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963B1 - 주물탈거장치 - Google Patents

주물탈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963B1
KR102198963B1 KR1020200085939A KR20200085939A KR102198963B1 KR 102198963 B1 KR102198963 B1 KR 102198963B1 KR 1020200085939 A KR1020200085939 A KR 1020200085939A KR 20200085939 A KR20200085939 A KR 20200085939A KR 102198963 B1 KR102198963 B1 KR 102198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onal
mounting rod
mounting
pressing body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석환
Original Assignee
공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석환 filed Critical 공석환
Priority to KR1020200085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4Handling or stripping castings or ing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물탈거장치로서,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주물(p)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유닛(105); 및 상기 픽업유닛(105)으로부터 픽업된 주물(p)이 안착되는 안착유닛(110)을 포함하는 주물탈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금형틀로부터 성형이 완료된 주물을 탈거시키고 후속으로 취급하는 과정에 있어 안정적이 주물의 취급을 가능케할 수 있는 주물탈거장치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물탈거장치 {APPARATUS FOR DISASSEMBLING CASTING}
본 발명은 주물탈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틀로부터 성형이 완료된 주물을 탈거시키고 후속으로 취급하는 과정에 있어 안정적이 주물의 취급을 가능케할 수 있는 주물탈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조는 금속(철, 알루미늄 합금, 구리, 황동 등)을 녹여 액체로 만들어 형(틀, 거푸집)에 부어 굳히는 가공 방법이다. 주조에 사용되는 형식을 주형(鑄形)이라고 하며, 주조로 만들어진 제품을 주물(鑄物)이라고 한다.영어로 casting이라고 하면, 주조 및 주물 모두를 가리킨다. 고대 이전부터 있던 가공 방법으로 지금도 대량 생산 제품을 주조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세밀하고 입체적인 형상을 만들기 매우 용이하여 복잡한 형상의 부품 제작 등에 널리 응용된다. 이를 통해 만들어지는 주물은 탈거를 위한 과정에서 안정적인 수거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주물은 기본적으로 무게가 상당하게 나가며 그 크기가 중형이나 중대형으로 갈수록 이러한 무게감은 상당하다. 때문에 탈거에서부터 탈거된 주물의 거치와 이송에 있어서도 보다 내부 혹은 외부충격에 대한 내성이 좋고 소음 감소 등의 기능이 부여된 취급수단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58455호
본 발명은, 금형틀로부터 성형이 완료된 주물을 탈거시키고 후속으로 취급하는 과정에 있어 안정적이 주물의 취급을 가능케할 수 있는 주물탈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물탈거장치로서,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주물(p)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유닛(105); 및 상기 픽업유닛(105)으로부터 픽업된 주물(p)이 안착되는 안착유닛(110)을 포함하는 주물탈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물탈거장치에 의하면 주물 탈거를 위한 과정에서 무게가 상당하게 나가는 중형이나 중대형 주물이 지속 반복적으로 거치되도록 하며 그 과정에서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고 충격과 진동에 의한 울림을 억제하며 장비 자체의 주물 거치로 인한 충격은 물론 외부에서 가해지는 흔들림이나 충격에 대한 내구성도 확보할 수 있으며 소음 울림 등의 부분을 억제하여 주물 작업 공간의 안정적이고 더 쾌적한 환경을 구현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구성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다른 구성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물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구성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다른 구성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주물탈거장치로서,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주물(p)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유닛(105); 및 상기 픽업유닛(105)으로부터 픽업된 주물(p)이 안착되는 안착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물탈거장치는 상기 안착유닛(110) 하부에 구비되는 제1 거치봉(131)과, 상기 안착유닛(110) 하부에 구비되는 제2 거치봉(132)과, 상기 안착유닛(110) 하부에 구비되는 제3 거치봉(133)과, 상기 안착유닛(110) 하부에 구비되는 제4 거치봉(134)과, 상기 제1 거치봉(131) 내지 상기 제4 거치봉(134)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거치봉(131) 내지 상기 제4 거치봉(134)을 매개로 상기 안착유닛(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단패널부(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패널부(120)는 별도의 패널형 받침대로 구비되거나 지면부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물탈거장치는 상기 제1 거치봉(131)과 상기 제2 거치봉(13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안착유닛(110)과 상기 하단패널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거치봉(131)과 상기 제2 거치봉(132) 상호간을 연동시켜 고정하는 제1 연동모듈(135)과, 상기 제2 거치봉(132)과 상기 제3 거치봉(13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안착유닛(110)과 상기 하단패널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거치봉(132)과 상기 제3 거치봉(133) 상호간을 연동시켜 고정하는 제2 연동모듈(136)과, 상기 제3 거치봉(133)과 상기 제4 거치봉(13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안착유닛(110)과 상기 하단패널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3 거치봉(133)과 상기 제4 거치봉(134) 상호간을 연동시켜 고정하는 제3 연동모듈(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동모듈(135)은 일측 상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1 거치봉(131)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1-1 대각가압체(c1)와, 타측 상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2 거치봉(132)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1-2 대각가압체(c2)와, 일측 하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1 거치봉(131)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1-3 대각가압체(c3)와, 타측 하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2 거치봉(132)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1-4 대각가압체(c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연동모듈(136)은 일측 상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2 거치봉(132)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2-1 대각가압체(c6)와, 타측 상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3 거치봉(133)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2-2 대각가압체(c7)와, 일측 하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2 거치봉(132)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2-3 대각가압체(c8)와, 타측 하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3 거치봉(133)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2-4 대각가압체(c9)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연동모듈(137)은 일측 상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3 거치봉(133)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3-1 대각가압체(c10)와, 타측 상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4 거치봉(134)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3-2 대각가압체(c11)와, 일측 하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3 거치봉(133)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3-3 대각가압체(c12)와, 타측 하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4 거치봉(134)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3-4 대각가압체(c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1 대각가압체(c1)는 단부에 제1-1 회동체(s1)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대각가압체(c2)는 단부에 제1-2 회동체(s1)가 구비되며, 상기 제1-3 대각가압체(c3)는 단부에 제1-3 회동체(s3)가 구비되며, 상기 제1-4 대각가압체(c4)는 단부에 제1-4 회동체(s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1 대각가압체(c6)는 단부에 제1-1 회동체(s5)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대각가압체(c7)는 단부에 제1-2 회동체(s6)가 구비되며, 상기 제2-3 대각가압체(c8)는 단부에 제1-3 회동체(s7)가 구비되며, 상기 제2-4 대각가압체(c9)는 단부에 제1-4 회동체(s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1 대각가압체(c10)는 단부에 제3-1 회동체(s9)가 구비되며, 상기 제3-2 대각가압체(c11)는 단부에 제3-2 회동체(s10)가 구비되며, 상기 제3-3 대각가압체(c12)는 단부에 제3-3 회동체(s11)가 구비되며, 상기 제3-4 대각가압체(c13)는 단부에 제3-4 회동체(s1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회동체 내지 상기 제3-4 회동체는 각기 진입된 상기 제1 거치봉(131) 내지 상기 제4 거치봉(134) 상에서 회동을 통해 회전 고정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1 거치봉(131) 내지 상기 제4 거치봉(134)은 상기 안착유닛(110)과 상기 하단패널부(120)사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일정범위 좌우 유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봉(131) 내지 상기 제4 거치봉(134)은 상기 제1 연동모듈(135) 내지 상기 제3 연동모듈(137)과 일정한 범위로 이웃하여 위치된 이후, 상기 제1-1 대각가압체(c1) 내지 상기 제3-4 대각가압체(c13)를 대각방향으로 각각 전진시켜 각기 상기 제1 거치봉(131) 내지 상기 제4 거치봉(134)상에 진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유닛(110)과 상기 하단패널부(120) 사이의 일측 외곽에는 제1 구동모듈(138)이 구비되며 제1 연결바를 통해 제1 플랜지 가압체를 진퇴 구동시키되 상기 제1 거치봉(131)과 상기 제4 거치봉(134)에 각기 상기 제1-1 대각가압체(c1) 내지 상기 제3-4 대각가압체(c13)가 진입된 이후에 상기 제1 거치봉(131)의 외측을 눌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안착유닛(110)과 상기 하단패널부(120) 사이의 타측 외곽에는 제2 구동모듈(148)이 구비되며 제2 연결바를 통해 제2 플랜지 가압체를 진퇴 구동시키되 진퇴 구동시키되 상기 제1 거치봉(131)과 상기 제4 거치봉(134)에 각기 상기 제1-1 대각가압체(c1) 내지 상기 제3-4 대각가압체(c13)가 진입된 이후에 상기 제2 거치봉(132)의 외측을 눌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봉(131) 내지 상기 제4 거치봉(134)은 상기 제1 플랜지 가압체와 상기 제2 플랜지 가압체를 통해 내부측으로 가압되며, 상기 안착유닛(110)의 하부 일측에는 진퇴 구동되어 일측단부로 상기 제1 거치봉(131)의 외측을 눌러 가압하는 제1 진퇴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유닛(110)의 하부 타측에는 진퇴 구동되어 일측단부로 상기 제2 거치봉(132)의 외측을 눌러 가압하는 제2 진퇴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하단패널부(120)의 상부 일측에는 진퇴 구동되어 일측단부로 상기 제1 거치봉(131)의 외측을 눌러 가압하는 제3 진퇴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단패널부(120)의 상부 타측에는 진퇴 구동되어 일측단부로 상기 제2 거치봉(132)의 외측을 눌러 가압하는 제4 진퇴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진퇴모듈은 제1 회전봉이 돌출되어 상기 제1 거치봉(131)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2 진퇴모듈은 제2 회전봉이 돌출되어 상기 제4 거치봉(134)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3 진퇴모듈은 제3 회전봉이 돌출되어 상기 제1 거치봉(13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4 진퇴모듈은 제4 회전봉이 돌출되어 상기 제4 거치봉(134)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1 회전봉 내지 상기 제4 회전봉은 일정힘으로 회전구동되어 상기 제1 거치봉(131) 및 상기 제4 거치봉(134)의 내부를 가압고정할 수 있다. 상기 하단패널부(120)는 상기제1 거치봉(131)과 상기 제1 연동모듈(135) 사이로 제1 중간삽입체(P7)를 돌출시키며, 상기제2 거치봉(132)과 상기 제1 연동모듈(135) 사이로 제2 중간삽입체(P8)를 돌출시키며, 상기제2 거치봉(132)과 상기 제2 연동모듈(136) 사이로 제3 중간삽입체(P9)를 돌출시키며, 상기제3 거치봉(133)과 상기 제2 연동모듈(136) 사이로 제4 중간삽입체(P10)를 돌출시키며, 상기제3 거치봉(133)과 상기 제3 연동모듈(137) 사이로 제5 중간삽입체(P11)를 돌출시키며, 상기제4 거치봉(134)과 상기 제3 연동모듈(137) 사이로 제6 중간삽입체(P12)를 돌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중간삽입체(P7) 내지 상기 제6 중간삽입체(P12)는 외측면 적어도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서 구비되어 상기 제1 구동모듈(138)과 상기 제2 구동모듈(148)의 가압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거치봉(131)과 상기 제4 거치봉(134)이 상기 제1 연동모듈(135) 내지 상기 제3 연동모듈(137)과 근접되는 정도를 일정하게 제한하며 완충역할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각 구동은 실린더모듈, 엑츄에이터,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기반으로 적용되는 것으로서 신규하거나 고도의 기술력을 필요로하는 구동원리가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p : 주물
105 : 픽업유닛
120 : 하단패널부
131 : 제1 거치봉
132 : 제2 거치봉
133 : 제3 거치봉
134 : 제4 거치봉

Claims (2)

  1. 주물탈거장치로서,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주물(p)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유닛(105); 및 상기 픽업유닛(105)으로부터 픽업된 주물(p)이 안착되는 안착유닛(110)을 포함하되,
    상기 안착유닛(110) 하부에 구비되는 제1 거치봉(131)과,
    상기 안착유닛(110) 하부에 구비되는 제2 거치봉(132)과,
    상기 안착유닛(110) 하부에 구비되는 제3 거치봉(133)과,
    상기 안착유닛(110) 하부에 구비되는 제4 거치봉(134)과,
    상기 제1 거치봉(131) 내지 상기 제4 거치봉(134)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거치봉(131) 내지 상기 제4 거치봉(134)을 매개로 상기 안착유닛(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단패널부(120)와,
    상기 제1 거치봉(131)과 상기 제2 거치봉(13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안착유닛(110)과 상기 하단패널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거치봉(131)과 상기 제2 거치봉(132) 상호간을 연동시켜 고정하는 제1 연동모듈(135)과,
    상기 제2 거치봉(132)과 상기 제3 거치봉(13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안착유닛(110)과 상기 하단패널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거치봉(132)과 상기 제3 거치봉(133) 상호간을 연동시켜 고정하는 제2 연동모듈(136)과,
    상기 제3 거치봉(133)과 상기 제4 거치봉(13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안착유닛(110)과 상기 하단패널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3 거치봉(133)과 상기 제4 거치봉(134) 상호간을 연동시켜 고정하는 제3 연동모듈(13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동모듈(135)은
    일측 상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1 거치봉(131)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1-1 대각가압체(c1)와,
    타측 상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2 거치봉(132)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1-2 대각가압체(c2)와,
    일측 하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1 거치봉(131)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1-3 대각가압체(c3)와,
    타측 하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2 거치봉(132)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1-4 대각가압체(c4)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연동모듈(136)은
    일측 상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2 거치봉(132)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2-1 대각가압체(c6)와,
    타측 상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3 거치봉(133)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2-2 대각가압체(c7)와,
    일측 하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2 거치봉(132)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2-3 대각가압체(c8)와,
    타측 하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3 거치봉(133)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2-4 대각가압체(c9)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연동모듈(137)은
    일측 상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3 거치봉(133)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3-1 대각가압체(c10)와,
    타측 상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4 거치봉(134)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3-2 대각가압체(c11)와,
    일측 하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3 거치봉(133)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3-3 대각가압체(c12)와,
    타측 하방 대각을 향하여 왕복 유동되며 상기 제4 거치봉(134) 내부를 대각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는 제3-4 대각가압체(c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대각가압체(c1)는 단부에 제1-1 회동체(s1)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대각가압체(c2)는 단부에 제1-2 회동체(s1)가 구비되며, 상기 제1-3 대각가압체(c3)는 단부에 제1-3 회동체(s3)가 구비되며, 상기 제1-4 대각가압체(c4)는 단부에 제1-4 회동체(s4)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대각가압체(c6)는 단부에 제1-1 회동체(s5)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대각가압체(c7)는 단부에 제1-2 회동체(s6)가 구비되며, 상기 제2-3 대각가압체(c8)는 단부에 제1-3 회동체(s7)가 구비되며, 상기 제2-4 대각가압체(c9)는 단부에 제1-4 회동체(s8)가 구비되며,
    상기 제3-1 대각가압체(c10)는 단부에 제3-1 회동체(s9)가 구비되며, 상기 제3-2 대각가압체(c11)는 단부에 제3-2 회동체(s10)가 구비되며, 상기 제3-3 대각가압체(c12)는 단부에 제3-3 회동체(s11)가 구비되며, 상기 제3-4 대각가압체(c13)는 단부에 제3-4 회동체(s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회동체 내지 상기 제3-4 회동체는 각기 진입된 상기 제1 거치봉(131) 내지 상기 제4 거치봉(134) 상에서 회동을 통해 회전 고정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1 거치봉(131) 내지 상기 제4 거치봉(134)은 상기 안착유닛(110)과 상기 하단패널부(120)사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일정범위 좌우 유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거치봉(131) 내지 상기 제4 거치봉(134)은 상기 제1 연동모듈(135) 내지 상기 제3 연동모듈(137)과 일정한 범위로 이웃하여 위치된 이후, 상기 제1-1 대각가압체(c1) 내지 상기 제3-4 대각가압체(c13)를 대각방향으로 각각 전진시켜 각기 상기 제1 거치봉(131) 내지 상기 제4 거치봉(134)상에 진입되도록 하며,
    상기 안착유닛(110)과 상기 하단패널부(120) 사이의 일측 외곽에는 제1 구동모듈(138)이 구비되며 제1 연결바를 통해 제1 플랜지 가압체를 진퇴 구동시키되 상기 제1 거치봉(131)과 상기 제4 거치봉(134)에 각기 상기 제1-1 대각가압체(c1) 내지 상기 제3-4 대각가압체(c13)가 진입된 이후에 상기 제1 거치봉(131)의 외측을 눌러 고정하며,
    상기 안착유닛(110)과 상기 하단패널부(120) 사이의 타측 외곽에는 제2 구동모듈(148)이 구비되며 제2 연결바를 통해 제2 플랜지 가압체를 진퇴 구동시키되 진퇴 구동시키되 상기 제1 거치봉(131)과 상기 제4 거치봉(134)에 각기 상기 제1-1 대각가압체(c1) 내지 상기 제3-4 대각가압체(c13)가 진입된 이후에 상기 제2 거치봉(132)의 외측을 눌러 고정하며,
    상기 제1 거치봉(131) 내지 상기 제4 거치봉(134)은 상기 제1 플랜지 가압체와 상기 제2 플랜지 가압체를 통해 내부측으로 가압되는 주물탈거장치.
  2. 삭제
KR1020200085939A 2020-07-13 2020-07-13 주물탈거장치 KR10219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939A KR102198963B1 (ko) 2020-07-13 2020-07-13 주물탈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939A KR102198963B1 (ko) 2020-07-13 2020-07-13 주물탈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963B1 true KR102198963B1 (ko) 2021-01-05

Family

ID=7414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939A KR102198963B1 (ko) 2020-07-13 2020-07-13 주물탈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96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882A (ko) * 2001-02-02 2003-09-06 콘솔리데이티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인크. 일체식 금속 처리 설비
KR20160138770A (ko) * 2015-05-26 2016-12-06 고재영 인서트 공급 및 이송 시스템
KR20160141440A (ko) * 2015-06-01 2016-12-09 문현주 다이캐스팅 성형품 취출장치
KR200483899Y1 (ko) * 2016-07-15 2017-07-06 주식회사 동서기공 주조품의 취출 및 레이저 마킹 장치
KR101758455B1 (ko) 2015-06-24 2017-07-17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기의 커버링장치
KR101837295B1 (ko) * 2016-09-19 2018-04-19 김성직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
KR102117709B1 (ko) * 2019-11-01 2020-06-01 주식회사 디에스씨알 점착라벨 재료 권출 장치의 라인 셋팅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882A (ko) * 2001-02-02 2003-09-06 콘솔리데이티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인크. 일체식 금속 처리 설비
KR20160138770A (ko) * 2015-05-26 2016-12-06 고재영 인서트 공급 및 이송 시스템
KR20160141440A (ko) * 2015-06-01 2016-12-09 문현주 다이캐스팅 성형품 취출장치
KR101758455B1 (ko) 2015-06-24 2017-07-17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기의 커버링장치
KR200483899Y1 (ko) * 2016-07-15 2017-07-06 주식회사 동서기공 주조품의 취출 및 레이저 마킹 장치
KR101837295B1 (ko) * 2016-09-19 2018-04-19 김성직 금형용 제품 배출장치
KR102117709B1 (ko) * 2019-11-01 2020-06-01 주식회사 디에스씨알 점착라벨 재료 권출 장치의 라인 셋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4001B2 (en) Three-plate die casting tool having a gating system, and gating system
KR102198963B1 (ko) 주물탈거장치
CN111590058A (zh) 一种阀门铸造生产设备
WO2005089273A2 (en) Squeeze and semi-solid metal (ssm) casting of aluminum-copper (206) alloy
CN106041018A (zh) 一种连杆式压铸取件机以及压铸机装置
JP5742738B2 (ja) 多段プレス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3649376U (zh) 金属型铸造机
CN212598384U (zh) 一种汽车五金件加工压合装置
CN213288595U (zh) 一种自动脱模的造型砂箱
CN211331274U (zh) 一种合金铸件自动脱模装置
CN101890493B (zh) 活塞震动落砂装置
CN209681137U (zh) 一种成型去飞边一体机
CN102233387A (zh) 连接机
CN219581645U (zh) 一种落砂机
CN215237764U (zh) 一种快速振动落砂机
JPH05329693A (ja) プレス機械
JP3808724B2 (ja) 液圧成形装置
CN220864507U (zh) 可移动脱模工装
CN210253226U (zh) 一种震壳机用金属铸件模具表面碎料清扫装置
US20050067131A1 (en) Semi-solid metal casting process
CN217070430U (zh) 汽车零件冲压模具
CN216461585U (zh) 一种消失模定位工装
CN214684231U (zh) 汽车配件铸造铸件、型砂自动分离装置
JPH039883Y2 (ko)
CN216461673U (zh) 一种精密压铸件的压铸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