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314B1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314B1
KR102291314B1 KR1020190168178A KR20190168178A KR102291314B1 KR 102291314 B1 KR102291314 B1 KR 102291314B1 KR 1020190168178 A KR1020190168178 A KR 1020190168178A KR 20190168178 A KR20190168178 A KR 20190168178A KR 102291314 B1 KR102291314 B1 KR 102291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function
external devic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707A (ko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8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3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용 키나 모바일 기기와 같은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과 근거리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외부 기기와 차량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시각적인 출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알 수 있게 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외부 기기로부터 제1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차량의 외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는 램프 유닛; 및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가 제1임계거리 이하이면 상기 요청된 제1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상기 램프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차량용 키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키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들이 출시되고 있는바, 스마트 키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은 통신 가능한 위치에서 차량용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특정 액션을 취했을 경우 해당 액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키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격에서 차량용 키를 조작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RKE(Remote Keyless Entry) 시스템과 차량에 인접한 위치에서 사용자가 도어의 키 홈에 키를 삽입하지 않고서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PKE(Passive Keyless Entry)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도난 방지를 위해 창문을 업/다운시키는 세이프티(safety) 기능,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한 후 차량을 전진/후진시키는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Remote Smart Parking Assistance: RSPA) 기능 등이 차량용 키와 연계되어 수행될 수 있다.
차량용 키나 모바일 기기와 같은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과 근거리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외부 기기와 차량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시각적인 출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알 수 있게 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외부 기기로부터 제1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차량의 외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는 램프 유닛; 및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가 제1임계거리 이하이면 상기 요청된 제1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상기 램프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제1커버리지를 갖는 제1신호와 제2커버리지를 갖는 제2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신호 또는 상기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LF 모듈, RF 모듈, 블루투스 모듈 및 UWB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모바일 기기 및 차량용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2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상기 램프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1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상기 램프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3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상기 램프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기능은, 윈도우 업/다운 기능, 원격 주차 보조 기능 및 도어에 마련된 버튼을 이용한 도어 개폐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주기, 밝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외부 기기로부터 제1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차량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시키고;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가 제1임계거리 이하이면 상기 요청된 제1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1커버리지를 갖는 제1신호와 제2커버리지를 갖는 제2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1신호 또는 상기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신호와 상기 제2신호는, LF 신호, 블루투스 신호 및 UWB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모바일 기기 및 차량용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차량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2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차량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1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차량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3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능은, 윈도우 업/다운 기능, 원격 주차 보조 기능 및 도어에 마련된 버튼을 이용한 도어 개폐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주기, 밝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차량용 키나 모바일 기기 등의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과 근거리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와 차량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시각적인 출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을 알 수 있게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적용되는 기능 별 임계 거리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램프 유닛의 점등 패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신부에서 송신하는 탐색 신호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51, 52),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71)와 윈도우(73),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30), 운전자에게 후방 및 측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81)를 포함한다.
차륜(51, 5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5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52)을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 장치(60)는 차량(100)이 이동하도록 전륜(51) 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차량(100)이 전륜 구동 방식인 경우에는 전륜(51)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후륜 구동 방식인 경우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또한, 차량(100)이 사륜 구동 방식인 경우에는 전륜(51)과 후륜(52)에 모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 또는 축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채용할 수 있고, 엔진과 모터를 모두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어(71)는 차량(10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운전자 및 동승자를 통틀어 사용자라 지칭하기로 한다.
사이드 미러(81)는 차량(100)의 도어(71)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의 측방 및 후방에 대한 시각 정보를 제공한다.
각각의 도어(71)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72)가 마련될 수 있다. 종래에는 손잡이 근처에 마련된 키 홈에 차량용 키를 삽입하여 도어(71)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사용자가 원격에서 차량용 키(200)를 조작하여 도어(71)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는, 차량용 키(200)가 차량(100)과 근접한 거리에 있으면 사용자가 도어(71)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72)를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도 있다. 전술한 예시는 모두 차량(100)과 차량용 키(200) 사이의 인증이 완료된 것을 전제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시보드(10)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11)에는 헤드유닛(50)이 마련될 수 있다. 헤드유닛(50)은 오디오 기능 또는 비디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헤드유닛(50)을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라고도 한다.
헤드유닛(50)은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해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같은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유닛(50)이 와이파이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통신부(110)의 일부가 헤드 유닛(50)에 포함되거나, 헤드유닛(50)과 연결될 수 있다.
운전석(21L) 쪽의 대시보드(10)에는 스티어링 휠(27)이 마련되며, 스티어링 휠(27)과 인접한 영역에 차량(100)의 시동을 온(ON)/오프(OFF)하는 시동 버튼(17)이 마련될 수 있고, 차량용 키(200)와 차량(100) 간의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시동 버튼(17) 조작에 의해 차량(100)의 기능 일부 또는 시동이 온(ON)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적용되는 기능 별 임계 거리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외부 기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10), 차량의 외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는 램프 유닛(40),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고,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하도록 램프 유닛(40)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외부 기기는 차량용 키(200)일 수도 있고, 차량용 키(200)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바일 기기(300)일 수도 있다. 차량용 키(200)는 스마트 키 또는 포브(FOB)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버튼이 마련된 외관 또는 카드 형태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명칭이나 외관에 상관없이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키이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에서 사용되는 차량용 키(200)가 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300)가 차량용 키(200)의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300)에는 차량용 키(200)로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바, 모바일 기기(300)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판매될 수도 있고 판매 이후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300)가 차량용 키(200)로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증절차를 거칠 수 있다.
차량용 키(200)는 차량(100)과 함께 판매될 수 있으며, 차량(100)과의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차량용 키(200)는 차량(100)의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차량(100)이 판매될 때에만 함께 판매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차량(100)의 판매 이후에도 해당 차량(100)에 대응되는 차량용 키(200)가 해당 차량(100)의 사용자에게 추가로 더 판매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10)는 차량용 키(200) 또는 모바일 기기(300)와 무선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것으로서, RF(Radio Frequency) 모듈, LF(Low Frequency) 모듈, 블루투스 모듈 및 UWB(Ultra Wide Band)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은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일 수 있다.
외부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는 차량(100)으로부터 송신된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및 특정 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용 키(200)로부터 송신된 특정 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71)의 잠금/해제, 도난 방지를 위해 윈도우(73)를 업/다운시키는 세이프티(safety) 기능, 사용자가 차량(100)에서 하차한 상태에서 차량(100)을 전진/후진시키는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RSPA: Remote Smart Parking Assistance), 트렁크 도어(75)의 잠금 해제 등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외부 기기와 차량(1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제약 사항이 있는바, 이는 국가 별로 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국가에서는 외부 기기의 조작을 통한 도어(71)의 잠금/해제 기능은 30m 이상의 원거리에서도 수행 가능하고, 외부 기기의 조작을 통한 원격 윈도우(73)의 업/다운 기능이나 RSPA 기능은 사용자가 차량(100)과 6m 이내의 근거리에서만 수행 가능하도록 규제되고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가 송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고,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해당 국가의 규제에 따라 허용되는 기능은 수행하고, 허용되지 않는 기능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으로부터의 거리를 제1임계거리(D1)와 제2임계거리(D2>D1)로 구분할 수 있다. 외부 기기가 제1임계거리(D1) 내에 위치하면 제1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외부 기기가 제2임계거리(D2) 밖에 위치하면 제1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제어부(120)는,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램프 유닛(40)의 점등 패턴을 보고 현재 자신의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램프 유닛(40)의 점등 패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램프 유닛의 점등 패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120)는 외부 기기와 차량(1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램프 유닛(40)을 다른 패턴으로 점등할 수 있고, 주기, 색상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면 다른 점등 패턴이 될 수 있다. 외부 기기가 차량(100)으로부터 제1임계거리(D1) 내에 있는 경우에 적용되는 패턴은 제1패턴이라 하고, 외부 기기가 차량(100)으로부터 제1임계거리(D1) 밖에, 제2임계거리(D2) 내에 있는 경우에 적용되는 패턴은 제2패턴이라 한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가 차량(100)으로부터 제2임계거리(D2) 내에, 제1임계거리(D1) 밖에 위치하면, 도 5의 예시와 같이, 램프 유닛(40)을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1시간(T1) 동안 점등하고, 제2시간(T2) 동안 소등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고, 램프의 밝기는 P1으로, 램프의 색상은 C1으로 점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제2패턴으로 점등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보고, 자신이 제1기능의 수행 불가 지역과 수행 가능 지역 사이에 위치하여 차량(100)이 외부 기기를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가 차량(100)으로부터 제1임계거리(D1) 내에 위치하면, 도 6의 예시와 같이, 램프 유닛(40)을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1시간(T1) 동안 점등하고, 제3시간(T3) 동안 소등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고, 램프의 밝기는 P1보다 밝은 P2로, 램프의 색상은 C1과 다른 C2로 점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제1패턴으로 점등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보고, 자신이 제1기능의 수행 가능 지역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제1기능은 윈도우 업/다운 기능, RSPA 기능 및 도어(71)에 마련된 버튼이나 손잡이(72)를 이용한 도어 개폐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1기능의 종류는 차량(100)이 판매되는 국가의 규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외부 기기가 차량(100)으로부터 제2임계거리(D2) 밖에 위치하더라도 외부 기기의 조작에 의한 도어(71)의 잠금/해제와 같이 원거리에서도 수행 가능한 제2기능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가 차량(100)으로부터 제2임계거리(D2) 밖에 위치하면,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점등하지 않을 수도 있고, 전술한 점등 패턴과 주기, 색상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한 점등 패턴(제3패턴)으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점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램프는 차량(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방 램프(41R, 41L)와 후방에 마련되는 후방 램프(42R, 42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100)에 마련된 램프 외에 모바일 기기(300)의 디스플레이나 차량용 키(200)에 마련된 인디케이터를 통해 현재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바일 기기(300)의 디스플레이나 차량용 인디케이터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주기, 색상, 밝기 등을 이용한 패턴을 이용할 수도 있고, 텍스트나 이모티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기기와 차량(100) 사이에 거리에 따라 램프 유닛(40)의 점등 패턴이나 차량용 키(200)의 인디케이터 또는 모바일 기기(300)의 디스플레이를 다르게 제어하면, 사용자는 차량(100)에 더 가까이 이동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하는 점등 패턴을 보고 현재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외부 노이즈에 의해 외부 기기에 대한 감지 거리가 줄어들게 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점등 패턴을 통해 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신부에서 송신하는 탐색 신호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외부 기기의 위치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된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의 위치, 즉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커버리지가 가변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제1커버리지를 갖는 제1신호와 제2커버리지를 갖는 제2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120)는 제1신호 또는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신호와 제2신호를 교대로 송신할 수 있다. 제1신호가 갖는 제1커버리지는 제1임계거리와 동일한 거리일 수 있고, 제2신호가 갖는 제2커버리지는 제2임계거리와 동일한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커버리지는 5m이고 제2커버리지는 6m일 수 있다. 제1신호와 제2신호가 송신되는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LF 통신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LF 통신 모듈에서 제1커버리지를 갖는 LF 신호와 제2커버리지를 갖는 LF 신호를 교대로 송신할 수 있고,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모듈에서 제1커버리지를 갖는 블루투스 신호와 제2커버리지를 갖는 블루투스 신호를 교대로 송신할 수 있다. UWB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UWB 모듈에서 제1커버리지를 갖는 UWB 신호와 제2커버리지를 갖는 UWB 신호를 교대로 송신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와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모두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외부 기기가 제2커버리지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램프 유닛(40)을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3패턴으로 점등할 수도 있고, 램프를 점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는 수신되고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는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외부 기기가 제1커버리지와 제2커버리지 사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램프 유닛(40)을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2패턴으로 점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와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모두 수신되면, 제어부(120)는 외부 기기가 제1커버리지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램프 유닛(40)을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1패턴으로 점등할 수 있다.
이러한 탐색 신호의 송신은 사용자가 외부 기기를 조작하여 제1기능을 요청하는 무선 신호를 차량이 수신했을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용 키(200)를 조작하여 원격 윈도우 업/다운 명령을 입력하면, 차량용 키(200)는 원격 윈도우 업/다운을 요청하는 신호를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가 이를 수신하면, 제어부(120)가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신호와 제2신호를 교대로 송신하여 차량용 키(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기능이 아닌 원거리에서도 수행 가능한 제2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에 탐색 신호의 송신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특정 기능을 요청하는 무선 신호가 송신되지 않더라도 탐색 신호를 송신하여 외부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점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수행 가능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별도의 언급이 없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외부 기기로부터 제1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410),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고(420),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차량(10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시키고(430),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가 제1임계거리 이하이면(440의 예), 요청된 제1기능을 수행하는 것(450)을 포함한다.
외부 기기는 차량용 키(200) 및 차량용 키(2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로부터의 제1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는 차량(100)의 통신부(110)가 수신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는 RF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10)의 RF 모듈이 제1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일 수도 있고, UWB 신호일 수도 있다. 제1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가 블루투스 신호인 경우에는 통신부(110)의 블루투스 모듈이 이를 수신하고, 제1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가 UWB 신호인 경우에는 통신부(110)의 UWB 모듈이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기능은 차량(100)이 판매되는 국가의 법에 따라 외부 기기와 차량(100) 사이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일 때에만 수행되도록 규정된 기능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거리를 제1임계거리라 한다.
예를 들어, 제1기능은 윈도우 업/다운 기능, 원격 주차 보조 기능 및 도어에 마련된 버튼을 이용한 도어 개폐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기 위해, 제어부(120)가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커버리지를 갖는 제1신호와 제2커버리지를 갖는 제2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와 제2신호가 교대로 송신될 수 있다. 제1커버리지는 제2커버리지보다 짧은 것으로 한다.
제1신호와 제2신호는 LF 신호, 블루투스 신호 및 UWB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는 제1신호 또는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기기로부터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는 수신되지 않으면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가 제1임계거리를 초과하고 제2임계거리 이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기기가 제1기능의 수행 가능 지역과 수행 불가 지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제어부(120)는 램프 유닛(40)을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2패턴으로 점등할 수 있다.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와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모두 수신되면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가 제1임계거리 이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기기가 제1기능의 수행 가능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제어부(120)는 램프 유닛(40)을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1패턴으로 점등할 수 있다.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와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모두 수신되지 않으면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가 제2임계거리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기기가 제1기능의 수행 불가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제어부(120)는 램프 유닛(40)을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3패턴으로 점등하거나, 램프를 점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예시에서 제1패턴, 제2패턴 및 제3패턴은 주기, 밝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에서는 외부 기기로부터 제1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제1기능 외에 원거리에서도 수행 가능한 제2기능과 같이 다른 특정 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도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된 거리에 따라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예시에서는 차량(100)과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램프 유닛(40)의 램프를 점등하였으나, 차량용 키(200)에 마련된 인디케이터나 모바일 기기(3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차량
110: 통신부
120: 제어부
40: 램프 유닛
200: 차량용 키
300: 모바일 기기

Claims (18)

  1. 외부 기기로부터 제1기능 및 제2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차량의 외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는 램프 유닛;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기능 또는 상기 제2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제1커버리지를 갖는 제1신호와 제2커버리지를 갖는 제2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신호 또는 상기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가 제1임계거리 이하이면 상기 요청된 제1기능 또는 상기 요청된 제2기능을 수행하고 제2임계거리 이상이면 상기 요청된 제2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임계거리는 상기 제1커버리지와 대응되고,
    상기 제2임계거리는 상기 제2커버리지와 대응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상기 램프 유닛을 제어하는 차량.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LF 모듈, RF 모듈, 블루투스 모듈 및 UWB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모바일 기기 및 차량용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2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상기 램프 유닛을 제어하는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1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상기 램프 유닛을 제어하는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3패턴으로 점등하도록 상기 램프 유닛을 제어하는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은,
    윈도우 업/다운 기능, 원격 주차 보조 기능 및 도어에 마련된 버튼을 이용한 도어 개폐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기능은,
    도어 개폐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주기, 밝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차량.
  10. 외부 기기로부터 제1기능 또는 제2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기능 또는 상기 제2기능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1커버리지를 갖는 제1신호와 제2커버리지를 갖는 제2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신호 또는 상기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차량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시키고;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가 제1임계거리 이하이면 상기 요청된 제1기능 또는 상기 요청된 제2기능을 수행하고 제2임계거리 이상이면 상기 요청된 제2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임계거리는 상기 제1커버리지와 대응되고, 상기 제2임계거리는 상기 제2커버리지와 대응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와 상기 제2신호는,
    LF 신호, 블루투스 신호 및 UWB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모바일 기기 및 차량용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차량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2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차량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1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차량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다른 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제3패턴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은,
    윈도우 업/다운 기능, 원격 주차 보조 기능 및 도어에 마련된 버튼을 이용한 도어 개폐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기능은,
    도어 개폐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주기, 밝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190168178A 2019-12-16 2019-12-16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291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178A KR102291314B1 (ko) 2019-12-16 2019-12-16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178A KR102291314B1 (ko) 2019-12-16 2019-12-16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707A KR20210076707A (ko) 2021-06-24
KR102291314B1 true KR102291314B1 (ko) 2021-08-20

Family

ID=7660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178A KR102291314B1 (ko) 2019-12-16 2019-12-16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879A (ko)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쉐어앤쉐어 차량 공유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4868A (zh) * 2021-06-28 2022-12-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和用于车辆的迎宾控制系统
CN115092045A (zh) * 2022-06-28 2022-09-23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星空顶的控制方法、控制装置、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5252A (ja) * 2002-11-28 2004-06-24 Tokai Rika Co Ltd 車両用点灯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077B1 (ko) * 2010-11-26 2013-02-27 김창진 차량에 장착가능한 차량제어모듈 및 차량제어방법
KR20180079929A (ko) * 2017-01-03 2018-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포브 키와 연동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5252A (ja) * 2002-11-28 2004-06-24 Tokai Rika Co Ltd 車両用点灯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879A (ko)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쉐어앤쉐어 차량 공유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707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314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8116366B (zh) 用于提供至少一个车门的无需用手操作的系统和方法
US9156437B2 (en) Remote starting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80118163A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device
US20220043444A1 (en) Initiation of vehicle remote park-assist with key fob
CN108307294A (zh) 用于确定移动设备相对于车厢的位置的系统和方法
JP2019031872A (ja) 車両機能制御装置
KR102487151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1267439B2 (en) Activation of valet mode for vehicles
JP5871866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JP6790917B2 (ja) キーシステムを用いた車載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キーシステム
US20190095227A1 (en) Vehicle control device
US10112580B2 (en) Vehicle key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vehicle key control method
US20150061830A1 (en) Smart entry system
US10803686B2 (en) Vehicle and vehicle system
JP2009179998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JP2015033897A (ja) 車両用照明システム
KR102597217B1 (ko) 원격 조작 장치,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486647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578196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993076B2 (en) Lighting control apparatus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10059257B2 (en) Rear trunk button localization for end user
JP717801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90118773A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server
US8330574B2 (en) Remote vehicle activ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