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369A -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369A
KR20190110369A KR1020180032249A KR20180032249A KR20190110369A KR 20190110369 A KR20190110369 A KR 20190110369A KR 1020180032249 A KR1020180032249 A KR 1020180032249A KR 20180032249 A KR20180032249 A KR 20180032249A KR 20190110369 A KR20190110369 A KR 20190110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ing
image
subject
unit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덕
김태군
이승은
Original Assignee
이승은
김태군
김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은, 김태군, 김종덕 filed Critical 이승은
Priority to KR1020180032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0369A/ko
Publication of KR20190110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259
    • H04N5/232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대상의 확인 및 감시를 위한 카메라와 감시 대상을 추적하는 카메라를 별도로 구성하여 대상 추적시 영역의 감시가 소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다기능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고도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INTELLIGENT CAMERA SYSTEM FOR AUTOMATIC TRACKING OF SPECIFIED SUBJECT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시 대상의 확인 및 감시를 위한 카메라와 감시 대상을 추적하는 카메라를 별도로 구성하여 대상 추적시 영역의 감시가 소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다기능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고도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쇄회로티브이(이하 'CCTV'라 함)는 대표적인 감시 시스템의 하나이며,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CCTV는 감시하고자 하는 영역을 촬영방향으로 하여 연속적으로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영상을 미리 정해진 모니터로 전송하여 출력함과 아울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CCTV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충분한 저장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CCTV를 구성하는 카메라 외에도 저장장치에 구성에 소요되는 비용이 비율이 크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CCTV는 설치 비용이 매우 비싼 문제가 있으며, 저가로 구성하기 위해 카메라의 해상도를 낮추어 영상의 품질을 낮춤으로써 저장장치의 소요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촬영된 감시체의 정확한 형태, 예를 들어, 사람의 얼굴, 차량의 번호판, 소지한 물품의 구분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가 되고 있으며, 많은 비용을 들여 설치한 CCTV의 효용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되고 있다. 더욱이 기존의 CCTV는 감시하고자 하는 위치마다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촬영 각도가 다양하고 많은 영역을 촬영하는 경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추적이 가능한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는 있으나, 카메라의 가격이 고가이거나 카메라에 의한 대상 추적시 다른 영역의 감시가 소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03109호(공개일 2010.09.2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시 대상의 확인 및 감시를 위한 카메라와 감시 대상을 추적하는 카메라를 별도로 구성하여 대상 추적시 영역의 감시가 소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다기능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고도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추적 대상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인 및 무인 감시에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필요한 대상을 정밀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시시스템 뿐만 아니라 피사체의 지정 및 지정된 피사체에 대한 추적 촬영이 필요한 영역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범위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감시영상을 생성하는 제1촬영부; 상기 범위에 대해 상기 제1촬영부와 별도로 추적영상을 생성하는 제2촬영부; 상기 제1촬영부 또는 상기 제2촬영부의 구동 제어를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감시영상에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피사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피사체 중 미리 저장되는 설정값에 대응되는 상기 피사체 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상기 피사체를 상기 추적영상에서 확인하고, 상기 추적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크기 또는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피사체의 크기 또는 위치가 변한 경우 상기 제2촬영부의 줌/팬/틸트 기능을 제어하여 상기 피사체를 추적하도록 제어하는 처리부; 및 상기 감시영상 및 상기 추적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피사체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상기 감시영상에서 상기 피사체를 구분하는 선택영역을 부여하고, 상기 선택영역이 부여된 상기 감시영상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선택된 상기 피사체 또는 상기 선택영역의 좌표값을 포함하는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값에 상기 제1촬영부와 상기 제2촬영부에서 촬영되는 영상간 영상값을 일치시키기 위한 환산값을 적용하여 환산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환산기준값에 의해 상기 추적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개체인 추적대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추적영상에서 상기 환산기준값에 대응되는 상기 추적대상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기준값을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추적영상에서 상기 추적대상에 대한 상기 기준값을 미리 정해진 프레임 단위로 산출하고, 상기 프레임별 상기 기준값에 포함된 좌표값의 변화를 통해 상기 추적대상의 크기 또는 위치변화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추적대상의 크기 또는 위치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추적대상의 영상크기가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으로 유지되거나, 상기 추적대상의 영상 해상도가 미리 정해진 해상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2촬영부의 줌/팬/틸트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은 제1촬영부, 제2촬영부, 처리부, 입력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촬영부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어 감시영상이 생성되는 감시영상 생성 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감시영상에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피사체를 추출하고, 미리 저장된 설정값에 대응되는 상기 피사체 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되는 상기 피사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추적여부 판단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설정값에 대응되는 상기 피사체 또는 선택되는 상기 피사체에 대응되는 추적대상을 상기 제2촬영부에 의해 생성되는 추적영상에서 확인하는 추적대상 확인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추적대상의 크기 또는 위치변화를 확인하여 상기 제2찰영부가 상기 추적대상을 추적하여 상기 추적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추적단계; 및 상기 출력부가 상기 감시영상 및 상기 추적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적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처리부기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피사체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상기 감시영상에서 상기 피사체를 구분하는 선택영역을 부여하고, 상기 선택영역이 부여된 상기 감시영상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적대상 확인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선택된 상기 피사체 또는 상기 선택영역의 좌표값을 포함하는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값에 상기 제1촬영부와 상기 제2촬영부에서 촬영되는 영상간 영상값을 일치시키기 위한 환산값을 적용하여 환산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환산기준값에 의해 상기 추적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개체인 상기 추적대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적대상 확인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추적영상에서 상기 환산기준값에 대응되는 상기 추적대상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기준값을 재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적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추적영상에서 상기 추적대상에 대한 상기 기준값을 미리 정해진 프레임 단위로 산출하고, 상기 프레임별 상기 기준값에 포함된 좌표값의 변화를 통해 상기 추적대상의 크기 또는 위치변화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적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추적대상의 크기 또는 위치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추적대상의 영상크기가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으로 유지되거나, 상기 추적대상의 영상 해상도가 미리 정해진 해상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2촬영부의 줌/팬/틸트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은 감시 대상의 확인 및 감시를 위한 카메라와 감시 대상을 추적하는 카메라를 별도로 구성하여 대상 추적시 영역의 감시가 소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다기능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고도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은 사용자가 추적 대상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인 및 무인 감시에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필요한 대상을 정밀 추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은 감시시스템 뿐만 아니라 피사체의 지정 및 지정된 피사체에 대한 추적 촬영이 필요한 영역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 예시도.
도 2는 교차로 감시의 예를 나타낸 이미지.
도 3은 추적 대상의 선택 및 이를 위한 선택영역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감시외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에 의한 감시 및 추적에 의한 영상촬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뙤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은 입력부(10), 출력부(20), 통신부(30), 처리부(40), 촬영부(50) 및 저장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0)는 사용자에 의한 피사체 선택을 위한 선택명령과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된다. 입력부(10)는 처리부(40)에 의해 영상의 피사체를 선택 가능한 선택영역이 하나 이상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하나의 선택영역에 속한 피사체의 추적 여부 또는 복수의 선택영역에 속한 피사체 중 추적이 필요한 어느 하나의 피사체가 포함된 선택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명령이 입력된다. 또한, 이러한 선택명령 외에 입력부(10)에는 카메라의 줌/팬/틸트를 제어하거나, 영상의 처리, 저장과 같은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된다. 이를 위해 입력부(1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태블릿, 마이크와 같은 입력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장치는 시스템에 직접 연결이 가능한 포트를 통해 연결되거나, RS232 통신과 같은 근/원거리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출력부(20)는 촬영부(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달받아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20)는 영상의 출력을 위한 모니터, TV와 같은 직접 출력수단, 통신부(30)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원격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20)를 통해 추적 가능한 피사체를 선택가능하게 하는 선택영역이 부가된 영상을 출력하고, 이에 맞추어 입력부(10)에 의해 제공되는 포인트, 커서와 같은 인터페이스의 움직임 또는 입력 내용을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20)는 선택이 이루어진 뒤 피사체를 추적하여 획득하는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출력부(20)는 촬영부의 영상을 추적이 이루어지는 추적영상과 전범위 감시를 수행하는 감시영상으로 나누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취해 출력부(20)는 표시장치가 추적영상과 감시영상을 각각 출력하도록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영상 내에 다른 영상을 출력하도록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통신부(30)는 원거리의 원격단말 또는 출력부(20) 또는 입력부(10)와 연결을 위한 통신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통신부(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원격단말, 출력부(20) 또는 입력부(10)와 같은 연결대상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공지된 다양한 통신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처리부(40)는 촬영부(5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속의 피사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처리를 수행함과 아울러, 복수의 피사체 중 선택된 추적 대상의 추적영상이 생성되도록 촬영부(5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처리부(40)는 제1촬영부(50)에서 촬영된 감시영상으로부터 추적이 가능한 피사체를 구분하고, 피사체별로 선택영역을 부여하여 출력부(20)에 전달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입력부(10)를 통해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명령에 의해 선택된 선택영역의 피사체를 확인하고, 해당 피사체에 대한 기준값을 산출하여 저장부(90)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처리부(40)는 기준값을 미리 저장된 환산값에 대응하여 제2촬영부(50)에서 해당 피사체를 특정할 수 있는 값으로 변환하고, 이를 제2촬영부(70)에 의해 촬영된 제2촬영영상에서 분석하여 추적대상을 확인하게 된다. 이후 처리부(40)는 추적대상의 추적이 이루어지도록 팬/틸트/줌 제어를 제2촬영부(70)에 대해 수행하여 제2촬영부(70)가 감시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환산값은 서로 다른 촬영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일치되도록 하는 변환 값이다. 예를 들어, 환산값은 좌표값, 색상 값, 색온도, 픽셀분포와 같은 값들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2촬영부(70)는 추적대상의 선정 이전부터 제1촬영부(60)의 촬영범위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처리부(40)가 제2촬영부(70)에서 획득된 영상에서 기준값에 대응되는 피사체를 빠른 시간 내에 탐색할 수 있다. 또는, 제2촬영부(70)는 촬영을 하지 않고 추적대상이 되는 피사체가 선택된 후 해당 피사체가 존재하는 위치를 촬영하고,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처리부(40)가 추적대상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60)는 제1촬영부(60)에서 촬영된 영상 속의 추적대상의 기본값에 환산값을 적용하여 제2촬영부를 제어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2촬영부(70)는 추적대상이 존재하는 위치로 곧바로 초점을 맞추게 되고, 처리부(40)의 팬/틸트/줌 제어에 따라 추적대상을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촬영부(50)는 감시지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기준값에 의해 선택되는 피사체를 추적하여 감시영상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촬영부(50)는 지정된 지역에 대한 감시 및 추적대상인 피사체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감시영상을 생성하는 제1촬영부(60)와 처리부(40)의 제어에 따라 팬/틸트/줌이 제어되 추적대상에 대한 추적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추적영상을 생성하는 제2촬영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촬영부(60)는 넓은 영역의 감시가 가능하고, 대상물의 선명한 촬영이 가능한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넓은 범위의 관찰을 위해 피쉬아이렌즈와 같은 광각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촬영부(70)는 처리부(40)의 제어에 따라 추적대상의 정밀 촬영 및 추적이 가능하도록, 줌/팬/틸트 기능이 제공되며 줌/팬/틸트 구동을 위한 구동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90)는 촬영부(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고, 피사체의 추적을 위한 기준값이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90)는 촬영된 영상 중 제1촬영부(60)와 제2촬영부(70)에 의해 촬영된 제1촬영영상과 제2촬영영상이 각각 저장되어 관리되며, 사용자가 지정한 조건에 따라 삭제, 전달과 같은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저장부(90)에는 피사체의 추적을 위해 제1촬영부(60)와 제2촬영부(70) 간의 추적대상 전달을 위한 기준값이 저장된다. 이 기준값은 정지이미지, 화면상의 좌표, 히스토그램, 얼굴인식 값과 같이 화면상에서 대상체를 구분할 수 있는 특징값일 수 있다. 또는 기준값은 일정한 기간의 복수 영상 프레임과, 이 기간의 싱크(또는 클럭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값은 입력부(10)에 의해 미리 준비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촬영부(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추출하지 않고 다른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 또는 대상체를 구분할 수 있는 특징값이 미리 추출되어 기준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90)에는 제1촬영부(60)와 제2촬영부(70) 간의 기준값 교환 또는 추적대상의 인식을 위한 환산정보가 저장된다.
도 2는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서, 도 2는 교차로 감시의 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3은 추적 대상의 선택 및 이를 위한 선택영역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감시외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이미지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은 제1촬영부(60)와 제2촬영부(70)로 구성되는 촬영부(50)에 의해 넓은 범위의 지속적인 감시와 함께 특정 추적대상을 추적하여 보다 정확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서와 같이 교차로를 감시하는 경우 A1과 같이 제1촬영부(60)에 의해 교차로 전반의 상황을 촬영하는 감시영상을 획득하고, 이 중 특정 피사체가 존재하는 부분을 A2와 같이 제2촬영부(70)에 의해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피사체는 사람, 자동차, 오토바이, 동물과 같은 다양한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처리부(40)는 제1촬영부(60)에 의해 생성되는 감시영상으로부터 추적대상으로 선택될 수 있는 피사체를 추출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피사체의 추출은 영상의 픽셀값이 변화하거나, 유사한 값을 가지는 픽셀 그룹의 경계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와 같이 값이 변하는 위치를 찾아 수행될 수 있으며,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간의 비교를 통해 변화를 추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로써 제시된 것일 뿐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피사체의 추출은 사람의 경우 얼굴 인식과 같은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되 다량의 피사체를 손쉽고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감시영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피사체를 구분하면, 처리부(40)는 미리 입력된 기준값이 존재하는지 판별하게 된다. 만약 미리 입력된 기준값이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추적 대상이 선택되는 것으로 지정되면, 처리부(40)는 구분된 복수의 피사체에 대해 사용자의 구분 및 선택이 가능하도록 선택영역 처리를 하게 된다.
이러한 선택영역의 처리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도로와 보행자를 촬영하여 감시영상이 제작된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감시영상이 생성되면, 처리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추적대상이 되는 피사체를 추출하게 되며, 도 3에서와 같이 복수의 피사체(92)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을 모두 추출하여 구분하게 된다. 아울러, 구분된 피사체(92) 각각에 대해 선택영역(91 : 91a 내지 91c)을 부여하게 된다. 여기서, 도 3에서와 같이 복수의 피사체가 존재하더라도 확인이 어려운 원거리의 피사체는 추적대상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선택영역(91)이 2차원 사각 틀 형태로 제공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추출된 피사체를 인지하기 용이하고, 추적대상의 선택시 선택된 대상이 어느 피사체인지 구분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선택영역(91)의 변경이 가능하다. 일례로, 피사체에 별도의 영역 구분을 제공하지 않고, 피사체(92)가 입력부(10)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피사체(92)의 색을 반전시키거나, 선택시에만 경계 표시를 하도록 선택영역(91)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피사체(92) 중 추적대상이 선택되면, 처리부(40)는 선택된 추적대상에 대한 기준값을 산출하게 된다. 이 기준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촬영부(70)가 추적대상을 구분할 수 있는 값으로 이용되며, 한프레임에 대한 영상을 추출한 정지 이미지, 이로부터 추출되는 픽셀값, 이미지의 크기, 이미지의 색분포, 색이나 조도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같은 값일 수 있다.
또는 더 복잡한 정보를 포함하는 값을 기준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촬영부(5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은 시시각각 변화하게 되며, 제1촬영부(60)와 제2촬영부(70)의 영상 처리 소요시간, 동기 오차 등으로 인해 영상간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편차를 방지하기 위해 제1촬영부(60)와 제2촬영부(70) 사이에는 영상의 시점을 일치시키기 위한 외부 동기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동기신호는 단순히 펄스에 의해 한 프레임의 시점을 일치시키는 것으로 동기신호에 의해 일치된 영상이라고 하더라도 처리부(40)에 의해 처리되는 시점에서는 서로 다른 시각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 사이에 피사체의 이동 또는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예로써 제시된 것이지만, 이외에도 불일치를 야기시키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상간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불일치가 발생되면 미리 작성된 기준값에 의해 처리부(40)에 의한 제2촬영부(70) 제어시 추적의 실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준값은 연속되거나 미리 정해진 주기로 샘플링되는 복수의 영상프레임, 시각 정보와 해당 시간의 프레임 순번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처리부(40)는 기준값에 이용된 프레임이 해당 시각의 몇 번째 프레임인지 카운트 하여 기준값을 작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처리부(40)는 제2카메라의 영상으로부터 기준값이 지정하는 시각, 지정하는 프레임 순번에서 픽셀정보, 히스토그램값, 이미지의 크기와 같은 사항을 확인하여 추적대상을 특정하고, 해당 추적대상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제2촬영부(70)의 촬영 및 촬영을 위한 구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처리부(40)는 제1촬영부(60)에 의해 획득된 기본값을 이용하여 제2촬영부(7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속의 추적대상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실패가 발생하는 경우 감시영상으로부터 기준값을 재산출하고, 재산출된 기준값에 의해 추적대상을 재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처리부(40)는 환산값을 이용하게 된다.
환산값은 제1촬영부(60)에 이용되는 촬영장치 즉, 카메라와 제2촬영부(70)에 이용되는 카메라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이다.
예를 들어 제1촬영부(60)는 피쉬아이렌즈와 같은 광각렌즈를 이용하여 넓은 범위의 영상을 획득하고, 제2촬영부(60)는 비광각렌즈를 이용하여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촬영부(60)에서 생성된 감시영상의 픽셀 또는 화면상의 좌표, 감시영상에서 추출한 이미지의 픽셀정보, 히스토그램값, 크기와 같은 값들을 그대로 제2촬영부(60)의 영상에 적용할 수 없게 된다.
때문에, 이를 보정하여 제2촬영부(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값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환산값이 마련된다. 처리부(40)는 이 환산값을 이용하여 감시영상에서 추출한 추적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값을 제2촬영부(70)에 적용 가능한 값으로 변경하여 추적 대상을 산출하게 된다. 특히, 피쉬아이렌즈와 같은 초광각렌즈를 이용한 촬영에서 촬영영역의 주변이미지는 왜곡이 심해지게 된다. 이러한 제1촬영부(60)의 영상에서 획득한 기준값을 그대로 제2촬영부(70)에 적용하는 경우 추적 대상의 구분은 대부분 실패하게 된다. 때문에, 환산값에는 이러한 왜곡을 보정하여 제1촬영부(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2촬영부(70)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보정값이 저장된다.
처리부(40)는 기준값에 환산값이 적용하여 환산기준값을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제2촬영부(70)에 의해 생성된 추적영상에 환산기준값을 적용하여, 환산기준값에 일치되는 피사체를 찾아 피사체에 대한 기준값을 획득하게 된다. 이 기준값은 피사체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한 값으로 이용되며, 매 프레임 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의 프레임마다 처리부(40)에 의해 획득된다. 여기서, 광각렌즈의 가장자리쪽 영상은 왜곡이 심해지게 되어 사람이 기립된 영상을 촬영하더라도 얼굴과 상체일부만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가장자리 영역은 렌즈의 종류와 성능에 따라 영상에서 차지하는 범위가 달라지며, 이러한 영역에서 촬영된 영상은 보정에 의해 변환하더라도 완전하게 보정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 때문에, 환산값에는 이러한 영역의 영상에 대해 일부분만을 비교하도록 비교영역을 제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처리부(40)는 제1촬영부(60)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가 가장자리 영역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촬영부(70)에서 해당 피사체를 탐색할 때 환산값에서 제한하는 범위 내의 영상 일부만을 비교하여 탐색하게 된다. 일례로, 이러한 범위는 피사체로 확인된 개체의 수직 높이 최고점에서 수직방향의 범위로 정해질 수 있다.
처리부(40)는 이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추적대상의 이동을 판별하게 된다. 이 추적대상에 대한 기준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피사체의 크기, 좌표, 이미지, 픽셀정보, 색상 또는 조도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같이 이미지 비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중 시스템에서 처리가 편리한 데이터로 정의될 수 있다.
처리부(40)는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대해 획득한 기준값을 비교하여 추적영상 속에서 추적대상의 크기 변화가 발생했는지 위치 이동이 발생했는지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크기 변화가 발생된 경우 처리부(40)는 제2촬영부(70)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줌기능을 제어하고, 위치 이동이 발생된 경우 구동부를 제어하여 팬/틸트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추적대상의 이동방향을 따라 촬영범위를 조절하여 추적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한편, 도 4는 일반 강연장과 같은 곳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이 이용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일반 강연장 같은 곳에서 강연장에 마련된 스크린을 통해 강사와 강연내용을 모두 촬영하여 출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촬영부(60)는 연단 또는 칠판을 촬영하게 하고(B1), 제2촬영부(70)는 강사를 추적하여 촬영(B2)하게 함으로써 강의 내용과 강사가 모두 스크린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크린이 하나만 마련되는 경우 PIP방식에 의해 제1촬영부(6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작은 영상으로 제2촬영부(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삽입함으로써 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및 제2촬영부(60, 70)에 의해 촬영한 영상은 통신부(30)를 통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에 공급함으로써 원격지의 수강생이 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에 의한 감시 및 추적에 의한 영상촬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에 의한 감시 및 추적 과정은 감시영상 생성단계(S10), 추적여부 판단단계(S20), 선택영역 부여 단계(S30), 추적대상 선택 단계(S40), 기준값 생성 및 변환 단계(S50), 추적 대상 피사체 확인 단계(S60), 구동 제어에 의한 추적단계(S70) 및 추적유지 판단단계(S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시영상 생성단계(S10)는 제1촬영부(60)가 감시지역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촬영하고, 감시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 감시영상은 처리부(40)에 의해 저장부(90)에 전달되어 저장 또는 출력부(20)를 통한 출력 또는 통신부(30)를 통해 외부에 전달된다.
추적여부 판단단계(S20)는 감시영상에 촬영된 하나 이상의 피사체 중 추적이 필요한 대상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추적여부 판단단계(S20)에서 처리부는 감시영상에서 미리 저장된 기준값에 대응되는 피사체가 확인되는지 또는 사용자로부터 추적대상 지정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하여 추적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추적여부 판단단계(S10)에서 처리부(40)는 미리 저장된 기준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미리 저장된 기준값이 존재하는 경우 감시영상에서 기준값에 대응되는 피사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게 된다. 반면에 기준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처리부(40)는 추적대상의 지정을 위한 명령이 입력부(10)에 입력되는지 확인하게 된다. 이때, 기준값이 존재하지 않거나, 입력부(10)를 통한 명령의 입력이 없는 경우 감시영상 생성단계(S10)와 현 단계(S20)를 유지하고, 기준값이 존재하거나, 명령의 입력이 있는 경우 다음 단계(S30)를 진행하게 된다.
선택영역 부여 단계(S30)는 감시영상에 촬영된 하나 이상의 피사체를 사용자가 선택 또는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피사체를 추출하여 선택영역을 부여하는 단계이다. 선택영역 부여 단계(S30)에서 처리부(40)는 감시영상에 촬영된 하나 이상의 피사체를 영상으로부터 추출하고, 배경과 구분할 수 있는 경계인 선택영역으로 구분하게 된다. 이 선택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피사체와 배경의 경계를 따라 정의될 수도 있고, 피사체를 포함하는 사각틀 형태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도 있으나, 이로써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추적대상 선택 단계(S40)는 선택영역이 부여된 피사체의 영상을 출력부(20)를 통해 출력하거나 통신부(30)를 통해 원격단말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입력부(10) 또는 원격단말을 통해 선택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받는 단계이다. 여기서, 전술한 기준값이 미리 저장된 경우는 사용자에 대한 별도의 선택과정이 본 단계(S40)를 생략하고 기준값 생성 및 변환 단계(S50)를 바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단계(S40)는 추적대상의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로 이용될 수 있다.
기준값 생성 및 변환 단계(S50)는 선택된 피사체에 대한 기준값을 생성하고, 미리 저장되는 환산값에 의해 기준값을 변환하는 단계이다. 처리부(40)는 기준값 생성 및 변환 단계(S50)에서 지정된 피사체에 대한 기준값 예를 들어, 이미지, 이미지의 크기, 좌표, 픽셀정보, 히스토그램과 같은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이미지의 크기와 좌표를 이용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피사체가 모두 포함될 수 있는 최소크기의 직사각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직사각 영역을 선택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영역의 가로 및 세로의 크기, 선택영역의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두 모서리의 가로 및 세로 좌표를 이용하여 좌표를 산출하는 것이 용이하다. 하지만, 이로써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기준값 생성 및 변환 단계(S50)에서 처리부는 생성된 기준값을 제2촬영부(7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인 추적영상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환산값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환산하여 환산기준값을 산출 된다. 일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선택영역을 이용할 때, 기준값으로 산출된 좌표와 크기에 환산값을 적용하여 추적영상에서의 좌표와 크기로 변환하게 된다.
추적 대상 피사체 확인 단계(S60)는 처리부(40)가 환산된 기준값을 이용하여 추적영상에서 추적대상으로 선택된 피사체를 탐색하여 특정하는 단계이다. 이 추적 대상 피사체 확인 단계(S60)에서 추적대상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처리부(40)는 감시영상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재생성하거나, 미리 저장된 기준값의 갱신을 사용자에게 요청하게 된다.
구동 제어에 의한 추적 단계(S70)는 처리부(40)가 추적영상에 지정된 피사체의 크기 변화, 위치 변화를 판단하여 제2촬영부(70)에 대한 줌/팬/틸트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추적대상에 대한 추적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이 구동 제어에 의한 축적단계(S70)에서 처리부(40)는 미리 정해진 해상도 또는 크기로 추적대상의 영상이 유지되도록 추적대상의 크기와 위치 비교를 수행한다. 이러한 크기 또는 위치 비교는 이전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 표시되는 추적대상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처리부(40)는 각 프레임 단위로 추적대상에 대해 비교를 위한 기준값을 산출하고, 각 프레임별 기준값을 비교하여 추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추적단계(S70)에서 처리부(40)는 추적대상에 대해 선택영역을 산출하고, 선택영역에 대한 좌표값과 크기를 산출하여, 좌표값의 변화 및 크기의 변화를 통해 대상의 이동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추적대상에 산출된 크기가 이전 프레임에 대해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처리부(40)는 제2촬영부(70)의 줌기능을 제어하며, 좌표값이 이전과 달라지는 경우 좌표값이 변경된 수평 또는 수직방향을 산출하고 팬/틸팅 기능을 제어하여 추적대상을 추적하게 된다. 이러한 줌/팬/틸팅 제어는 복합적으로 수행되고 추적대상의 변화 정도에 따라 제어 빈도를 조절할 수 있다.
추적유지 판단단계(S80)는 추적 중지를 위한 명령이 입력되거나 추적대상이 감시영역 밖으로 이탈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추적을 중지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 추적유지 판단 단계(S80)에서 추적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부(40)는 구동 제어에 의한 추적단계(S70)를 지속하여 추적대상을 추적하고, 추적을 중지하는 경우 감시영상 생성 단계(S10) 및 이후의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려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입력부
20 : 출력부
30 : 통신부
40 : 처리부
50 : 촬영부
60 : 제1촬영부
70 : 제2촬영부
90 : 저장부
91 : 선택영역
92 : 피사체

Claims (12)

  1. 미리 정해진 범위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감시영상을 생성하는 제1촬영부;
    상기 범위에 대해 상기 제1촬영부와 별도로 추적영상을 생성하는 제2촬영부;
    상기 제1촬영부 또는 상기 제2촬영부의 구동 제어를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감시영상에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피사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피사체 중 미리 저장되는 설정값에 대응되는 상기 피사체 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상기 피사체를 상기 추적영상에서 확인하고, 상기 추적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크기 또는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피사체의 크기 또는 위치가 변한 경우 상기 제2촬영부의 줌/팬/틸트 기능을 제어하여 상기 피사체를 추적하도록 제어하는 처리부; 및
    상기 감시영상 및 상기 추적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피사체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상기 감시영상에서 상기 피사체를 구분하는 선택영역을 부여하고, 상기 선택영역이 부여된 상기 감시영상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선택된 상기 피사체 또는 상기 선택영역의 좌표값을 포함하는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값에 상기 제1촬영부와 상기 제2촬영부에서 촬영되는 영상간 영상값을 일치시키기 위한 환산값을 적용하여 환산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환산기준값에 의해 상기 추적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개체인 추적대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추적영상에서 상기 환산기준값에 대응되는 상기 추적대상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기준값을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추적영상에서 상기 추적대상에 대한 상기 기준값을 미리 정해진 프레임 단위로 산출하고,
    상기 프레임별 상기 기준값에 포함된 좌표값의 변화를 통해 상기 추적대상의 크기 또는 위치변화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추적대상의 크기 또는 위치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추적대상의 영상크기가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으로 유지되거나, 상기 추적대상의 영상 해상도가 미리 정해진 해상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2촬영부의 줌/팬/틸트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7. 제1촬영부, 제2촬영부, 처리부, 입력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촬영부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어 감시영상이 생성되는 감시영상 생성 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감시영상에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피사체를 추출하고, 미리 저장된 설정값에 대응되는 상기 피사체 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되는 상기 피사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추적여부 판단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설정값에 대응되는 상기 피사체 또는 선택되는 상기 피사체에 대응되는 추적대상을 상기 제2촬영부에 의해 생성되는 추적영상에서 확인하는 추적대상 확인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추적대상의 크기 또는 위치변화를 확인하여 상기 제2찰영부가 상기 추적대상을 추적하여 상기 추적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추적단계; 및
    상기 출력부가 상기 감시영상 및 상기 추적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처리부기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피사체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상기 감시영상에서 상기 피사체를 구분하는 선택영역을 부여하고, 상기 선택영역이 부여된 상기 감시영상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대상 확인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선택된 상기 피사체 또는 상기 선택영역의 좌표값을 포함하는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값에 상기 제1촬영부와 상기 제2촬영부에서 촬영되는 영상간 영상값을 일치시키기 위한 환산값을 적용하여 환산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환산기준값에 의해 상기 추적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에 대응되는 개체인 상기 추적대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대상 확인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추적영상에서 상기 환산기준값에 대응되는 상기 추적대상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기준값을 재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추적영상에서 상기 추적대상에 대한 상기 기준값을 미리 정해진 프레임 단위로 산출하고, 상기 프레임별 상기 기준값에 포함된 좌표값의 변화를 통해 상기 추적대상의 크기 또는 위치변화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추적대상의 크기 또는 위치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추적대상의 영상크기가 미리 지정된 크기 이상으로 유지되거나, 상기 추적대상의 영상 해상도가 미리 정해진 해상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2촬영부의 줌/팬/틸트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
KR1020180032249A 2018-03-20 2018-03-20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 KR20190110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249A KR20190110369A (ko) 2018-03-20 2018-03-20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249A KR20190110369A (ko) 2018-03-20 2018-03-20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369A true KR20190110369A (ko) 2019-09-30

Family

ID=6809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249A KR20190110369A (ko) 2018-03-20 2018-03-20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03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871A (ko) * 2021-01-16 2022-07-25 강소영 감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109A (ko) 2009-03-13 2010-09-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방위 카메라 및 팬/틸트/줌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감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109A (ko) 2009-03-13 2010-09-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방위 카메라 및 팬/틸트/줌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감시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871A (ko) * 2021-01-16 2022-07-25 강소영 감시장치
KR20220103885A (ko) * 2021-01-16 2022-07-25 강소영 영상을 이용한 감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8173B (zh) 视频处理装置、视频处理方法和存储介质
JP4140591B2 (ja)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CN111355884B (zh) 监控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190698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530255B1 (ko) 객체 자동 추적 장치가 구비된 cctv 시스템
KR20050051575A (ko) 촬영 장치와 그 방법, 감시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KR101347450B1 (ko)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 감지 방법 및 장치
CN106713740B (zh) 定位跟踪摄像方法与系统
JP2007081754A (ja) カメラ雲台装置
US10122984B2 (en) Pan/tilt/zoom camera based video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JP4736381B2 (ja) 撮像装置及び方法、監視システム、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6127571A (ja) カメラ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31355B2 (en) Method of system for image stabilization through image processing, and zoom camera including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EP3745718B1 (en) Method of controlling pan-tilt-zoom camera by using fisheye camera and monitoring system
JP3741136B2 (ja) 障害物適応投射型表示装置
JP6265602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20150019230A (ko)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추적 방법 및 장치
KR20190110369A (ko) 지정 피사체의 자동 추적이 가능한 지능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촬영 방법
KR101670247B1 (ko) Cctv 실시간 영상의 원클릭 선택을 이용한 객체 확대 이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43484A (ko) 팬틸트줌 카메라를 이용한 이벤트 감지방법 및 장치
KR101341632B1 (ko) 줌 카메라의 광축 오차 보상 시스템, 그 보상 방법
JPWO2015141185A1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838634B2 (en) Method of generating a digital video image using a wide-angle field of view lens
KR101873257B1 (ko) 카메라 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272631B1 (ko) 이동물체 감지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