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712B1 -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712B1
KR102290712B1 KR1020180128632A KR20180128632A KR102290712B1 KR 102290712 B1 KR102290712 B1 KR 102290712B1 KR 1020180128632 A KR1020180128632 A KR 1020180128632A KR 20180128632 A KR20180128632 A KR 20180128632A KR 102290712 B1 KR102290712 B1 KR 102290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gulation tank
polymer latex
discharge line
tank
coag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613A (ko
Inventor
장정기
신현진
임예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2052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JP6952893B2/ja
Priority to CN201880065596.XA priority patent/CN111225738B/zh
Priority to US16/754,950 priority patent/US20200230525A1/en
Priority to EP18875077.2A priority patent/EP3708248B1/en
Priority to PCT/KR2018/013144 priority patent/WO2019093712A1/ko
Publication of KR2019005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1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in stationary drums or troughs, provided with kneading or mixing appli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6Powdering or granulating by coagulating disper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9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 B01F27/191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with simi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01F27/906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with fix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1Combinations of similar mixers, e.g.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two or more receptacles
    • B01F33/811Combinations of similar mixers, e.g.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two or more receptacles in two or more consecutive, i.e. successive, mixing receptacles or being consecutive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53Details of the reactor
    • B01J19/0066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1Processes of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f the polymerisation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rubbers
    • C08J2321/02Late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분자 라텍스와 응집제가 각각 공급되는 제1 응집조를 포함하며, 제1 응집조에는 회전축 및 회전축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임펠러를 포함하는 교반부 및 배출라인이 각각 마련되고, 제1 응집조는 교반부 작동 시 폐쇄계(closed system)로 작동하도록 마련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of polymer latex}
본 발명은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 중합 공정에 있어서 고분자 라텍스를 분체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슬로우 응집(Slow Coagulation)이 사용되며, 이 방법은 무기염(salt) 및 산(acid) 등의 응집제 수용액을 소량씩 분할 투입하여 유화제의 안정성을 깨뜨림으로써 라텍스 내의 고분자를 뭉치게 한다.
슬로우 응집 방법은, 래피드 응집(Rapid Coagulation) 방법에 비해, 입자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다. 라텍스의 고분자 입자들이 뭉치는 것을 응집(coagulation)이라 하고, 고분자 입자들이 뭉친 것을 슬러리(slurry)라고 하며, 이들은 물리적으로 약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교반기(예를 들어, 임펠러)에 의한 전단력(shear)에 의해 쉽게 파쇄되는(break-up) 현상을 보인다.
또한, 1차적으로 응집된 슬러리는 숙성(aging)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슬러리는 탈수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분체 상으로 얻어지게 된다.
통상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 중에서, 평균 입경 약 75㎛ 이하인 미세한 입자를 “파인(Fine)”이라고 하며, 평균입경이 약 800㎛ 이상의 큰 입자를 “코스(Coarse)”라고 한다. 상기 파인은 라텍스 수지 분체의 탈수기 및 건조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며, 공기 중으로 비산하기 쉬워 공정 내에서 분체의 이송과 포장에도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코스(Coarse)는 이송 및 저장의 문제가 있고, 다른 고분자 수지들과의 상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1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조장치(10)는 응집조(11)와, 응집조로 고분자 라텍스, 응집제 및 물 등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공급라인(12)과, 응집조(11) 내에 마련된 교반부(20) 및 배출라인(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응집조(11)는 개방계(open system)으로 작동하도록 마련되었다. 구체적으로, 응집조(11)는 소정 슬러리 레벨(level)로 유지되며, 응집조(11) 상부에는 공기층(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개방계에서 교반부(20)가 작동하는 경우, 교반부(20) 주변에 볼텍스(V)(Vortex) 생성으로 코스 입자가 생성된다.
본 발명은 파인과 코스 입자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균일한 전단력을 가할 수 있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분자 라텍스와 응집제가 각각 공급되는 제1 응집조를 포함하며, 제1 응집조에는 회전축 및 회전축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임펠러를 포함하는 교반부 및 배출라인이 각각 마련되고, 제1 응집조는 교반부 작동 시 폐쇄계(closed system)로 작동하도록 마련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배출라인은 제1 응집조의 상단영역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제1 응집조는 교반부 작동 시 폐쇄계(closed system)로 작동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배출라인은 제1 응집조에 접선 방향을 따라 연결된다.
또한, 배출라인은 교반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제1 응집조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각도는 45°일 수 있다.
또한, 제1 응집조에는 고분자 라텍스 및 응집제가 각각 공급되는 제1 및 제2 공급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공급라인은 제1 응집조의 하단영역에 각각 연결되며, 임펠러의 종단부 측으로 고분자 라텍스 및 응집제가 각각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는 제1 응집조로부터 배출된 고분자 슬러리가 유입되는 제2 응집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출라인은, 제2 응집조의 슬러리 레벨(level) 보다 낮은 높이에서, 제2 응집조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출라인은 제1 응집조와 연결된 제1 영역 및 제2 응집조와 연결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경계부는 제1 응집조의 최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배출라인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소정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교반부 작동 시 제1 응집조 및 배출라인은 각각 고분자 슬러리로 모두 채워진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고분자 라텍스와 응집제를 제1 응집조로 각각 공급하는 단계와, 폐쇄계(closed system)로 제1 응집조 내의 고분자 라텍스와 응집제를 교반시키는 단계 및 제1 응집조 내의 고분자 슬러리를 제2 응집조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고분자 슬러리 교반 시, 응집조가 폐쇄계(closed system)로 작동하도록 마련됨으로써, 파인과 코스 입자를 감소시킬 수 있고, 교반부를 통해 고분자 슬러리에 균일한 전단력을 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배출라인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영역의 해석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전단 속도(shear rate)의 분포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100)(이하, '제조장치'라고도 함)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배출라인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영역의 해석결과이다.
상기 제조장치(100)는 제1 응집조(110)와 복수 개의 공급라인(111, 112)과 교반부(120) 및 배출라인(1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장치(100)는 고분자 라텍스와 응집제가 각각 공급되는 제1 응집조(1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응집조(110)에는 회전축(121) 및 회전축(121)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임펠러(122)를 포함하는 교반부(120) 및 배출라인(130)이 각각 마련된다. 또한, 제1 응집조(110)는 교반부(120) 작동 시 폐쇄계(closed system)로 작동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 응집조(110)는 폐쇄계(closed system)로 작동되는 응집 탱크로 구성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C는 제1 응집조(110)의 중심축을 나타낸다.
본 문서에서 제1 응집조(110)가 폐쇄계(closed system)로 작동한다는 것은 교반부(120) 작동 시 제1 응집조(110) 및 배출라인(130)이 고분자 슬러리로 가득 채워진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응집조(110)가 폐쇄계(closed system)로 작동한다는 것은, 제1 응집조(110)의 체적의 90% 이상이 고분자 슬러리로 채워진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 제1 응집조(110)의 체적의 95% 이상이 고분자 슬러리로 채워진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제1 응집조(110)의 체적의 100%가 고분자 슬러리로 채워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응집조(110)에는 하단 영역에 공급부(102)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응집조(110)에는 하단 영역에 고분자 라텍스 및 응집제가 각각 공급되는 제1 및 제2 공급라인(111, 112)이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공급라인(111, 112)은 하나 이상의 공급원(10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급원은 예를 들어, 라텍스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응집조(110)에는 물 등이 추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공급라인(111, 112)은 제1 응집조(110)의 하단영역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공급라인(111, 112)은 제1 응집조(110)의 하단영역에, 회전축(121)의 축 방향에 평행하게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공급라인(111, 112)은 임펠러(122)(제1 응집조의 하단영역에 위치한 임펠러)의 종단부 측으로 고분자 라텍스 및 응집제가 각각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라인(130)은 제1 응집조(110)의 상단영역에 연결된다. 상기 배출라인(130)이 제1 응집조(110)의 상단영역에 연결됨으로써, 제1 응집조(110)가 용이하게 폐쇄계(closed system)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응집조(110)의 배출라인(130)은 제1 응집조(110)와 연결된 제1 영역(131) 및 제2 응집조(200)와 연결된 제2 영역(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131)과 제2 영역(132)은 소정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경계부(133, 연결부)는 제1 응집조(110)의 최상단(T)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본 문서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경계부(133)는 제1 응집조의 중심축(C) 방향(y축r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응집조(110)의 최상단(T)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배출라인(130)의 제1 영역(131)이 고분자 슬러리로 가득 채워진 상태일 때, 제1 응집조(110)의 체적의 90% 이상이 고분자 슬러리로 채워진 상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제1 응집조(110)의 체적의 95% 이상이 고분자 슬러리로 채워진 상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제1 응집조(110)의 100%가 고분자 슬러리로 채워진 상태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라인(130)은 제1 응집조(110)에 접선 방향을 따라 연결된다. 제1 응집조(110)는 원통형 실린더 형태일 수 있다. 제1 응집조(110)는 도 2에서 x축 방향과 평행한 단면 형상이 원형상일 수 있따. 이러한 구조에서, 제1 영역(131)은 제 1 응집조(110)에 접선 방향을 따라 연결된다. 상기 접선방향이라 함은 제1 응집조(110)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제1 응집조(110)의 접선 방향으로 연결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배출라인(130)은 교반부(120)의 회전축(121)(또는 제1 응집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제1 응집조(11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131)은 교반부(120)의 회전축(121)(또는 제1 응집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제1 응집조(110)에 연결된다.
또한, 고분자 슬러리가 배출라인(130)을 가득 채운 상태에서 고분자 슬러리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각도(θ)는 약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출 라인(130)을 제1 응집조(110)에 연결하는 경우, 배출 유동 속도(outlet flow rate)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장치(100)는 제1 응집조(110)로부터 배출된 고분자 슬러리가 유입되는 제2 응집조(2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응집조(200)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일반적인 응집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응집조(200)는 교반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 내에 마련된 교반부(220) 및 상기 하우징(210)과 연결된 배출라인(2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응집조(200)은 개방계(open system)로 작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응집조(110)의 배출라인(130)은 제2 응집조(200)의 슬러리 레벨(level)(L) 보다 낮은 높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교반부(120) 작동 시 제1 응집조(110) 및 배출라인(130)이 고분자 슬러리로 가득 채워진 상태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는 복수 개의 제1 응집조(110, 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제1 응집조(110, 110')는 함께 폐쇄계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원(101)과 연결된 제1 응집조(110)의 배출라인(130)은 인접하는 제1 응집조(110')의 공급부(102')로 연결된다. 이때, 공급원(101)과 연결된 제1 응집조(100)의 배출라인(130)은, 제1 영역(131)이 제1 응집조(110)의 상단영역에서 인출되고, 제2 영역(132)이 인접하는 제1 응집조(110')의 하단영역의 공급부(102')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조장치(100)를 이용하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이하, '제조방법'이라고도 함)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고분자 라텍스와 응집제를 제1 응집조(110)로 각각 공급하는 단계와, 폐쇄계(closed system)로 제1 응집조(110) 내의 고분자 라텍스와 응집제를 교반시키는 단계 및 제1 응집조 내의 고분자 슬러리를 제2 응집조(200)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응집조(110) 내의 고분자 슬러리는, 제2 응집조(200)의 슬러리 레벨(L)보다 낮은 높이에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반 시, 제1 응집조(110)는 고분자 슬러리로 가득 채워진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전단 속도(shear rate)의 분포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부호 E1은 기존응집을 나타내고, 부호 E2는 신규응집을 나타낸다. 이때, '기존응집'은 도 1에서 설명한 개방계(open system)로 작동하는 응집조에서의 전단 속도의 분포비율을 나타내고, '신규응집'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조장치를 이용한 결과로서, 폐쇄계(closed system)로 작동하는 응집조에서의 전단 속도의 분포비율을 나타내며, 폐쇄계로 작동시키는 경우에 전단 속도의 분포 비율이 고르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고분자 라텍스와 응집제가 각각 공급되는 제1 응집조를 포함하며,
    제1 응집조에는 회전축 및 회전축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임펠러를 포함하는 교반부 및 배출라인이 각각 마련되고,
    배출라인은 제1 응집조의 상단영역에 연결되며,
    제1 응집조는 교반부 작동 시 폐쇄계(closed system)로 작동하도록 마련되고,
    배출라인은 제1 응집조의 중심축에 대하여 제1 응집조에 접선 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교반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제1 응집조에 연결되며,
    제1 응집조로부터 배출된 고분자 슬러리가 유입되는 제2 응집조를 추가로 포함하며,
    배출라인은 제2 응집조의 슬러리 레벨(level) 보다 낮은 높이에 연결되고,
    배출라인은 제1 응집조와 연결된 제1 영역 및 제2 응집조와 연결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소정 각도로 연결되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경계부는 제1 응집조의 최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응집조에는 고분자 라텍스 및 응집제가 각각 공급되는 제1 및 제2 공급라인이 연결되고,
    제1 및 제2 공급라인은 제1 응집조의 하단영역에 각각 연결되며, 임펠러의 종단부 측으로 고분자 라텍스 및 응집제가 각각 공급되도록 마련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45°인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교반부 작동 시 제1 응집조 및 배출라인은 고분자 슬러리로 모두 채워진 상태인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KR1020180128632A 2017-11-08 2018-10-26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90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20064A JP6952893B2 (ja) 2017-11-08 2018-11-01 高分子ラテックス樹脂粉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201880065596.XA CN111225738B (zh) 2017-11-08 2018-11-01 生产聚合物胶乳树脂粉末的设备和方法
US16/754,950 US20200230525A1 (en) 2017-11-08 2018-11-0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Latex Resin Powder
EP18875077.2A EP3708248B1 (en) 2017-11-08 2018-11-01 Method for preparing polymer latex resin powder
PCT/KR2018/013144 WO2019093712A1 (ko) 2017-11-08 2018-11-01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939 2017-11-08
KR20170147939 2017-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613A KR20190052613A (ko) 2019-05-16
KR102290712B1 true KR102290712B1 (ko) 2021-08-19

Family

ID=66672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632A KR102290712B1 (ko) 2017-11-08 2018-10-26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230525A1 (ko)
EP (1) EP3708248B1 (ko)
JP (1) JP6952893B2 (ko)
KR (1) KR102290712B1 (ko)
CN (1) CN1112257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2430A1 (de) 2016-11-15 2018-05-17 Gardner Denver Deutschland Gmbh Seitenkanalverdichter
CN112142881B (zh) * 2020-10-21 2024-05-03 辽宁金发科技有限公司 一种abs接枝胶乳的凝聚方法及其所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25B1 (ko) 2001-01-04 2003-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단조 연속 응집 공정
JP2006045292A (ja) * 2004-08-02 2006-02-16 Kaneka Corp ゴム状重合体粒子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1519A (en) * 1945-05-25 1949-12-20 Standard Oil Dev Co Coagulation of butadiene-acrylo-nitrile copolymers
US2495147A (en) * 1946-06-18 1950-01-17 Firestone Tire & Rubber Co Coagulation process and apparatus
JPS5798503A (en) * 1980-12-09 1982-06-18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Method for coagulating thermoplastic resin latex
JP3313026B2 (ja) * 1995-07-04 2002-08-1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ジエン系重合体ゴムラテックスの凝集肥大化方法、グラフト重合体および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0239315A (ja) * 1999-02-16 2000-09-05 Mitsubishi Rayon Co Ltd 重合体の製造方法
DE19953301A1 (de) * 1999-11-05 2001-05-10 Bayer Ag Feste Partikel
KR100428638B1 (ko) * 2001-09-13 2004-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
US20070219294A1 (en) * 2004-03-08 2007-09-20 Kaneka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coagulated particles from latex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KR100684424B1 (ko) * 2004-10-19 2007-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상압 완속 응집-가압 숙성공정을 이용한 고분자 라텍스수지 분체의 제조방법
WO2011122658A1 (ja) * 2010-03-30 2011-10-06 栗田工業株式会社 水処理装置
US9028730B2 (en) * 2013-03-15 2015-05-12 Purolite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uniform polymer beads of various siz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25B1 (ko) 2001-01-04 2003-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단조 연속 응집 공정
JP2006045292A (ja) * 2004-08-02 2006-02-16 Kaneka Corp ゴム状重合体粒子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1065A (ja) 2021-01-14
CN111225738B (zh) 2022-04-08
EP3708248A1 (en) 2020-09-16
EP3708248A4 (en) 2020-09-16
EP3708248B1 (en) 2024-07-10
KR20190052613A (ko) 2019-05-16
JP6952893B2 (ja) 2021-10-27
US20200230525A1 (en) 2020-07-23
CN111225738A (zh)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9535B2 (en) Rapid stirring machine
KR102290712B1 (ko)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5579478B (zh) 制备树脂粉末的方法和用于该方法的一体化凝固器
JP6357008B2 (ja) 泡破壊翼付きミキサー
US6431742B2 (en) Continuous mixing apparatus with upper and lower disk impellers each having scrapers
JP6770949B2 (ja) 急速撹拌機の制御方法および急速撹拌機
CN110691679B (zh) 利用连续液体混合来捏合弹性体复合材料
JP2008168215A (ja) 二段式凝集混和槽
KR102096273B1 (ko)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6133029B (zh) 乳液聚合胶乳凝聚粒子的制造方法、乳液聚合胶乳凝聚体和乳液聚合胶乳凝聚粒子
KR101583752B1 (ko) 에폭시 수지내 고용량의 베타형 나노입자 고속 분산방법
JP5905994B2 (ja) 高分子ラテックス樹脂粉体の製造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ラテックス樹脂粉体の製造方法
JPH02239911A (ja)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の湿潤パウダーの連続製造法
CN209997537U (zh) 一种油墨分散搅拌装置
CN105498586A (zh) 一种用于聚氯乙烯树脂生产的预混槽
US5977295A (en) Continuous process for preparing polytetrafluoroethylene wet powder
KR101785767B1 (ko)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
KR101711243B1 (ko) 고분자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WO2019093712A1 (ko)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Özcan‐Taşkın Dispersion of fine powders in liquids: Particle incorporation and size reduction
JP2023067861A (ja) 中空樹脂粒子の製造方法
CN104174313A (zh) 一种用于工业原料制备上的机电搅拌装置
KR100961728B1 (ko) 비드의 흡착이 방지되는 습식 분쇄분산기
CN116766434A (zh) 混合机的控制方法以及载体制造方法
CN113164894A (zh) 用于提供含有颗粒的均匀浆料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