품흡착부(800)의 구동상태를 살펴보면, 프레스금형에 의해 제품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흡착실린더(810)의 신장로드(811)가 신장하여 상기 진공흡착부(830)의 진공흡착패드(832)가 성형제품에 밀착된다.
이후, 상기 공압호스(860)에 의해 상기 진공흡착패드(832)와 성형제품 사이에 흡착압이 형성되면 상기 신장로드(811)의 복귀에 의해 상기 성형제품이 프레스금형으로부터 들어올려져 탈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호퍼 100: 메인프레임바디
110: 수직폴 120: 상부프레임
130: 커넥트프레임 200: 이송컨베이어
210: 밀실케이스 220: 투입호퍼구
300: 분말투입유닛 310: 바스켓
320: 개폐게이트 330: 개폐조작부
340: 유닛이송수단 400: 정량측정부
410: 안착검출판 420: 중량측정구
430: 리프팅판 440: 구동실린더부재
500: 유닛승하강부 510: 승강실린더
520: 리프팅보드 600: 왕복프레임부
610: 무빙프레임 620: 조작부장착판
630: 동력발생구 700: 유닛조작부
710: 체결고정부 720: 고정실린더
730: 푸쉬실린더 800: 제품흡착부
810: 흡착실린더 820: 흡착마운팅판
830: 진공흡착부 840: 흡차체결구
850: 탄성스프링 860: 공압호스

Claims (5)

  1.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메인프레임바디(100);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호퍼(10)로부터 유입되는 분말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200);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로부터 낙하된 분말원료를 수용하여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에 설치된 유닛이송수단(340)을 매개로 왕복이동되되 개폐조작부(330)에 의해 하부가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분말투입유닛(300);
    상기 유닛이송수단(340)을 통해 이동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유닛승하강부(500);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의 상부에 전후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프레임부(600);
    상기 유닛승하강부(500)에 의해 승강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을 고정하고, 상기 개폐조작부(330)을 조작하여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에 수용된 분말원료가 금형에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왕복프레임부(600)에 설치되는 유닛조작부(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프레임부(600)에 설치되어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으로부터 투입된 분말원료를 통해 성형된 성형제품을 금형으로부터 흡착하여 들어올리 수 있도록 하는 제품흡착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바디(100)에 설치된 상태로 분말원료가 수용되는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중량을 측정하여 금형투입을 위한 정량의 분말원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량측정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로부터 낙하된 분말원료를 수용하는 중공형 바스켓(310)과, 상기 개폐조작부(33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바스켓(31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게이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조작부(700)는, 상기 분말투입유닛(300)의 상측에 형성된 픽싱체결편(312)에 체결되는 체결고정부(710)와, 상기 개폐조작부(330)를 조작하여 상기 개폐게이트(3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푸쉬실린더(7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
KR1020200044055A 2020-04-10 2020-04-10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 KR102292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055A KR102292517B1 (ko) 2020-04-10 2020-04-10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055A KR102292517B1 (ko) 2020-04-10 2020-04-10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517B1 true KR102292517B1 (ko) 2021-08-24

Family

ID=7750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055A KR102292517B1 (ko) 2020-04-10 2020-04-10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51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5532A (ja) * 1996-09-24 1998-04-14 Fuji Elelctrochem Co Ltd 粉体の気体輸送装置
JP2006122925A (ja) * 2004-10-26 2006-05-18 Toyota Motor Corp 粉末成形プレスの給粉装置
JP2006136924A (ja) * 2004-11-12 2006-06-01 Mitsubishi Materials Techno Corp 粉末成形装置
KR100901365B1 (ko) * 2002-12-13 2009-06-05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형 물질 공급 장치
KR101215000B1 (ko) * 2011-07-13 2012-12-24 (주)명일씨엔티 드럼 세탁기용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
KR101247278B1 (ko) * 2012-10-18 2013-03-25 미원정밀공업(주) 프레스 성형용 소재 이송장치
KR101837295B1 (ko) * 2016-09-19 2018-04-19 김성직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5532A (ja) * 1996-09-24 1998-04-14 Fuji Elelctrochem Co Ltd 粉体の気体輸送装置
KR100901365B1 (ko) * 2002-12-13 2009-06-05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형 물질 공급 장치
JP2006122925A (ja) * 2004-10-26 2006-05-18 Toyota Motor Corp 粉末成形プレスの給粉装置
JP2006136924A (ja) * 2004-11-12 2006-06-01 Mitsubishi Materials Techno Corp 粉末成形装置
KR101215000B1 (ko) * 2011-07-13 2012-12-24 (주)명일씨엔티 드럼 세탁기용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장치
KR101247278B1 (ko) * 2012-10-18 2013-03-25 미원정밀공업(주) 프레스 성형용 소재 이송장치
KR101837295B1 (ko) * 2016-09-19 2018-04-19 김성직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562B1 (ko) 압착기에 사용되는 재료의 운송장치
US5297897A (en) Single-strip molding apparatus
KR890003503B1 (ko) 즉시 탈형식 콘크리트제품 성형기에 있어서 패턴프레임 및 프레스다이의 설치방법 및 그 장치
CN110816911B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定量设备
JP2020500395A (ja) インターフェース製品の自動ピン挿入機
KR20140142439A (ko) 사형의 연속 자동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06644139U (zh) 一种混凝土管制管机
KR102292517B1 (ko)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
EP0428792A2 (en) Single strip molding apparatus
TWI472065B (zh) 樹脂密封裝置
CN106218958B (zh) 一种包装袋灌装管组装封合机
CN208198888U (zh) 粒渣物料灌装机
CN207415906U (zh) 一种注塑机机械手
US5451154A (en) Scraping plunger
CN210761644U (zh) 一种疏松装置
CN206358444U (zh) 一种包装袋灌装管组装封合机
CN111571772A (zh) 一种新型全自动碳素成型设备及其工作方法
CN117678651A (zh) 一种龙珠茶叶自动化生产装置
CN213663447U (zh) 一种饼形食品成型机
CN220810902U (zh) 一种连续输送设备
CN219576818U (zh) 一种磁铁插入装置
TWI829165B (zh) 肉鬆蛋捲充填機
RU2296053C2 (ru) Роторная таблеточная машина
KR100423080B1 (ko) 자동 분말 성형기
KR910002493Y1 (ko) 압축성형기의 원료공급 및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