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275B1 -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 Google Patents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275B1
KR102292275B1 KR1020180155234A KR20180155234A KR102292275B1 KR 102292275 B1 KR102292275 B1 KR 102292275B1 KR 1020180155234 A KR1020180155234 A KR 1020180155234A KR 20180155234 A KR20180155234 A KR 20180155234A KR 102292275 B1 KR102292275 B1 KR 102292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liding
exposed
module
convert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353A (ko
Inventor
하문용
장호일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80155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2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는, 지면에 매입되고 슬라이딩 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슬라이딩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구동부;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에 의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로드;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상측에 연결되고 측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노출형 등화 모듈; 및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매립형 등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CONVERTIBLE AIRFIELD LIGHTING}
아래의 설명은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공 등화는 활주로와 유도로, 대기지역 또는 계류장 등의 가장자리를 항공기가 충분히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시설로서 교차구역을 제외한 구간에 노출형 등화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항공기 이동지역내 노출시설은 항공기와 접촉시 항공기에 손상을 주지 않아야 하므로 노출형 등화 역시 쉽게 부러지는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설작업이나 제초작업 시에도 쉽게 파손되곤 한다. 항공 등화 유지보수자는 이러한 파손 등화를 즉각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업무효율 및 항공기 안전운항 측면에서 큰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예비품 확보 등에 따른 비용 측면에서도 손실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노출형 등화의 파손을 피하고자 제설차량 또는 제설장비가 등화 주변의 제설 또는 제초 작업을 회피함에 따라 등기구 위에 쌓인 눈덩이 또는 풀더미가 등화를 가리게 되어 항행 안전 시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는, 지면에 매입되고 슬라이딩 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슬라이딩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구동부;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에 의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로드;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상측에 연결되고 측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노출형 등화 모듈; 및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매립형 등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의 구동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 및 매립형 등화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을 지면 밖으로 노출되는 상승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의 광원을 구동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매립형 등화 모듈을 지면 상에 중첩된 하강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매립형 등화 모듈의 광원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로드에 대해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매립형 등화 모듈 또는 노출형 등화 모듈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매립형 등화 모듈은, 광이 형성되어 방출되는 광 통과 경로를 구비하는 매립형 하우징; 및 상기 광 통과 경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매립형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립형 등화 모듈은, 상기 광 통과 경로에 설치되고, 색상 또는 형상이 상이한 복수개의 필터 렌즈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를 이동시키는 필터 전환 구동부를 구비하는 필터 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 전환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 중 어느 하나의 필터 렌즈를 상기 매립형 광원의 경로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 전환부는,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가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터 전환 구동부는 상기 원형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 중 어느 하나의 필터 렌즈를 상기 매립형 광원의 경로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은, 상기 슬라이딩 로드로부터 상기 매립형 하우징의 상측의 가장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통 형상을 갖고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노출형 하우징; 및 상기 노출형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측 방향을 향해 광을 출력하는 노출형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은, 상기 노출형 광원의 주위를 감싸도록 수용하는 돔형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는, 지면에 매입되고 슬라이딩 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슬라이딩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구동부;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에 의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로드;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상측에 연결되고, 지면과 평행하되 서로 다른 2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노출형 등화 모듈; 및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의 상측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2 방향으로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광을 조사하는 매립형 등화 모듈을 포함할 수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의 구동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 및 매립형 등화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립형 등화 모듈은, 광이 형성되어 방출되는 2 개의 광 통과 경로를 구비하는 매립형 하우징; 상기 2 개의 광 통과 경로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매립형 광원; 및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 중 어느 하나의 필터 렌즈를 상기 매립형 광원의 경로상에 위치시키는 필터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전환부는, 상기 매립형 하우징의 내부에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2 개의 광 통과 경로와 중첩되고,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가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형 플레이트; 및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 중 어느 2 개의 필터 렌즈가 상기 2 개의 매립형 광원의 경로상에 각각 위치시키는 필터 전환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는, 지면에 매입되고 슬라이딩 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슬라이딩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구동부;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에 의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로드; 및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광의 조사 방향이 조절되는 컨버터블 등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의 구동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블 등화 모듈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컨버터블 등화 모듈을 지면 밖으로 노출되는 상승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컨버터블 등화 모듈의 광 조사 방향을 측 방향으로 조절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컨버터블 등화 모듈을 지면 상에 중첩된 하강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컨버터블 등화 모듈의 광 조사 방향을 상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컨버터블 등화 모듈은, 내부 공간을 갖는 광원 하우징; 상기 광원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통합 광원; 및 상기 통합 광원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 방향으로 확개되어 개방되어 있는 광 조사 개구를 구비하는 광 방향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슬라이딩 구동 변위에 따라 상기 광 방향 조절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광 방향 조절부는,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 중 어느 하나의 필터 렌즈를 상기 통합 광원의 경로상에 위치시키는 필터 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 하우징은,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통합 광원 및 광 방향 조절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측 하우징; 및 상기 하측 하우징의 상측에 연결되고, 하측으로부터 상측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통하는 광 통과 경로를 구비하는 상측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하우징은, 상기 광 통과 경로의 내벽에 형성되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선을 상측 비스듬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곡면 리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에 의하면, 제설작업 또는 제초작업으로 인한 항공 등화 파손피해를 예방한다.
일 실시 예의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에 의하면, 눈덩이 또는 풀더미로 인하여 등화식별 장애 발생시 대응이 가능하여 항행안전 운용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가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전환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가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가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전환부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1)는 활주로, 유도로, 대기지역 또는 계류장 등의 항공 시설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노출형 항공 등화 또는 매립형 항공 등화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1)는 베이스(11), 슬라이딩 구동부(12), 슬라이딩 로드(13), 노출형 등화 모듈(15), 매립형 등화 모듈(16), 회전 구동부(14), 필터 전환부(18), 롤러(19) 및 제어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는, 지면에 매입되고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슬라이딩 공간(111)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공간(111)의 상측 개구는 지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거나 그보다 높을 수 있다.
슬라이딩 구동부(12)는, 베이스(11)의 슬라이딩 공간(1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로드(13)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구동부(12)는 모터, 유압 또는 공압 등의 구동원을 통해 슬라이딩 로드(1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리니어 가이드, 볼 스크류, 피스톤 또는 실린더 등의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로드(13)는, 슬라이딩 구동부(12)에 의해 지면과 수직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노출형 등화 모듈(15)은, 상기 슬라이딩 로드(13)의 상측에 연결되어 측부를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형 등화 모듈(15)은 노출형 하우징(151), 광원 지지부(155), 노출형 광원(152), 내부 렌즈(153) 및 돔형 렌즈(154)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형 하우징(151)은, 슬라이딩 로드(13)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내부 공간(1511)을 구비하는 통 형상의 케이스일 수 있다. 노출형 하우징(151)은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형 하우징(151)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광원 지지부(155)는, 노출형 하우징(151)의 내부 공간(1511)의 하측에 설치되어 후술할 노출형 광원, 내부 렌즈(153) 및 돔형 렌즈(154)를 지지할 수 있다.
노출형 광원(152)은, 내부 공간(1511)에 설치되어 측 방향을 향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형 광원(152)은 광원 지지부(155)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형 광원(152)은 서로 다른 2 개의 측 방향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형 광원(152)의 측 방향을 따라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내부 렌즈(153)는, 노출형 광원(15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광의 방향 또는 광속(光束)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렌즈(153)는 노출형 광원(15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색상을 변환시키는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형 광원(152)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양 방향의 구성으로 형성될 경우, 도 3과 같이 내부 렌즈(153)는 2개로 구성되어 노출형 광원(152)을 기준으로 서로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돔형 렌즈(154)는, 노출형 광원(152)의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노출형 광원(15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확산하는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돔형 렌즈(154)는 광원 지지부(15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매립형 등화 모듈(16)은, 노출형 등화 모듈(15)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립형 등화 모듈(16)은 매립형 하우징(161), 매립형 광원(162), 곡면 리플렉터(164) 및 커버 렌즈(163)를 포함할 수 있다.
매립형 하우징(161)은, 노출형 등화 모듈(15)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면으로부터 비스듬한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광 통과 경로(1611)를 구비할 수 있다.
광 통과 경로(1611)는 매립형 광원(162)을 수용하여 상기 매립형 광원(16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형 등화 모듈(15)이 서로 다른 2 개 이상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구성을 가질 경우, 광 통과 경로(1611) 및 매립형 광원(162) 역시 2 개 이상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매립형 광원(162)은, 광 통과 경로(1611)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곡면 리플렉터(164)는, 광 통과 경로(1611)의 내벽에 설치되어 매립형 광원(16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의 일부를 굴절 또는 반사시켜 광의 광량 또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리플렉터(164)는 매립형 광원(16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 중, 광 통과 경로(1611)의 개구 밖으로 향하지 않은 상태로 확산 또는 산란되는 광선을 입사받아 이를 광 통과 경로(1611)의 개구 밖으로 반사 또는 굴절시킬 수 있다.
곡면 리플렉터(164)에 의하면, 광 통과 경로(1611)를 통과하는 매립형 광원(162)의 광이 항공 등화 광각 규정에 만족하는 광각과 광도를 갖도록 유도할 수있다.
커버 렌즈(163)는, 광 통과 경로(1611)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설치되는 투과성 렌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렌즈(163)는 매립형 광원(16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색상을 변환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렌즈(163)는 매립형 광원(16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굴절시키거나 광속을 조절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14)는, 슬라이딩 로드(13)에 대해 노출형 등화 모듈(15) 및 매립형 등화 모듈(16)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구동부(14)는, 슬라이딩 로드(13) 및 노출형 등화 모듈(15)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구동부(14)는 슬라이딩 로드(13)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노출형 등화 모듈(15) 및 매립형 등화 모듈(16)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 구동부(14)에 의하면, 노출형 등화 모듈(15) 또는 매립형 등화 모듈(16)의 광 조사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필터 전환부(18)는, 매립형 하우징(161)에 설치되어 색상 또는 형상이 상이한 복수개의 필터 렌즈 중 어느 하나의 필터 렌즈를 매립형 광원(162)의 광 경로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전환부(18)는 노출형 등화 모듈(15)의 내부 공간(1511) 중 노출형 광원(152)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필터 전환부(18)에 의하면, 매립형 등화 모듈(16)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색상, 광속 또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전환부(18)는 원형 플레이트(181)와, 상기 원형 플레이트(181)에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필터 렌즈(182)와, 상기 원형 플레이트(181)의 중심에 설치되어 원형 플레이트(181)를 회전시키는 필터 전환 구동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노출형 하우징(151)의 단면을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통과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2 개의 광 통과 경로(1611)가 좌우 대칭인 형상 및 위치를 가질 경우, 원형 플레이트(181)의 적어도 일부분은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상기 2 개의 광 통과 경로(1611)와 중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하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원형 플레이트(181)의 중심선 노출형 하우징(151)의 중심선과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전환부(18)는 매립형 하우징(161)에 대해 원형 플레이트(181)를 회전시킴으로써, 복수개의 필터 렌즈(182) 중 어느 2 개의 필터 렌즈(182)를 각각 2 개의 광 통과 경로(1611)에 중첩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원격으로 2 개 이상의 광원을 구비하는 노출형 등화 모듈(15)의 광의 색상 또는 광속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항공 등화의 용도에 따라 광의 색상 또는 광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롤러(19)는, 내부 공간(1511) 및 슬라이딩 로드(13)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로드(13)가 상하 방향으로 수행하는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슬라이딩 구동부(12)를 구동하여 슬라이딩 로드(13)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제어부(17)는 회전 구동부(14)를 구동하여 노출형 등화 모듈(15) 및 매립형 등화 모듈(16)을 슬라이딩 로드(13)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17)는 노출형 광원(152) 또는 매립형 광원(162)을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는 슬라이딩 구동부(12)의 구동 변위에 따라 노출형 광원(152) 및 매립형 광원(162) 중 하나의 광원을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도 4와 같이 슬라이딩 구동부(12)를 구동하여 노출형 등화 모듈(15)을 슬라이딩 공간(111) 밖, 즉 지면 밖으로 노출되는 위치인 "상승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노출형 등화 모듈(15)의 매립형 광원(162)을 작동하여 측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승 위치에서 슬라이딩 공간(111)의 개구는 노출형 등화 모듈(15) 또는 회전 구동부(14)에 의해 차폐되어 슬라이딩 공간(111)의 내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7)는 도 3과 같이 슬라이딩 구동부(12)를 구동하여 매립형 등화 모듈(16)을 슬라이딩 공간(111)의 개구 상에 중첩된 위치, 다시 말하면 매립형 등화 모듈(16)이 지면 상에 중첩되어 있는 위치인 "하강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매립형 등화 모듈(16)의 매립형 광원(162)을 작동하여 상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을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필터 전환부(18)를 구동하여 복수개의 필터 렌즈(18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필터 렌즈(182)를 매립형 광원(162)의 광 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는 필터 전환 구동부(183)를 통해 원형 플레이트(181)를 회전시킴으로써 매립형 광원(162)의 광 경로 상에 위치시킬 필터 렌즈(182)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가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2)는 베이스(21), 슬라이딩 구동부(22), 슬라이딩 로드(23), 회전 구동부(24), 컨버터블 등화 모듈(25) 및 제어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2)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1)의 노출형 등화 모듈(15) 및 매립형 등화 모듈(16)이 컨버터블 등화 모듈(25)로 대체된 것으로 이해되어도 무방하기 때문에, 명칭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컨버터블 등화 모듈(25)은 내부에 구비한 광원을 통해 외부로 광을 조사하되, 슬라이딩 구동부(22)의 구동 변위에 기초하여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버터블 등화 모듈(25)은 광원 하우징(251), 통합 광원(256), 광 방향 조절부(253), 곡면 리플렉터(254) 및 커버 렌즈(255)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하우징(251)은, 슬라이딩 로드(23)의 상측에 연결되고 내부 공간(2511)을 갖는 통 형상의 케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하우징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하우징(251)은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하우징(251)은 통과하는 광의 색상을 변환시킬 수 있는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하우징(251)은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통합 광원(256) 및 광 방향 조절부(253)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측 하우징(251a)과, 상기 하측 하우징(251a)의 상측에 연결되어 하측으로부터 상측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통되어 형성되는 광 통과 경로(2521)를 포함하는 상측 하우징(251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 하우징(251a)은 하측으로 슬라이딩 로드(23)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하우징(251b) 및 하측 하우징(251a)의 외면은 서로 외경이 동일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 하우징(251a)은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2)가 노출형 등화로 기능할 경우 발광하는 부분이고, 상측 하우징(251b)은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2)가 매립형 등화로 기능할 경우 발광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통과 경로(2521)는 하측 하우징(251a)의 내부 공간(2511)과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통과 경로(2521)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면서 2 개의 경로로 좌우 대칭되어 분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광 통과 경로(2521)는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입력받아 서로 다른 2 방향으로 광을 상측 비스듬한 방향으로 조사하는 양방향 매립형 등화로서 작동할 수 있다.
통합 광원(256)은, 내부 공간(2511)에 설치되어 작동 시 외부를 향해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광원(256)은 내부 공간(2511)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전 방향으로 발산하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광 방향 조절부(253)는, 내부 공간(2511)에 설치되어 통합 광원(256)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방향 조절부(253)는 회전 수용부(2531), 반사 리플렉터(2532), 곡면 렌즈(2534) 및 필터 전환부(253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수용부(2531)는 통합 광원(256)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설치되고, 동시에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수용부(2531)는 도 7과 같이 통합 광원(256)의 주위를 감싸는 형상을 갖되, 통합 광원(256)의 위치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확개되는 원추 형상의 광 조사 개구(25311)를 구비할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통합 광원(256)에서 출력되는 광의 부분 중 광 조사 개구(25311)를 통과하는 광의 부분만이 외부를 향해 방출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회전 수용부(2531)에 의해 차폐되어 방출되지 않을 수 있다.
회전 수용부(2531)의 회전축은 통합 광원(256)을 가르지르도록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수용부(2531)의 회전축은 지면과 평행할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회전 수용부(2531)는 지면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광 조사 개구(25311)의 노출 방향이 상하좌우 전방위에 걸쳐 회전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광의 조사 방향이 측 방향 및 상측 방향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수용부(2531)의 부분 중 통합 광원(256)을 수용하는 부분은 함몰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광 조사 개구(25311)와 연통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 광 방향 조절부(253)는 통합 광원(256)과 일체로 형성되어 통합 광원(256)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형태일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반사 리플렉터(2532)는, 통합 광원(256)을 수용하는 부분 중 광 조사 개구(25311)와 연통되지 않은 반대측 부분에 형성되어 광 조사 개구(25311)를 향하지 않고 그 이외의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광 조사 개구(25311)를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곡면 렌즈(2534)는, 광 조사 개구(25311)의 입구 부분에 설치되어 통합 광원(256)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굴절시킴으로써 광속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렌즈(2534)는 통합 광원(256)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넓게 확산되는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필터 전환부(2533), 광 조사 개구(25311)에 설치되어 통합 광원(256)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색상, 광속 또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전환부(2533)는 전술한 실시 예의 필터 전환부(18)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 리플렉터(254)는, 광 통과 경로(2521)의 내벽에 설치되어 통합 광원(256)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의 일부를 굴절 또는 반사시켜 광의 광량 또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리플렉터(254)는 통합 광원(256)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 중, 광 통과 경로(2521)의 개구 밖으로 향하지 않은 상태로 확산 또는 산란되는 광선을 입사받아 이를 광 통과 경로(2521)의 개구 밖으로 반사 또는 굴절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리플렉터(254)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광 통과 경로(2521)가 2개로 분지되어 생성되는 내벽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위의 구조에 의하면, 통합 광원(256)의 광을 하측으로부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조사함으로써 통합 광원(256)의 광은 2 개로 분지된 광 통과 경로(2521) 각각으로 유도되어 양방향 매립형 항공 등화의 광각 규정을 만족하는 광각과 광도를 달성할 수 있다.
커버 렌즈(255)는, 광 통과 경로(2521)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설치되는 투과성 렌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렌즈(255)는 통합 광원(256)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색상을 변환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는 슬라이딩 구동부(22)를 구동하여 슬라이딩 로드(23)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제어부(27)는 회전 구동부(24)를 구동하여 컨버터블 등화 모듈(25)을 슬라이딩 로드(23)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27)는 통합 광원(256)을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는 슬라이딩 구동부(22)의 구동 변위에 따라 광 방향 조절부(253)를 구동하여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는 도 8과 같이 슬라이딩 구동부(22)를 구동하여 컨버터블 등화 모듈(25)이 슬라이딩 공간(211) 밖, 즉 지면 밖으로 노출되는 위치인 "상승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회전 수용부(2531)를 회전하여 광 조사 개구(25311)가 하측 하우징(251a)의 측부를 마주보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통합 광원(256)의 광을 측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승 위치에서 슬라이딩 공간(211)의 개구는 컨버터블 등화 모듈(25) 또는 회전 구동부(24)에 의해 차폐되어 슬라이딩 공간(211)의 내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는 도 7과 같이 슬라이딩 구동부(22)를 구동하여 컨버터블 등화 모듈(25)이 슬라이딩 공간(211)의 개구 상에 중첩된 위치, 다시 말하면 컨버터블 등화 모듈(25)이 지면 상에 중첩되어 있는 위치인 "하강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회전 수용부(2531)를 회전하여 광 조사 개구(25311)가 상측 하우징(251b)의 광 통과 경로(2521)의 하측을 마주보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통합 광원(256)의 광을 상측 비스듬한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광원(256)의 광이 측부를 향해 조사되는 노출형 등화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27)는 회전 수용부(253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측 방향으로 조사되는 통합 광원(256)의 광의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1, 2)에 의하면, 사용자에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노출형 등화 또는 매립형 등화로 선택적으로 변환되어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제설작업 또는 제초작업으로 인한 항공 등화의 파손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더불어, 눈덩이 또는 풀더미로 인하여 등화 식별 장애 발생할 경우, 슬라이딩 구동부(22)를 구동하여 상기 장애물을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1, 2)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어서 항행 안전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20)

  1. 발광함으로써, 항공기가 식별할 수 있도록, 활주로의 가장자리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매입되고 슬라이딩 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슬라이딩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구동부;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에 의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로드;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상측에 연결되어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노출형 하우징과, 상기 노출형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측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노출형 광원을 포함하는 노출형 등화 모듈;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광 통과 경로와, 상기 광 통과 경로의 내벽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광을 상기 광 통과 경로의 개구 밖으로 유도하는 곡면 리플렉터를 구비하는 매립형 하우징과, 상기 광 통과 경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매립형 광원을 포함하는 매립형 등화 모듈; 및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을 지면 밖으로 노출되는 상승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의 상기 노출형 광원을 구동하고,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매립형 등화 모듈을 지면 상에 중첩된 하강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매립형 등화 모듈의 상기 매립형 광원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로드에 대해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매립형 등화 모듈 또는 노출형 등화 모듈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등화 모듈은,
    상기 광 통과 경로에 설치되고, 색상 또는 형상이 상이한 복수개의 필터 렌즈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를 이동시키는 필터 전환 구동부를 구비하는 필터 전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 전환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 중 어느 하나의 필터 렌즈를 상기 매립형 광원의 경로상에 위치시키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전환부는,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가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전환 구동부는 상기 원형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 중 어느 하나의 필터 렌즈를 상기 매립형 광원의 경로상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은,
    상기 노출형 광원의 주위를 감싸도록 수용하는 돔형 렌즈를 더 포함하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10. 발광함으로써, 항공기가 식별할 수 있도록, 활주로의 가장자리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매입되고 슬라이딩 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슬라이딩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구동부;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에 의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로드;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상측에 연결되어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노출형 하우징과, 상기 노출형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지면과 평행하되 서로 다른 2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노출형 광원을 포함하는 노출형 등화 모듈;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의 상측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2 방향으로 상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2 개의 광 통과 경로와, 상기 2 개의 광 통과 경로 각각의 내벽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광을 상기 광 통과 경로의 개구 밖으로 유도하는 곡면 리플렉터를 구비하는 매립형 하우징과, 상기 2 개의 광 통과 경로 각각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광을 출력하는 매립형 광원을 포함하는 매립형 등화 모듈; 및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을 지면 밖으로 노출되는 상승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노출형 등화 모듈의 상기 노출형 광원을 구동하고,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매립형 등화 모듈을 지면 상에 중첩된 하강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매립형 등화 모듈의 상기 매립형 광원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등화 모듈은,
    복수개의 필터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 중 어느 하나의 필터 렌즈를 상기 매립형 광원의 경로상에 위치시키는 필터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전환부는,
    상기 매립형 하우징의 내부에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2 개의 광 통과 경로와 중첩되고,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가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형 플레이트; 및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 중 어느 2 개의 필터 렌즈가 상기 2 개의 매립형 광원의 경로상에 각각 위치시키는 필터 전환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14. 발광함으로써, 항공기가 식별할 수 있도록, 활주로의 가장자리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매입되고 슬라이딩 공간을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슬라이딩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구동부;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에 의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로드;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광의 조사 방향이 조절되는 컨버터블 등화 모듈; 및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컨버터블 등화 모듈을 지면 밖으로 노출되는 상승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컨버터블 등화 모듈의 광 조사 방향을 측 방향으로 조절하고,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컨버터블 등화 모듈을 지면 상에 중첩된 하강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컨버터블 등화 모듈의 광 조사 방향을 상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버터블 등화 모듈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통합 광원과,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통합 광원이 설치되는 하측 하우징 및 상기 하측 하우징의 상측에 연결되고 하측으로부터 상측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통하는 광 통과 경로를 구비하는 상측 하우징을 포함하는 광원 하우징; 및
    상기 통합 광원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 방향으로 확개되어 개방되어 있는 광 조사 개구와, 상기 광 조사 개구에 연통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는 반사 리플렉터를 구비하는 광 방향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슬라이딩 구동 변위에 따라 상기 광 방향 조절부를 회전시키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방향 조절부는,
    복수개의 필터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필터 렌즈 중 어느 하나의 필터 렌즈를 상기 통합 광원의 경로상에 위치시키는 필터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19. 삭제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하우징은,
    상기 광 통과 경로의 내벽에 형성되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선을 상측 비스듬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곡면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KR1020180155234A 2018-12-05 2018-12-05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KR102292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234A KR102292275B1 (ko) 2018-12-05 2018-12-05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234A KR102292275B1 (ko) 2018-12-05 2018-12-05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140A Division KR20210010613A (ko) 2021-01-20 2021-01-20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353A KR20200068353A (ko) 2020-06-15
KR102292275B1 true KR102292275B1 (ko) 2021-08-24

Family

ID=7108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234A KR102292275B1 (ko) 2018-12-05 2018-12-05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2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3269A (ja) * 2010-04-23 2011-11-1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装置
JP2015179594A (ja) * 2014-03-19 2015-10-08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標識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4139A (en) * 1990-02-20 1991-01-08 Goggia Steven J Pop-up landscape light
JPH056536U (ja) * 1991-07-11 1993-01-29 ヤマハ株式会社 化粧台等の遮光板付き照明装置
KR100995129B1 (ko) * 2008-05-06 2010-11-18 유양산전 주식회사 유도로 중심선등
KR101290344B1 (ko) * 2010-10-26 2013-07-26 신영철 높이가 조절되는 볼라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3269A (ja) * 2010-04-23 2011-11-1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装置
JP2015179594A (ja) * 2014-03-19 2015-10-08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標識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353A (ko)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0737C2 (ru) Осветительный прибор для освещения летного поля
KR102075856B1 (ko) 캐리어 오브젝트에 대한 구성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43218B1 (ko)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과 이를 이용한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장치
US5479322A (en)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fiber optic and area illumination
KR101452465B1 (ko) 조사각 조절이 가능한 램프조립체
JP2008540884A (ja) 昼光遮蔽装置
JP2012502423A (ja) ランプアセンブリ
KR101428583B1 (ko) 횡단보도 조명등 및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2292275B1 (ko)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KR101564998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용 반사갓
KR20150091882A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방향 및 위치 유도장치
KR20210010613A (ko) 컨버터블 항공 등화 장치
KR102125821B1 (ko) 차량용 조명장치
KR20090083127A (ko) 횡단보도용 교통신호등
KR101662169B1 (ko) 레이저광원과 반사경을 이용한 주차안내 장치
KR101752741B1 (ko) 빛 간섭을 차단하여 빛 조사가 한 포인트씩 사방으로 이루어지는 등명기
KR102297986B1 (ko) Led부가 구비된 차선분리대
KR10217305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 유도선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410476B1 (ko) 자동차 사고들에 대한 시뮬레이션 장치를 위한 조명 디바이스
KR101307185B1 (ko) 횡단보도용 가변형 led 안전등
EP2320131B1 (en) Luminous signaling device
KR101352595B1 (ko) 배전반용 조명장치
EP3096151A1 (en) Device for indicating wind direction
KR10241979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터널 내 조명기구
KR102439743B1 (ko) 조사각 조절이 가능한 지면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1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120

Effective date: 2021072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