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989B1 - Method of installing wall cabinet for drywall - Google Patents

Method of installing wall cabinet for dry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989B1
KR102289989B1 KR1020210080473A KR20210080473A KR102289989B1 KR 102289989 B1 KR102289989 B1 KR 102289989B1 KR 1020210080473 A KR1020210080473 A KR 1020210080473A KR 20210080473 A KR20210080473 A KR 20210080473A KR 102289989 B1 KR102289989 B1 KR 102289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ywood
fixing
thickness
gypsum board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4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영환
Original Assignee
정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환 filed Critical 정영환
Priority to KR102021008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9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9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08Suspension fittings for cabinets to be hung 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29Dow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 E04B2002/7485Load supports therefor placed between wall stud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A drywall storage closet fix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steps of: erecting a plurality of studs at firs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xing a transversely extending iron plate on the studs; constructing a first gypsum board on the iron plate; finishing with a second gypsum board on the first gypsum board; fixing a first plywood of a first thickness on the second gypsum board with a first fixing member; fixing a second plywood of a second thickness on the first plywood with a second fixing member; and fixing a storage closet on the second plywood.

Description

건식벽체용 수납장 고정방법 {METHOD OF INSTALLING WALL CABINET FOR DRYWALL}How to fix a cabinet for drywall {METHOD OF INSTALLING WALL CABINET FOR DRYWALL}

본 발명은 건식벽체용 수납장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추락 또는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건식벽체용 수납장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ixing a cabinet for drywal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ixing a storage closet for drywall that can prevent falling or overturning.

주방에서 사용되는 상부장의 경우, 종래에는 콘크리트 벽면에 앙카를 사용하여 시공목을 고정한 후 상부장을 걸어 설치된다. 최근 장수명주택의 추세로 인해 아파트 건축방식이 라멘조 (보와 슬라브)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이에 따라 건식벽체로 공간의 분리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식벽체에 주방 상부장이나 신발장을 종래의 방식으로 고정할 경우, 상부장의 추락이 발생하거나 신발장이 전도되는 등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the upper cabinet used in the kitchen, conventionally, the construction tree is fixed to the concrete wall using an anchor and then the upper cabinet is installed. Due to the recent trend of long-lived houses, the apartment construction method has been changed to the Ramenzo (beam and slab) method, which leads to the separation of space with drywal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kitchen upper cabinet or the shoe cabinet is fixed to the drywall in the conventional manner, there is a problem in stability such as a fall of the upper cabinet or the overturning of the shoe cabinet.

최근 상부장 추락이나 전도 등으로 인해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등, 가구 설치에 있어서 안전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주방 상부장과 같이, 하나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사용하기 때문에 중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고, 가스, 수도, 전기 시설 등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추락 및 전도가 발생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Safety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installation of furniture, such as recent deaths due to a fall or fall of the upper cabinet. In particular, as in the kitchen upper cabinet, the weight is increased because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rather than separated as one, and since gas, water, and electric facilities are connected, if a fall or fall occurs, it may lead to a serious accident.

관련 선행기술로는 국내 특허 1872160호가 있다. As a related prior art, there is Korean Patent No. 1872160.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벽체에 있어서, 추락 및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수납장 고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orage closet fixing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falling and overturning in drywall.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All of 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건식벽체용 수납장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종방향으로 복수의 스터드를 제1 간격으로 세우고; 상기 스터드 상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철판을 고정하고; 상기 철판 상에 제1 석고보드를 시공하고; 상기 제1 석고보드 상에 제2 석고보드로 마감하고; 상기 제2 석고보드 상에 제1 두께의 제1 합판을 제1 고정부재로 고정하고; 상기 제1 합판 상에 제2 두께의 제2 합판을 제2 고정부재로 고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합판 상에 수납장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ixing a cabinet for drywall, the method comprising: erecting a plurality of stu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first interval; fixing a transversely extending iron plate on the studs; constructing a first gypsum board on the iron plate; finishing with a second gypsum board on the first gypsum board; fixing a first plywood of a first thickness on the second gypsum board with a first fixing member; fixing a second plywood of a second thickness on the first plywood by a second fixing member; and fixing the cabinet on the second plywoo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s:

2. 상기 1에서, 상기 제1 두께(T1)와 상기 제2 두께(T2)는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2. In 1 above, the first thickness T1 and the second thickness T2 may satisfy Equation 1 below:

[식 1][Equation 1]

1.8* T1 ≤ T2 ≤ 2.2 * T11.8* T1 ≤ T2 ≤ 2.2 * T1

3. 상기 1 내지 2에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스터드와 겹치는 제1 합판의 상부 및 하부 지점과 이웃하는 스터드 사이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스터드와 겹치는 제2 합판의 상부 및 하부 지점과 이웃하는 스터드 사이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3. In 1 to 2, the first fixing member is installed at a poin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ints of the first plywood overlapping the stud and the neighboring stud,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is the second plywood overlapping the stud. It can be installed at points between upper and lower points and neighboring studs.

본 발명은 건식벽체에 있어서, 추락 및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수납장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storage closet fixing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falling and overturning in drywall.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건식벽체에 고정된 수납장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라 수납장 설치전 건식벽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고정부재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torage cabinet fixed to the drywall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drywall before installation of a storage clo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drawings are only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drawings. In addition, since the shape, size, ratio, angle, number,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are exempl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 which the plural is included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next to', etc., unless 'directly' or 'directly' is used, there is One or more other portions may be located.

'상부', '상면', '하부', '하면' 등과 같은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된 것일 뿐, 절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관찰하는 위치에 따라, '상부'와 '하부' 또는 '상면'과 '하면'의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Positional relationships such as 'upper', 'top', 'lower', 'bottom' and the like are only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and do not represent absolute positional relationships. That is, the positions of 'upper' and 'lower' or 'upper surface' and 'lower surfac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bserved position.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수납장 고정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storage closet fix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건식벽체에 고정된 수납장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라 수납장 설치전 건식벽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abinet fixed to drywall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rywall before installation of the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벽체에 수납장을 설치하기 전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와 수납장 사이를 보강하여 추락 및 전도를 방지한다. As shown in FIG. 2 before installing the cabinet on the wall,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s the space between the wall and the cabinet to prevent falling and overturning.

우선 벽체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복수의 스터드(10)를 제1 간격으로 세운다. 상기 스터드(10)는 철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간격은 400 내지 450 mm로 한다. 상기 범위에서 수납장을 조립후 유격이 발생하지 않으며, 시공목의 흔들림 없이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First, a plurality of studs 10 are erected at a first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wall surface. The stud 10 is preferably used as an iron material. The first interval is 400 to 450 mm. After assembling the cabinet in the above range, there is no play, and it can be firmly fixed without shaking the construction wood.

스터드(10)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스터드(10) 상부 및 하부 단부에는 러너(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스터드(10)를 고정할 수 있다. The stud 10 may be fixed to the wall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In one embodiment, the stud 10 may b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tud 10 by a runner (not shown).

상기 스터드(10)을 세운 후, 상기 스터드(10) 상에 철판(20)을 고정한다.상기 철판(20)은 너비가 250 내지 400 mm, 바람직하게는 280 내지 380 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철판의 두께는 0.9 내지 1.5 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수납장의 변형이나 흔들림 없이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다. After the stud 10 is erected, the iron plate 20 is fixed on the stud 10. The iron plate 20 may have a width of 250 to 400 mm, preferably 280 to 380 mm.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iron plate may be 0.9 to 1.5 mm. Within the above range, it can be stably fixed without deformation or shaking of the cabinet.

상기 철판(20)은 복수의 스터드(10)에 접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스터드(10) 상에 고정된다. 상기 철판(20)의 고정 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철재 피스와 같은 고정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The iron plate 20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studs 10 , and is fixed on the studs 10 . The fixing method of the iron plate 20 may be fixed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a fixing member such as an iron piece may be used.

상기 철판(20)의 고정이 완료된 후, 상기 철판(20) 상에는 제1 석고보드(30a)를 시공한 후 제2 석고보드(30b)로 마감한다. 상기 석고보드(30a, 30b) 의 시공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석고보드(30a, 30b)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석고보드(30a, 30b) 는 모두 18 내지 20 mm의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제1 석고보드(30a)의 두께는 18 내지 20 mm 이고, 제2 석고보드(30b)의 두께는 8 내지 10 mm 일 수 있다. After fixing of the iron plate 20 is completed, a first gypsum board 30a is constructed on the iron plate 20, and then the second gypsum board 30b is finishe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gypsum boards 30a and 30b may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and second gypsum boards 30a and 30b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gypsum boards 30a and 30b may have the same thickness of 18 to 20 mm. In another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first gypsum board 30a may be 18 to 20 mm,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gypsum board 30b may be 8 to 10 mm.

이와 같이 석고보드(30a, 30b)를 2겹으로 마감할 경우, 1겹에 비해 보다 단단히 고정할 수 있으며, 단열, 소음 및 충격 방지에도 탁월하다. In this way, when the gypsum boards 30a and 30b are finished in two layers, they can be fixed more tightly than in one layer, and are excellent in heat insulation, noise and shock prevention.

또한, 철판(20)-2겹 석고보드(30A, 30B)의 순서로 시공할 경우, 제1 석고보드(30A)-철판-제2 석고보드로 시공하는 것에 비해 2500 N 이상의 하중에도 추락이 발생하지 않으며, 735 N에서도 전도가 발생하지 않는다. In addition, when the iron plate 20 - 2 layer gypsum board (30A, 30B) is installed in the order, a fall occurs even at a load of 2500 N or more compared to construction with the first gypsum board 30A-iron plate-second gypsum board. No conduction occurs even at 735 N.

상기 제2 석고보드(30b)로 마감한 후, 제2 석고보드(30b) 상에 제1 두께의 제1 합판(40)을 고정한다. After finishing with the second gypsum board 30b, the first plywood 40 of the first thickness is fixed on the second gypsum board 30b.

상기 제1 합판(40)은 사전에 실리콘 또는 접착제 도포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합판의 파손을 방지하고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The first plywood 40 may be applied with silicone or adhesive applied in advanc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plywood and fix it more firmly.

상기 제1 합판(40)의 너비는 180 내지 250 mm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first plywood 40 may be 180 to 250 m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robust fixing force in the above range.

상기 제1 두께(T1)는 7 내지 10 mm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수납장의 추락 및 전도를 방지하는 데에 더욱 효과적이다. The first thickness T1 may be 7 to 10 mm. It is more effective to prevent falling and overturning of the cabinet in the above range.

상기 제1 합판(40)의 고정은 제1 고정부재(60)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재(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터드(10)와 겹치는 제1 합판의 상부 및 하부 지점과 이웃하는 스터드 사이 지점에 설치된다. 상기 위치에 설치할 경우, 제1 합판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여 수납장의 추락 및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plywood 40 may be fixed with a first fixing member 60 .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fixing member 60 is installed between upper and lower points of the first plywood overlapping the studs 10 and adjacent studs. When installed in the above position,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fix the first plywood to prevent falling and overturning of the cabinet.

상기 제1 합판(40) 상에는 제2 합판(50)을 고정한다. 상기 제2 합판(50)은 사전에 실리콘 또는 접착제 도포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합판의 파손을 방지하고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A second plywood 50 is fixed on the first plywood 40 . The second plywood 50 may be applied with silicone or adhesive applied in advanc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plywood and fix it more firmly.

상기 제2 합판(50)의 너비는 45 내지 60 mm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second plywood 50 may be 45 to 60 m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robust fixing force in the above range.

상기 제2 합판(50)는 제2 두께(T2)를 가지며, 15 내지 20 mm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수납장의 추락 및 전도를 방지하는 데에 더욱 효과적이다. The second plywood 50 has a second thickness T2 and may be 15 to 20 mm. It is more effective to prevent falling and overturning of the cabinet in the above range.

구체예에서 제1 합판의 두께 보다 제2 합판의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을 적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두께(T1)와 상기 제2 두께(T2)는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lywood is thicker than that of the first plywood. Preferably, the first thickness T1 and the second thickness T2 may satisfy Equation 1:

[식 1][Equation 1]

1.8* T1 ≤ T2 ≤ 2.2 * T11.8* T1 ≤ T2 ≤ 2.2 * T1

상기 식 1을 만족할 경우, 3000 N 이상의 하중에도 추락 및 전도가 발생하지 않는다. When Equation 1 is satisfied, fall and fall do not occur even under a load of 3000 N or more.

상기 제2 합판(50)의 고정은 제2 고정부재(70)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재(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터드(10)와 겹치는 제2 합판의 상부 및 하부 지점과 이웃하는 스터드 사이 지점에 설치된다. 상기 위치에 설치할 경우, 제1 합판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여 수납장의 추락 및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 plywood 50 may be fixed with a second fixing member 70 . As shown in FIG. 3 , the second fixing member 70 is installed between upper and lower points of the second plywood overlapping the studs 10 and adjacent studs. When installed in the above position,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fix the first plywood to prevent falling and overturning of the cabinet.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60, 70)은 철재피스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지름이 3.8 내지 5.8 mm 이고, 길이가 60 내지 85 mm 인 철재피스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시공목의 고정력이 탁월하다. An iron piece may be used for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60 and 70 . In an embodiment, a steel piece having a diameter of 3.8 to 5.8 mm and a length of 60 to 85 mm is preferred. In the above range, the fixing power of the construction wood is excellent.

제2 합판(50)을 시공한 다음, 수납장을 기존과 동일한 설치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 After the second plywood 50 is constructed, the storage cabinet may be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xisting one.

본 발명에서 상기 수납장은 주방 상부장 뿐만 아니라, 신발장 등 벽체에 부착되는 모든 수납장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식에 따라 시공할 경우, 건식벽체인 경우라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2500 N 이상의 하중에도 추락이나 전도가 발생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inet can be applied to all cabinets attached to a wall, such as a shoe cabinet, as well as an upper cabinet in the kitchen. When constructing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case of drywall, it can be fixed more firmly, and no fall or overturn occurs even under a load of 2500 N or mor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but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철재 스터드(10)를 450 mm 간격으로 세운 후, 수납장 고정위치에 300 mm 너비 및 1.2mm 두께의 철판(20)을 고정하였다. 이후, 19 mm 두께를 갖는 제1 및 제2 석고보드(30A, 30B) 를 순차적으로 시공한 다음, 200 mm 너비 및 9 mm 두께의 실리콘 처리된 제1 합판(40)을 스터드 위치마다 상하에 Φ4.2*75mm 철판피스(60)로 고정하고 스터드와 스터드 사이 가운데 지점에도 동일하게 철판피스(60)를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이후, 50mm 너비 및 18 mm 두께의 실리콘 처리된 제2 합판(50)을 스터드 위치에 Φ4.2*75mm 철판피스(70)로 고정하고 스터드와 스터드 사이 가운데 지점에도 동일한 철판피스(70)를 사용하여 고정한 후, 기존 주방가구 상부장 설치방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주방 상부장을 시공하였다. After the steel studs (10) were erected at 450 mm intervals, the steel plates (20) having a width of 300 mm and a thickness of 1.2 mm were fixed to the fixing positions of the cabinet. After that, the first and second gypsum boards 30A and 30B having a thickness of 19 mm were sequentially constructed, and then the silicon-treated first plywood 40 having a width of 200 mm and a thickness of 9 mm was Φ4 up and down at each stud position. It was fixed with a .2*75mm iron plate piece (60), and the same was fixed using a steel plate piece (60) at the center point between the studs. After that, a second silicon-treated plywood 50 with a width of 50 mm and a thickness of 18 mm is fixed at the stud position with a Φ4.2*75 mm iron plate piece 70, and the same steel plate piece 70 is used for the middle point between the stud and the stud. After fixing it, the kitchen upper cabinet was installed in the same way as the existing kitchen furniture upper cabinet installation method.

실시예 2Example 2

제1 합판의 두께를 9mm 로 하고, 제2 합판의 두께를 21 mm 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plywood was 9 mm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lywood was 21 mm.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스터드(10) 시공 후, 19 mm 두께를 갖는 제1 석고보드(30A) 시공 후, 300 mm 너비 및 1.2mm 두께의 철판(20)을 고정하고, 다시 19 mm 두께를 갖는 제2 석고보드(30B)를 시공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After the stud 10 construc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gypsum board 30A having a thickness of 19 mm, the iron plate 20 having a width of 300 mm and a thickness of 1.2 mm is fixed, and again a second gypsum board 30B having a thickness of 19 mm )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스터드(10) 및 철판(20)을 순차적으로 시공 후, 38 mm 두께를 갖는 석고보드를 1겹으로 시공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After the studs 10 and the iron plate 20 were sequentially constructed, i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gypsum board having a thickness of 38 mm was constructed in one layer.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제1 합판 및 제2 합판 대신, 200 mm 너비 및 27 mm 두께의 시공목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Instead of the first plywood and the second plywood, i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construction wood having a width of 200 mm and a thickness of 27 mm was applied.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제1 합판의 두께를 18mm 로 하고, 제2 합판의 두께를 9mm 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plywood was 18 mm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lywood was 9 mm.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제1 고정부재를 스터드와 겹치는 제1 합판의 상부 및 하부 지점에만 설치하고, 이웃하는 스터드 사이 지점에는 설치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except that the first fixing member was installed only at the upper and lower points of the first plywood overlapping the studs, and not at the points between the neighboring studs.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철판(20) 대신 300 mm 너비 및 18mm 두께의 합판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I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lywood having a width of 300 mm and a thickness of 18 mm was applied instead of the iron plate 20 .

시공된 주방 상부장에 대해 하기의 방법으로 추락 안정성 및 전도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Fall stability and fall stability were tested for the constructed kitchen upper cabinet in the following way.

시험방법Test Methods

(1) 추락 안정성 시험(1) Fall stability test

SPS-KHFC 004-6244 에서 규정하는 추락 안정성 시험을 하였다. 시험장치를 수납장 상부에서 수직으로 서서히 하중을 가하여 2230 N 에 이르면 4분간 유지한 후 이상 유무를 조사하고, 이상이 없으면 2500 N 으로 하중을 가하여 5분간 유지하고 다시 이상 유무를 확인하였다. 다시 이상이 없으면, 3000 N 으로 하중을 가하여 5분간 유지하고 이상 유무를 확인하였다. The fall stability test specified in SPS-KHFC 004-6244 was performed. Gradually apply a load to the test device vertically from the top of the cabinet, and when it reaches 2230 N, hold it for 4 minutes and then check for any abnormalities. If there is no abnormality again, a load of 3000 N was applied, maintained for 5 minut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y was checked.

(2) 전도 안정성 시험(2) Conduction stability test

SPS-KHFC 004-6244 에서 규정하는 전도 안정성 시험을 하였다. 수납장 상부 양쪽 모서리에 와이어를 설치한 후 중심부에 도르래를 통해 하중을 가하여 4분 이내에 735 N 에 도달시킨 후 1분간 유지하여 전도 유무를 확인하였다. 전도가 발생하지 않으면 1000 N로 하중을 늘려 1분간 유지하고 전도 유무를 확인하였다. Conduction stability test specified in SPS-KHFC 004-6244 was performed. After installing wires at both corners of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a load was applied to the center through a pulley to reach 735 N within 4 minutes and then maintained for 1 minute to check whether or not conduction occurred. If conduction does not occur, increase the load to 1000 N, hold it for 1 minute, and check whether conduction occurs.

추락 안정성fall stability 전도 안정성conduction stability 2230 N2230 N 2500 N2500 N 3000 N3000 N 735 N735 N 1000 N1000 N 실시예 1Example 1 OO OO OO OO OO 실시예 2Example 2 OO OO XX OO OO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XX XX XX XX XX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XX XX XX XX XX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XX XX XX XX XX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OO XX XX XX XX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OO XX XX XX XX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XX XX XX XX XX

O : 이상 없음O: No problem

X : 추락 또는 전도 발생X: Fall or fall occurred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2500 N 하중에도 추락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1000 N에도 전도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공방식을 벗어난 비교예 1-6은 2500 N의 하중 추락 안정성 및 735 N 전도 안정성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As can be seen in Table 1,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ll did not occur even under a load of 2500 N, and conduction did not occur even at 1000 N. However, Comparative Examples 1-6 outsid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id not achieve load fall stability of 2500 N and fall stability of 735 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all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스터드
20: 철판
30a, 30b : 석고보드
40: 제1 합판
50: 제2 합판
60, 70 : 고정부재
10: stud
20: iron plate
30a, 30b: gypsum board
40: first plywood
50: second plywood
60, 70: fixing member

Claims (3)

종방향으로 복수의 스터드를 제1 간격으로 세우고;
상기 스터드 상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철판을 고정하고;
상기 철판 상에 제1 석고보드를 시공하고;
상기 제1 석고보드 상에 제2 석고보드로 마감하고;
상기 제2 석고보드 상에 제1 두께의 제1 합판을 제1 고정부재로 고정하고;
상기 제1 합판 상에 제2 두께의 제2 합판을 제2 고정부재로 고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합판 상에 수납장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식벽체용 수납장 고정방법.
erecting a plurality of studs at firs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xing a transversely extending iron plate on the studs;
constructing a first gypsum board on the iron plate;
finishing with a second gypsum board on the first gypsum board;
fixing a first plywood of a first thickness on the second gypsum board with a first fixing member;
fixing a second plywood having a second thickness on the first plywood by a second fixing member; And
fixing the cabinet on the second plywood;
A storage closet fixing method for drywall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T1)와 상기 제2 두께(T2)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건식벽체용 수납장 고정방법:
[식 1]
1.8* T1 ≤ T2 ≤ 2.2 * T1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thickness (T1) and the second thickness (T2) satisfy Equation 1 below:
[Equation 1]
1.8* T1 ≤ T2 ≤ 2.2 * T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스터드와 겹치는 제1 합판의 상부 및 하부 지점과 이웃하는 스터드 사이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스터드와 겹치는 제2 합판의 지점과 이웃하는 스터드 사이 지점에 설치되는 것인, 건식벽체용 수납장 고정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xing member is installed at a poin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ints of the first plywood overlapping the studs and the neighboring studs,
The second fixing member is installed at a point between a point of the second plywood overlapping the stud and a neighboring stud, the drywall storage closet fixing method.

KR1020210080473A 2021-06-22 2021-06-22 Method of installing wall cabinet for drywall KR1022899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473A KR102289989B1 (en) 2021-06-22 2021-06-22 Method of installing wall cabinet for dry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473A KR102289989B1 (en) 2021-06-22 2021-06-22 Method of installing wall cabinet for dry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989B1 true KR102289989B1 (en) 2021-08-13

Family

ID=7731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473A KR102289989B1 (en) 2021-06-22 2021-06-22 Method of installing wall cabinet for dry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98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239B1 (en) * 2008-10-17 2010-02-18 김상곤 A stud for partition wall
KR20110113881A (en) * 2010-04-12 2011-10-19 (주)엘지하우시스 Prefabricated wall of improving noise-absorbent capability and the prefab structure having the same
JP2015232248A (en) * 2014-06-11 2015-12-24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Wall structure and wall panel
KR20170107949A (en) * 2017-09-15 2017-09-26 주식회사 케이씨씨 Fireproof wall for building structure
KR20190066388A (en)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광스틸 Fire resistance dry wall structure
KR102066869B1 (en) * 2019-04-08 2020-01-16 주식회사 선정퍼니처 Sink for having seismic retrofit structu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239B1 (en) * 2008-10-17 2010-02-18 김상곤 A stud for partition wall
KR20110113881A (en) * 2010-04-12 2011-10-19 (주)엘지하우시스 Prefabricated wall of improving noise-absorbent capability and the prefab structure having the same
JP2015232248A (en) * 2014-06-11 2015-12-24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Wall structure and wall panel
KR20170107949A (en) * 2017-09-15 2017-09-26 주식회사 케이씨씨 Fireproof wall for building structure
KR20190066388A (en)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광스틸 Fire resistance dry wall structure
KR102066869B1 (en) * 2019-04-08 2020-01-16 주식회사 선정퍼니처 Sink for having seismic retrofit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483B1 (en) Modular building unit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transporting same
RU2720633C1 (en) Metal mounting element for fixing the post
KR101869050B1 (en) Concrete foundation and timber column assembly
KR102289989B1 (en) Method of installing wall cabinet for drywall
WO2021153534A1 (en) Sound-insulating structure for building
WO2021153536A1 (en) Partition wall sound-insulation structure and sound-insulation member for partition wall
JP6499526B2 (en) Masonry unit and method
JP2017066708A (en) building
CN107806224B (en) Glass installation assembly and method for outer wall additionally provided with elevator shaft
JP6077197B2 (en) Standardized building
JP6679135B2 (en) Dry double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dry double floor structure, and connecting material
JP2024519114A (en) Interlocking wall reinforcement panels, wall reinforcement assemblies, and methods for wall reinforcement
JP7377157B2 (en) Wiring structure
JP7213089B2 (en) Corner cover and installation structure for external corner post and corner cover
JP6725334B2 (en) High sound insulation stairs
JP2020165174A (en) Floor panel for wooden building
KR102511945B1 (en) Construction module with secured fire resistan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building using the same
US20060032183A1 (en) Construction member
JP6573490B2 (en) building
JP5965324B2 (en)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of building
JP2011256531A (en) Double floor supporting leg, double floor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A2941521A1 (en) Structural modular panel in building component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22162855A (en) building unit
JP6251758B2 (en) Unit house
JP2023110690A (en) Assembling structure of build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