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257B1 -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 - Google Patents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257B1
KR102290257B1 KR1020210022084A KR20210022084A KR102290257B1 KR 102290257 B1 KR102290257 B1 KR 102290257B1 KR 1020210022084 A KR1020210022084 A KR 1020210022084A KR 20210022084 A KR20210022084 A KR 20210022084A KR 102290257 B1 KR102290257 B1 KR 102290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ain body
display panel
pair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이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훈 filed Critical 이태훈
Priority to KR102021002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에 피난방향을 안내하는 비상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판이 구비되는 본체의 전면에 돌출된 점멸발광부를 구비하여서 비상상상 발생시에 비상유도등의 위치를 즉시 인식하고, 안내방송을 출력하여 신속하게 피난방향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은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피난방향을 안내하는 도안이 표시된 표시판;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표시판을 조명하는 조명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비상상황 발생시에 점멸발광하는 점멸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Escape exit guidance lights}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에 피난방향을 안내하는 비상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판이 구비되는 본체의 전면에 돌출된 점멸발광부를 구비하여서 비상상상 발생시에 비상유도등의 위치를 즉시 인식하고, 안내방송을 출력하여 신속하게 피난방향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비상유도등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0332123호 "통로 유도등", 등록특허 제10-1502483호 "피난구 유도등" 등 다양하게 개시되었다.
종래기술에서 알 수 있듯이, 비상유도등은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상황시에 피난방향을 안내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본체와,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피난방향을 안내하는 표시판과, 본체의 내부에서 표시판을 조명하는 조명부으로 구성된다.
비상유도등은 통로의 측벽에 설치되어서, 비상유도등의 설치위치와 통행인의 통행방향 간의 위치관계로 통행인이 비상유도등에서 조금만 떨어져도 통행인은 비상유도등을 신속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789262호 "비상구 무인유도 장치"는 본체의 전면에 점멸램프를 구비하여서 비상유도등의 인식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0789262호의 점멸래프는 본체의 전면과 높이가 일치되는 구조여서 위치관계 상 통행인의 인식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화재발생에 따른 연기에 의해 통행인의 시야가 좁아지는 때에는 통행인의 인식성이 급격히 떨어진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비상유도등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표시판이 구비되는 본체의 전면에 점멸발광부가 돌출되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시에 비상유도등의 위치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는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비상상황 발생시에 스피커가 안내방송을 출력하도록 하여 비상상상 발생을 신속하게 전파하고 대피하도록 안내하는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시판은 본체의 전면에 원터치결합블럭을 통해 간편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되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은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피난방향을 안내하는 도안이 표시된 표시판;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표시판을 조명하는 조명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비상상황 발생시에 점멸발광하는 점멸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비상상황 발생시에 안내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표시판을 상기 본체의 전면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원터치결합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터치결합블럭은
본체 전면에 구비되고,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팔이 구비되는 제1블록과,
상기 표시판에 구비되고, 상기 제1블록이 인입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이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제2블록과,
상기 제1블록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의 후퇴를 불허하는 인입방지추 및 상기 인입방지추의 승하강을 유도하며 상기 제1블록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러 및 상기 핸들러와 인입방지추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인입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을 상기 끼움홈에 삽입하고, 상기 핸들러를 동작하면, 상기 인입방지추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을 상기 인입홈에 내삽시켜 상기 제1블록을 제2블록에 고정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에 인입방지추가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의 후퇴를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은 비상상황 발생시에 점멸발광하는 점멸발광부가 본체의 전면에 돌출되어 구비됨으로써 거리가 다소 멀어도, 어느 위치에서도 점멸발광부가 신속하게 인식되어서 안전한 피난을 유도하고, 비상상황 발생시에 스피커에서 안내방송이 송출되어서 신속하고 안정한 피난을 유도하여서 피난안내 효율이 탁월하고, 표시판은 원터치결합블럭을 통해 본체의 전면에 간편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되어서 조립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의 블럭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결합블럭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결합블럭의 구체적인 구성과 매커니점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1의 블럭 구성도와 도2의 사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의 전기적인 구성은 조명부(1), 점멸발광부(2), 스피커(3), 전원공급부(4), 수신부(5) 및 컨트롤러(6)를 포함하고, 기구적인 구성은 상기 조명부(1)와 컨트롤러(6) 등을 내장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되는 표시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명부(1)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상기 표시판(20)의 내면을 조명하여서, 표시판(20)에 그려진 피난방향을 안내하는 도안에 대한 시인성을 높인다.
상기 점멸발광부(2)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으로서 상기 표시판(20) 옆에 구비되고, 비상상황 발생시에 점멸발광하여 비상유도등의 위치를 알린다.
상기 점멸발광부(2)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돌출형성되어서 어느 위치에서도 바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점멸발광부(2)는 적색 계열의 빛으로 조명되어 비상상황의 발생을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하고, 발광 조사각을 크게 하여 어느 방향에서도 즉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3)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으로서 상기 표시판(20) 옆에 구비되고, 비상상황 발생시에 비상상황의 발생사실, 피난방향, 피난을 위한 행동대처요령 등의 안내방송을 출력하여 피난객들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4)는 비상유도등의 구동을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부(4)는 상용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컨버터와, 정전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용전원을 이용해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와, 평상시에는 컨버터를 통해 구동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정전시에는 배터리를 통해 구동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절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5)는 화재감지기나 화재수신기 등으로부터 화재발생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컨트롤러(6)로 전송한다.
상기 컨트롤러(6)는 상기 조명부(1)가 상기 표시판(20)을 조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부(5)로부터 화재발생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어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점멸발광부(2)가 점멸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3)에서 안내방송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등으로서, 비상유도등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사각박스구조로 이루어지고, 전면에는 상기 표시판(20)에 구비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일측에는 상기 점멸발광부(2)와 스피커(3)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조명부(1), 전원공급부(4), 수신부(5), 컨트롤러(6) 등이 설치되고, 이들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본체(10)의 측면에는 방열공(11)이 형성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판(20)은 상기 본체(10)의 전면 개구부에 설치되고, 피난방향을 안내하는 도안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조명부(1), 전원공급부(4), 수신부(5), 컨트롤러(6) 등을 설치하고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표시판(20)은 상기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트(15)를 통해 상기 표시판(20)은 상기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볼트(15)로 표시판(20)을 본체(1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때에는 드라이버가 필요하고, 드라이버를 통해 볼트(15)를 정역회전시키는 작업에 손이 많이 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볼트결합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원터치결합블럭(TB)을 도입하여, 표시판(20)을 본체(10)에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에서는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원터치결합블럭(T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원터치결합블럭(TB)은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블록(B1)과, 상기 표시판(20)에 구비되는 제2블록(B2)으로 구성된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원터치결합블럭(TB)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다.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되며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팔(B13)이 구비되는 제1블록(B1)과, 표시판(20)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끼움홈(B21)과 상기 끼움홈(B21)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이 인입되는 인입홈(B23)이 형성된 제2블록(B2)과, 상기 제1블록(B1)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의 후퇴를 불허하는 인입방지추(B33) 및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승하강을 유도하며 상기 제1블록(B1)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러(B31) 및 상기 핸들러(B31)와 인입방지추(B33)를 연결하는 와이어(B35)를 포함하는 인입방지수단(B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B1)을 상기 끼움홈(B21)에 삽입하고, 상기 핸들러(B31)를 동작하면, 상기 인입방지추(B33)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을 상기 인입홈(B23)에 내삽시켜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고정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에 인입방지추(B33)가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의 후퇴를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4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은 도면에 자세한 사시도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우선 상기 제2블록(B2)은 표시판(20)에 구비되며, 중앙에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끼움홈(B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B21)의 양측에는 인입홈(B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인입홈(B23)은 상기 제1블록(B1)이 끼움홈(B21)에 끼워질 때, 상기 고정팔(B13)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게 된다.
다시, 제1블록(B1)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블록으로, 하부는 상기 끼움홈(B21)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도면과 같이, 중앙에는 T자형의 T형공간부(B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T형공간부(B11)와 연통되되 상기 제2블록(B2)의 양측으로 개방되는 인출로(B12)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로(B12)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인입방지추(B33)가 구비되는 수납부(B335)가 형성된다.
먼저 고정팔(B13)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블록(B1)에는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팔(B13)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고정팔(B13)은 상기 인출로(B12)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동작에 의해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입홈(B2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팔(B13)의 외측에는 각각 지지날개(B13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팔(B13)을 감싸는 복귀탄성체(B133)가 상기 지지날개(B131)와 제1블록(B1)의 가장자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이 제1블록(B1) 내측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받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삽입하거나 뺄 때 고정팔(B13)이 돌출되지 않아 원활하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팔(B13)의 내측 일단에는 대응경사부(B135)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인입방지추(B33)가 이동할 때 상기 고정팔(B13)을 자연스럽게 양측으로 밀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블록(B1)의 외주연에는 상기 본체(1)의 전면의 표면을 가압하여 눌러주는 가압판(B17)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판(B17)은 스프링(B18)으로 탄성지지된다.
상기 제1블록(B1)의 양측, 보다 정확하게는 도4a를 준으로 제1블록(B1)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핸들러(B3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러(B31)는 인입방지수단(B3)의 한 구성으로, 이하, 인입방지수단(B3)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인입방지수단(B3)은 상기 제1블록(B1)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을 양측으로 돌출시킨 후, 이들의 후퇴를 방지하는 인입방지추(B33)와, 상기 제1블록(B1)에 힌지결합되는 핸들러(B31), 상기 핸들러(B31)와 인입방지추(B33)를 연결하는 와이어(B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인입방지추(B3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납부(B335)에 안착되어 있으며, 도4a를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단부에는 상기 대응경사부(B135)와 밀착되는 진입경사부(B3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B335)에는 상기 인입방지추(B33)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B333)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압축스프링(B333)은 인입방지추(B33)를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여기서 복원시키는 방향은 도4a와 같이, 고정팔(B13)이 돌출되지 않았을 때의 상태의 위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인입방지추(B33)가 도4b와 같이,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로 이동하면, 상기 진입안내부 및 대응경사부(B135)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고정팔(B13)들이 벌어져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게 되고, 상기 인이방지추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한, 상기 고정팔(B13)들은 다시 내측으로 후퇴할 수 없어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의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상기 핸들러(B31)는 도4a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블록(B1)의 상부 양측에 제1힌지부(B311)를 통하여 힌지결합된 부재로, 상기 핸들러(B31)는 도3의 [B]와 같이 일면이 상기 제1블록(B1) 측방향에 밀착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핸들러(B31)는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부재로, 상기 핸들러(B31)와 인입방지추(B33)는 도면과 같이 와이어(B35)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B3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T형공간부(B11)의 내측 모서리부분에는 제1롤러(B15)가 구비되어 와이어(B35)를 지지하고, 상기 T형공간부(B11)의 단부, 즉 와이어(B35)가 노출되는 부분에도 제2롤러(B16)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4b와 같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삽입한 후, 상기 한 쌍의 핸들러(B31)를 접으면, 상기 와이어(B35)가 당겨지게 되어 상기 인입방지추(B33)를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은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어 인입홈(B23)에 끼워져 제1블록(B1)이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핸들러(B31)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블록(B1)과 상기 핸들러(B31)에는 상기 핸들러(B31)가 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서로 밀착되는 면에 각각 제1마그넷(M1) 및 제2마그넷(M2)을 구비하고, 이들이 인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핸들러(B31)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인입방지추(B33)가 복귀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역으로 상기 핸들러(B31)를 다시 펼쳐야 하는데, 상기 핸들러(B31)는 상기 제1블록(B1)에 자성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러(B31)를 펼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러(B31)에 제2힌지부(B312)에 힌지결합되는 홀딩손잡이(B3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4b와 같이 상기 홀딩손잡이(B313)를 젖힌 후, 사용자가 이 홀딩손잡이(B313)를 잡고 손쉽게 핸들러(B31)를 펼칠 수 있고, 상기 핸들러(B31)가 펼쳐지면, 상기 인입방지추(B33)를 지지하던 압축스프링(B3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인입방지추(B33)가 수납부(B335)로 원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은 복귀탄성체(B133)의 탄성력에 의해 제1블록(B1) 내측으로 인입되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원터치결합블럭(TB)에 의해, 보다 손쉽게 본체(1)의 전면과 표시판(20)을 고정 및 분리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조명부 2 : 점멸발광부
3 : 스피커 4 : 전원공급부
5 : 수신부 6 : 컨트롤러
10 : 본체 30 : 표시판
TB : 원터치결합블럭
B1 : 제1블록
B11 : T형공간부 B12 : 인출로
B13 : 고정팔 B131 : 지지날개
B133 : 복귀탄성체 B135 : 대응경사부
B15 : 제1롤러 B16 : 제2롤러
B2 : 제2블록
B21 : 끼움홈 B23 : 인입홈
B3 : 인입방지수단
B31 : 핸들러 B311 : 제1힌지부
B312 : 제2힌지부 B313 : 홀딩손잡이
B33 : 인입방지추 B331 : 진입경사부
B333 : 압축스프링 B335 : 수납부
B35 : 와이어
M1 : 제1마그넷 M2 : 제2마그넷

Claims (4)

  1.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피난방향을 안내하는 도안이 표시된 표시판;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표시판을 조명하는 조명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비상상황 발생시에 점멸발광하는 점멸발광부;
    상기 표시판을 상기 본체의 전면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원터치결합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터치결합블럭은
    본체 전면에 구비되고,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팔이 구비되는 제1블록과,
    상기 표시판에 구비되고, 상기 제1블록이 인입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이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제2블록과,
    상기 제1블록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의 후퇴를 불허하는 인입방지추 및 상기 인입방지추의 승하강을 유도하며 상기 제1블록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러 및 상기 핸들러와 인입방지추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인입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을 상기 끼움홈에 삽입하고, 상기 핸들러를 동작하면, 상기 인입방지추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을 상기 인입홈에 내삽시켜 상기 제1블록을 제2블록에 고정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에 인입방지추가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의 후퇴를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비상상황 발생시에 안내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
  3. 삭제
  4. 삭제
KR1020210022084A 2021-02-18 2021-02-18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 KR102290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084A KR102290257B1 (ko) 2021-02-18 2021-02-18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084A KR102290257B1 (ko) 2021-02-18 2021-02-18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257B1 true KR102290257B1 (ko) 2021-08-20

Family

ID=7746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084A KR102290257B1 (ko) 2021-02-18 2021-02-18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90Y1 (ko) * 2021-10-08 2022-10-11 주식회사 케이텔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190B1 (ko) * 2016-04-08 2016-11-03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피난구 유도등의 설치구조
JP2020129302A (ja) * 2019-02-08 2020-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避難誘導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190B1 (ko) * 2016-04-08 2016-11-03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피난구 유도등의 설치구조
JP2020129302A (ja) * 2019-02-08 2020-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避難誘導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90Y1 (ko) * 2021-10-08 2022-10-11 주식회사 케이텔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0010B (zh) 具有和不具有紧急照明的出口标记装置
KR102290257B1 (ko)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
US8061866B2 (en) Automatic mobile luminous device
JP2014124081A (ja) 外部給電機能付照明装置
US8356698B2 (en) Wireless elevator hall fixtures integral with hall door frame
KR101638103B1 (ko)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
CN214960424U (zh) 一种智慧路灯用控制管理设备
JP2020129302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CN212366522U (zh) 一种感应照明的配电柜
KR101566662B1 (ko) 자석 고정형 충전식 엘이디 조명장치
KR100773303B1 (ko) 랜턴이 구비된 비상구 유도등
KR20160054099A (ko) 자전거 거치대
JP2013187127A (ja) 緊急停電時又は設置台から持ち上げると自動点灯し、持ち運べる非常照明になる光パネル補助具
JP2007194112A (ja) 非常用照明装置
ES2905555T3 (es) Módulo de interfaz para alimentar una interfaz de usuario inalámbrica a través de un interruptor de luz
JP2011210516A (ja) 照明装置
JP3163567U (ja) 照明の向きを調整できるウォールランプ
KR20150003737U (ko) 수배전반용 조명등
CN212319556U (zh) 一种灯具和抽屉柜
JP5617537B2 (ja) 表示装置
US20220021235A1 (en) Device for expanding a standard luminaire with no batteries for use as emergency lighting
CN218268695U (zh) 一种便于安装的led照明灯
CN215570173U (zh) 一种多功能消防应急灯
CN212359238U (zh) 一种户外安全小屋
JP7190678B2 (ja) 防災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