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816U -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 - Google Patents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816U
KR19990035816U KR2019980001487U KR19980001487U KR19990035816U KR 19990035816 U KR19990035816 U KR 19990035816U KR 2019980001487 U KR2019980001487 U KR 2019980001487U KR 19980001487 U KR19980001487 U KR 19980001487U KR 19990035816 U KR19990035816 U KR 199900358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mbustion
hot water
chamber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혁
Original Assignee
최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혁 filed Critical 최인혁
Priority to KR2019980001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816U/ko
Publication of KR19990035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816U/ko

Links

Landscapes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름이 아닌 조개탄이나 목재를 연료로서 사용하는 온수 보일러에 있어 연료의 연소시 설정된 온도에 따라 외부 공기유입구를 자동으로 차단 또는 개방토록 하는 것에 의해 연료인 목재나 조개탄의 연소를 지연시킴으로써 보일러의 연소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그 사용을 간편히 한 것으로, 온수보일러(A)를 구성함에 있어서, 외벽을 수실(2)로 형성한 연소실(1)일측의 도어(11) 및 이 연소실(1)과 연통되도록 수실(2)과 외통(5)사이에 형성되는 연통(4)일측에 다수의 공기유입구(3)(3')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공기유입구(3)(3')에는 각각 회동변(31)을 힌지 설치하고, 상기 연통(4)의 배출측에는 수실(2)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7)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팬(6)을 설치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의 지연 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이다.

Description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
본 고안은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름이 아닌 조개탄이나 목재를 연료로서 사용하는 온수 보일러에 있어 연료의 연소시 설정된 온도에 따라 외부 공기유입구를 자동으로 차단 또는 개방토록 하는 것에 의해 연료인 목재나 조개탄의 연소를 지연시킴으로써 보일러의 연소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그 사용을 간편히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이나 온수공급을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온수 보일러의 경우 사용의 편의성으로 인해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대개가 기름을 주된 연료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인바, 이는 사용이 편리하고 열효율이 높은 반면에 개인은 물론이고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한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상기한 기름대신에 대체연료로서 조개탄이나 목재가 사용되는 경우도 종종 있으나, 이 경우 연소되는 연료의 재질특성상 그 취급 및 보관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아니라 연료의 연소 속도 조절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정량의 조개탄이나 목재를 일정시간마다 보일러의 연소실내에 수시로 투입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지닌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목재나 조개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종래의 온수보일러가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온수의 온도변화에 따라 작동되는 별도의 팬의 작동에 따라 연소실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되게 함으로써 많은 연료를 보일러의 연소실내에 투입한 상태에서도 연료의 일시적인 과잉연소를 막아 보일러의 사용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보다 간편하게 저렴한 연료를 이용할 수 있게 한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소실 2 : 수실
3 : 공기유입구 4 : 연통
5 : 외통 6 : 송풍팬
7 : 온도감지센서 11 : 도어
31 : 회동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는, 외벽을 수실로 형성한 연소실 일측의 도어 및 이 연소실과 연통되도록 수실과 외통사이에 형성되는 연통일측에 다수의 공기유입구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공기유입구에는 각각 회동변을 힌지 설치하고, 상기 연통의 배출측에는 수실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팬을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온수보일러(A)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연소실(1)내부로의 외부공기의 유입이 억제되는 상태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온수보일러(A)의 연소실(1)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의 온수보일러(A)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소실(1)내부에 연료, 즉 조개탄이나 목재(본예에서는 목재를 예로 한다.)를 외통(5)의 도어(11)를 열고 다량 투입상태에서 연통(4)의 배출측에 설치된 송풍팬(6)을 작동시키게 되면 연통(4)을 통해 연소실(1)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연소실(1)의 내부공기압이 낮아지게 됨에 따라 연소실(1)과 연통되도록 도어(11)에 설치된 공기유입구(3) 및 하부의 연통(4)일측에 설치된 공기유입구(3)의 회동변(31)이 스스로 회동하면서 공기유입구(3)(3')를 개방상태로 두어 외부공기가 활발히 연소실(1)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공기유입구(3)(3')를 통해 연소실(1)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공기유입구(3)(3)에 설치되는 공기의 공기유입조절구(도시생략)에 의해 간편히 조절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연소실(1)내부의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상태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도어(11)를 닫게 되면 송풍팬(6)이 작동하는 동안은 외부공기유입구(3)(3')가 개방된 상태에서 활발한 연소가 이루어져 연소실(1)외벽을 이루는 수실(2)의 물이 데워지면서 일정온도로 데워진 물을 이용한 난방 및 온수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연소실(1)하부의 연통(4)일측에 설치된 공기유입구(3)는 연소실(1)과 연결된 공기유입구(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간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유입구(3')에 의한 공기유입량을 많게(또는적게)하면 상대적으로 연소실(1)측 공기유입구(3)를 통한 공기 유입량을 적게(또는많게)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연소실(1)내부의 활발한 연소로 인해 수실(2)상부의 온수공급라인(8)의 도중에는 온도감지센서(7)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데워진 물의 온도가 일정온도에 도달되면 온도감지센서(7)가 작동하여 이와 연결된 송풍팬(6)의 동작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렇게 송풍팬(6)의 동작이 중단되게 되면 연통(4)을 통한 외부로의 공기유출이 차단되게 됨에따라 연소실(1)내부의 공기압력이 다시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유입구(3)를 개방하고 있던 회동변(31)은 다시 자중에 의해 힌지 회동하여 공기유입구(3)를 차단하게 되어 연소실(1)에 대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연소되고 있는 연소실(1)내의 연료에 대한 산소공급을 중지시켜 남은 불씨만을 지속시키는 정도로 연소속도를 지연시키게 된다.
이후 연료의 연소가 활발하지 않은 상태, 즉 겨우 불씨만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로 일정시간 지속되게 됨에따라 수실(2)내의 물이 식어 일정온도 이하로 수온이 낮아지면 온도감지센서(7)가 작동하여 이와 연결된 송풍팬(6)을 작동시키게 됨에 따라 앞서와 같이 다시 공기유입구(3)를 개방상태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연소실(1)에 대한 외부 공기유입이 이루어지면서 다시 활발한 연소가 일정시간동안 진행되게 되어 수실(2)내의 물을 가열하게 되어 온수난방 및 온수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다시 데워진 물이 일정온도에 도달되면 앞서와 같이 온도감지센서(7)가 작동하여 송풍팬(6)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공기유입구(3)를 차단하는 식의 작동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조개탄이나 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온수보일러를 연료의 연소속도를 지연시켜가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 있듯이 본 고안의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에 의하면, 연통의 배출측에 설치된 송풍팬이 수실내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작동 또는 멈추도록함으로써 연소실내부로의 외부공기의 유입을 개방 또는 차단토록 하는 것에 의해 연료의 연소상태, 즉 연소속도를 지연 조절토록 하여 목재나 조개탄을 주연료로 하는 보일러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므로 연료비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온수보일러(A)를 구성함에 있어서, 외벽을 수실(2)로 형성한 연소실(1)일측의 도어(11) 및 이 연소실(1)과 연통되도록 수실(2)과 외통(5)사이에, 형성되는 연통(4) 일측에 다수의 공기유입구(3)(3')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공기유입구(3)(3')에는 각각 회동변(31)을 힌지 설치하고 상기 연통(4)의 배출측에는 수실(2)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7)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팬(6)을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
KR2019980001487U 1998-02-10 1998-02-10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 KR199900358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487U KR19990035816U (ko) 1998-02-10 1998-02-10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487U KR19990035816U (ko) 1998-02-10 1998-02-10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16U true KR19990035816U (ko) 1999-09-15

Family

ID=6971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487U KR19990035816U (ko) 1998-02-10 1998-02-10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81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4880A1 (ko) * 2011-03-15 2012-09-20 (주)귀뚜라미 횡형 다목적 보일러의 제어방법
KR102290446B1 (ko) * 2020-12-29 2021-08-18 임찬경 연도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4880A1 (ko) * 2011-03-15 2012-09-20 (주)귀뚜라미 횡형 다목적 보일러의 제어방법
KR102290446B1 (ko) * 2020-12-29 2021-08-18 임찬경 연도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1748C (en) Fuel-fired, power vented high efficiency water heater apparatus
US5503183A (en) Hot-water thermoregulating valve
KR19990035816U (ko) 연료의 지연연소가 가능한 온수보일러
JP3683400B2 (ja) 複合給湯装置
KR0169884B1 (ko) 가스보일러의 배관구조
RU2737708C1 (ru) Котел для горячей воды накопительного типа, обладающий функцией пропорциональ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количеством тепла и функцией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братного потока
JP3177554B2 (ja) 燃焼制御装置
KR100674165B1 (ko) 실내의 바닥 난방기능 겸용 난로
KR200147552Y1 (ko) 양방향펌프구조
EP0400757B1 (en) Gas-fired heating apparatus
KR100259706B1 (ko) 온수사용시 가스보일러 제어방법
KR0153711B1 (ko) 연소장치
KR200158958Y1 (ko) 다단연소형 오일버너
KR20000032721A (ko) 가스보일러의 급/배기량 제어방법
KR930011418B1 (ko) 가스보일러의 온수공급 비례 제어방법
JP2002081618A (ja) 燃焼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流体加熱装置
CN2274294Y (zh) 煤气调节通道
KR930004256Y1 (ko) 가스보일러메니홀더의 2중 가스 공급조절장치
KR960000132Y1 (ko) 가스보일러
JPH06221553A (ja) 燃焼器の燃焼制御方法
KR200289386Y1 (ko) 동파방지를 위한 댐퍼코일 유니트
KR950008578Y1 (ko) 가스보일러에서의 역풍 방지장치
KR890004197Y1 (ko) 연탄용 온수보일러의 배기관 자동 개폐장치
KR0129902Y1 (ko) 돈사의 공기순환 조절장치
EP0751450A1 (en) Hot water thermoregulating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