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742B1 -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742B1
KR102291742B1 KR1020210056203A KR20210056203A KR102291742B1 KR 102291742 B1 KR102291742 B1 KR 102291742B1 KR 1020210056203 A KR1020210056203 A KR 1020210056203A KR 20210056203 A KR20210056203 A KR 20210056203A KR 102291742 B1 KR102291742 B1 KR 102291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display unit
unit
display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아이네트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아이네트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아이네트웍
Priority to KR1020210056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은 지지대에 설치되어 미리 정해진 방향을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카메라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카메라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중앙제어부로 전송하고, 중앙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카메라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반부와, 상기 제어반부와 통신되어 영상과 제어신호를 송수신 받도록 구성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제 2 카메라부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갯수로 화면 분할하여 표시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갯수로 화면 분할하여 표시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분할 갯수와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분할 갯수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는 미리 지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간이 달라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감시 대상 영역에 관하여 축적된 데이터에 따라 감시 대상 영역을 선별적이고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발생되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면서도 감시자의 감시로부터 벗어나는 영역 또는 시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범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 또는 시간에 대한 감시 집중도를 강화시킴으로써, 감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SMART SELECTIVE WATCHING CONTROL SYSTEM USING CAM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본 발명은 감시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 대상 영역에 관하여 축적된 데이터 또는 빅데이터 통계에 따라 효과적으로 감시가 가능하면서도, 현장에서 발생되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가 가능하고, 감시의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감시시스템은 복수의 감시 대상지역들에 카메라들을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감시 대상지역들에서 촬영된 영상들은 하나의 화면 프레임으로 병합되고, 저장장치에 저장됨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 별로 분할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중앙 관제센터의 감시 인력은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할 표시되는 영상들을 육안으로 감시한다.
각종 재해나 범죄 등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많은 수의 CCTV 카메라들이 다양한 장소들에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며, 정부나 지자체 또는 해당 구역을 관리하는 여러 관제센터에서 이를 감시하고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여러 관제센터에서는 여러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여러 개로 분할하여 각 화면 영역에 상기 수신 영상을 표시하고 이를 감시하도록 한다.
그런데, 하나의 관제센터에서 감시 관리하는 CCTV 카메라는 수백 내지 수천대에 이르는데,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각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시간은 비교적 짧은 시간이 된다.
예를 들어, 매 십분마다 각 CCTV 설치 영역을 감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만약 하나의 관제센터가 관리하는 CCTV 카메라 갯수가 480 대이고, 디스플레이장치에 화면을 16개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경우, 각 카메라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시간은 20초가 된다.
이때 16대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이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 화면에 20초 동안 동시에 표시되므로, 감시자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화면 감시에 1초가 조금 넘는 시간을 소요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매우 짧은 시간동안 각 화면에 집중하면서 여러 화면들을 신속히 이동하며 감시하는 작업은 감시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시자의 집중력을 급격히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분할되어 여러 화면들이 표시되는 상태(a)에서, 이벤트 발생 상황에 따라 감시자가 특정 영상을 선택하여 더욱 자세히 보고자 하는 경우, 선택된 영상이 전체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확대되어 표시(b)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이 선택된 영상(7번 영역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표시될 수 없는데, 이러한 점은 결국 감시자에 의한 감시로부터 벗어나는 감시 사각 영역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시 대상 영역에 관하여 축적된 데이터에 따라, 감시 대상 영역을 선별적이고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면서도, 감시자의 감시로부터 벗어나는 영역 또는 시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통, 환경, 범죄 등 각종 사고 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영역 또는 시간에 대한 감시 집중도를 강화시킴으로써, 감시의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은 지지대에 설치되어 미리 정해진 방향을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카메라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카메라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객체 이벤트 데이터를 중앙제어부로 전송하고, 중앙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카메라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반부와, 상기 제어반부와 통신되어 영상과 객체이벤트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 받도록 구성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제 2 카메라부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미리 지정된 갯수로 화면 분할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미리 지정된 갯수로 화면 분할되어 표시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분할 갯수와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분할 갯수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는 미리 지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간이 달라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지정된 우선순위는 교통사고 발생 정도, 쓰레기 불법투기 발생 정도, 불법 주정차 발생 정도, 각종 범죄 발생 통계 정보에 따른 감시 목적별 통계정보에 따른 지역 안전지수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통계정보는 빅데이터 통계에 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지수가 높을 수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분할 갯수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분할 갯수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지수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반부는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에 의해 식별되는 미리 지정된 대상 객체의 수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에 의해 식별되는 미리 지정된 대상 객체의 수에 따라 상기 제 2 카메라부의 촬영 영역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에 의해 식별되는 미리 지정된 대상 객체의 수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특정 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 2 카메라부가 상기 선택된 특정 위치를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 3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선택된 특정 위치의 영상은 상기 제 3 디스플레이부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위치가 선택되는 횟수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중앙제어부에 저장되며, 상기 특정 위치가 선택되는 횟수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위치 또는 시간이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 4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제 4 디스플레이부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미리 지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테두리 색깔 또는 밝기가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에 의해 식별되는 미리 지정된 대상 객체의 수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면 테두리 색깔 또는 밝기가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감시 대상 영역에 관하여 축적된 데이터에 따라 감시 대상 영역을 선별적이고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발생되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면서도 감시자의 감시로부터 벗어나는 영역 또는 시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범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 또는 시간에 대한 감시 집중도를 강화시킴으로써, 감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관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3 은 상기 관제 시스템에 포함되는 중앙제어부의 구성 블럭도이며,
도 4 는 상기 관제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분할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분할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분할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관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3 은 상기 관제 시스템에 포함되는 중앙제어부의 구성 블럭도이며, 도 4 는 상기 관제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분할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분할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분할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은 지지대(10)에 설치되어 미리 정해진 방향을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카메라부(20)와, 상기 지지대에(10)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카메라부(30)와, 상기 지지대(10)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카메라부(20)와 제 2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중앙제어부(50-1, 50-2)로 전송하고, 중앙제어부(50-1, 50-2)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카메라부(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반부(40)와, 상기 제어반부(40)와 통신되어 영상과 제어신호를 송수신 받도록 구성되는 중앙제어부(50)와, 상기 중앙제어부(50)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카메라부(20)와 제 2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60, 70)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 1 디스플레이부(60)와 제 2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메라부(20)와 제 2 카메라부(30)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에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갯수로 화면 분할하여 표시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에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2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갯수로 화면 분할하여 표시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의 화면 분할 갯수와 제 2 디스플레이부(70)의 화면 분할 갯수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에는 미리 지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 2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에 표시되는 시간이 달라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10)는 복수의 영역에서 도로변 또는 인도변에 기둥 형태 또는 가로등을 지지하기 위한 가로등주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카메라부(20)는 상기 지지대(10) 상부에 설치되며, 영상 촬영 방향이 일정 방향을 향하여 고정되는 고정형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카메라부(20)는 바람직하게는 촬영 방향이 양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고정형 카메라(20-1, 20-2)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카메라부(30)는 상기 제 1 카메라부(20) 부근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다방향 회전형 카메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반부(40)는 상기 지지대(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카메라부(20)와 제 2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중앙제어부(50-1, 50-2)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반부(40)는 상기 제 1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객체 이벤트를 인식하기 위한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반부(40)는 상기 중앙제어부(50-1, 50-2)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2 카메라부(20, 30)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 1 카메라부(20)와 제 2 카메라부(30) 및 제어반부(40)가 설치되는 상기 지지대(10)는 여러 복수의 위치(S1, S2...Sn)에 설치된다.
상기 중앙제어부(50)는 상기 제어반부(40)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되어 영상을 수신받고 또는 상기 카메라부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앙제어부(50)는 데이터와 제어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단말장치(50-1)와 데이터 저장을 위한 서버부(5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부(50)에는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52)와 상기 제 1, 2 카메라부(20, 30)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제어부(57) 및 각 지역별 안전지수를 관리하기 위한 안전지수관리부(5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50)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부(70) 화면에서 선택되는 영역을 감지하기 위한 화면선택영역감지부(56) 및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부(60, 70)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화면밝기조절부(58)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지수관리부(54)에 의해 관리되는 안진지수는 상기 카메라부(20, 30)들이 설치되는 지역의 안전수준을 계량화한 등급을 의미한다.
상기 안전수준을 계량화한 등급은 행정안전부와 같은 외부기관으로부터 전송받는 지역별 범죄 통계정보에 의한 안전수준에 관한 데이터를 직접 이용하거나, 이를 가공 분류하여 등급별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지수 1 등급은 일정 기간동안 사고 발생 건수가 가장 적어 안전 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에 부여될 수 있고, 사고 발생 건수가 많아질수록 높은 숫자의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에서는 예를 들어, 사고 발생 건수가 가장 많은 지역의 안전지수를 5 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지수는 교통사고 발생 정도와 쓰레기 불법투기 발생 정도, 불법 주정차 발생 정도를 나타내는 등급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안전지수 1 등급은 교통사고 또는 쓰레기 불법투기, 불법 주정차 발생 건수가 가장 작은 지역에 부여될 수 있고, 발생 건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안전지수 5 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안전지수관리부(54)는 행정안전부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지역별 안전수준에 관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저장하면서 빅데이터화 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역별 안전수준에 관한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면서, 소정의 기간 별로 평균하여 안전지수를 산정할 수 있다.
또는, 사건 발생 건수와 시간을 연계시켜 동일한 지역에 대해서도 각 시간 별로 안전지수를 달리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상기 중앙제어부를 통해 상기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으로써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과 지역, 동작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대상 객체를 차량으로 지정하고, 대상 지역은 교육지역으로 지정하며, 상기 대상 객체가 멈춘 상태를 소정의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할 경우에는, 이러한 객체 이벤트를 상기 중앙제어부(50)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대상 객체와 감시하고자 하는 이벤트 상황에 따라 상기 대상 객체의 종류와 이벤트 종류를 상기 중앙제어부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제어반부(40)에서 설정된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제어부(5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중앙제어부(50)에는 상기와 같이 전송된 감지신호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이를 통계 정보로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은 상기 제 1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특히 사람 또는 자동차의 이동을 인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상기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55)에 의해 식별되는 사람 또는 자동차의 수는 상기 메모리부(52)에 계속적으로 저장되며, 이와 같이 장기간 저장되는 사람 또는 자동차 수에 관한 데이터에 의해 각 시간 별 사람 또는 자동차의 평균 수가 계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일정 기간동안 저장된 시간 별 사람 또는 자동차의 평균 수에 인공지능의 개념을 적용하여, 하루 중 각 시간 별 유동 인구 또는 자동차의 수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선택영역감지부(56)는 상기 중앙제어부(50)에 포함되는 단말장치(50-1)에 의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 화면의 특정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화면에서 선택된 영역을 감지하기 구성이다.
한편, 상기 중앙제어부(5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0, 70)가 연결되어, 상기 제 1 카메라부(20)와 제 2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 1 디스플레이부(60)와 제 2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에는 상기 제 1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에는 상기 제 2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카메라부(20)와 제 2 카메라부(30)는 복수의 위치들에 설치되므로,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에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이 화면 분할되어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카메라부(30) 역시 복수의 위치들에 설치되므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에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2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이 화면 분할되어 표시된다.
상기 제 1 카메라부(20)는 사전에 촬영 방향이 지정된 고정형 카메라로 구성되므로, 미리 지정된 여러 위치(S1...Sn)의 영상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에 화면 분할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첫번째 위치 S1 의 영상을 60-1 위치에, 두번째 위치 S2 의 영상을 60-2 위치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의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 60-1 내지 60-24 의 각 화면에는 상기 제 1 카메라부(20)가 설치되는 영역의 위치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카메라부(30)는 상기 중앙제어부(5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 방향을 변경하고, 이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카메라부(30)의 촬영 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상기 안전지수관리부(54)에 의해 산정되는 안전지수에 연동되어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카메라부(30)는 상기 안전지수관리부(54)에 의해 안전지수가 산정되는 대상 영역을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미리 지정된 시간 대에 상기 제 2 카메라부(30)가 특정 영역을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영역의 안전지수를 상기 안전지수관리부(54)에 의해 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지정된 우선순위 즉, 상기 안전지수 등급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에 화면 분할되어 표시된다.
그리하여, 안전지수 등급이 높은 즉, 동일 기간동안 발생된 사건의 건수가 높아 더욱 높은 주의력으로 감시가 요구되는 지역의 영상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에서 상위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위 위치"는 예를 들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 화면에서 보다 높은 위치 또는 보다 좌측의 위치로 지정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4(b)에서 70-1 내지 70-4 화면 영역에 안전지수 5등급 지역의 영상을 표시하고, 70-5 내지 70-8 화면 영역에 안전지수 4 등급 지역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상위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각 안전지수 등급에 따라 할당되는 분할 화면의 갯수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상위 위치의 개념은 아래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의 화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70-1 내지 70-16 의 각 화면에도 상기 제 2 카메라부(30)가 촬영하는 영역의 위치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전지수가 높은 등급의 지역 영상을 보다 상위의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감시자의 주의가 더욱 집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는 상기 제 1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순서에 따라 화면 분할하여 표시하므로, 예를 들어 6열 4행의 24 분할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를 통해서는 상기 제 1 카메라부(20)가 설치된 지역들에 대한 전반적인 감시와 함께, 상기 제 1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포함되는 사람 또는 자동차의 수를 파악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 1 카메라부(2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통해 사람 또는 자동차와 같은 객체의 통행량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통계의 기초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는 안전지수 등급에 따라 주의를 요하는 지역의 영상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표시하므로, 예를 들어 4열 4행의 16 분할 화면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2 디스플레이부(70)에 표시되는 화면 분할 갯수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에 표시되는 화면 분할 갯수보다 작게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 화면에 크게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지수 등급에 의해 주의를 요하는 지역의 영상을 감시자가 더욱 자세히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안전지수 등급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에 표시되는 영상의 표시 시간이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교통사고 또는 불법주정차 등의 사건이 빈번히 발생되는 안전지수가 높은 지역의 영상을 보다 긴 시간동안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사건이 빈번히 발생되는 안전지수가 높은 영역의 영상을 보다 긴 시간동안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에 표시함으로써, 더욱 강한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상기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55)에 의해 식별되는 사람 또는 자동차와 같은 대상 객체의 수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에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제 1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식별되는 사람 또는 자동차와 같은 대상 객체의 수가 많을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에서 상위 위치에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유동되는 사람 또는 자동차의 수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에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학생들의 등하교 시와 같이 유동 인구가 많아지는 시간대에는 감시자의 주의가 더욱 강하게 집중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 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안전지수관리부(54)에 의해 설정되는 안전지수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에 표시되는 화면의 테두리 부분에 빨강 또는 초록과 같은 선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지수가 가장 높은 영역의 영상 테두리 부분에는 빨강색 선이 표시되고, 안전지수가 가장 낮아 비교적 사건 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영역의 영상 테두리 부분에는 노랑색 선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에 표시되는 여러 영상들의 테두리 부분에 안전지수에 따라 다른 색깔의 선을 표시함으로써, 더욱 강한 감시가 요구되는 영역에 감시자의 주의가 더욱 집중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는, 도 6(a)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안전지수관리부(54)에 의해 설정되는 안전지수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에 표시되는 화면에 각기 다른 배경색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예를 들어 안전지수가 가장 높은 영역의 영상에는 옅은 빨강색 배경색을 표시하고, 안전지수가 가장 낮은 영역의 영상에는 옅은 노랑색 배경색을 표시함으로써, 더욱 강한 감시가 요구되는 영역에 감시자의 주의가 더욱 집중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에 의해 식별되는 대상 객체의 수에 따라,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면 밝기가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예를 들어, 안전지수가 가장 높은 영역의 영상이 가장 밝아지도록 함으로써, 감시자가 더욱 자세히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상기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에 의해 식별되는 대상 객체의 수에 따라, 상기 제 2 카메라부(30)의 촬영 영역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학생들의 등하교 시와 같이 유동되는 사람과 자동차의 수가 많아지는 시간대에는, 상기 대상 객체의 수가 많아지는 영역으로 상기 제 2 카메라부(30)를 지향시켜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식별되는 대상 객체의 수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2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대상 객체의 수가 많아질수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70) 화면에서 보다 상위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특정 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화면선택영역감지부(56)에 의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 화면에서 선택된 위치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7 에서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부(60) 화면 중 60-11 화면에서 특정 위치가 마우스 커서를 통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화면선택영역감지부(56)를 통해 상기와 같이 선택된 위치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60-11 화면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부(20) 부근의 제 2 카메라부(30)를 통해, 상기와 같이 선택된 위치를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카메라부(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 하부에 배치되는 제 3 디스플레이부(8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 화면에서 마우스 커서를 통해 특정 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한 일정 범위(A)가 예를 들어 점선 사각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점선 사각 형상의 범위(A) 부분이 상기 제 3 디스플레이부(80)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를 통해 상기 제 1 카메라부(20)들이 설치되는 전체 영역을 감시하면서, 특이 사항 발생 시 특정 영역만을 확대하여 자세히 감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와 제 3 디스플레이부(80)를 통해 제 1 카메라부(20)에 의한 촬영 영역과 제 2 카메라부(30)에 의한 확대 촬영 영역을 동시에 감시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선택된 점선 사각 형상의 영역(A) 이외의 영역들에 대한 감시가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 4 디스플레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에 표시되는 영상들 중에서 특정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영상은 상기 제 4 디스플레이부(90)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에서 제 1 디스플레이부(60) 화면 중 60-11 화면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60-11 화면이 확대되어 상기 제 4 디스플레이부(90)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 화면에서 특정 위치가 선택되는 경우에,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한 점선 사각 형상의 영역(A)은 확대되어 상기 제 3 디스플레이부(80)에 표시되고, 선택된 화면 자체는 확대되어 상기 제 4 디스플레이부(90)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하여, 특이점이 발생된 위치에 대한 전체 영상과 함께 세부적인 확대 영상을 함께 감시함으로써, 사건 사고 발생 원인에 대한 전체적인 상황을 더욱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 화면에서 특정 위치가 선택되는 횟수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중앙제어부의 메모리부(52)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의 화면들이 일정 기간동안 선택되는 횟수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위치 또는 시간이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 화면에서 일정 기간동안 선택되는 횟수가 많을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60) 화면에서 보다 상위의 위치에 표시되거나 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된 "포함된다" 또는 "구성된다" 의 용어는 해당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외 다른 구성 요소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지지대
20: 제 1 카메라부
30: 제 2 카메라부
40: 제어반부
50: 중앙제어부
60: 제 1 디스플레이부
70: 제 2 디스플레이부
80: 제 3 디스플레이부
90: 제 4 디스플레이부

Claims (14)

  1. 지지대에 설치되어 미리 정해진 방향을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카메라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카메라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중앙제어부로 전송하고, 중앙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카메라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반부와;
    상기 제어반부와 통신되어 영상과 제어신호를 송수신 받도록 구성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메라부와 제 2 카메라부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미리 지정된 갯수로 화면 분할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미리 지정된 갯수로 화면 분할되어 표시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분할 갯수와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분할 갯수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는 미리 지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간이 달라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우선순위는 범죄 통계정보에 따른 지역 안전지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수가 높을 수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분할 갯수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분할 갯수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수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부는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에 의해 식별되는 미리 지정된 대상 객체의 수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에 의해 식별되는 미리 지정된 대상 객체의 수에 따라 상기 제 2 카메라부의 촬영 영역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에 의해 식별되는 미리 지정된 대상 객체의 수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에서 특정 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 2 카메라부가 상기 선택된 특정 위치를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 3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선택된 특정 위치의 영상은 상기 제 3 디스플레이부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가 선택되는 횟수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중앙제어부에 저장되며,
    상기 특정 위치가 선택되는 횟수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위치 또는 시간이 달라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 4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제 4 디스플레이부에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밝기가 달라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이벤트인식프로그램에 의해 식별되는 미리 지정된 대상 객체의 수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면 밝기가 달라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KR1020210056203A 2021-04-30 2021-04-30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KR102291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203A KR102291742B1 (ko) 2021-04-30 2021-04-30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203A KR102291742B1 (ko) 2021-04-30 2021-04-30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742B1 true KR102291742B1 (ko) 2021-08-23

Family

ID=7749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203A KR102291742B1 (ko) 2021-04-30 2021-04-30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7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472A (ko) * 2021-09-02 2023-03-10 주식회사 아디아랩 위험구역 인원 탐지 및 기계 제어 시스템
KR102596314B1 (ko) * 2023-05-18 2023-11-01 (주)클라모스 이벤트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영상을 재배열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7286A (ko) * 2012-02-24 2013-09-03 (주)메가스틸코리아 고정형 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형 카메라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97718B1 (ko) * 2012-12-26 2014-05-26 (주)시에스넷 보호지역 무인 감시시스템
KR101757661B1 (ko) * 2012-10-31 2017-07-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감시 장치
KR20180001794A (ko) * 2016-06-28 2018-01-0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모니터링 장치
KR101954951B1 (ko) * 2017-08-31 2019-03-06 이정무 다중 영상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7286A (ko) * 2012-02-24 2013-09-03 (주)메가스틸코리아 고정형 카메라를 이용한 이동형 카메라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57661B1 (ko) * 2012-10-31 2017-07-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감시 장치
KR101397718B1 (ko) * 2012-12-26 2014-05-26 (주)시에스넷 보호지역 무인 감시시스템
KR20180001794A (ko) * 2016-06-28 2018-01-0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모니터링 장치
KR101954951B1 (ko) * 2017-08-31 2019-03-06 이정무 다중 영상 표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472A (ko) * 2021-09-02 2023-03-10 주식회사 아디아랩 위험구역 인원 탐지 및 기계 제어 시스템
KR102629019B1 (ko) * 2021-09-02 2024-01-26 주식회사 아디아랩 위험구역 인원 탐지 및 기계 제어 시스템
KR102596314B1 (ko) * 2023-05-18 2023-11-01 (주)클라모스 이벤트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영상을 재배열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923B1 (ko) 다목적 통합 운영 cctv 시스템
KR102291742B1 (ko) 인공지능형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선별 감시 관제 시스템
KR102189569B1 (ko) 다기능 스마트 객체인식 사고방지 표지 안내판 및 그것을 이용한 사고방지방법
AU2001238024B2 (en) System for automated screening of security cameras
AU2011352023B2 (en) Multi-resolution image display
KR101321444B1 (ko) Cctv 모니터링 시스템
CN108206935A (zh) 一种人员数量统计监测分析系统
CN106534789A (zh) 一种一体化智慧型安防视频监控系统
KR101964683B1 (ko) 스마트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U2001238024A1 (en) System for automated screening of security cameras
CN113179673B (zh) 应用多摄像头移动路径追踪技术的影像监视装置
CN108234926A (zh) 一种人员行为识别分析系统
KR20080044936A (ko) 영상자동팝업기능이 구비된 감시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8206931A (zh) 一种遗留物监测分析系统
KR101890134B1 (ko) Cctv 감시장치 비트맵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 움직임 분석 제어 방법
KR101326707B1 (ko) 방범 및 차량번호인식 일체형 카메라 시스템
KR101178886B1 (ko) 고해상도 디지털 ptz 카메라,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및 고해상도 디지털 ptz 카메라의 데이터 전송 방법
CN100511302C (zh) 监视系统及方法
KR101954951B1 (ko) 다중 영상 표시 방법
CN107784829A (zh) 一种基于安全防控的客流感知系统
CN111343431B (zh) 基于图像矫正的机场目标检测系统
KR102434154B1 (ko) 영상감시시스템에서의 고속 이동물체의 위치 및 모션 캡쳐 방법
Collinson The application of camera based traffic monitoring systems
KR101852319B1 (ko) 차량정보 알림 기능이 구비된 방범용 카메라 시스템
KR101462269B1 (ko)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