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295B1 -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295B1
KR101837295B1 KR1020160119141A KR20160119141A KR101837295B1 KR 101837295 B1 KR101837295 B1 KR 101837295B1 KR 1020160119141 A KR1020160119141 A KR 1020160119141A KR 20160119141 A KR20160119141 A KR 20160119141A KR 101837295 B1 KR101837295 B1 KR 101837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mold
unit
main body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직
Original Assignee
김성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직 filed Critical 김성직
Priority to KR102016011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6Stripping-of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8Lubricating, e.g. lubricating tool and workpiece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58Applying the releas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 내에서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배출하여 제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에 자동 적재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는 프레임 구조로 되어 프레스장치(2) 일측에 설치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서 상하 승강 및 전후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스장치(2)의 이형된 금형 사이로 투입되어 금형 내부에서 성형 완료된 제품을 자동으로 픽업하여 배출하는 픽업배출부(20)와; 상기 본체부(10)에서 승강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픽업배출부(20)에 의해 배출되는 제품을 적재하여 이송하는 적재이송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형 내에서 성형 완료된 제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자동 배출함으로써 작업인력 감축을 통한 인건비 절감을 통해 상품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제품 배출 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 및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Mold for the product discharge device}
본 발명은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 내에서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배출하여 제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에 자동 적재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을 성형하는데 사용하는 금형은 재료의 가소성, 유동성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상을 갖춘 완성도 높은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금속성의 형(型)을 말하는 것으로서, 재료는 알루미늄합금, 구리합금, 주철 등이 사용되며 금속의 프레스가공, 플라스틱의 사출성형(射出成形), 분말야금 등 여러 종류의 성형용이 있다.
상기 금형의 사용에 관한 일 예를 들면, 전기에너지를 회전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모터는 입력 전원에 따라 교류 또는 직류 모터로 구분되며 모터에 채택되는 회전자의 방식에 따라 유도식 회전자형과 영구자석식 회전자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영구자석식 회전자는 회전자계에 대한 응답성이 뛰어나고 단위부피당 에너지밀도가 높은 모터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도 유리하기 때문에 가전, 반도체 및 자동차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영구자석식 회전자에 사용되는 영구자석은 높은 전류자속밀도와 보자력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진원도, 동축도의 안정성과 정밀성에 따라서 모터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모터용 영구자석의 경우에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성형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영구자석의 재료가 되는 자성체 분말을 프레스금형 내부에 공급한 후, 수백℃의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여 일정한 곡률의 호형 단면을 가지는 고밀도의 영구자석을 제조하게 된다.
그런데 영구자석과 같이 제품의 크기가 작고, 한꺼번에 다수의 제품을 동시에 성형하는 경우에는 성형을 마친 제품을 배출할 때, 상하로 분리된 프레스금형 사이로 작업자가 손이나 도구를 투입한 후, 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위치하는 제품을 수동으로 배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프레스금형을 이용하는 프레스장치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 성형되는 영구자석은 캐비티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성형을 마친 영구자석을 수작업을 이용해 금형의 캐비티 내부에서 배출하는 것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영구자석의 신속한 배출도 용이하지 않아서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금형 사용시 제품 배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성형을 마친 제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는데, 대표적인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용신안공보 실1990-0007415호에는 상형에 펀치(1)를 고정하고 그 하방에 다이(5)를 설치하여 펀치(1)의 승강에 따라 소재(6)가 버어링 가공되는 프레스 금형에 있어서, 다이(5)에 공간홈(7)을 형성하여 이 공간홈(7) 내에 밀판(2)을 승강 가능하게 스프링(3)으로 탄력 설치함과 함께 밀판(2)의 중심공과 스프링(3) 사이로 가이드봉(4)을 관통시켜 가이드봉(4)의 하단부를 다이(5)에 나사 끼우기로 결합하고 펀치(1)의 하방에는 가이드봉(4)의 머리부가 삽입될 수 있는 요입부(1a)를 형성하여 펀치(1)의 승강에 따라 밀판(2)이 승강하면서 소재의 버어링부를 상방으로 밀어올릴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의 제품 취출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또한, 실용신안공보 실1992-0005804호에는 사출금형(1)의 제품취출장치에 있어서, 금형(1)의 가동측 설치판(2)에 설치되는 가동측 형판(3)에 제품(P)의 표면적과 같은 크기의 가동측 코어(4)를 가이드 볼트(5)와 함께 스프링(6)으로 탄력 설치하고, 이와 형합되는 고정측 설치판(7)의 고정측 형판(7)에는 제품의 두께(T)만큼 돌출되게 두 개의 고정측 코어핀(9)(9')을 설치하여 형 개폐시기 가동측 코어(4)가 제품 두께(T)만큼 전, 후진 동작할 수 있게 구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사출금형의 제품 취출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실용신안공보 실1990-0007415호(1990. 08. 16.) 실용신안공보 실1992-0005804호(1992. 08. 22.)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캐비티 내에서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캐비티에서 밀어내는 밀판이나 코어 등과 같은 취출수단을 금형의 캐비티 일측에 코일스프링을 탄설함으로써 상부금형(가동금형)과, 하부금형(고정금형)이 형합(결합)할 때에는 취출수단을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취출수단이 캐비티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금형이 이형(분리)하면 캐비티 내부로 삽입되었던 취출수단이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캐비티에서 배출되면서, 캐비티 내부에서 성형된 제품을 캐비티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작업자가 분리된 금형 사이에 위치하는 제품을 좀 더 쉽게 배출할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품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기술을 이용하더라도 금형 내에서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최종 배출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인력의 배치가 불가피하여 인건비에 따른 제조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영구자석과 같이 크기가 작은 제품을 금형을 이용해 한꺼번에 다수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제품을 작업자가 이형된 금형에서 일일이 하나씩 배출해야 함으로써 제품을 배출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그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영구자석을 성형하는 유압프레스의 경우에는 고온, 고압으로 제품을 압축 성형하기 때문에 대당 가격이 수억 원에 이르는 매우 고가의 제조장치인데, 이러한 제조장치를 이용해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우에,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 또한 막대한 실정이다.
더불어 금형은 제품의 형태, 규격 등이 달라지는 경우에 그에 맞게 금형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데, 금형마다 일일이 취출장치를 부가하는 경우에 금형의 제작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등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규격의 금형에 호환성 있게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금형 내에서 성형 완료된 제품을 신속하고, 안전하며, 정확하게 배출할 수 있는 배출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프레임 구조로 되어 프레스장치(2) 일측에 설치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서 상하 승강 및 전후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스장치(2)의 이형된 금형 사이로 투입되어 금형 내부에서 성형 완료된 제품을 자동으로 픽업하여 배출하는 픽업배출부(20)와;
상기 본체부(10)에서 승강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픽업배출부(20)에 의해 배출되는 제품을 적재하여 이송하는 적재이송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부(10)는, 양 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여 상기 픽업배출부(20)의 전후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1)과;
본체부(10)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배출부(20)를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구동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구동부(12)는, 구동축(324)에 피니언기어(122)를 설치한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121)를 상기 본체부(10) 일측면에 설치하여, 상기 픽업배출부(20)의 측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래크기어(123)와 상기 피니언기어(122)를 치합시켜 상기 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픽업배출부(20)의 전후 슬라이딩이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업배출부(20)는, 상기 본체부(10)에 의해 상기 프레스장치(2)의 이형된 금형 사이로 자동 투입, 배출되는 가동체(21)와;
상기 가동체(21)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수단(23)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금형 내부에서 성형 완료된 제품을 자동으로 픽업하는 픽업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체(21)는,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에 대응하는 가이드블록(212)을 저면에 설치한 한 쌍의 지지프레임(211)과;
상기 지지프레임(211) 내측에서 두 지지프레임(211)을 연결하는 연결판(2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업부(22)는, 상기 가동체(21)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수단(23)에 의해 수직으로 자동 승강하는 픽업플레이트(221)와;
상기 프레스장치(2)의 금형 내에서 성형되는 제품의 상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제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픽업플레이트(221)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업수단(2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수단(23)은, 상기 가동체(21)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피스톤로드를 상기 픽업부(22)의 픽업플레이트(221) 상면에 고정한 승강실린더(231)와;
상기 가동체(2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안내관(232)을 관통하도록 상기 픽업플레이트(221)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안내봉(233)과;
상기 픽업부(22)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31) 상부에 적재되는 제품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2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체(21) 전방에는, 상기 픽업부(22)에 의해 제품이 픽업, 배출된 후 빈 상태의 캐비티 내부에 제품의 원활한 탈형을 위한 이형제를 분사하는 이형제분사수단(2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이송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서 전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이송컨베이어(31)와;
상기 이송컨베이어(31)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31)의 높이를 조절하는 컨베이어승강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승강부(32)는, 상기 본체부(10)에서 수직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되어, 상단부를 상기 이송컨베이어(31) 프레임 하부에 고정 설치한 승강봉(321)과;
상기 승강봉(321)과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되어 일단부는 운동변환부(322)를 통해 상기 승강부에 동력을 전달하고, 타단부에는 회전수단(323)을 구비한 구동축(3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서 금형 내에서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배출하여 제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에 자동 적재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는 이형된 금형 내부로 픽업수단을 투입하여 금형 내에서 성형 완료된 제품을 픽업하여 금형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을 프레스장치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작업인력 감축을 통한 인건비 절감을 통해 상품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구자석과 같이 크기가 작아서 금형 내에서 한꺼번에 다수의 제품을 성형하는 경우에 금형 내부에서 성형을 마친 다수의 제품을 한꺼번에 동시 배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 배출 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 및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금형으로 제조하는 제품의 크기나 형태 등의 변경 시에는 제품의 형태에 대응하는 픽업수단의 단순 교체를 통해 제품 자동 배출이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제품 생산에 사용 가능한 우수한 호환성을 가진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배출부의 슬라이딩 작동 예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부의 승강 작동 예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의 승강 작동 예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수단에 의해 금형에서 제품이 배출되는 작동 상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배출부가 후퇴하면서 이형제를 도포하는 작동 상태 예시도.
도 10, 도 11은 종래기술의 금형용 제품 취출장치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는 프레임 구조로 되어 프레스장치(2) 일측에 설치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서 상하 승강 및 전후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스장치(2)의 이형된 금형 사이로 투입되어 금형 내부에서 성형 완료된 제품을 자동으로 픽업하여 배출하는 픽업배출부(20)와; 상기 본체부(10)에서 승강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픽업배출부(20)에 의해 배출되는 제품을 적재하여 이송하는 적재이송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부(10)는 양 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여 상기 픽업배출부(20)의 전후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1)과; 본체부(10)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배출부(20)를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구동부(1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1)은 상기 본체부(10)를 프레스장치(2) 일측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양측 가이드레일(11) 사이에 프레스장치(2)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상기 픽업배출부(20)가 이동하여 프레스장치(2)의 이형된 금형 내부로 투입, 배출이 가능케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1)은 통상의 LM가이드로 불리는 가이드레일(11)을 설치하되, 가이드레일(11)의 전후 양단부에는 가이드레일(11)을 타고 이동하는 상기 픽업배출부(20)의 이탈 방지 및 안정적인 정지와 정지 과정에서의 충격 방지를 위해서 댐핑 기능을 구비한 스토퍼(11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1)은 본체부(10)의 상면에서 본체부(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프레스장치(2) 일측에 상기 본체부(10)를 설치할 때 프레스장치(2)와 연동을 위한 가이드레일(11)의 정확한 위치 조절이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1)의 측면에는 가이드레일(11)을 타고 이동하는 상기 픽업배출부(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슬라이딩구동부(12)는, 구동축(324)에 피니언기어(122)를 설치한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121)를 상기 본체부(10) 일측면에 설치하여, 상기 픽업배출부(20)의 측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래크기어(123)와 상기 피니언기어(122)를 치합시켜 상기 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픽업배출부(20)의 전후 슬라이딩이 가능케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구동부(12)는 본체부(10)의 일측면에만 설치하거나, 본체부(10)의 양 측면에 대칭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픽업배출부(20)의 측면에 래크기어(123)를 설치하고, 본체부(10)에 피니언기어(122)를 구비한 모터(121)를 설치하는 대신에, 상기와 반대로 픽업배출부(20)에 피니언기어(122)를 구비한 모터(121)를 설치하고, 본체부(10)의 가이드레일(11) 측면에 래크기어(123)를 설치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두 가지 설치 방식을 본체부(10)의 양측에 한 가지씩 동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본체부(10)는 중량체의 프레임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본체부(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본체부(10)의 하부에는 다수의 캐스터를 구비함과 동시에, 프레스장치(2)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부(10)의 견고한 고정과 전후좌우 높낮이 조절 및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본체부(1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발을 구비하는 바람직하다.
상기 픽업배출부(20)는, 상기 본체부(10)에 의해 상기 프레스장치(2)의 이형된 금형 사이로 자동 투입, 배출되는 가동체(21)와; 상기 가동체(21)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수단(23)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금형 내부에서 성형 완료된 제품을 자동으로 픽업하는 픽업부(22)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체(21)는 상기 본체부(10)에 의해 상기 프레스장치(2)의 이형된 금형 사이로 자동 투입, 배출이 가능케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에 대응하는 가이드블록(212)을 저면에 설치한 한 쌍의 지지프레임(211)과, 상기 지지프레임(211) 내측에서 두 지지프레임(211)을 연결하는 연결판(213)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11)과 연결판(213)은 분해, 조립 가능케 구성하되, 상기 지지프레임(211)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판(213)과의 안정적이고, 견고한 조립을 위해서 지지프레임(211)의 길이 방향으로 걸림턱(211a)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 상부에 연결판(213)을 적재하여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픽업부(22)는, 상기 가동체(21)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수단(23)에 의해 수직으로 자동 승강하는 픽업플레이트(221)와; 상기 프레스장치(2)의 금형 내에서 성형되는 제품의 상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제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픽업플레이트(221)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업수단(222)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수단(23)은 상기 가동체(21)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피스톤로드를 상기 픽업부(22)의 픽업플레이트(221) 상면에 고정한 승강실린더(231)와; 상기 가동체(2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안내관(232)을 관통하도록 상기 픽업플레이트(221)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안내봉(233)과; 상기 픽업부(22)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31) 상부에 적재되는 제품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234)을 포함한다.
상기 픽업수단(222)은 금형 내에서 성형되는 제품의 상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제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진공발생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한 진공흡착방식으로 제품을 픽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주지된 다양한 픽업수단 중에서 제품의 크기, 형상, 무게 등 제품의 특성에 따라서 금형 내에서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픽업하는데 가장 효율적이고, 적합한 픽업수단을 선택 사용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가동체(21) 전방에는, 상기 픽업부(22)에 의해 제품이 픽업, 배출된 후 빈 상태의 캐비티 내부에 제품의 원활한 탈형을 위한 이형제를 이형제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공급받아 분사하는 이형제분사수단(2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형제분사수단(24)은 상기 가동체(2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가동체(21) 상부에 설치하는 브래킷(241)과, 금형에 형성된 캐비티 간격으로 상기 브래킷(241)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하여 이형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42)을 포함한다.
상기 이형제는 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금형의 캐비티 내부에서 성형 완료된 제품이 캐비티에서 쉽게 분리되도록 캐비티 내부에 제품의 성형 재료를 투입하기 전에 캐비티 내면에 분사 또는 도포하는 윤활제나 왁스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통상 실리콘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파라핀, 왁스류, 테플론 디스퍼젼(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분산상) 등이 있다.
상기 적재이송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서 전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이송컨베이어(31)와; 상기 이송컨베이어(31)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31)의 높이를 조절하는 컨베이어승강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31)는 금형에서 성형된 후, 상기 픽업배출부(20)에 의해 금형 내에서 픽업 후 배출되는 제품을 적재하여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한 구동모터(121)에 의해 구동되는 통상의 벨트컨베이어를 사용한다.
상기 컨베이어승강부(32)는, 상기 픽업배출부(20)에 의해 금형 내에서 픽업 후 배출되는 제품과 상기 이송컨베이어(31) 간의 충돌을 방지함과 동시에 픽업 후 배출되는 제품이 이송컨베이어(31) 상에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제품의 크기에 따라서 이송컨베이어(31)의 높이를 조절 가능케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에서 수직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되어, 상단부를 상기 이송컨베이어(31) 프레임 하부에 고정 설치한 승강봉(321)과; 상기 승강봉(321)과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되어 일단부는 운동변환부(322)를 통해 상기 승강봉(321)에 동력을 전달하고, 타단부에는 회전수단(323)을 구비한 구동축(324)을 포함한다.
상기 운동변환부(322)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을 변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승강봉(321)에 웜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324)에 웜휠을 설치함으로써 구동축(324)을 정, 역회전시킴에 따라서 구동축(324)의 웜휠에 치합된 웜기어가 회전하면서 승강봉(321)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승강봉(321)에 랙기어를 형성하고, 구동축(324)에 피니언기어를 설치하는 등 구동축(324)의 회전운동을 승강봉(321)의 직선 승강운동을 변환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상기와 운동변환부(322)를 이용해 구동축(324)의 회전운동을 승강봉(321)의 직선 승강운동으로 변환한 후에, 승강봉(321)이 위치 변화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동축(324)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록킹장치나 브레이크 장치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수단(323)은 구동축(324)을 정, 역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구동축(324)을 수동으로 정, 역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구비하거나, 구동축(324)을 자동으로 정, 역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승강부(32)에는 상기 픽업배출부(20)의 픽업부(22)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23)과 같이 이송컨베이어(31) 프레임 하부에 수직으로 안내봉(325)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봉(325)이 관통하도록 본체부(10)에 안내관(326)을 수직으로 설치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31)의 정밀하고 안정적인 승강을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는 본체부(10) 양 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11)이 프레스장치(2)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0)를 프레스장치(2) 정면에 근접하게 설치한다.
그리하여 프레스장치(2)에 의해 제품의 성형이 이루어진 후, 프레스장치(2)의 상부금형(가동금형)(2a)과, 하부금형(고정금형)(2b)이 이형되면, 프레스장치(2)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모터(121)의 피니언기어(122)와 래크기어(123)의 치합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하는 픽업배출부(20)가, 상기 본체부(10)의 가이드레일(11)을 타고 프레스장치(2) 쪽으로 이동하여 상부금형(2a)과 하부금형(2b) 사이로 투입된다.
상부금형(2a)과 하부금형(2b) 사이로 픽업배출부(20)의 투입이 완료되면, 픽업배출부(20)의 승강수단(23)에 의해 픽업부(22)가 하강하여 픽업부(22)의 픽업수단(222)이 성형 완료 후 하부금형(2b)의 캐비티(2c) 내부에 위치하는 제품(A)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픽업수단(222)이 하부금형(2b)의 캐비티(2c) 내부에 위치하는 제품(A)의 상면에 밀착되면, 진공흡착방식에 의해 픽업수단(222)이 제품을 진공흡착하고, 이어서 상기 승강수단(23)에 의해 픽업부(22)가 상승하면, 첨부도면 도 8과 같이 캐비티(2c) 내부에 위치하던 제품(A)이 캐비티에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픽업수단(222)에 의해 캐비티에서의 제품(A) 배출이 완료되면, 모터(121)의 피니언기어(122)와 래크기어(123)의 치합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하는 픽업배출부(20)가, 상기 본체부(10)의 가이드레일(11)을 타고 프레스장치(2)의 상부금형(2a)과 하부금형(2b) 사이에서 후방으로 후퇴한다.
이때, 픽업배출부(20)의 전방에 설치된 이형제분사수단(24)이 첨부도면 도 9와 같이 제품 배출이 완료된 하부금형(2b)의 캐비티 내부에 이형제를 도포하면서 픽업배출부(20)의 후퇴가 이루어진다.
픽업배출부(20)에 의해 제품 배출이 완료된 후, 픽업배출부(2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면, 승강수단(23)에 의해 픽업부(22)가 하강하여 픽업수단(222)에 의해 픽업된 제품이 이송컨베이어(31) 상부에 적재됨과 동시에 픽업수단(222)의 진공이 해제되면, 픽업수단(222)에 밀착 고정되어 있던 제품들이 이송컨베이어(31) 상부에 적재된다.
이송컨베이어(31) 상부에 제품 적재가 완료되면, 승강수단(23)에 의해 픽업부(22)는 다시 상승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한 후, 상기와 같이 제품의 픽업, 배출, 적재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금형에서 성형된 제품을 상기 이송컨베이어(31)에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31)에 다단으로 적재되는 제품의 적재 높이는 사전에 미리 설정된 높이에 맞게 이루어지며, 설정된 높이에 맞게 제품을 다단으로 적재하기 위해서 이송컨베이어(31) 상부에 적재되는 제품의 높이는 상기 승강수단(23)의 감지수단(234)에 의해 감지되어 설정된 만큼 제품의 다단 적재가 이루어지며, 설정된 높이로 최종 적재가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31)가 일정 거리만큼 구동되어 이송컨베이어(31) 상부에 다단으로 적재된 제품을 소정 거리만큼 이송한 후, 위와 같은 다단 적재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다량의 제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자동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이송컨베이어(31)에 의해 이송된 제품은 후공정으로 공급됨으로써 제품의 생산 공정 자동화가 가능하고, 그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련의 제품 생산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되어 인건비 절감을 통해 제조원가는 낮추고, 경제성은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배출장치 2: 프레스장치
10: 본체부 11: 가이드레일
12: 슬라이딩구동부 121: 모터
122: 피니언기어 123: 래크기어
20: 픽업배출부 21: 가동체
211: 지지프레임 212: 가이드블록
213: 연결판 22: 픽업부
221: 픽업플레이트 222: 픽업수단
23: 승강수단 231: 승강실린더
232: 안내관 233: 안내봉
234: 감지수단 24: 이형제분사수단
241: 브래킷 242: 분사노즐
30: 적재이송부 31: 이송컨베이어
32: 컨베이어승강부 321: 승강봉
322: 운동변환부 323: 회전수단
324: 구동축

Claims (10)

  1. 양 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여 픽업배출부(20)의 전후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1)과, 본체부(10)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배출부(20)를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구동부(12)를 포함하여 프레임 구조로 되어 프레스장치(2) 일측에 설치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의해 상기 프레스장치(2)의 이형된 금형 사이로 자동 투입, 배출되는 가동체(21)와, 상기 가동체(21)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수단(23)에 의해 수직으로 자동 승강하는 픽업플레이트(221)와, 상기 프레스장치(2)의 금형 내에서 성형되는 제품의 상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제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픽업플레이트(221)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업수단(222)을 가지고 금형 내부에서 성형 완료된 제품을 자동으로 픽업하는 픽업부(22)를 포함하는 픽업배출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서 전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이송컨베이어(31)와, 상기 이송컨베이어(31)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31)의 높이를 조절하는 컨베이어승강부(32)를 포함하여 본체부(10)에서 승강 가능케 설치되어 픽업배출부(20)에 의해 배출되는 제품을 적재하여 이송하는 적재이송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승강부(32)는, 상기 본체부(10)에서 수직으로 승강 가능케 설치되어, 상단부를 상기 이송컨베이어(31) 프레임 하부에 고정 설치한 승강봉(321)과;
    상기 승강봉(321)과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되어 일단부는 운동변환부(322)를 통해 상기 승강봉(321)에 동력을 전달하고, 타단부에는 회전수단(323)을 구비한 구동축(3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23)은, 상기 가동체(21)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피스톤로드를 상기 픽업부(22)의 픽업플레이트(221) 상면에 고정한 승강실린더(231)와;
    상기 가동체(2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안내관(232)을 관통하도록 상기 픽업플레이트(221)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안내봉(233)과;
    상기 픽업부(22)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31) 상부에 적재되는 제품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2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
KR1020160119141A 2016-09-19 2016-09-19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 KR101837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41A KR101837295B1 (ko) 2016-09-19 2016-09-19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41A KR101837295B1 (ko) 2016-09-19 2016-09-19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295B1 true KR101837295B1 (ko) 2018-04-19

Family

ID=6208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141A KR101837295B1 (ko) 2016-09-19 2016-09-19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2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192A (ko) 2018-12-21 2020-07-01 미주정밀 주식회사 사출 성형 제품 자동 배출 시스템
KR102198963B1 (ko) * 2020-07-13 2021-01-05 공석환 주물탈거장치
KR102292517B1 (ko) * 2020-04-10 2021-08-24 ㈜아이비에스에프에이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210B1 (ko) * 2012-10-18 2013-05-15 (주)현대기계 복층형 다이 체인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210B1 (ko) * 2012-10-18 2013-05-15 (주)현대기계 복층형 다이 체인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192A (ko) 2018-12-21 2020-07-01 미주정밀 주식회사 사출 성형 제품 자동 배출 시스템
KR102292517B1 (ko) * 2020-04-10 2021-08-24 ㈜아이비에스에프에이 분말성형 프레스용 분말자동공급장치
KR102198963B1 (ko) * 2020-07-13 2021-01-05 공석환 주물탈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295B1 (ko)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
CN108263812B (zh) 一种上料装置
CN212976527U (zh) 一种注塑冲压工件落料装置
CN112607310A (zh) 一种模具推出装置
CN108145154B (zh) 磁体自动成型系统及方法
CN109850454B (zh) 一种模具的物流管理装置
CN109226637B (zh) 一种脚轮自动装配铆合装置
CN107578909B (zh) 一种电感一体成型机
CN110560683A (zh) 齿圈压制机及自动上下料装置
CN109016081B (zh) 冲压装置和粉末冲压生产系统
JP4426373B2 (ja) 環状又は弧状磁石の製造装置
CN111760955B (zh) 一种自动化冲压模具
CN218224402U (zh) 一种用于石油机械配件的冲压成型装置
CN108941335B (zh) 一种冲压模具搬运设备
CN111085586A (zh) 一种包装机械零件的冲压机
CN107838356B (zh) 压力机的脱模机构
CN206718003U (zh) 具有自动换取模具功能的电路板表面冲孔设备
CN212329332U (zh) 自动进出料的折弯机
CN211914268U (zh) 模具成型后的喷涂设备
CN209792561U (zh) 一种多工位的压铸设备
CN210587985U (zh) 调整接头组件自动装配设备
CN209794386U (zh) 注塑五金嵌入成型及自动化整形设备
CN209616268U (zh) 磁环取放机械手
CN111922135A (zh) 自动进出料的折弯机
CN112246980A (zh) 电解金属板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