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491B1 - 에어 펌프 - Google Patents

에어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491B1
KR102290491B1 KR1020210005022A KR20210005022A KR102290491B1 KR 102290491 B1 KR102290491 B1 KR 102290491B1 KR 1020210005022 A KR1020210005022 A KR 1020210005022A KR 20210005022 A KR20210005022 A KR 20210005022A KR 102290491 B1 KR102290491 B1 KR 102290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mping
hole
intake port
ai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범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씰
Priority to KR1020210005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5/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5/04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04B45/047Pumps having electric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공기 유입에서부터 공기 배출까지의 펌프실의 유로를 일직선으로 하여 어류 심장과 같은 단순한 구조의 펌프실을 가지는 에어 펌프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펌프는,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 및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이 형성된 펌프 하우징과,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펌핑 홀과 상기 펌핑 홀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상기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로 삽입되는 공기 흡입 포트와 상기 펌핑 홀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상기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로 삽입되는 공기 배출 포트가 형성된 펌핑 베이스와,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펌핑 베이스의 양측에서 상기 펌핑 홀을 덮어 내부에 펌프실을 형성하며 가압될 시 상기 공기 흡입 포트를 통해 상기 펌프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 포트로 펌핑하는 공기펌핑부재와,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펌핑부재가 상기 공기 흡입 포트를 통해 상기 펌프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 포트로 펌핑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펌핑부재를 가압하는 전기진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 포트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는 개구방향이 일직선상에서 일치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에어 펌프{AIR PUMP}
본 발명은 에어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매트리스, 에어 베개, 에어 튜브 등에 공기를 주입하는데 사용되는 에어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침대 프레임과, 상기 침대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 설치되어 사용자를 지지하는 매트리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트리스는 사용자의 하중을 쿠션력으로 지지하기 위해, 내부에 복수개의 스프링이 설치되거나, 라텍스 폼과 같은 자체 쿠션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매트리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기는 하나, 내부에 물 또는 공기가 주입된 매트리스도 사용되고 있다.
에어 매트리스는 에어 펌프를 이용하여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6051호(2013.05.21. 공고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에어 매트리스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욕창방지 매트리스용 에어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전기진동자에 전원이 공급되는 +/- 극성의 자력이 발생되고, 상기 자력에 의해 영구자석을 부착한 지지대가 고무링을 기준으로 반복 회동하면 벨로우즈가 펌핑을 시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벨로우즈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벨로우즈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공기흡입구 및 상기 공기배출구가 상기 벨로우즈의 개구된 일면을 덮는 지지부재에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벨로우즈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벨로우즈의 내부에서 180도로 흐름방향이 전환된 후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벨로우즈의 내부로 배출되는 구조로서, 에어펌프의 외부에서부터 에어펌프의 내부로 유입된 후 다시 에어펌프의 외부로 배출되기까지의 공기 흐름방향이 수차례 전환되는 다소 복잡한 유로구조를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6051호(2013.05.21. 공고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공기 유입에서부터 공기 배출까지의 펌프실의 유로를 일직선으로 하여 어류 심장과 같은 단순한 구조의 펌프실을 가지는 에어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펌프는, 펌프 하우징, 펌핑 베이스, 공기펌핑부재 및 전기진동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펌프 하우징에는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 및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펌핑 베이스는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상기 펌핑 베이스에는 펌핑 홀, 공기 흡입 포트 및 공기 배출 포트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흡입 포트는 상기 펌핑 홀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상기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로 삽입된다. 상기 공기 배출 포트는 상기 펌핑 홀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상기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로 삽입된다. 상기 공기펌핑부재는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펌핑부재는 상기 펌핑 베이스의 양측에서 상기 펌핑 홀을 덮어서 내부에 펌프실을 형성한다. 상기 공기펌핑부재는 가압될 시 상기 공기 흡입 포트를 통해 상기 펌프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 포트로 펌핑한다. 상기 전기진동부재는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전기진동부재는 상기 공기펌핑부재가 상기 공기 흡입 포트를 통해 상기 펌프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 포트로 펌핑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펌핑부재를 가압한다. 상기 공기 흡입 포트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는 개구방향이 일직선상에서 일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펌핑 홀은 상기 공기 흡입 포트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진동부재는 상기 공기펌핑부재를 상기 공기 흡입 포트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은 일직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펌핑부재는 상기 펌핑 베이스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핑 베이스는 제1 베이스부 및 제2 베이스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는 상기 펌핑 홀, 상기 공기 흡입 포트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 각각의 일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상기 펌핑 홀, 상기 공기 흡입 포트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 각각의 타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기펌핑부재는 제1 펌핑부 및 제2 펌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펌핑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내측에서 상기 펌핑 홀의 일측부를 통해 상기 제1 베이스부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펌핑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내측에서 상기 펌핑 홀의 타측부를 통해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펌핑부의 개구된 끝단 테두리에는 제1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펌핑 홀의 둘레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펌핑부의 개구된 끝단 테두리에는 제2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펌핑 홀의 둘레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 포트 내에는 제1 볼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볼은 상기 펌프실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공기 흡입 포트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 포트 내에는 제2 볼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볼은 상기 펌프실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 포트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공기펌핑부재에는 제1 연통홀 및 제2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통홀은 상기 공기 흡입 포트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통홀은 상기 공기 배출 포트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 포트를 통해 상기 펌프실로 공기가 유입될 시, 상기 제1 볼은 상기 공기 흡입 포트를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2 볼은 상기 공기 배출 포트를 닫을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 포트를 통해 상기 펌프실에서 공기가 배출될 시, 상기 제1 볼은 상기 공기 흡입 포트를 닫을 수 있고, 상기 제2 볼은 상기 공기 배출 포트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전기진동부재는 제1 전기진동부재 및 제2 전기진동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진동부재는 상기 공기펌핑부재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기진동부재는 상기 공기펌핑부재의 타측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진동부재는 제1 판스프링, 제1 영구자석 및 제1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판스프링은 상기 펌핑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판스프링의 일면은 상기 공기펌핑부재의 일측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구자석의 일면은 상기 제1 판스프링의 타면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석은 상기 제1 영구자석이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영구자석의 타면을 향하는 면이 개구된 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석의 외주면에는 코일이 감길 수 있다. 상기 제2 전기진동부재는 제2 판스프링, 제2 영구자석 및 제2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판스프링은 상기 펌핑 베이스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판스프링의 일면은 상기 공기펌핑부재의 타측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구자석의 일면은 상기 제2 판스프링의 타면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석은 상기 제2 영구자석이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영구자석의 타면을 향하는 면이 개구된 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석의 외주면에는 코일이 감길 수 있다.
상기 공기펌핑부재 일측 중심에는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제1 판스프링 중심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영구자석 중심에 형성된 제2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영구자석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기펌핑부재의 타측 중심에는 제2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제2 판스프링 중심에 형성된 제3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영구자석 중심에 형성된 제4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제2 영구자석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구자석의 일면 중심에는 상기 제1 영구자석을 상기 제1 판스프링과 이격시키는 제1 스페이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구자석의 일면 중심에는 상기 제2 영구자석을 상기 제2 판스프링과 이격시키는 제2 스페이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제1 스페이서의 중심에 상기 제2 관통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5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스페이서에 걸림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제2 스페이서의 중심에 상기 제4 관통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6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스페이서에 걸림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돌기의 끝단부 일부는 상기 제5 관통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돌기의 끝단부 일부는 상기 제6 관통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판스프링 및 상기 제2 판스프링 각각에는 복수개의 원호형 탄성절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 하우징은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부는 상기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 각각의 일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 각각의 타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내측면 중 상기 펌핑 홀과 대향하는 면에는 제1 수용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리브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 전자석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부의 내측면 중 상기 펌핑 홀과 대향하는 면에는 제2 수용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리브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2 전자석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내측면 중 상기 제1 수용리브의 내부공간을 이루는 면의 중심에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외부로 통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부의 내측면 중 상기 제2 수용리브의 내부공간을 이루는 면의 중심에는,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외부로 통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석에는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3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석에는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4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펌프는, 펌핑 베이스에 형성된 공기 흡입 포트 및 공기 배출 포트의 개구방향이 일직선상에서 일치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펌핑부재가 어류 심장과 같은 단순한 구조의 펌프실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펌프는, 상기 공기펌핑부재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전기진동부재가 상기 공기펌핑부재의 양측을 동시에 가압하므로 펌핑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펌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펌프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펌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펌프에 포함되는 공기 흡입 포트 또는 공기 배출 포트의 개폐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펌프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펌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펌프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펌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펌프에 포함되는 공기 흡입 포트 또는 공기 배출 포트의 개폐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펌프(1)는 에어 매트리스, 에어 베개, 에어 쿠션, 에어 튜브 등에 공기를 주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에어 펌프(1)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대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가 주입되어 사용되는 모든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펌프(1)는 도 1 및 도 2의 도면상 좌우방향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되는 구조를 가진다.
에어 펌프(1)는 펌프 하우징(100)과, 펌핑 베이스(200)와, 공기펌핑부재(300)와, 전기진동부재(400, 500)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 하우징(100)은 에어 펌프(1)의 외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펌프 하우징(100)은 사각종단면을 가질 수 있고, 대략 6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펌프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펌핑 베이스(200)와 공기펌핑부재(300)와 전기진동부재(400, 50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펌프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부(110) 및 제2 하우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120)는 제1 하우징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10) 및 제2 하우징부(120)는 서로 결합되어 펌프 하우징(10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10) 및 제2 하우징부(120)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10)의 개구된 끝단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제1 체결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체결돌기(111)는 제1 하우징부(110)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120)의 개구된 끝단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제2 체결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체결돌기(121)는 제2 하우징부(120)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체결돌기(111) 및 복수개의 제2 체결돌기(121)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체결돌기(111) 및 복수개의 제2 체결돌기(121)가 일대일로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됨으로써, 제1 하우징부(110) 및 제2 하우징부(12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 또는 스크류일 수 있고, 복수개의 제1 체결돌기(111) 및 복수개의 제2 체결돌기(121)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거나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펌프 하우징(100)에는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101) 및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102)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101) 및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102)은 펌프 하우징(100)의 서로 반대되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펌프 하우징(100)의 상면에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101) 이 형성되고, 펌프 하우징(100)의 하면에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102)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공기 흡입 포트(201)의 개구방향과, 후술할 공기 배출 포트(202)의 개구방향이 일직선상에서 일치되게 형성되므로,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101) 및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102)은 일직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101) 및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102)은 도 1 및 도 2에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10)는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101) 및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102) 각각의 일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120)는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101) 및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102) 각각의 타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펌핑 베이스(200)는 펌프 하우징(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펌핑 베이스(200)는 후술할 공기 흡입 포트(201)가 펌프 하우징(100)의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101)에 삽입됨과 아울러, 후술할 공기 배출 포트(202)가 펌프 하우징(100)의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102)로 삽입됨으로써, 펌프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펌핑 베이스(200)에는 공기펌핑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고, 전기진동부재(400, 500)의 판스프링(410, 51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공기펌핑부재(300)에는 전기진동부재(400, 500)의 영구자석(420, 52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기진동부재(400, 500)의 전자석(430, 530)은 펌프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단락에서 서술한 결합관계는 추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펌핑 베이스(200)에는 펌핑 홀(211, 221)과, 공기 흡입 포트(201)와, 공기 배출 포트(202)가 형성된다.
펌핑 베이스(200)의 몸체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펌핑 홀(211, 221)은 펌핑 베이스(200)의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펌핑 홀(211, 221)은 공기 흡입 포트(201) 및 공기 배출 포트(20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펌핑 홀(211, 221)은 후술할 펌프실(S)의 중앙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펌핑 홀(211, 221)의 양측은 공기펌핑부재(300)에 의해 덮혀져서 공기펌핑부재(300)의 내부에 펌프실(S)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 흡입 포트(201)는 펌핑 홀(211, 221)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펌프 하우징(100)의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101)로 삽입될 수 있다. 공기 흡입 포트(201)는 펌핑 홀(211, 221)의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기 배출 포트(202)는 펌핑 홀(211, 221)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펌프 하우징(100)의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102)로 삽입될 수 있다. 공기 배출 포트(202)는 펌핑 홀(211, 221)의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기 흡입 포트(201) 및 공기 배출 포트(202)는 개구방향이 일직선상에서 일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펌핑부재(300)는 어류 심장과 같은 단순한 구조의 펌프실(S)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류 심장은 1심방1심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혈액유입구 및 혈액배출구가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펌프(1)는 어류 심장과 같은 펌프실(S)을 가지는 단순한 구조의 에어 펌프(1)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공기펌핑부재(300)는 펌프 하우징(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펌핑부재(300)는 펌핑 베이스(200)의 양측에서 펌핑 홀(211)을 덮어서 내부에 펌프실(S)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펌핑부재(300)는 펌핑 베이스(200)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펌핑부재(300)의 재질은 고무로 형성되나, 내부에 펌프실(S)을 형성하고 압축 변형 및 복원이 용이한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공기펌핑부재(300)는 가압력이 가해질 시 압축 변형될 수 있고, 상기 가압력이 해제되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공기펌핑부재(300)는 가압될 시 펌프실(S)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공기펌핑부재(300)는 가압될 시 공기 흡입 포트(201)를 통해 펌프실(S)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 배출 포트로 펌핑할 수 있다. 공기펌핑부재(300)는 가압력이 해제되어 원위치로 복원될 시 공기 흡입 포트(201)를 통해 펌프실(S)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전기진동부재(400, 500)는 펌프 하우징(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진동부재(400, 500)는 공기펌핑부재(300)가 공기 흡입 포트(201)를 통해 펌프실(S)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 배출 포트(202)로 펌핑할 수 있도록 공기펌핑부재(300)를 가압할 수 있다.
전기진동부재(400, 500)는 공기펌핑부재(300)를 공기 흡입 포트(201) 및 공기 배출 포트(20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전기진동부재(400, 500)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어 도 2의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진동되면서 공기펌핑부재(300)를 가압할 수 있다.
펌핑 베이스(200)는 제1 베이스부(210) 및 제2 베이스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20)는 제1 베이스부(2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210) 및 제2 베이스부(220)는 서로 결합되어 펌핑 베이스(200)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 흡입 포트(201)가 펌프 하우징(100)의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101)에 삽입되고, 공기 배출 포트(202)가 펌프 하우징(100)의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102)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1 베이스부(210) 및 제2 베이스부(22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210)는 펌핑 홀(211, 221), 공기 흡입 포트(201) 및 공기 배출 포트(202) 각각의 일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베이스부(210)는 펌핑 홀(211, 221)의 일측부(211)와, 공기 흡입 포트(201)의 일측부(201A)와, 공기 배출 포트(202)의 일측부(202A)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20)는 펌핑 홀(211, 221), 공기 흡입 포트(201) 및 공기 배출 포트(202) 각각의 타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베이스부(220)는 펌핑 홀(211, 221)의 타측부(221)와, 공기 흡입 포트(201)의 타측부(201B)와, 공기 배출 포트(202)의 타측부(202B)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펌핑부재(300)는 제1 펌핑부(310) 및 제2 펌핑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펌핑부(310) 및 제2 펌핑부(320)는 서로 결합되어 공기펌핑부재(3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210) 및 제2 베이스부(220)가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1 펌핑부(310) 및 제2 펌핑부(32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펌핑부(310) 및 제2 펌핑부(320) 각각은 일면이 개구될 수 있다. 제1 펌핑부(310) 및 제2 펌핑부(320) 각각은 일면이 개구된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펌핑부(310)의 개구된 일면과 제2 펌핑부(320)의 개구된 일면은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1 펌핑부(310)의 개구된 일면 테두리와, 제2 펌핑부(320)의 개구된 일면 테두리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에어 펌프(1)는 제1 펌핑부(310) 및 제2 펌피부(320)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양측구조가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펌핑부(310)는 제1 베이스부(210)의 내측에서 펌핑 홀(211, 221)의 일측부(211)를 통해 제1 베이스부(210)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펌핑부(310)는 후술할 제1 전기진동부재(400)의 제1 판스프링(410)을 향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2 펌핑부(320)는 제2 베이스부(220)의 내측에서 펌핑 홀(211, 221)의 타측부(221)를 통해 제2 베이스부(22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2 펌핑부(320)는 후술할 제2 전기진동부재(500)의 제2 판스프링(510)을 향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펌핑부(310)의 개구된 끝단 테두리에는 제1 플랜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311)는 펌핑 베이스(200)에 형성된 펌핑 홀(211, 221)의 둘레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베이스부(210)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제1 베이스부(210) 및 제2 베이스부(220)가 결합된 상태일 때 제1 펌핑부(310)는 펌핑 베이스(200)에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펌핑부(320)의 개구된 끝단 테두리에는 제2 플랜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321)는 펌핑 베이스(200)에 형성된 펌핑 홀(211, 221)의 둘레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 베이스부(220)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제1 베이스부(210) 및 제2 베이스부(220)가 결합된 상태일 때 제2 펌핑부(320)는 펌핑 베이스(200)에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공기 흡입 포트(201) 내에는 제1 볼(B1)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볼(B1)은 펌프실(S)의 공기압에 의해 공기 흡입 포트(201)를 개폐할 수 있다.
공기 배출 포트(202) 내에는 제2 볼(B2)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볼(B2)은 펌프실(S)의 공기압에 의해 공기 배출 포트(202)를 개폐할 수 있다.
공기펌핑부재(300)에는 제1 연통홀(301) 및 제2 연통홀(30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통홀(301)은 공기 흡입 포트(201)와 연통할 수 있다. 제2 연통홀(302)은 공기 배출 포트(202)와 연통할 수 있다.
공기 흡입 포트(201)를 통해 펌프실(S)로 공기가 유입될 시, 제1 볼(B1)은 공기 흡입 포트(201)를 개방할 수 있고, 제2 볼(B2)은 공기 배출 포트(202)를 닫을 수 있다. 즉, 공기펌핑부재(300)가 본래 형상으로 복원될 시, 펌프실(S)의 내부압력에 의해 제1 볼(B1)은 공기 흡입 포트(201)를 개방하고 제2 볼(B2)은 공기 배출 포트(202)를 닫아서, 공기 흡입 포트(201)를 통해 펌프실(S)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배출 포트(202)를 통해 펌프실(S)에서 공기가 배출될 시, 제1 볼(B1)은 공기 흡입 포트(201)를 닫을 수 있고, 제2 볼(B2)은 공기 배출 포트(202)를 개방할 수 있다. 즉, 공기펌핑부재(300)가 가압되어 압축 변형될 시, 펌프실(S)의 내부압력에 의해 제1 볼(B1)은 공기 흡입 포트(201)를 닫고 제2 볼(B2)은 공기 배출 포트(202)를 개방하여서, 공기 배출 포트(202)를 통해 펌프실(S)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흡입 포트(201)의 내부에는 제1 볼(B1)이 걸림되는 단차 또는 돌기가 공기흐름방향으로 제1 볼(B1)의 양측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볼(B1)이 펌프실(S)의 공기압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되어 공기 흡입 포트(201)의 내부에 형성된 일측 단차 또는 돌기에 걸림되는 경우 공기 흡입 포트(201)는 개방될 수 있고, 제1 볼(B1)이 펌프실(S)의 공기압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되어 공기 흡입 포트(201)의 내부에 형성된 타측 단차 또는 돌기에 걸림되는 경우 공기 흡입 포트(201)는 닫힐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 포트(202)의 내부에도 제2 볼(B2)이 걸림되는 단차 또는 돌기가 공기흐름방향으로 제2 볼(B2)의 양측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볼(B2)이 펌프실(S)의 공기압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되어 공기 배출 포트(202)의 내부에 형성된 일측 단차 또는 돌기에 걸림되는 경우 공기 배출 포트(202)는 개방될 수 있고, 제2 볼(B2)이 펌프실(S)의 공기압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되어 공기 배출 포트(202)의 내부에 형성된 타측 단차 또는 돌기에 걸림되는 경우 공기 배출 포트(202)는 닫힐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진동부재(400, 500)는 제1 전기진동부재(400) 및 제2 전기진동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기진동부재(400)는 공기펌핑부재(300)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제2 전기진동부재(500)는 공기펌핑부재의 타측을 가압할 수 있다. 두 개의 전기진동부재(400, 500)는 공기펌핑부재(300)의 양측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물론, 두 개의 전기진동부재(400, 500)는 공기펌핑부재(300)의 양측을 동시에 가압해제할 수 있다. 두 개의 전기진동부재(400, 500)가 공기펌핑부재(300)의 양측을 가압하는 것과 가압해제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공기펌핑부재(300)는 공기 배출 포트(202)를 통해 펌프실(S)의 공기를 배출하는 것과 공기 흡입 포트(201)를 통해 펌프실(S)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제1 전기진동부재(400)는 제1 판스프링(410), 제1 영구자석(420) 및 제1 전자석(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석(430)의 코일에 전기가 공급되어 제1 전자석(430)이 자화되는 경우, 제1 영구자석(420)은 제1 판스프링(410)을 향해 이동되어 제1 판스프링(410)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판스프링(410)이 탄성 변형되면서 제1 펌핑부(310)를 가압하여 압축 변형시킬 수 있다. 제1 전자석(430)의 코일에 전기 공급이 차단되면, 제1 판스프링(410)은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제1 펌핑부(310)를 가압해제하여 제1 펌핑부(310)가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1 영구자석(420)을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판스프링(410)은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판스프링(410)은 펌핑 베이스(20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펌핑 베이스(200)의 일측을 형성하는 제1 베이스부(210)에는 제1 판스프링(410)과 대향하는 면의 네 모서리부분에 각각 제1 체결보스(2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판스프링(410)의 네 모서리부분에는 각각의 제1 체결보스(215)와 제1 스크류(S1)를 통해 체결되기 위한 제1 스크류홀(4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크류(S1)가 제1 스크류홀(415)을 관통하여 제1 체결보스(215)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으로써, 제1 판스프링(410)은 펌핑 베이스(20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판스프링(410)은 제1 체결보스(215)에 의해 펌핑 베이스(200)의 몸체 일측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판스프링(410)의 일면은 공기펌핑부재(300)의 일측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판스프링(410)의 일면은 제1 펌핑부(310)의 외측면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구자석(420)은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구자석(420)의 일면은 제1 판스프링(410)의 타면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자석(430)은 제1 영구자석(420)이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제1 영구자석(420)의 타면을 향하는 면이 개구된 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자석(430)은 제1 영구자석(420)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구자석(420)이 원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전자석(430)은 일면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1 전자석(430)의 외주면에는 코일이 감길 수 있다. 제1 전자석(430)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에 전기가 공급되는 경우 제1 전자석(430)은 자화될 수 있다.
제2 전기진동부재(500)는 제2 판스프링(510), 제2 영구자석(520) 및 제2 전자석(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석(530)의 코일에 전기가 공급되어 제2 전자석(530)이 자화되는 경우, 제2 영구자석(520)은 제2 판스프링(510)을 향해 이동되어 제2 판스프링(510)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판스프링(510)이 탄성 변형되면서 제2 펌핑부(320)를 가압하여 압축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석(530)의 코일에 전기 공급이 차단되면, 제2 판스프링(510)은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제2 펌핑부(320)를 가압해제하여 제2 펌핑부(320)가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2 영구자석(520)을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판스프링(510)은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판스프링(510)은 펌핑 베이스(20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펌핑 베이스(200)의 타측을 형성하는 제2 베이스부(220)에는 제2 판스프링(510)과 대향하는 면의 네 모서리부분에 각각 제2 체결보스(22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판스프링(510)의 네 모서리부분에는 각각의 제2 체결보스(225)와 제2 스크류(S2)를 통해 체결되기 위한 제2 스크류홀(5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크류(S2)가 제2 스크류홀(515)을 관통하여 제2 체결보스(225)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으로써, 제2 판스프링(510)은 펌핑 베이스(20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판스프링(510)은 제2 체결보스(225)에 의해 펌핑 베이스(200)의 몸체 타측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판스프링(510)의 일면은 공기펌핑부재(300)의 타측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판스프링(510)의 일면은 제2 펌핑부(320)의 외측면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구자석(520)은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구자석(520)의 일면은 제2 판스프링(510)의 타면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자석(530)은 제2 영구자석(520)이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제2 영구자석(520)의 타면을 향하는 면이 개구된 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자석(530)은 제2 영구자석(520)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영구자석(520)이 원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전자석(530)은 일면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2 전자석(530)의 외주면에는 코일이 감길 수 있다. 제2 전자석(530)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에 전기가 공급되는 경우 제2 전자석(530)은 자화될 수 있다.
공기펌핑부재(300) 일측 중심에는 제1 결합돌기(3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펌핑부재(300)의 일측을 형성하는 제1 펌핑부(310)의 외측면 중심에는 제1 결합돌기(3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315)는 제1 판스프링(410) 중심에 형성된 제1 관통홀(412)을 관통하고 제1 영구자석(420) 중심에 형성된 제2 관통홀(422)로 삽입되어 제1 영구자석(420)과 결합될 수 있다.
공기펌핑부재(300)의 타측 중심에는 제2 결합돌기(32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펌핑부재(300)의 타측을 형성하는 제2 펌핑부(320)의 외측면 중심에는 제2 결합돌기(3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325)는 제2 판스프링(510) 중심에 형성된 제3 관통홀(512)을 관통하고 제2 영구자석(520) 중심에 형성된 제4 관통홀로 삽입되어 제2 영구자석(52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영구자석(420)의 일면 중심에는 제1 영구자석(420)을 제1 판스프링(410)과 이격시키는 제1 스페이서(44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구자석(520)의 일면 중심에는 제2 영구자석(520)을 제2 판스프링(510)과 이격시키는 제2 스페이서(54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펌핑부(310)에 형성된 제1 결합돌기(315)는 제1 스페이서(440)의 중심에 형성된 제5 관통홀(442)을 관통하여 제1 스페이서(440)에 걸림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돌기(315)가 제5 관통홀(442)을 관통한 후 제1 스페이서(440)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5 관통홀(442)은 제2 관통홀(422)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제1 결합돌기(315)의 끝단부 일부는 제5 관통홀(44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 펌핑부(310)는 탄성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결합돌기(315)도 탄성체로 형성되며, 제1 결합돌기(315)가 제5 관통홀(442)을 쉽게 관통하도록 하기 위해 제1 결합돌기(315)의 선단부는 경사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펌핑부(320)에 형성된 제2 결합돌기(325)는 제2 스페이서(540)의 중심에 형성된 제6 관통홀(542)을 관통하여 제2 스페이서(540)에 걸림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결합돌기(325)가 제6 관통홀(542)을 관통한 후 제2 스페이서(540)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6 관통홀(542)은 제4 관통홀(522)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제2 결합돌기(325)의 끝단부 일부는 제6 관통홀(54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2 펌핑부(320)는 탄성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2 결합돌기(325)도 탄성체로 형성되며, 제2 결합돌기(325)가 제6 관통홀(542)을 쉽게 관통하도록 하기 위해 제2 결합돌기(325)의 선단부는 경사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판스프링(410) 및 제2 판스프링(510)이 쉽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위해, 제1 판스프링(410) 및 제2 판스프링(510) 각각에는 복수개의 원호형 탄성절개홀(414, 51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판스프링(410)에는 복수개의 제1 탄성절개홀(414)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판스프링(510)에는 복수개의 제2 탄성절개홀(5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부(110)의 내측면 중 펌핑 홀(211, 221)과 대향하는 면에는 제1 수용리브(1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리브(113)의 내부공간에는 제1 전자석(430)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수용리브(113)는 제1 전자석(430)이 삽입될 수 있는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부(120)의 내측면 중 펌핑 홀(211, 221)과 대향하는 면에는 제2 수용리브(1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리브(123)의 내부공간에는 제2 전자석(530)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수용리브(123)는 제2 전자석(530)이 삽입될 수 있는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부(110)의 내측면 중 제1 수용리브(113)의 내부공간을 이루는 면의 중심에는, 제1 하우징부(110)의 외부로 통하는 제1 체결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부(120)의 내측면 중 제2 수용리브(123)의 내부공간을 이루는 면의 중심에는, 제2 하우징부(120)의 외부로 통하는 제2 체결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석(430)에는 제1 체결홀(115)을 관통한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되는 제3 체결홀(43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석(530)에는 제2 체결홀(125)을 관통한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되는 제4 체결홀(5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단락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 또는 스크류일 수 있고, 제1 체결홀(115)을 관통한 상기 체결부재가 제3 체결홀(435)에 체결됨으로써 제1 전자석(430)은 제1 하우징부(1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체결홀(125)을 관통한 상기 체결부재가 제4 체결홀(535)에 체결됨으로써 제2 전자석(530)은 제2 하우징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펌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전자석(430)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에 전기가 공급됨과 동시에 제2 전자석(530)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에 전기가 공급되면, 제1 영구자석(420)이 제1 판스프링(410)을 향해 이동되어 제1 판스프링(410)을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킴과 동시에 제2 영구자석(520)이 제2 판스프링(510)을 향해 이동되어 제2 판스프링(510)을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킨다.
제1 판스프링(410)은 제1 영구자석(420)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공기펌핑부재(300)의 일측을 가압하게 되고, 제2 판스프링(510)은 제2 영구자석(520)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공기펌핑부재(300)의 타측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펌핑부재(300)의 양측이 동시에 제1 판스프링(410) 및 제2 판스프링(510)에 의해 가압되면, 공기펌핑부재(300)는 압축 변형되면서 펌프실(S)의 내부의 공기를 공기 배출 포트(202)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물론, 공기펌핑부재(300)가 압축 변형될 때, 제1 볼(B1)은 펌프실(S)의 공기압에 의해 이동되어 공기 흡입 포트(201)를 닫고, 제2 볼(B2)은 펌프실(S)의 공기압에 의해 이동되어 공기 배출 포트(202)를 개방한다.
한편, 제1 전자석(430)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에 전기 공급이 차단됨과 동시에 제2 전자석(530)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에 전기 공급이 차단되면, 제1 판스프링(410)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됨과 동시에 제2 판스프링(510)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제1 판스프링(410) 및 제2 판스프링(510)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됨에 따라, 공기펌핑부재(300)는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고, 제1 영구자석(420) 및 제2 영구자석(520)도 본래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1 판스프링(410) 및 제2 판스프링(510)이 본래 위치로 복원되면, 공기펌핑부재(300)는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공기 흡입 포트(201)를 통해 펌프실(S)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물론, 공기펌핑부재(300)가 본래 형상으로 복원될 때, 제1 볼(B1)은 펌프실(S)의 공기압에 의해 이동되어 공기 흡입 포트(201)를 개방하고, 제2 볼(B2)은 펌프실(S)의 공기압에 의해 이동되어 공기 배출 포트(202)를 닫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펌프(1)는, 펌핑 베이스(200)에 형성된 공기 흡입 포트(201) 및 공기 배출 포트(202)의 개구방향이 일직선상에서 일치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펌핑부재(300)가 어류 심장과 같은 단순한 구조의 펌프실(S)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펌프(1)는, 공기펌핑부재(3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전기진동부재(400, 500)가 공기펌핑부재(300)의 양측을 동시에 가압하므로 펌핑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펌프 하우징 101 :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
102 :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 110 : 제1 하우징부
113 : 제1 수용리브 115 : 제1 체결홀
120 : 제2 하우징부 123 : 제2 수용리브
125 : 제2 체결홀 200 : 펌핑 베이스
201 : 공기 흡입 포트 202 : 공기 배출 포트
210 : 제1 베이스부 211, 221 : 펌핑 홀
220 : 제2 베이스부 300 : 공기펌핑부재
301 : 제1 연통홀 302 : 제2 연통홀
310 : 제1 펌핑부 311 : 제1 플랜지
315 : 제1 결합돌기 320 : 제2 펌핑부
321 : 제2 플랜지 325 : 제2 결합돌기
400, 500 : 전기진동부재 410 : 제1 판스프링
412 : 제1 관통홀 414, 514 : 탄성절개홀
420 : 제1 영구자석 422 : 제2 관통홀
430 : 제1 전자석 435 : 제3 체결홀
440 : 제1 스페이서 442 : 제5 관통홀
510 : 제2 판스프링 512 : 제3 관통홀
520 : 제2 영구자석 522 : 제4 관통홀
530 : 제2 전자석 535 : 제4 체결홀
540 : 제2 스페이서 542 : 제6 관통홀
B1 : 제1 볼 B2 : 제2 볼
S : 펌프실

Claims (14)

  1.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 및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이 형성된 펌프 하우징;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펌핑 홀과, 상기 펌핑 홀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상기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로 삽입되는 공기 흡입 포트와, 상기 펌핑 홀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상기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로 삽입되는 공기 배출 포트가 형성된 펌핑 베이스;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펌핑 베이스의 양측에서 상기 펌핑 홀을 덮어 내부에 펌프실을 형성하며, 가압될 시 상기 공기 흡입 포트를 통해 상기 펌프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 포트로 펌핑하는 공기펌핑부재; 및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펌핑부재가 상기 공기 흡입 포트를 통해 상기 펌프 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 포트로 펌핑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펌핑부재를 가압하는 전기진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 포트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는 개구방향이 일직선상에서 일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전기진동부재는,
    상기 공기펌핑부재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 전기진동부재와,
    상기 공기펌핑부재의 타측을 가압하는 제2 전기진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진동부재는,
    상기 펌핑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펌핑부재의 일측에 일면이 대향 배치되는 제1 판스프링과,
    상기 제1 판스프링의 타면에 일면이 대향 배치되는 제1 영구자석과,
    상기 제1 영구자석이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영구자석의 타면을 향하는 면이 개구된 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감긴 제1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기진동부재는,
    상기 펌핑 베이스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펌핑부재의 타측에 일면이 대향 배치되는 제2 판스프링과,
    상기 제2 판스프링의 타면에 일면이 대향 배치되는 제2 영구자석과,
    상기 제2 영구자석이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영구자석의 타면을 향하는 면이 개구된 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감긴 제2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펌핑부재 일측 중심에는, 상기 제1 판스프링 중심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영구자석 중심에 형성된 제2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영구자석과 결합되는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펌핑부재의 타측 중심에는, 상기 제2 판스프링 중심에 형성된 제3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영구자석 중심에 형성된 제4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제2 영구자석과 결합되는 제2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에어 펌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핑 홀은 상기 공기 흡입 포트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기진동부재는 상기 공기펌핑부재를 상기 공기 흡입 포트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에어 펌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은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에어 펌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기펌핑부재는 상기 펌핑 베이스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탄성체로 형성되는 에어 펌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펌핑 베이스는,
    상기 펌핑 홀, 상기 공기 흡입 포트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 각각의 일측부를 형성하는 제1 베이스부와,
    상기 펌핑 홀, 상기 공기 흡입 포트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 각각의 타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펌핑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내측에서 상기 펌핑 홀의 일측부를 통해 상기 제1 베이스부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제1 펌핑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내측에서 상기 펌핑 홀의 타측부를 통해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제2 펌핑부를 포함하는 에어 펌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핑부의 개구된 끝단 테두리에는 상기 펌핑 홀의 둘레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펌핑부의 개구된 끝단 테두리에는 상기 펌핑 홀의 둘레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가 형성되는 에어 펌프.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 포트 내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실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공기 흡입 포트를 개폐하는 제1 볼과,
    상기 공기 배출 포트 내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실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공기 배출 포트를 개폐하는 제2 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펌핑부재에는, 상기 공기 흡입 포트와 연통하는 제1 연통홀과, 상기 공기 배출 포트와 연통하는 제2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흡입 포트를 통해 상기 펌프실로 공기가 유입될 시, 상기 제1 볼은 상기 공기 흡입 포트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볼은 상기 공기 배출 포트를 닫으며,
    상기 공기 배출 포트를 통해 상기 펌프실에서 공기가 배출될 시, 상기 제1 볼은 상기 공기 흡입 포트를 닫고, 상기 제2 볼은 상기 공기 배출 포트를 개방하는 에어 펌프.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영구자석의 일면 중심에는 상기 제1 영구자석을 상기 제1 판스프링과 이격시키는 제1 스페이서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영구자석의 일면 중심에는 상기 제2 영구자석을 상기 제2 판스프링과 이격시키는 제2 스페이서가 결합되며,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제1 스페이서의 중심에 상기 제2 관통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5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스페이서에 걸림되고,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제2 스페이서의 중심에 상기 제4 관통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6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스페이서에 걸림되며,
    상기 제1 결합돌기의 끝단부 일부는 상기 제5 관통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돌기의 끝단부 일부는 상기 제6 관통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에어 펌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스프링 및 상기 제2 판스프링 각각에는 복수개의 원호형 탄성절개홀이 형성되는 에어 펌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 각각의 일측부를 형성하는 제1 하우징부와,
    상기 공기 흡입 포트 삽입홀 및 상기 공기 배출 포트 삽입홀 각각의 타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하우징부와 결합되는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내측면 중 상기 펌핑 홀과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1 전자석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수용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부의 내측면 중 상기 펌핑 홀과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2 전자석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수용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에어 펌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의 내측면 중 상기 제1 수용리브의 내부공간을 이루는 면의 중심에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외부로 통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부의 내측면 중 상기 제2 수용리브의 내부공간을 이루는 면의 중심에는,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외부로 통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전자석에는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3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전자석에는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4 체결홀이 형성되는 에어 펌프.
KR1020210005022A 2021-01-14 2021-01-14 에어 펌프 KR102290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022A KR102290491B1 (ko) 2021-01-14 2021-01-14 에어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022A KR102290491B1 (ko) 2021-01-14 2021-01-14 에어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491B1 true KR102290491B1 (ko) 2021-08-18

Family

ID=7746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022A KR102290491B1 (ko) 2021-01-14 2021-01-14 에어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4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6240A (en) * 1987-02-06 1988-11-22 Applied Biotechnologies, Inc. Pumping apparatus with an electromagnet affixed to the septum
JP2508598Y2 (ja) * 1989-10-20 1996-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凍結防止装置付エア―ポンプ
KR101266051B1 (ko) 2010-08-30 2013-05-21 이선구 욕창방지 매트리스용 에어펌프
US20180209408A1 (en) * 2016-09-07 2018-07-26 Sung Won Moon Compact voice coil driven high flow fluid pump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6240A (en) * 1987-02-06 1988-11-22 Applied Biotechnologies, Inc. Pumping apparatus with an electromagnet affixed to the septum
JP2508598Y2 (ja) * 1989-10-20 1996-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凍結防止装置付エア―ポンプ
KR101266051B1 (ko) 2010-08-30 2013-05-21 이선구 욕창방지 매트리스용 에어펌프
US20180209408A1 (en) * 2016-09-07 2018-07-26 Sung Won Moon Compact voice coil driven high flow fluid pump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801B2 (en) Compact linear air pump and valve package
JP3415489B2 (ja) エアポンプ装置
US2809589A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pump
KR20170026337A (ko) 공기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8047813B2 (en) Noise-suppression pump apparatus and method
WO1988005867A1 (en) Pumping apparatus with an electromagnetic assembly affixed to a flexible septum
CA2528332A1 (en) Reversible inflation system
US3545894A (en) Air pump
KR102290491B1 (ko) 에어 펌프
JP3616988B2 (ja) 電磁ダイアフラム式ポンプ
KR102290492B1 (ko) 매트리스 장치
CN212318261U (zh) 一种高性能稳压出水的电磁隔膜微型水泵装置
JP2000130335A (ja) 電磁式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4138989B2 (ja) 弁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磁式ダイヤフラムポンプ
WO2002023042A1 (fr) Compresseur electromagnet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CN212055068U (zh) 一种电磁隔膜泵
JP3706316B2 (ja) 電磁式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WO2006090916A1 (ja) 電磁駆動弁
TWM639470U (zh) 改良結構之空氣幫浦
KR101981719B1 (ko) 전자기식 에어 펌프
CN211852125U (zh) 一种压电微泵及气体控制装置
JP2975281B2 (ja) 電磁弁
JP3844742B2 (ja) 低騒音電磁式エアポンプ及びその組付け方法
CN216721538U (zh) 一种声学开关及一种发声装置
CN210195969U (zh) 一种排气阀组件、压缩机和制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