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546B1 -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 Google Patents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546B1
KR102290546B1 KR1020190165828A KR20190165828A KR102290546B1 KR 102290546 B1 KR102290546 B1 KR 102290546B1 KR 1020190165828 A KR1020190165828 A KR 1020190165828A KR 20190165828 A KR20190165828 A KR 20190165828A KR 102290546 B1 KR102290546 B1 KR 102290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oupled
transport mechanism
whole body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775A (ko
Inventor
김지용
Original Assignee
김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용 filed Critical 김지용
Priority to KR1020190165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5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2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by both hand and foot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28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exible drive members, e.g.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에 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팔과 다리의 왕복운동을 통해 수송기구의 바퀴를 회전하여 추진하는 친환경적인 수송기구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사람의 팔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핸들과 결합되는 스템; 사람의 다리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클릿페달과 결합되는 풋스템; 상기 스템과 상기 풋스템을 연결하고, 브라켓과 결합되는 크랭크; 및 상기 스템과 상기 풋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추진력을 생성하는 구동계;를 포함한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transporter using whole-body muscle}
본 발명은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에 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팔과 다리의 왕복운동을 통해 수송기구의 바퀴를 회전하여 추진하는 친환경적인 수송기구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발명 001은 패달링이나 조향없이는 측면으로 넘어지는 2륜 자전거와 달리 자동차와 같이 안정적이면서 편안하게 주행할 수 있으며 오르막 주행시에 체중부하를 실어 내리누르지 않고 대퇴부 근육을 이용하여 전방으로 밀어 구동륜을 구동시킴에 따라 탑승자의 근력, 체력 및 심폐지구력이 증대되도록 함과 동시에 다이어트효과까지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짧은 거리에 걸쳐 간단한 구조의 전동유닛이 설치될 수 있는 전륜구동식 리컴번트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2는 앞바퀴 굴림 안전 자전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앞바퀴를 지지하는 포크 및 뒷바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체; 앞바퀴의 회전 중심축에 결합 되어 회전하는 구동 스프라켓; 구동 스프라켓을 돌리는 페달이 달려 있는 크랭크 암; 구동 스프라켓에 연동하는 피동 스프라켓; 프레임을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하는 제1 힌지축 및 그 제1 힌지축을 결합하는 힌지편; 힌지편과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힌지축; 지지 프레임의 상부 쪽에 안착된 시트 및 상기 시트를 뒷바퀴를 중심으로 지지하는 시트 스테이;를 포함함으로써, 페달링 동력을 앞바퀴에 직접 전달하거나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주행 가능하고 자전거 전체 길이를 짧게 하여 접고 펼치기 용이하며 앉은 자세의 중심을 낮추어 잘 넘어지지 않는 안전한 자전거를 제공한다.
특허발명 003은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긴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전, 후방 하부에 설치되는 전, 후방거치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등받이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다리운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은 하체운동이 꼭 필요한 사용자가 다른 운동기구보다 하체운동을 쉽게 운동할 수 있으며, 하체운동뿐 아니라 복근운동, 손잡이를 당기는 것으로 상체운동까지 가능하고, 지지대에 결합된 등받이가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항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 길에 맞춰 등받이 위치가 조정되는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KR 10-1583053 (등록일자 2015년12월30일) KR 10-1709132 (등록일자 2017년02월16일) KR 10-1783154 (등록일자 2017년09월22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반적인 자전거와는 달리 사람의 하체 뿐 아니라, 상체도 함께 이용하여 추진할 수 있는 전신근육을 이용한 수송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사람의 팔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핸들과 결합되는 스템; 사람의 다리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클릿페달과 결합되는 풋스템; 상기 스템과 상기 풋스템을 연결하고, 브라켓과 결합되는 크랭크; 및 상기 스템과 상기 풋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추진력을 생성하는 구동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템과 상기 풋스템의 불필요한 구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스템 및 상기 풋스템과 결합되는 등각유지대;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계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풀리와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결합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과 연결되는 체인링;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에 연결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는 벨트; 및 상기 풋스템과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과 베어링으로 연결된 상태로 왕복 운동을 하여 상기 벨트에 동력을 전달하는 키홀박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홀박스는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는 원형 고리부; 및 상기 벨트와 연결되는 동력 전달부;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래칫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벨트에 일 방향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홀박스는 상기 벨트의 불필요한 구동을 제한하는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인링은 14T로 구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에 대한 발명이며, 앞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계는 상기 체인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카세트 스프라켓이 장착되는 허브바디; 및 상기 허브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는 베벨기어를 이용한 디퍼렌셜;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에 대한 발명이며, 앞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허브바디는 양 측면에서 구동축과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은 액슬과 연결되며, 상기 액슬의 회전에 의해 바퀴가 회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에 대한 발명이며, 앞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슬은 상기 구동축과 래칫구조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는 리컴번트형 자전거와는 달리 상체를 굽히거나 기울이지 않기 때문에 보다 편한자세로 탑승할 수 있고, 전방주시를 효과적으로 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제공한다.
또 다른 효과로는 에너지 전달 효율이 일반적인 자전거와 같은 수송기구보다 높고 구동원리가 간단하여 제작 및 수리에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들간의 결합에 있어 마찰, 저항이 발생하여 동력 전달 효율이 저하될 수 있지만, 전신의 근육을 이용하기 때문에 보다 큰 에너지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기구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기구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진 상태의 브라켓과 프레임의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기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홀박스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홀박스와 연계된 구동부품들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바디와 구동축 및 액슬이 결합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바디의 내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기구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기구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어진 상태의 브라켓과 프레임의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기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홀박스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홀박스와 연계된 구동부품들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바디와 구동축 및 액슬이 결합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바디의 내부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를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는 사람의 팔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핸들(110)과 결합되는 스템(100); 사람의 다리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클릿페달(210)과 결합되는 풋스템(200); 상기 스템(100)과 상기 풋스템(200)을 연결하고, 브라켓(310)과 결합되는 크랭크(300); 및 상기 스템(100)과 상기 풋스템(20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추진력을 생성하는 구동계;를 포함한다.
스템(100)의 일단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핸들(110)과 결합되어, 팔 힘을 이용하여 핸들(110)에 동력을 제공하고 핸들(110)을 통해 수송기구에 추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릿페달(210)을 일단에 결합하는 풋스템(200)은 다리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여 수송기구에 추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스템(100)과 풋스템(200)은 크랭크(300)로 연결되어 동력을 함께 생성할 수 있다. 크랭크(300)는 브라켓(310)과 스핀들(320)을 통해 축결합된다.
또한 핸들(110)과 클릿페달(210)을 거쳐, 스템(100)과 풋스템(200)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수송기구가 구동하는 추진력을 생성하는 구동계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스템(100)과 상기 풋스템(200)의 불필요한 구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스템(100) 및 상기 풋스템(200)과 결합되는 등각유지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110)과 클릿페달(210)의 움직임은 수송기구의 진행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수직운동은 동력생성에 있어 불필요한 구동이므로 이를 제한하여 에너지 생성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에 등각유지대(400)의 양단에 스템(100)과 풋스템(200)을 결합하여 스템(100)과 풋스템(200)의 운동의 자유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계는 프레임(600)에 결합되는 제1 풀리(510)와 제2 풀리(520); 상기 제1 풀리(510)와 결합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과 연결되는 체인링(530); 상기 제1 풀리(510)와 제2 풀리(520)에 연결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는 벨트(540); 및 상기 풋스템(200)과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310)과 베어링으로 연결된 상태로 왕복 운동을 하여 상기 벨트(540)에 동력을 전달하는 키홀박스(550);를 포함하는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구동계는 핸들(110)과 클릿페달(210)을 거쳐서, 스템(100)과 풋스템(200)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수송기구가 구동될 수 있는 추진력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구동계는 제1 풀리(510), 제2 풀리(520), 체인링(530), 벨트(540), 키홀박스(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풀리(510)와 제2 풀리(520)는 무한궤도를 이루는 벨트(540)로 연결되어 있고, 제1 풀리(510)는 체인링(530)과 직결되어 있어 제1 풀리(510)의 회전에 의하여 체인링(53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체인링(530)에는 체인이 연결되어 있으며, 체인은 카세트 스프라켓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카세트 스프라켓의 회전은 앞 바퀴의 회전에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벨트(540)에 직접 동력을 전달하는 키홀박스(550)는 클릿페달(210)을 매개로 하여 풋스템(20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풋스템(200)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키홀박스(550)도 운동하여 벨트(540)에 일 방향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풀리(510)와 제2 풀리(520) 및 키홀박스(550)의 배치 방향은 일정하다. 다시말해, 제1 풀리(510)와 제2 풀리(520)은 프레임(600)상에서 위로 돌출되어 있는 마운트에 축결합되어 있다. 제1 풀리(510)는 제1 마운트(610)와 축결합되어 있고, 제2 풀리(520)는 제2 마운트(620)과 축결합되어 있다. 프레임(600)은 항상 지면과 평행한 방향이므로, 제1 풀리(510) 및 제2 풀리(520)는 조향과정에서 크랭크(300)와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310)이 기울어지더라도, 배치 방향은 항상 일정하다. 나아가 키홀박스(550)도 브라켓(310)과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있어, 브라켓(310)이 기울어지더라도 키홀박스(550)의 배치는 중력에 의해 항상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
도3을 참조하면, 키홀박스(500)가 왕복하는 브라켓(310)의 일 부분은 프레임(600)의 제3 마운트(630) 및 제2 마운트(62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구성과 베어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브라켓(310)이 기울어지더라도 프레임(600)은 항상 지면과 평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키홀박스(550)의 왕복운동을 이용한 구동방식은 사람의 다리 길이에 따라서 키홀박스(550)의 왕복 거리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체인링(530)의 회전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추가나 교체가 없더라도 다리의 왕복 거리가 긴 사람은 큰 기어비가, 반대인 경우에는 작은 기어비가 자동적으로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키홀박스(550)는 상기 브라켓(310)과 연결되는 원형 고리부(551); 및 상기 벨트(540)와 연결되는 동력 전달부(552);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552)는 래칫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벨트(540)에 일 방향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키홀박스(550)는 벨트(54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브라켓(310)의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하는 원형 고리부(551)와 벨트(54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 고리부(551)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형상이며, 바람직하게는 도넛 형상일 수 있다. 개방된 공간에 브라켓(310)이 연결된 상태로 브라켓(310)의 일 부분을 왕복운동 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552)는 래칫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키홀박스(550)의 왕복운동을 통해 일 방향의 힘을 벨트(540)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 방향의 힘을 받은 벨트(540)는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제1 풀리(510) 및 제2 풀리(5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552)는 상기 벨트(540)의 불필요한 구동을 제한하는 위치 고정부(5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6를 참조하면, 벨트(540)의 윗부분의 윗면은 동력 전달부(552)에 형성되어 있는 래칫구조와 맞닿아 있어, 키홀박스(550)로부터 일 방향의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반면, 벨트(540)의 아래부분은 동력 전달부(552)의 하부를 통과하여 무한궤도를 이룰 수 있다. 벨트(540)의 아래부분이 동력 전달부(552)의 하부를 통과할 때 벨트(540)의 불필요한 구동을 제한하기 위해 동력 전달부(552)의 개방된 공간에 위치 고정부(5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벨트(540)의 수직방향의 운동을 제한하여 에너지 전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체인링(530)은 14T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출력이 뛰어난 이용자들을 위해 40T로 구성된 체인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술한 체인링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용자의 근력 등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체인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카세트 스프라켓이 장착되는 허브바디(560); 및 상기 허브바디(560)의 내부에 구비되는 베벨기어(571)를 이용한 디퍼렌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의 전달순서를 다시 기술하면, 풋스템(200)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키홀박스(550)가 운동하고, 키홀박스(550)에 의해 벨트(540)가 구동된다. 벨트(540)는 제1 풀리(510) 및 제2 풀리(520)를 회전시키고 제1 풀리(510)와 직결되어 있는 체인링(530)이 회전된다. 체인링(530)은 체인에 연결되어 있고, 체인은 카세트 스프라켓과도 연결되어 있어, 동력을 전달한다. 카세트 스프라켓은 허브바디(560)에 장착되어 있으며, 허브바디(560)의 내부에는 베벨기어(571)를 구비한 디퍼렌셜이 형성되어진다. 디퍼렌셜은 수송기구가 회전할 때, 좌측과 우측 바퀴의 회전수를 달리하여 차체에 가해지는 로드를 최소화하여 구조의 안정성을 기하는 장치이다. 또한 도1을 보면, 기구가 회전할 때, 앞바퀴의 각도가 약간 다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코너링시 바퀴의 그립을 잃지 않기 위함이다. 디퍼렌셜과 이러한 각도의 차이는 수송기구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디퍼렌셜은 베벨기어(571)를 이용할 수 있다. 베벨기어(571)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허브바디(560)의 내부에서 액슬과 연결되는 양측의 구동축의 회전수를 달리할 수 있다.
(실시예3-2) 본 발명의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에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허브바디(560)는 양 측면에서 구동축(561)과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561)은 액슬(562)과 연결되며, 상기 액슬(562)의 회전에 의해 바퀴가 회전할 수 있다.
(실시예 3-3)본 발명의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액슬(562)은 상기 구동축(561)과 래칫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내리막길에서 중력과 같은 외력으로 인해 수송기구가 운동하거나, 관성에 의해 운동할 경우, 사람이 동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바퀴는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구동축(561)과 액슬(562)은 래칫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구동축(56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액슬(562)이 토크를 받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그러나 액슬(56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하더라도 구동축(561)은 시계방향의 토크를 받지않는다.
상술한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스템 110 : 핸들
200 : 풋스템 210 : 클릿페달
300 : 크랭크 310 : 브라켓
400 : 등각유지대 550 : 키홀박스
560 : 허브바디 561 : 구동축
562 : 액슬 600 : 프레임

Claims (9)

  1. 사람의 팔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핸들(110)과 결합되는 스템(100);
    사람의 다리로부터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클릿페달(210)과 결합되는 풋스템(200);
    상기 스템(100)과 상기 풋스템(200)을 연결하는 크랭크(300)로서, 중간에는 스핀들(320)에 의해 브라켓(310)과 축결합되는, 크랭크(300);
    상기 스템(100)과 상기 풋스템(20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추진력을 생성하는 구동계; 및
    상기 스템(100)과 상기 풋스템(200)의 불필요한 구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스템(100) 및 상기 풋스템(200)과 결합되는 등각유지대(400)로서, 일단에는 상기 스템(100)이 결합되며, 타단에는 상기 풋스템(200)이 결합되는, 등각유지대(400); 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110) 및 상기 클릿페달(210)은 진행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클릿페달(210)은 상기 브라켓(310)에 의해 구동이 제한되며, 상기 핸들(110)은 상기 등각유지대(400)에 의해 구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풋스템(200) 및 상기 크랭크(300) 사이의 각도는 상기 스템(100) 및 상기 크랭크(300) 사이의 각도와 동일하게 유지되는,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계는
    프레임(600)에 결합되는 제1 풀리(510)와 제2 풀리(520);
    상기 제1 풀리(510)와 결합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과 연결되는 체인링(530);
    상기 제1 풀리(510)와 제2 풀리(520)에 연결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는 벨트(540); 및
    상기 풋스템(200)과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310)과 베어링으로 연결된 상태로 왕복 운동을 하여 상기 벨트(540)에 동력을 전달하는 키홀박스(550);를 포함하는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홀박스(550)는
    상기 브라켓(310)과 연결되는 원형 고리부(551); 및
    상기 벨트(540)와 연결되는 동력 전달부(552);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552)는 래칫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벨트(540)에 일 방향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홀박스(550)는
    상기 벨트(540)의 불필요한 구동을 제한하는 위치 고정부(553);를 포함하는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링(530)은 14T로 구성되는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계는 상기 체인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카세트 스프라켓이 장착되는 허브바디(560); 및
    상기 허브바디(560)의 내부에 형성되는 베벨기어(571)를 이용한 디퍼렌셜;을 더 포함하는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바디(560)는 양 측면에서 구동축(561)과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561)은 액슬(562)과 연결되며, 상기 액슬(562)의 회전에 의해 바퀴가 회전하는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슬(562)은 상기 구동축(561)과 래칫구조로 연결되는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KR1020190165828A 2019-12-12 2019-12-12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KR102290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828A KR102290546B1 (ko) 2019-12-12 2019-12-12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828A KR102290546B1 (ko) 2019-12-12 2019-12-12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775A KR20210074775A (ko) 2021-06-22
KR102290546B1 true KR102290546B1 (ko) 2021-08-18

Family

ID=7660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828A KR102290546B1 (ko) 2019-12-12 2019-12-12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5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087B1 (ko) * 2006-12-05 2008-04-08 홍근봉 자전거 구동장치
KR100942912B1 (ko) * 2009-07-24 2010-02-16 김용겸 손잡이부의 전후이동에 의해 조향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노젓기식 삼륜 자전거
KR101197730B1 (ko) 2012-04-06 2012-11-09 손호진 전신운동을 위한 4륜 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555A (ko) * 2009-06-08 2010-12-16 김용겸 탠덤형 노젓기식 자전거
KR101583053B1 (ko) 2013-04-17 2016-01-06 김권 전륜구동식 리컴번트 자전거
KR101709132B1 (ko) 2014-08-14 2017-02-22 김희문 앞바퀴 굴림 안전 자전거
KR101783154B1 (ko) 2016-11-30 2017-09-28 강정모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087B1 (ko) * 2006-12-05 2008-04-08 홍근봉 자전거 구동장치
KR100942912B1 (ko) * 2009-07-24 2010-02-16 김용겸 손잡이부의 전후이동에 의해 조향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노젓기식 삼륜 자전거
KR101197730B1 (ko) 2012-04-06 2012-11-09 손호진 전신운동을 위한 4륜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775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808B2 (en) Rear-pedaling standing type bicycle structure
US8118320B2 (en) Steering mechanism for a push and pull vehicle
US10029755B2 (en) Cycle and associated components
US5280936A (en) Human powered vehicle and drive system
CA2670278C (en) Self-propelled vehicle propelled by an elliptical drive train
TWI607921B (zh) 腳踏車及相關聯部件
CA2762109C (en) Adjustable crank arms for elliptical bike and method of use
US20050248117A1 (en) Pedalling machines including scooters and driving mechanisms therefor
US5915710A (en) Human powered vehicle
US7938419B2 (en) Phase independent row motion propelled bicycle
WO2004096630A1 (en) Human-powered vehicle
KR102290546B1 (ko) 전신근육을 이용하는 수송기구
JP6538276B2 (ja) 乗手駆動車及びその機構
US20050253355A1 (en) Leverage-activated bicycle, leverage activated tricycle, leverage activated vehicle moved by electricity generated by human power
CN217348074U (zh) 玩具车
KR101197157B1 (ko) 헬스 자전거
RU2036117C1 (ru) Одноколейное двухколес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приводом от мускульной энергии
WO2017075113A1 (en) A driving and steering system and a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200290207Y1 (ko)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WO2024074989A1 (en) Wheeled vehicle
BG2837U1 (bg) Вело - скутер
CN101204979A (zh) 踏板式踏步自行车
PL178519B1 (pl) Trójkołowy pojazd napędzany siłą mięśn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