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483Y1 - 화목보일러 - Google Patents

화목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483Y1
KR200409483Y1 KR2020050035160U KR20050035160U KR200409483Y1 KR 200409483 Y1 KR200409483 Y1 KR 200409483Y1 KR 2020050035160 U KR2020050035160 U KR 2020050035160U KR 20050035160 U KR20050035160 U KR 20050035160U KR 200409483 Y1 KR200409483 Y1 KR 200409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firewood boiler
main body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신 정
Original Assignee
동 신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신 정 filed Critical 동 신 정
Priority to KR2020050035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4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2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 F24H1/2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the water mantle forming an integral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89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flue-gas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 외통의 사이 공간에 난방수를 저장하는 수실을 마련하여 연소실 내에서 직접 가열토록 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나무 등의 땔감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와 목초액을 아주 용이하게 분리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화목보일러는 본체를 내, 외통으로 구성하고 그 사이 공간에 난방수를 저장하는 수실을 마련하여 연소실 내에서 직접 가열토록 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연통의 형상을 대략 "ㅏ"자 형상으로 구현하고, 하단부에 수거통을 형성한 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나무 등의 땔감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와 목초액을 아주 용이하게 분리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또한, 부분적으로 파손이 발생되면 분해할 필요 없이 외부에서 직접 용접하여 그 부분만을 바로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화목보일러, 순환모터, 외통, 내통, 내입관, 배연통

Description

화목보일러{A FIREWOOD BOILER}
도 1은 종래의 화목보일러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연통의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의 화목보일러 20 : 본체
22 : 외통 24 : 내통
26 : 연소실 30 : 온수관
32 : 유입부 34 : 난방수유출부
40 : 배연통 100 : 본 고안의 화목보일러
110 : 본체 112 : 외통
112a : 전면판 112b : 후면판
114 : 내통 116 : 수실
118 : 연소실 120 : 문
122 : 투명판 130 : 유입관
140 : 난방수유출관 142 : 순환모터
150 : 압력토출관 160 : 급수관
170 : 배연통 171 : 조절부
172 : 조절판 173 : 수거통
174 : 레일부 176 : 연결관
178 : 외입관 180 : 온도게이지
본 고안은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 외통의 사이 공간에 난방수를 저장하는 수실을 마련하여 연소실 내에서 직접 가열토록 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나무 등의 땔감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와 목초액을 아주 용이하게 분리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산업체 등에서 사용되는 보일러는 주로 경유 내지는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며, 이러한 보일러에는 다양한 센서와 각종 장치들이 장착되어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그 가격이 매우 비싸고 열원으로 사용되는 연료들은 전량 수입에 의존되므로 상당한 외화가 낭비되는 폐단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소각 가능한 쓰레기 및 목재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화목보일러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도 1은 종래의 화목보일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화목보일러(10)의 구조를 살펴보면, 본체(20)는 외통(22)과 내통(24)으로 구비되어 사이 공간에는 온수관(30)이 권회되어 있으며, 내통(24)의 내부에는 연소실(26)이 마련되고, 그 상부에는 배연통(4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온수관(30)은 물 유입부(32)와 난방수가 배출되는 난방수유출부(34)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난방수유출부(34)에는 난방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순환모터가 구비되어 난방수를 순환시킴으로 지속적으로 난방을 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연소실(26)의 내부에서 나무 등의 땔감이 연소되어 외통(22)과 내통(24)의 사이 공간을 가열시킴과 동시에 권회되어 있는 온수관(30) 또한 가열시켜 온수관(3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난방수로 사용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연소실(26) 상부에 구비된 온수관(30)을 가열시키기 위해서는 비교적 긴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열전달 효율이 극히 저하되었고, 이로 인해 나무 등의 땔감 또한 현저히 많이 사용을 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나무의 연소시 발생되는 목초액은 따로 수거하기 곤란하여 연소실(26)내로 유입되어 다시 연소되면서 연소실 내부에 그을음이 끼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내부에 권회되어 있는 온수관(30)이나 배연통(40)을 고온에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전체 파손 내지 부분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어떤 경 우라도 이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외통을 전부 분리하여 보수하는 등의 유지보수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난방수를 연소실 내에서 직접 가열토록 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나무 등의 땔감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와 목초액을 아주 용이하게 분리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유지보수 또한 용이한 화목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연소실을 구비하는 내통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외통이 부착되어 상호간의 사이 공간에 난방수가 채워지는 수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부 일측에 수실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난방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본체의 상단부 일측에 수실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가열된 난방수가 배출되는 난방수유출관; 상기 본체의 상단부 일측에 수실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실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토출하도록 구비되는 압력토출관; 및 전체적으로 "ㅏ"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통의 연소실에 연결되어져 상부로는 배기가스가 배출되고, 하부로는 목초액이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연통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는 온수를 직접 제공할 수 있는 급수관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연통은 전체적으로 "ㅏ"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연통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실의 연소력을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목초액의 무단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조절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배연통의 하단부 양 측면에 부착되는 레일부와 하부에 목초액을 저장할 수 있는 수거통이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조절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연통의 외경과 내경이 동일한 외입관을 구성하여 별도의 이음장치 없이 끼움 결합시켜 배연통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연결관이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화목보일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B-B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와 도3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의 화목보일러(100)는 본체(110), 유입관(130), 난방수유출관(140), 압력토출관(150) 및 상기 본체(110)의 배면에 구비되는 배연통(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체(110)의 상단부에는 온수가 직접 공급될 수 있는 급수관(160)이 구비되고, 난방수의 온도를 나타낼 수 있는 온도게이지(180)가 구비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는 연소실(118)의 내부를 단속할 수 있는 문 (12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문(120)에는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판(12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는 외통(112)과 내부에 연소실(118)을 구비하는 내통(114)으로 구성되어 사이 공간에 수실(116)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연소실(118)에서 공급된 물을 직접 가열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상기 유입관(130)은 상기 본체(110)의 하단부 일측에 수실(116)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실(116)에 물을 유입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난방수유출관(140)은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 일측에 수실(116)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난방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고, 일단에 난방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순환모터(142)가 구비됨은 당연하다.
상기 압력토출관(150) 또한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 일측에 수실(116)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실(116)의 내부 압력을 외부로 토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유입관(130)과 난방수유출관(140) 및 급수관(160)은 본체(110)에 나사 결합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통상의 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시행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배연통(170)은 상기 본체(110)의 배면에서 설치되어 연소실(118)에 연결되어져 상부로는 배기가스가 배출되고, 하부로는 목초액이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유입관(130)이 좌측 하단에 구비되면, 난방수유출관(140)은 우측 상단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유입관(130)이 우측 하단에 구비된다면 상기 난방수유출관(140)은 좌측 상단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내 외통(114)(1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수실(116)에서 열전달이 제일 높은 곳이 상단 중앙부이며, 중앙부 중에서도 유입관(130)과 거리가 제일 먼 쪽이 제일 높은 곳일 것이다. 이로 인해 중앙측이 양 측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공간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도 3참조)
이러한 상기 유입관(130)과 난방수유출관(140)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좌우측으로 선택하여 구비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체(110)를 내, 외통(114)(112)으로 형성하여 내부에 직접 수실(116)을 형성함으로 권회되는 종래의 온수관이 필요 없을 것이고, 이에 따라 온수관의 파손시 이를 보수하기 위해서 본체를 분해하여야 되는 종래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110)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살필 수 있다. 내부에 연소실(118)이 구비되는 내통(114)의 전 후면에 외통(112)의 전면판(112a)과 후면판(112b)이 밀봉되게 부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전면판(112a)과 후면판(112b)은 연소실(118)과 배연통(170)으로 연결되도록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관통홀의 외주면으로 상기 내통(114)이 밀봉되게 부착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 하, 좌, 우측면에 수실(116)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후면에는 땔감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나 목초액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서 상술할 "ㅏ"자 형상의 배연통(170)이 설치되어 있고, 그 상단에는 길이를 연장하는 연결관(176)이 끼움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연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배연통(170)은 전체적으로 "ㅏ"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통(114)의 연소실(118)에 연결되어져 상부로는 배기가스가 배출되고, 하부로는 자체 무게를 가지는 목초액이 배출되도록 구현한 것이다.
상기 배연통(170)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소실(118)의 연소력을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목초액의 무단방출을 방지할 수 있는 조절부(17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절부(171)는 배연통(170)의 하단부 양 측면에 부착되는 레일부(174)와 상기 레일부(174)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조절판(172)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절판(172)에는 배연통(170)을 통해 낙하되는 목초액을 저장할 수 있도록 수거통(17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관(176)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배연통(170)에서 길이를 연장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써 별도의 이음 장치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즉, 배연통(170)과 지름이 동일한 연결관(176)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내경이 배연통(170)의 외경과 동일한 외입관(178)을 돌출 되도록 부착함으로써 끼움 결합하도록 한 것이다.
"나"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76)의 외부에는 외입관(178)을 구비함으로 아주 용이하게 길이를 연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연통(170)으로 배기가스는 화살표 방향대로 이동될 것이고, 이와 함께 배출되는 목초액은 자체 무게에 의해서 하단으로 배출될 것이다.
이때, 배연통(170)의 하단부에는 조절부(171) 즉, 조절판(172)이 슬라이딩됨으로 하단 통공부의 통공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인데, 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문(120)과 함께 공기의 소통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연소실(118)의 연소력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조절판(172)의 하부에는 수거통(173)을 구비하여 목초액이나 그을음 및 재 등의 무단 낙하를 방지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화목보일러(100)는 본체(110)를 내, 외통(114)(112)으로 구성하고 그 사이 공간에 난방수를 저장하는 수실(116)을 마련하여 연소실(118) 내에서 직접 가열토록 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연통(170)의 형상을 대략 "ㅏ"자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나무 등의 땔감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와 목초액을 막힘없이 아주 용이하게 분리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하단부에 수거통(173)을 형성한 조절부(171)가 구비됨으로 목초액의 수거가 용이하며 더불어 그을음의 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별도의 온수관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잔고장의 발생률이 저하될 것은 당연하고 내, 외통(114)(112)에 부분적으로 파손이 발생되면 분해할 필요 없 이 외부에서 직접 용접하여 그 부분만을 바로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화목보일러(100)는 한번 시공되면 내, 외통(114)(112)을 형성하는 철판의 수명과 함께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목보일러는 본체를 내, 외통으로 구성하고 그 사이 공간에 난방수를 저장하는 수실을 마련하여 연소실 내에서 직접 가열토록 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연통의 형상을 대략 "ㅏ"자 형상으로 구현하고, 하단부에 수거통이 형성된 조절부를 구 비함으로써 나무 등의 땔감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와 목초액을 아주 용이하게 분리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분적으로 파손이 발생되면 분해할 필요 없이 외부에서 직접 용접하여 그 부분만을 바로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내부에 연소실이 구비되어 연탄이나 목재 등을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화목보일러에 있어서,
    내부에 연소실을 구비하는 내통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외통이 부착되어 상호간의 사이 공간에 난방수가 채워지는 수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부 일측에 수실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난방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본체의 상단부 일측에 수실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가열된 난방수가 배출되는 난방수유출관;
    상기 본체의 상단부 일측에 수실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실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토출하도록 구비되는 압력토출관; 및
    상기 내통의 연소실에 연결되어져 상부로는 배기가스가 배출되고, 하부로는 목초액이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연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는 온수를 직접 제공할 수 있는 급수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연통은 전체적으로 "ㅏ"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4. 제 1항 또는 제 3항 있어서,
    상기 배연통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실의 연소력을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목초액의 무단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조절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배연통의 하단부 양 측면에 부착되는 레일부와 하부에 목초액을 저장할 수 있는 수거통이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조절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연통의 외경과 내경이 동일한 외입관을 구성하여 별도의 이음장치 없이 끼움 결합시켜 배연통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연결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KR2020050035160U 2005-12-14 2005-12-14 화목보일러 KR200409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160U KR200409483Y1 (ko) 2005-12-14 2005-12-14 화목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160U KR200409483Y1 (ko) 2005-12-14 2005-12-14 화목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483Y1 true KR200409483Y1 (ko) 2006-02-24

Family

ID=4175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160U KR200409483Y1 (ko) 2005-12-14 2005-12-14 화목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48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483B1 (ko) 2011-05-12 2012-12-03 유규원 화목 보일러
KR101289695B1 (ko) 2012-04-04 2013-07-26 설덕목 연탄 화목 겸용 보일러
KR102290446B1 (ko) * 2020-12-29 2021-08-18 임찬경 연도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
KR102290445B1 (ko) * 2020-12-28 2021-08-18 주식회사 엔엠지 착탈가능한 목초액수집조를 갖는 화목보일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483B1 (ko) 2011-05-12 2012-12-03 유규원 화목 보일러
KR101289695B1 (ko) 2012-04-04 2013-07-26 설덕목 연탄 화목 겸용 보일러
KR102290445B1 (ko) * 2020-12-28 2021-08-18 주식회사 엔엠지 착탈가능한 목초액수집조를 갖는 화목보일러
KR102290446B1 (ko) * 2020-12-29 2021-08-18 임찬경 연도 후방에 송풍팬이 결합된 화목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409B1 (ko) 횡형 다목적 보일러
KR200409483Y1 (ko) 화목보일러
KR20120085443A (ko) 화목보일러
CN100547313C (zh) 一种套管锅炉
KR100679340B1 (ko) 수평형 복합보일러
KR101287693B1 (ko) 하이브리드 보일러
KR100694356B1 (ko) 화석 연료로 가열되는 연속 증기 발생기
CN2924394Y (zh) 一种套管锅炉
KR100652893B1 (ko) 온수 보일러
KR200443857Y1 (ko) 장작 보일러
CN104110672A (zh) 燃油燃气蒸汽热水锅炉的外湿背装置及锅炉
KR100511658B1 (ko) 수직형 화목보일러
CN206944114U (zh) 具有复合水冷炉膛的燃气燃油锅炉
CN204062977U (zh) 一种锅壳锅炉
CN217816688U (zh) 一种燃气锅炉的炉膛系统
CN205897085U (zh) 燃烧生物质颗粒的鼓泡流化床锅炉
KR100486145B1 (ko) 수직형 복합보일러
CN2572291Y (zh) 管式燃气燃油锅炉
KR200327951Y1 (ko) 고성능 화목보일러
KR20120006165U (ko) 온수탱크가 부착된 원통 화목보일러
CN212361972U (zh) 一种单锅体分段火管间接加热锅炉
CN212132407U (zh) 一种生物质锅炉结构
CN219160312U (zh) 一种双锅筒纵置式燃气蒸汽锅炉
KR200315683Y1 (ko) 보일러의 연소실구조
KR100968289B1 (ko) 고효율의 온수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