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446B1 - 연도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 - Google Patents

연도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446B1
KR102290446B1 KR1020200185749A KR20200185749A KR102290446B1 KR 102290446 B1 KR102290446 B1 KR 102290446B1 KR 1020200185749 A KR1020200185749 A KR 1020200185749A KR 20200185749 A KR20200185749 A KR 20200185749A KR 102290446 B1 KR102290446 B1 KR 102290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e
pipe
combustion chamber
wood vinegar
collec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찬경
Original Assignee
임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찬경 filed Critical 임찬경
Priority to KR1020200185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63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conducting or purifying combustion fumes; Treatment of fumes or ashes
    • F23J2900/13004Water draining devices associated with f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도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도어(111)가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 화목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130)이 형성된 외부하우징(110)과; 일단은 상기 연소실(130)과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후단으로 일정 길이 노출되게 구비되어 연소가스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연도(140)와;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후방에 상기 연도(140)의 타단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연통연결관(162)이 형성되며 목초액을 수집하여 배출하는 목초액수집조(160)와; 상기 연통연결관(16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도(140)와 상기 목초액수집조(160)를 경유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150)과; 상기 목초액수집조(16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통(150)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170)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111)의 전면에 관통형성된 공기유입구(117)와; 상기 공기유입구(117)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111)의 내부에 전후로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송풍팬(170)이 동작되면 상기 연소실(130)에 형성되는 흡입압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공기유입구(117)를 개방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연소실(130)로 유입되게 하는 공기유입구커버(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도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Fire wood boiler with a blast fan at the rear of gas duct}
본 발명은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도의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에너지원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상온의 물을 가열시키고, 가열된 물을 실내 바닥에 매설된 파이프를 따라 순환시켜 난방시키도록 하거나, 급탕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열에너지를 얻기 위해 연소시키는 에너지원에 따라서 전기보일러, 가스보일러, 유류보일러, 유류와 가스의 장점을 갖는 유류 겸용 전기보일러 등이 있다.
상기 가스보일러, 전기보일러 및 유류 겸용 전기보일러 등은 점화, 연소, 소화 등의 기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정이나 시설물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전기 및 유류 등의 에너지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고, 특히 국내의 경우에는 에너지자원이 빈약하여 대부분을 외국에서 수입해야 하는 실정이므로, 상기와 같은 고비용의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보일러들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대체 에너지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저비용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목재 또는 펠릿 등을 연료로 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목 보일러가 최근에 와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화목 보일러는 등록특허 10-0426046호, 등록특허 10-067931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화목보일러(10)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화목보일러(10)는 화목연료(A)가 연소되는 연소실이 형성된 외부하우징(11)과, 외부하우징(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연소가스(B)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13)과, 연소실의 연소가스를 연통(13)으로 안내하는 연도(15)를 포함한다.
종래 화목보일러(10)는 화목연료(A)의 연소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이용해 물을 데우고, 물을 순환펌프를 통해 실내로 순환하여 내부공간을 난방하게 된다.
종래 화목보일러(10)는 연소실에 적재된 화목연료(A)가 연소되면, 외부하우징(11)의 전방에 형성된 도어(미도시)에 구비된 송풍팬(미도시)이 구동되면서 외부공기를 연소실로 유입시켜 화목연료(A)가 연소되게 한다.
그런데, 송풍팬(미도시)과 이를 구동하는 송풍모터(미도시)가 도어(미도시)에 구비되므로 연소실에서 발생된 고열이 송풍모터(미도시)로 전달되어 송풍모터(미도시)가 열에 의해 손상되거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어(미도시)의 배면에 연소실에서 발생된 열이 송풍모터(미도시)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열차단수단이 구비되었다.
종래 화목보일러는 열차단수단을 복수겹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고, 열차단수단을 복수겹으로 배치하더라도 송풍팬(미도시)의 고열에 의한 손상을 막을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팬의 위치를 변경하여 송풍팬의 수명을 연장하며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화목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도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목보일러는, 전면에 도어(111)가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 화목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130)이 형성된 외부하우징(110)과; 일단은 상기 연소실(130)과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후단으로 일정 길이 노출되게 구비되어 연소가스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연도(140)와;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후방에 상기 연도(140)의 타단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연통연결관(162)이 형성되며 목초액을 수집하여 배출하는 목초액수집조(160)와; 상기 연통연결관(16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도(140)와 상기 목초액수집조(160)를 경유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150)과; 상기 목초액수집조(16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통(150)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170)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111)의 전면에 관통형성된 공기유입구(117)와; 상기 공기유입구(117)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111)의 내부에 전후로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송풍팬(170)이 동작되면 상기 연소실(130)에 형성되는 흡입압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공기유입구(117)를 개방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연소실(130)로 유입되게 하는 공기유입구커버(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초액수집조(160)는, 상기 외부하우징(110)을 향해 관통형성되어 상기 연도(140)의 타단이 삽입되는 연도결합공(163)과 상부에 상기 연통연결관(162)이 형성된 수집조본체(161)와; 상기 수집조본체(161)의 내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내부를 연소가스 이동공간과 송풍팬 수용공간으로 구분하는 구획판(165)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170)은 상기 구획판(165)을 관통하여 상기 연통연결관(162) 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연통(150)으로 송풍하는 송풍관(17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도(140)는, 상기 연소실(130)의 후방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일정높이 형성되는 연소실결합관(141)과; 상기 연소실결합관(141)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형성된 제1수평이동관(143)과; 상기 제1수평이동관(143)의 선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형성된 제2수평이동관(145)과; 상기 제2수평이동관(145)의 단부에서 상기 제1수평이동관(143)과 나란하게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도결합공(163)에 삽입되는 수집조연결관(14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획판(165)은 상기 연도결합공(163)이 형성된 방향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165)의 높이가 제일 낮은 영역에는 목초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목초액배출관(166)이 상기 송풍팬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목초액수집조(160)의 외부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는 송풍팬이 목초액수집조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소실의 고온의 열과 직접 닿지 않아 열에 의한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에 송풍팬이 설치되던 종래 화목보일러와 비교할 때 열차단재가 필요없게 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송풍팬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화목보일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공기유입구커버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연도와 연통 및 목초액수집조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연도와 연통 및 목초액수집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화목보일러(100)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100)는 외부하우징(110)과, 외부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화목연료(A)가 연소되는 연소공간을 형성하는 연소실(130)과, 연소실(130)에 구비되어 연소가스(B)가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연도(140)와, 외부하우징(110)의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목초액수집조(160)와, 목초액수집조(16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연도(140)와 목초액수집조(160)를 통해 이동된 연소가스(B)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150)과, 목초액수집조(160)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송풍팬(1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100)는 외부공기를 연소실(130)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팬(170)이 도어(111)가 아닌 외부하우징(110) 후방에 결합된 목초액수집조(160)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에 의해 송풍팬(170)이 도어(111)에 비해 연소실(130)과 이격되어 상대적으로 도어(111) 보다 온도가 낮은 목초액수집조(160)에 구비되므로, 고온에 의한 송풍팬(170)의 손상 및 고장을 줄일 수 있으며, 종래 도어(111)에 송풍팬(170)이 설치될 때 열변형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던 다양한 열차단부재가 필요없어지므로 화목보일러(100)의 제조비용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110)은 함체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연소실(130)과 연도(140)를 수용한다. 외부하우징(110)의 전면에는 도어(111)가 개폐가능하게 구비된다. 도어(111)를 개방하면 내부의 연소실(130)이 외부로 드러나 사용자가 연소실(130)로 화목연료(A)를 투입할 수 있게 한다.
외부하우징(110)의 전면 상부에는 연도도어(113)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연도(14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어(111)의 전면에는 외부공기(C)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17)가 일정크기 관통되어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17)가 형성된 도어(111)의 내부에는 공기유입구(117)를 개폐하는 공기유입구커버(119)가 경첩(119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4는 공기유입구커버(119)의 동작구조를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커버(119)는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되어 공기유입구(117)를 닫아 외부공기(C)가 연소실(13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커버(119)가 경첩(119a)에 대해 내측으로 회동되면 공기유입구(117)를 개방하여 외부공기(C)가 연소실(130)로 유입되게 허용한다. 공기유입구커버(119)는 송풍팬(170)의 구동에 의해 연소실(130) 내부에 발생되는 흡입압력에 의해 내측으로 회동되며 공기유입구(117)를 개방한다.
한편, 도어(111)의 상부에는 공기유입구(117)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판(115)이 구비된다. 보호판(115)은 도어(111)의 전면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유입구(117)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외부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재받이(1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재받이(120)는 연소실(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화목연료(A)가 연소되고 남은 재를 수거한다. 재받이(120)는 외부하우징(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수거된 재를 버릴 수 있게 한다.
연소실(130)은 외부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화목연료(A)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연소실(130)은 연도(140)와 연결되게 결합된다. 연소실(130)에는 화목연료(A)가 적재되는 화목연료적재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화목연료적재판(미도시) 상에서 화목연료가 연소된 후 남는 재는 하부의 재받이(120)로 낙하된다.
외부하우징(110)의 하부공간에는 연소실(130)이 구비되고, 외부하우징(110)의 상부공간에는 연소실(130)과 연통되게 연도(140)가 구비된다. 외부하우징(110)과 연소실(130) 및 연도(140) 사이에는 난방수저장공간이 구비된다. 난방수저장공간에는 난방수가 수용되고, 난방수는 연소실(130)에서 화목연료(A)가 연소될 때 발생되는 화염 및 연소가스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후 난방처로 공급된다.
연도(140)는 연소실(130)에서 화목연료(A)의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가스(B)를 연통(150)으로 안내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도(140)는 연소실(130)의 후단에 수직하게 연결된 연소실결합관(141)과, 연소실결합관(141)으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된 제1수평이동관(143)과, 제1수평이동관(143)의 선단에서 측면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제2수평이동관(145)과, 제2수평이동관(145)의 단부에서 외부하우징(110)의 후방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연통(150)과 연결되는 수집조연결관(147)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화목보일러(10)는 연도(15)가 연소실로부터 연통까지 2패쓰 또는 3패쓰의 짧은 경로를 갖게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화목보일러(100)의 연도(140)는 연소실결합관(141), 제1수평이동관(143), 제2수평이동관(145), 수집조연결관(147)와 연통(150)까지 5패쓰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소가스(B)의 이동경로가 외부하우징(110)의 상부공간에서 입체적으로 길어지며 난방수저장공간의 난방수와 장시간 접촉하며 난방수와 열교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도(140)는 연소실(130)과 외부하우징(110)의 상부까지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연소가스(B)의 이동경로를 최대한 길게 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입체적인 형태로 구비된다.
연소실결합관(141)은 연소실(130)의 후단 우측과 연통되게 상부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1수평이동관(143)은 연소실결합관(141)의 상단에서 우측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형성된다.
제2수평이동관(145)은 제1수평이동관(143)의 전방에서 좌측을 향해 수평하게 형성되고, 수집조연결관(147)은 제2수평이동관(145)의 좌측단부에서 외부하우징(110)의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형성된다.
제2수평이동관(145)은 연도도어(113)와 연통되게 외부하우징(110)의 전방에 결합된다.
수집조연결관(147)은 외부하우징(110)의 후방으로 일정 길이 노출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초액수집조(16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집조연결관(147)으로 이동된 연소가스(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초액수집조(160)를 경유하여 연통(150)으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연소가스(B)는 연도(140)를 따라 외부하우징(110)의 상부공간을 입체적으로 장시간 이동하며 난방수와 열교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화목보일러(100)는 연통(150)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고 목초액에 의한 외부하우징(110)과 연도(14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목초액수집조(160)와 연통(150)을 외부하우징(110)의 후방에 조립가능하게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도(140)의 수집조연결관(147)이 외부하우징(110)의 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돌출된 수집조연결관(147)에 목초액수집조(16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목초액수집조(160)의 상부에 연통(15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목초액수집조(160)는 연통(150)과 수집조연결관(147)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여 연소가스(B)가 연통(150)으로 이동되게 한다. 또한, 목초액수집조(160)는 하부에 송풍팬(170)을 수용하여 송풍팬(170)의 구동에 의해 외부공기(C)가 연소실(130)로 유입되고, 연소가스(B)가 연통(150)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목초액수집조(160)는 함체 형태의 수집조본체(161)와, 수집조본체(161)의 상부에 돌출되어 연통(150)이 결합되는 연통연결관(162)과, 수집조본체(161)의 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수집조연결관(147)이 결합되는 연도결합공(163)과, 수집조본체(161) 내부에 구비되는 구획판(165)과, 수집조본체(161)의 상부 내측에 연통연결관(162)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통(150)의 삽입 위치를 고정하는 연통받침판(167)을 포함한다.
수집조본체(161)는 외부하우징(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연도(140)와 연통(150)을 연결한다. 연통연결관(162)은 수집조본체(16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연통(150)이 끼워지게 지지한다. 연통연결관(162)은 연통(150)이 삽입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연통연결관(162)이 형성된 수집조본체(161)의 상부 내벽면에는 연통받침판(167)이 결합된다. 연통받침판(167)은 가운데 영역에 목초액 방출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연통받침판(167)은 목초액수집조(160)의 상면으로부터 본체연결관(167a)에 의해 연통연결관(162)의 하부로 연장되게 구비된다.
이에 의해 연통연결관(162)을 통해 삽입된 연통(150)의 하단이 연통받침판(167)에 접촉지지되며 연통(150)의 삽입위치가 제한된다.
여기서, 연통받침판(167)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연통(150)을 통해 낙하된 목초액(M)이 목초액 방출공을 통해 하부로 낙하된다.
수집조본체(161)의 하부는 구획판(165)에 의해 연소가스 이동공간과 송풍팬 수용공간으로 구획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조연결관(147)을 통해 유입된 연소가스(B)는 구획판(165)의 상부 공간으로 이동된 후 연통(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구획판(165)과 수집조본체(161)의 하부 사이에는 팬수용공간(168)이 형성된다. 팬수용공간(168)에는 송풍팬(170)이 수용되며, 전원공급에 의해 회전된다.
한편, 구획판(165)은 연통(150)을 따라 이동되는 연소가스(B)에서 발생되어 연통(150) 하부로 낙하되는 목초액(M)이 외부하우징(110) 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수집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구획판(165)은 수집조연결관(14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우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연통(150)에서 낙하된 목초액(M)이 경사진 구획판(165)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된다.
구획판(165)의 바닥면의 가장 낮은 영역에는 목초액배출관(166)이 형성된다. 경사면을 따라 이동된 목초액(M)은 목초액배출관(16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목초액배출관(166)은 팬수용공간(168)을 가로질러 수집조본체(161)의 하부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목초액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연도결합공(163)에는 연도(140)의 수집조연결관(147)이 결합된다. 사용자는 화목보일러(100)를 설치할 때 외부하우징(11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수집조연결관(147)에 연도결합공(163)을 끼워 연도(140)에 목초액수집조(160)를 조립한다.
연도결합공(163)에는 수집조연결관(147)과 수집조본체(161)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163a)와 연결관받침판(163b)이 구비된다. 걸림돌기(163a)는 연도결합공(163)의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연결관받침판(163b)은 연도결합공(163)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수집조연결관(147)의 단부 상단에는 걸림고리(147a)가 절곡되게 형성된다. 걸림고리(147a)는 걸림돌기(163a)에 걸림결합된다. 사용자는 걸림고리(147a)에 걸림돌기(163a)가 끼워지도록 수집조본체(161)를 끼운 후 하부로 회동시켜 연도결합공(163)에 수집조연결관(147)이 삽입되게 한다.
이 때, 연결관받침판(163b)은 연도결합공(163)에 삽입된 수집조연결관(147)의 하부를 받쳐준다. 이에 의해 수집조연결관(147)의 상부는 걸림돌기(163a)에 끼워지고 하부는 연결관받침판(163b)에 받쳐져 위치가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송풍팬(170)은 목초액수집조(160)의 팬수용공간(168)에 수용되며 회전된다. 송풍팬(170)은 송풍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송풍한다. 송풍팬(170)의 선단에는 송풍관(171)이 구획판(165)을 관통하여 연통받침판(167)의 하부까지 연장형성된다.
송풍팬(17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기류(D)가 연통(150)을 향해 배출되고, 이에 의해 목초액수집조(160) 내부가 음압이 형성되며 연소실(130)과 연도(140) 측에 흡입압이 인가된다.
연소실(130)과 연도(140)에 인가된 흡입압에 의해 도어(111)의 공기유입구커버(119)가 내측으로 회동되며 공기유입구(117)를 개방하며 외부공기(C)를 연소실(130) 내부로 유입시키게 된다.
여기서, 목초액수집조(160)는 외부하우징(11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므로 고온의 연소실(130)과 이격배치된다. 이에 의해 송풍팬(170)이 목초액수집조(160)의 하부에 수용되더라도 난방수와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하강된 연소가스와 접촉하게 되므로 열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열차단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어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종래 화목보일러와 비교할 때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고, 송풍팬(170)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100)의 조립과정과 사용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화목보일러(100)의 설치를 위해 먼저 외부하우징(110)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위치시킨다. 이 때, 연도(140)의 수집조연결관(147)은 외부하우징(110)의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돌출된 수집조연결관(147)의 후단에 목초액수집조(160)의 연도결합공(163)을 끼운다. 이 때, 수집조연결관(147)의 걸림고리(147a)가 연도결합공(163) 상단의 걸림돌기(163a)에 끼워지게 수집조연결관(147)을 결합시킨다.
이렇게 수집조연결관(147)에 목초액수집조(160)의 결합이 완료되면, 연통연결관(162)에 연통(150)을 끼운다. 사용자는 연통(150)의 하단이 연통받침판(167)에 닿을 때까지 연통(150)을 삽입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화목보일러(100)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는 도어(111)를 열고 연소실(130)에 화목연료(A)를 적재한다. 화목연료(A)를 점화시키고, 송풍팬(170)을 구동하면 기류(D)가 형성되며 연통(150)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연도(140)와 연소실(130)로 흡입압력이 형성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커버(119)가 내측으로 회동되며 공기유입구(117)가 개방되고 외부공기(C)가 연소실(130)로 유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목연료(A)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연소에 의해 고온의 화염과 연소가스가 배출된다. 연소가스(B)는 연도(140)의 다중경로를 따라 이동되며 난방수와 열교환된다. 연소가스(B)는 연소실결합관(141), 제1수평이동관(143), 제2수평이동관(145) 및 수집조연결관(147)을 따라 이동하며 외부하우징(110)의 상부 공간을 입체적으로 장시간 이동하며 난방수와 충분히 열교환된다.
이렇게 이동된 연소가스(B)는 목초액수집조(160)로 이동된 후, 연통(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연소가스(B)가 연통(150)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발생되는 목초액(M)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낙하되며 연통받침판(167)에 닿게 된다. 그리고, 연통받침판(167)의 경사각에 의해 가운데로 모인 후 하부로 낙하되고, 구획판(165)으로 떨어진다.
구획판(165)은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목초액(M)은 구획판(165)을 따라 이동된 후 목초액배출관(166)으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는 송풍팬이 목초액수집조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소실의 고온의 열과 직접 닿지 않아 열에 의한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에 송풍팬이 설치되던 종래 화목보일러와 비교할 때 열차단재가 필요없게 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송풍팬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화목보일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화목보일러 110 : 외부하우징
111 : 도어 113 : 연도도어
115 : 보호판 117 : 공기유입구
119 : 공기유입구커버 119a : 경첩
120 : 재받이 130 : 연소실
140 : 연도 141 : 연소실결합관
143 : 제1수평이동관 145 : 제2수평이동관
147 : 수집조연결관 147a : 걸림고리
150 : 연통 160 : 목초액수집조
161 : 수집조본체 162 : 연통연결관
163 : 연도결합공 163a : 걸림돌기
163b : 연결관받침판 165 : 구획판
166 : 목초액배출관 167 : 연통받침판
167a : 본체연결관 168 : 팬수용공간
170 : 송풍팬 171 : 송풍관
A : 화목연료
B : 연소가스
C : 외부공기
D : 기류
M : 목초액

Claims (4)

  1. 전면에 도어(111)가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 화목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130)이 형성된 외부하우징(110)과;
    일단은 상기 연소실(130)과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후단으로 일정 길이 노출되게 구비되어 연소가스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연도(140)와;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후방에 상기 연도(140)의 타단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연통연결관(162)이 형성되며 목초액을 수집하여 배출하는 목초액수집조(160)와;
    상기 연통연결관(16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도(140)와 상기 목초액수집조(160)를 경유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150)과;
    상기 목초액수집조(16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통(150)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170)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111)의 전면에 관통형성된 공기유입구(117)와;
    상기 공기유입구(117)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111)의 내부에 전후로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송풍팬(170)이 동작되면 상기 연소실(130)에 형성되는 흡입압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공기유입구(117)를 개방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연소실(130)로 유입되게 하는 공기유입구커버(119)를 포함하고,
    상기 목초액수집조(160)는,
    상기 외부하우징(110)을 향해 관통형성되어 상기 연도(140)의 타단이 삽입되는 연도결합공(163)과 상부에 상기 연통연결관(162)이 형성된 수집조본체(161)와;
    상기 수집조본체(161)의 내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내부를 연소가스 이동공간과 송풍팬 수용공간으로 구분하는 구획판(165)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170)은 상기 구획판(165)을 관통하여 상기 연통연결관(162) 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연통(150)으로 송풍하는 송풍관(171)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판(165)은 상기 연도결합공(163)이 형성된 방향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165)의 높이가 제일 낮은 영역에는 목초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목초액배출관(166)이 상기 송풍팬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목초액수집조(160)의 외부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140)는,
    상기 연소실(130)의 후방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일정높이 형성되는 연소실결합관(141)과;
    상기 연소실결합관(141)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형성된 제1수평이동관(143)과;
    상기 제1수평이동관(143)의 선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형성된 제2수평이동관(145)과;
    상기 제2수평이동관(145)의 단부에서 상기 제1수평이동관(143)과 나란하게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도결합공(163)에 삽입되는 수집조연결관(1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4. 삭제
KR1020200185749A 2020-12-29 2020-12-29 연도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 KR102290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749A KR102290446B1 (ko) 2020-12-29 2020-12-29 연도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749A KR102290446B1 (ko) 2020-12-29 2020-12-29 연도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446B1 true KR102290446B1 (ko) 2021-08-18

Family

ID=7746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749A KR102290446B1 (ko) 2020-12-29 2020-12-29 연도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830A (ko) *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목초액 받이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816U (ko) * 1998-02-10 1999-09-15 최인혁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
KR200409483Y1 (ko) * 2005-12-14 2006-02-24 동 신 정 화목보일러
KR20100019045A (ko) * 2008-08-08 2010-02-18 이호준 단열 격벽이 구비된 화목 보일러
KR101077600B1 (ko) * 2011-05-03 2011-10-27 김종배 보일러
KR20120085443A (ko) * 2011-01-24 2012-08-01 최진민 화목보일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816U (ko) * 1998-02-10 1999-09-15 최인혁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
KR200409483Y1 (ko) * 2005-12-14 2006-02-24 동 신 정 화목보일러
KR20100019045A (ko) * 2008-08-08 2010-02-18 이호준 단열 격벽이 구비된 화목 보일러
KR20120085443A (ko) * 2011-01-24 2012-08-01 최진민 화목보일러
KR101077600B1 (ko) * 2011-05-03 2011-10-27 김종배 보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830A (ko) *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목초액 받이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KR102549102B1 (ko) * 2021-10-25 2023-06-29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목초액 받이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87B1 (ko) 고체연료용 열풍기
KR101271748B1 (ko) 펠렛난로
KR101363689B1 (ko) 펠릿보일러
KR102290446B1 (ko) 연도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
KR20120105106A (ko) 횡형 다목적 보일러
KR101564844B1 (ko) 고효율 펠릿 난로
KR102290445B1 (ko) 착탈가능한 목초액수집조를 갖는 화목보일러
KR101541535B1 (ko)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
KR101148696B1 (ko) 펠렛 보일러
KR101588443B1 (ko) 화목보일러
KR102437889B1 (ko) 공기순환식 고온연소 화목난로
KR100926653B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0740585B1 (ko) 갈탄보일러
KR101525069B1 (ko) 화재진압이 가능한 화목보일러
KR101311464B1 (ko) 고체 연료용 버너부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KR200465794Y1 (ko) 펠릿형 난방장치
KR100891187B1 (ko) 고체연료 겸용 화목보일러
KR20090116884A (ko) 고체 연료 보일러
KR101089622B1 (ko) 하향 연소식 고체 연료 보일러
KR20160123846A (ko)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CN105972670B (zh) 可强制排出废气的木屑颗粒多功能锅炉
KR101483879B1 (ko) 무연통식 열풍난로
KR20150056935A (ko) 화목온풍기
KR200466626Y1 (ko) 펠릿형 난방장치
KR20200025607A (ko) 보일러 기능이 구비된 벽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