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269B1 -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269B1
KR101462269B1 KR20140009005A KR20140009005A KR101462269B1 KR 101462269 B1 KR101462269 B1 KR 101462269B1 KR 20140009005 A KR20140009005 A KR 20140009005A KR 20140009005 A KR20140009005 A KR 20140009005A KR 101462269 B1 KR101462269 B1 KR 101462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vided
screen
data
coord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9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경
이창환
송인석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아이엔아이
Priority to KR2014000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감시대상 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10)와; 상기 카메라(10)에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20)와; 상기 표시부(20)에 표시되는 화면을 분할하는 분할위치데이터를 입력하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분할데이터 입력부(30)와; 상기 분할데이터 입력부(30)에서 입력되는 저장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표시부(20)에 표시되는 화면을 다수의 분할화면으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서(40)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40)에서 출력되는 분할화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면 데이터 저장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영상을 지정하여 부분영상을 저장함으로써 특정영상을 인식하는 영상인식모듈과 같은 고가의 하드웨어 없이 전체 고화질 영상 중 불필요한 영상을 저장하지 않고 필요한 영상만을 저장하고 일정한 용량의 저장매체에 보다 많은 영상데이터를 저장하여 저장매체의 저장효율 및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및 방법{part of picture storing method for high definition camera}
본 발명은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화질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여러개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화면에 따라 개별적으로 저장하거나 원본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고화질 영상 촬영이 가능한 고해상도 카메라가 CCTV에 채용되고 있어, 그 효용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NTSC/PAL 표준신호에 따라 촬영된 영상은 약 30 ~ 40만 정도의 화소로 이루어졌으나, 고해상도 CCD/CMOS 소자로 영상을 획득하는 고해상도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기본적으로 80만 화소에서 150만 화소에 이르는 메가 픽셀(Mega Pixel)급의 고화질로 이루어진다.
CCTV는 방송텔레비전 이외의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교통 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정보 전달용 등으로 그 용도가 다양하다. 최근에는 특히 골목과 같은 우범지대에 CCTV를 설치하는 등 범죄예방을 위한 설치가 늘고 있다.
최근에 차량의 수가 급증하면서 이를 통제할 인원과 비용이 크게 증가하였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도로차량 감시시스템은 신호위반 및 과속위반과 함께 정지선위반을 단속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단속 시스템은 고정형의 레이저나 루프코일 방식 혹은 이동형의 레이저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이 지나갈 때 발생한 자장의 크기 변화나 레이저 반사파의 시간 등을 이용하여 차량위치정보를 획득하였다.
이러한 루프코일이나 레이저의 노후화나 통신간섭으로 인한 신뢰성 악화로 촬영된 차량영상이 안정적이지 못하여 이를 실시간 자동 영상인식으로 적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촬영된 영상은 추후 관계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차량정보를 검색하고 정리하는 방식을 취해 왔다.
자동영상인식 시스템을 도입한 도로차량 감시시스템의 경우에도 도로의 특정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에 대한 위치정보의 획득은 여전히 종래의 고정형의 레이저나 루프코일 방식 또는 이동형의 레이저 기술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종래의 자동영상인식 시스템의 경우 설치환경이 열악한 곳에서는 설치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별도의 설치물이 필요하였다. 또한, 종래의 자동영상인식 시스템은 차선 당 하나의 카메라를 설치하는 제한된 촬영범위와 조건 하에서 목표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 할 수 있었다. 즉, 설치된 카메라 위치를 기준으로 이미 결정된 촬영각과 거리라는 조건 하에서만 영상을 획득하고 처리할 수 있으므로, 그 조건에서 벗어나는 경우, 양호한 차량영상을 획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9647호에 종래 도로차량 감시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정지선 위반 단속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복수개의 차선을 대상으로 정지선 위반 단속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차적조회용 영상과 사고기록용 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도로차량 감시시스템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j제안하고 있다.
도 1에 종래의 기술에 의한 도로차량감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도시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도로차량 감시시스템은, 정지선 위반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 상기 카메라모듈(1)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 상기 카메라모듈(1)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하는 번호판 인식모듈(3), 및 교통신호체계와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모듈(1)을 작동시키고 정지선 위반 영역에서 차량의 번호가 인식된 경우 그 번호를 장착한 차량의 번호판과 정지선을 동일한 영상으로 포착할 수 있는 영역으로 확대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1)을 작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4)를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도로차량 감시시스템은 정지선 위반한 차량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하는 번호판 인식모듈이 필요하여 소규모 주차장이나 일반 개인이 특정영역을 감시하기에는 불필요하게 고가의 하드웨어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영상을 마우스, 키보드 등의 분할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지정하여 부분영상을 저장함으로써 영상인식모듈과 같은 고가의 하드웨어 없이 전체 고화질 영상 중 불필요한 영상을 저장하지 않고 필요한 영상만을 저장하고 일정한 용량의 저장매체에 보다 많은 영상데이터를 저장하여 저장매체의 저장효율 및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 용이한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는 감시대상 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분할하는 분할위치 데이터를 입력하는 분할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분할데이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분할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다수의 분할화면으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서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분할화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면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할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XY좌표와 함께 표시하는 이미지 화면 좌표부와; 상기 이미지 화면 좌표부에서 위치좌표를 표시하는 커서를 이동시켜 분할위치 좌표를 입력하는 분할위치 입력부와; 상기 분할위치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분할 이미지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에 입력하는 분할위치 데이터 생성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원점에서 최종점의 XY좌표와 RGB의 픽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 화면 좌표부에 의해 XY좌표가 할당되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방법은 영상처리 프로세서가 카메라에서 감시대상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분할위치 입력부를 사용하여 분할영역의 원점을 지정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상에서 분할영역의 원점좌표가 영상처리 프로세서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는 분할위치 입력부에서 분할영역의 원점좌표가 입력된 경우 분할영역의 원점좌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분할위치 입력부를 사용하여 분할영역의 마지막 점을 지정하면,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는 분할영역의 최종점좌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는 분할영역의 최종점 좌표가 입력되면, 지정된 분할영역을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분할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재인코딩하여 화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화질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영상을 지정하여 여러개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화면에 따라 개별적으로 저장하거나 부분영상을 저장함으로써 특정영상을 인식하는 영상인식모듈과 같은 고가의 하드웨어 없이 전체 고화질 영상 중 불필요한 영상을 저장하지 않고 필요한 영상만을 저장하고 일정한 용량의 저장매체에 보다 많은 영상데이터를 저장하여 저장매체의 저장효율 및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도로차량 감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할데이터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분할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분할프레임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분할 화면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본 발명에 의한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의 부분 저장 장치(100)는 감시대상 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10)와; 상기 카메라(10)에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20)와; 상기 표시부(20)에 표시되는 화면을 분할하는 분할위치데이터를 입력하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분할데이터 입력부(30)와; 상기 분할데이터 입력부(30)에서 입력되는 저장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표시부(20)에 표시되는 화면을 다수의 분할화면으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서(40)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40)에서 출력되는 분할화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면 데이터 저장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10)는 감시대상 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며, 이미지 데이터는 초당 30 프레임의 화면으로 구성되고, 1프레임은 240×720, 240×720 등 픽셀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40)는 상기 카메라(10)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모니터 등의 표시부(20)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10)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20)에 표시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분할화면을 설정하기 위해 마우스, 키보드 등의 분할데이터 입력부(30)를 사용하여 분할데이터를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40)에 입력한다.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40)는 분할데이터 입력부(30)에서 입력되는 분할 데이터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여 분할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분할 화면의 부분프레임을 구성하는 픽셀 데이터를 화면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한다.
도 3에 본 발명에 의한 분할데이터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되고,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분할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분할프레임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분할데이터 입력부(30)는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4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카메라(1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XY좌표와 함께 표시부(20)의 화면(21)에 표시하는 이미지 화면 좌표부(31)와; 상기 이미지 화면 좌표부(31)에서 위치좌표를 표시하는 커서를 이동시켜 분할위치 좌표를 입력하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분할위치 입력부(32)와; 상기 분할위치 입력부(32)에 의해 입력되는 분할 이미지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40)에 입력하는 분할위치 데이터 생성부(33)로 구성된다.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화면 좌표부(31)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0)의 화면(21)에 가로(1920 픽셀)×세로(1080 픽셀)의 이미지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화면(21)에 표시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원점(0,0)에서 최종점(1920, 1080)의 XY좌표와 RGB의 픽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미지 화면 좌표부(31)에 의해 XY좌표가 할당되어 화면(21)에 표시된다.
이미지 화면 좌표부(31)는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부(20)의 화면(21)에 가로 픽셀×세로 픽셀의 이미지에 좌표가 포함되도록 표시하고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분할위치 입력부(32)로 화면(21) 상에서 커서를 이동시켜 분할 영역(22)을 지정하면 즉 예를 들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간색으로 표시되는 분할영역(22)을 지정하면, 분할위치 데이터변환부(33)가 상기 분할영역(22)에 해당하는 좌표 시작점(500, 500)과 최종점(820, 740)에 포함되는 이미지 데이터와 좌표 데이터를 산출하여 영상처리 프로세서(40)에 입력한다.
영상처리 프로세서(40)는 분할위치 데이터변환부(33)에 의해 입력되는 해당 분할영역에 포함되는 이미지 데이터와 좌표 데이터를 화면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한다.
이렇게 화면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된 분할영역의 이미지 데이터와 좌표 데이터는 필요시에 사용자가 영상처리 프로세서(40)에 명령을 입력하여 표시부(20)의 화면(2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본 발명에 의해 분할 화면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영상처리 프로세서(40)는 카메라(10)에서 감시대상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부(20)에 표시한다(단계 S1, S2).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분할위치 입력부(31)를 사용하여 분할영역의 원점을 지정하면, 예를 들면 마우스의 왼쪽 버튼을 누르면, 상기 표시부(20)에 표시된 화면상에서 분할영역의 원점좌표가 영상처리 프로세서(40)에 입력된다(단계 S3).
영상처리 프로세서(40)는 분할위치 입력부(31)에서 분할영역의 원점좌표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4), 분할위치 입력부(31)에서 분할영역의 원점좌표가 입력된경우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분할영역의 원점좌표를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 S5).
상기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분할위치 입력부(31)를 사용하여 분할영역의 마지막 점을 지정하면, 예를 들면 눌렀던 마우스의 왼쪽 버튼을 떼서 왼쪽버튼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면, 영상처리 프로세서(40)는 분할위치 입력부(31)에서 분할영역의 최종점 좌표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6), 분할위치 입력부(31)에서 분할영역의 최종점 좌표가 입력된 경우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분할영역의 최종점좌표를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 S7).
영상처리 프로세서(40)는 분할영역의 최종점 좌표가 입력되면, 지정된 분할영역을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하고(단계 S8), 상기 추출된 분할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재인코딩하여(단계 S8) 화면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한다(단계 S10). 단계 S10을 완료한 후 메인 프로그램으로 점프하거나 다른 서브루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을 형성하는 기술사상에 대한 것인 한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카메라 20: 표시부
30: 분할 데이터 입력부 31: 이미지 화면 좌표부
32: 분할위치 입력부 33: 분할위치 데이터 변환부
40: 영상처리프로세서 50: 화면 데이터 저장부

Claims (4)

  1. 감시대상 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와;
    영상처리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상기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XY좌표와 함께 표시부에 표시하는 이미지 화면 좌표부와;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화면 좌표부에서 위치좌표를 표시하는 커서를 이동시켜 분할위치 좌표를 입력하는 분할위치 입력부와;
    상기 분할위치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분할 이미지에 대한 위치데이터를 추출하는 분할위치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분할위치 데이터 생성부에서 입력되는 분할 이미지에 대한 위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이미지 화면 좌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다수의 분할화면으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서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분할화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면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화면 좌표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원점에서 최종점의 XY좌표와 RGB의 픽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 화면 좌표부에 의해 XY좌표가 할당되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4. 영상처리 프로세서가 카메라에서 감시대상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미지 화면 좌표부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분할위치 입력부를 사용하여 분할영역의 원점을 지정하여 상기 이미지 화면 좌표부에 표시된 화면상에서 분할영역의 원점좌표가 영상처리 프로세서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는 분할위치 입력부에서 분할영역의 원점좌표가 입력된 경우 분할영역의 원점좌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분할위치 입력부를 사용하여 분할영역의 최종점을 지정하면,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는 분할영역의 최종점좌표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는 분할영역의 최종점 좌표가 입력되면, 지정된 분할영역을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분할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재인코딩하여 화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방법.
KR20140009005A 2014-01-24 2014-01-24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및 방법 KR101462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9005A KR101462269B1 (ko) 2014-01-24 2014-01-24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9005A KR101462269B1 (ko) 2014-01-24 2014-01-24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269B1 true KR101462269B1 (ko) 2014-11-13

Family

ID=5229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9005A KR101462269B1 (ko) 2014-01-24 2014-01-24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873B1 (ko) * 2019-11-29 2021-05-1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보안 환경에서의 외부 영상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7542A (ja) * 1994-11-07 1996-05-31 Fuji Electric Co Ltd テレビカメラ映像による監視制御装置
KR100811796B1 (ko) 2007-03-30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초점 정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KR20110072846A (ko) * 2009-12-23 2011-06-29 클레어픽셀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장치 및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147327B1 (ko) * 2010-06-24 2012-05-2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7542A (ja) * 1994-11-07 1996-05-31 Fuji Electric Co Ltd テレビカメラ映像による監視制御装置
KR100811796B1 (ko) 2007-03-30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초점 정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KR20110072846A (ko) * 2009-12-23 2011-06-29 클레어픽셀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장치 및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147327B1 (ko) * 2010-06-24 2012-05-2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감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873B1 (ko) * 2019-11-29 2021-05-1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보안 환경에서의 외부 영상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107243A1 (ko) * 2019-11-29 2021-06-03 전자부품연구원 보안 환경에서의 외부 영상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789B1 (ko) 감시 카메라 장치 및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US11790504B2 (en)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CN106791710B (zh) 目标检测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0462372B2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US110826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surveillance
US9615062B2 (en) Multi-resolution image display
KR101695249B1 (ko) 감시 영상 표시 방법 및 시스템
JP4685561B2 (ja) カメラシステムの表示方法及びカメラシステム
KR102161210B1 (ko) 다중 비디오써머리제공방법 및 장치
KR101778744B1 (ko)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039927A (ko) 복수 개의 촬영영상으로부터 이벤트를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85711B1 (ko) 증강현실 cctv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4655A (ko) 복수의 고해상도 카메라들을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77635B1 (ko) 다중 카메라 기반 시설물 주변 항공뷰 형태의 전방위 비디오 합성 및 이동체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140041206A (ko) 프라이버시 마스크 생성하는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1874588B1 (ko)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한 다채널 관심영역 표출방법
JP5069091B2 (ja) 監視カメラおよ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1462269B1 (ko) 고화질 카메라의 부분 저장장치 및 방법
KR101961104B1 (ko) 화면분할 영상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5790788B2 (ja) 監視システム
US20110080495A1 (en) Method and camera system for the generation of images for the transmission to an external control unit
KR20120046836A (ko) 차량용 영상 전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전처리 방법
KR101881370B1 (ko) 디스플레이 화면분할 영상 오버랩 제어 장치
KR20190110369A (ko)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
JP2020057981A (ja) 画像作成システム、画像作成装置、及び画像作成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