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739B1 - 단열구조를 갖는 취반기 도어 및 이를 갖는 취반기 - Google Patents

단열구조를 갖는 취반기 도어 및 이를 갖는 취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739B1
KR102289739B1 KR1020190131673A KR20190131673A KR102289739B1 KR 102289739 B1 KR102289739 B1 KR 102289739B1 KR 1020190131673 A KR1020190131673 A KR 1020190131673A KR 20190131673 A KR20190131673 A KR 20190131673A KR 102289739 B1 KR102289739 B1 KR 102289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er
door
combustion chamber
ai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732A (ko
Inventor
황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황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황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케이
Priority to KR102019013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7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단열구조를 갖는 취반기 도어를 포함하는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연소실을 구비하는 취반기 본체,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연소실의 입구 측에 회전 결합되는 취반기 도어, 취반기 본체 및 취반기 도어를 연결하고 취반기 도어가 완전히 열리거나 완전히 닫힐 때 취반기 도어를 고정하는 도어링크를 포함하고, 취반기 도어는 사각박스 형태의 도어케이스 및 도어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단열패널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단열패널은 도어케이스 내부를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고 복수 개의 공간에 공기가 흐름으로써, 취반기 본체의 연소실로부터 열이 취반기 도어의 전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취반기의 취사 동작 중 열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구조를 갖는 취반기 도어 및 이를 갖는 취반기 {Door of rice cooker with insulating structure and rice cooker having thereof}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구조를 갖는 취반기 도어 및 이를 갖는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업소용 취반기는 학교, 회사, 공장 등의 구내 식당이나 음식점에서 다량의 밥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업소용 취반기의 내부에는 여러 개의 연소실이 구비되어 있고, 각 연소실마다 가스버너가 설치되어 있다. 연소실의 입구에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밥솥은 각 연소실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송된다. 밥솥이 가스버너 위에 위치하면 도어가 닫히게 되고, 밥솥은 가스버너에 의해 가열된다. 일반적으로, 업소용 취반기는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되며, 밥솥이 가열되는 동안 연소실 내부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업소용 취반기의 연소실은 단열처리 된다.
취반기 내부의 연소실에 밥솥이 위치되고 취사가 시작되면 가스버너에 의해 밥솥이 가열되기 시작한다. 취사가 시작되면 취반기 내부의 온도가 매우 높아지게 되면서 연소실 내부의 열이 취반기 도어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취반기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연소실에서의 열이 취반기 도어로 전도되는 방식으로 전달된다. 취반기에서 밥솥이 취사되는 동안 연소실로부터의 열이 취반기 도어로 전도됨에 따라 취반기 도어의 온도가 높아진다. 취반기 도어의 온도가 높아져 취반기의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취반기 도어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취반기의 취사가 완료되더라도 사용자가 취반기 도어를 열고 밥솥을 꺼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취반기 도어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구조를 가진 취반기 도어를 갖는 취반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연소실을 구비하는 취반기 본체;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의 입구 측에 회전 결합되는 취반기 도어; 및 상기 취반기 본체 및 상기 취반기 도어를 연결하고 상기 취반기 도어가 완전히 열리거나 완전히 닫힐 때 상기 취반기 도어를 고정하는 도어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취반기 도어는 사각박스 형태의 도어케이스; 및 상기 도어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단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열패널은 상기 도어케이스 내부를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간에는 공기가 흐름으로써, 상기 취반기 본체의 연소실로부터의 열이 상기 취반기 도어의 전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도어케이스는 상면에 형성된 배기구, 및 하면에 형성된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취반기의 취사과정에서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취반기 도어로 전달되어 가열된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취반기 도어 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짐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취반기 도어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배기구는 상기 복수 개의 공간 중 상기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공간의 위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복수 개의 공간 중 상기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공간의 아래에 형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단열패널 중 상기 취반기 본체의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제 1 단열패널은 상기 연소실 방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공간 중 상기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공간의 폭이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배기구에 가까울수록 좁아진다.
취반기의 취반기 도어 내부에 복수 개의 단열패널을 삽입하여, 취반기 도어 내부를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고, 각 공간에 공기가 흐르게 함으로써, 취반기 연소실로부터 발생된 열이 취반기 도어의 전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취반기 도어의 내부가 복수 개의 단열패널에 의해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분되고 각 공간에 단열재 역할을 하는 공기가 흐르게 됨으로써 취반기의 취사과정 중에 연소실에서 발생된 열이 취반기 도어 전면 및 전면에 부착된 손잡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취반기의 취사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취반기 도어의 도어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하여 취반기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배출되고, 도어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된 흡기구를 통하여 취반기 내부로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취반기 도어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취반기 도어 전면으로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어케이스 내부의 복수 개의 공간 중 취반기의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공간의 바로 위아래에 배기구와 흡기구를 형성하여 연소실로부터의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빠르게 취반기 도어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도어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연소실로부터의 열이 취반기 도어 전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취반기 도어를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취반기 도어의 단면도, 상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취반기 도어 내부에서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 도어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취반기 본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취반기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밥솥의 취사 시에 연소실에서 발생된 열이 취반기 도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취반기 도어를 구비한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열의 전달을 방지하는 취반기 도어를 간략하게 “취반기 도어”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취반기(1)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내부에 밥솥이 위치되는 연소실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취반기 본체(2),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각 취반기 본체(2)의 입구 측에 회전 결합되어 연소실을 개방하거나 밀폐시키는 취반기 도어(3), 취반기 본체(2)와 취반기 도어(3) 사이에 결합되어 취반기 도어(3)의 개폐시 취반기 도어(3)를 고정시키는 활꼴의 도어링크(4), 및 취반기(1)의 일측에 구비되어 취반기 본체(2)의 각 연소실의 취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박스로 구성된다. 취반기(1)는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 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취반기 본체(2)는 취반기(1)의 케이스로서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소실이 구비된다. 취반기 본체(2)의 외면 일측에는 밥솥의 가열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패널(미도시)이 구비된다. 본체(2) 내부에 복수 개의 연소실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본체 내부에는 복수 개의 연소실을 구획하기 위한 수평방향의 격벽이 설치된다. 각 연소실에는 가스버너, 밥솥 및 열감지가 설치된다. 취반기 본체(2)의 좌면, 우면, 및 후면은 연소실 내부의 단열을 위하여 이중판 형태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이러한 본체의 벽체 구조와 관련이 없기 때문에 도면의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좌면, 우면 및 후면의 이중판 구조는 생략되어 있다.
취반기 도어(3)는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취반기 본체(2)의 개방된 입구 측에 회전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취반기 본체(2)의 입구를 개폐한다. 취반기 도어(3)는 우측 하부와 좌측 하부에 각각 삽입된 2개의 도어 링크(4)에 의해 취반기 본체(2)의 입구에 회전 결합된다. 취반기 도어(3)는 도어 링크(4)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취반기 도어(3)가 열리고 닫힌다. 보다 구체적으로, 취반기 도어(3)가 닫혀 있을 때는 도어 링크(4)가 취반기 본체(2)의 하면에 설치된 캠에 물려 고정된다. 취반기 도어(3)가 열릴 때 취반기 도어(3)가 도어 링크(4)에 의해 회전하면서 취반기 본체(2)의 입구가 개방된다. 취반기 도어(3)가 열려 있을 때는 도어 링크(4)의 일측 단부가 취반기 본체(1)의 좌면 및 우면 각각에 결합된 도어 힌지(미도시)에 고정됨으로써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 본체(2)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취반기(1)가 설치된 바닥면에 평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취반기 도어(3)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취반기 도어(3)를 용이하게 열고 닫기 위한 손잡이(34)가 부착되어 있다.
도어링크(4)는 취반기 본체(2)와 취반기 도어(3)를 연결하고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리거나 완전히 닫힐 때 취반기 도어(3)를 취반기 본체(2)에 고정한다. 도어링크(4)는 취반기 도어(3)의 우측 내면 및 좌측 내면 각각에 결합된다. 도어링크(4)의 일측 단부는 취반기 도어(3)의 우측 내면 및 좌측 내면 각각에 결합되고, 활꼴의 타측 단부는 취반기 본체(2)에 삽입된다.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닫혀있는 경우 도어링크(4)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가 취반기 본체(2)의 하면에 설치된 캠에 걸려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 본체(2)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려있는 경우 도어링크(4)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취반기 본체(2)의 도어힌지(미도시)에 걸려 취반기 도어(3)가 취반기(1)가 설치된 바닥면에 평행한 상태로 고정된다.
제어박스(미도시)는 취반기(1)의 일측에 구비되어 취반기 본체(2)의 각 연소실의 취반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제어박스를 조작하여 취반기의 취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제어박스를 조작하여 취반기에서 밭솥의 취사를 시작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취반기 도어를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취반기 도어(3)는 도어케이스(31), 제 1 칸막이(32), 제 2 칸막이(33) 및 손잡이(34)로 구성된다. 도어케이스(31)는 사각박스 형태의 케이스이다. 도어케이스(31)는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박스로서, 상면에는 도어케이스(31)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313)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도어케이스(3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314)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케이스(31)는 도어전면케이스(311) 및 도어후면케이스(312)로 구성된다. 도어전면케이스(311)는 취반기 도어(3)의 케이스로서 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도어전면케이스(311)의 전면에는 손잡이(34)가 부착된다. 도어전면케이스(311)의 상면에는 취반기 도어(3)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313)가 형성된다. 도어전면케이스(311)의 하면에는 취반기 도어(3)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314)가 형성된다. 배기구(313) 및 흡기구(314)는 복수 개의 개구로 구성된다.
도어후면케이스(312)는 취반기 도어(3)의 케이스로서 도어전면케이스(311)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도어전면케이스(311)는 도어후면케이스(31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전면케이스(311)의 개방된 후면이 도어후면케이스(312)의 개방된 전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어전면케이스(311)가 도어후면케이스(31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어전면케이스(311)와 마찬가지로, 도어후면케이스(312)의 상면에는 취반기 도어(3)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313)가 형성되고, 도어후면케이스(312)의 하면에는 취반기 도어(3)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314)가 형성된다. 도어후면케이스(312)의 상면에 형성된 배기구와 도어전면케이스(311)의 상면에 형성된 배기구는 겹치도록 배치되어 도어후면케이스(312)와 도어전면케이스(311)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취반기 도어(3)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3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어후면케이스(312)의 하면에 형성된 흡기구와 도어전면케이스(311)의 하면에 형성된 흡기구는 겹치도록 배치되어 도어후면케이스(312)와 도어전면케이스(311)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흡기구(314)를 통해 취반기 도어(3)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취반기 도어(3)의 도어케이스(31) 상면에는 취반기 도어(3)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313)가 형성되고, 도어케이스(31)의 하면에는 취반기 도어(3)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314)가 형성된다. 취반기(1)의 취반과정에서 가열된 공기가 취반기 도어(3)의 상면에 형성된 배기구(313)를 통해 취반기 도어(3)의 외부로 배출된다. 취반기 도어(3)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취반기 도어(3) 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지고, 취반기 도어(3)의 하면에 형성된 흡기구(314)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취반기 도어(3) 내부로 유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취반기(1)의 취사과정에서 연소실에서 발생된 열이 취반기 도어(3)로 전달됨에 따라 취반기 도어(3)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고, 취반기 도어(3) 내부의 가열된 공기는 배기구(313)를 통해 배출되고 취반기 도어(3)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흡기구(314)를 통해 취반기 도어(3) 내부로 유입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취반기 도어(3)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취반기 도어(3) 내부로 유입되면서 취반기 본체(2)로부터의 열이 취반기 도어(3)의 전면 및 전면에 부착된 손잡이(34)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취반기(1)의 취사 동작 중에 사용자가 열로 인하여 화상을 입을 위험성이 감소한다.
제 1 칸막이(32) 및 제 2 칸막이(33)는 좌측 하부 및 우측 하부가 “L”형상으로 절삭된 직사각형 패널로서, 취반기 도어(3)의 도어케이스(31) 내부에 삽입된다. 복수 개의 칸막이(32, 33) 중 취반기 본체(2)의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칸막이를 제 1 칸막이(32)라고 하고, 그 다음 가까운 칸막이를 제 2 칸막이(33)라고 하기로 한다. 칸막이는 단열소재로 제조되는 단열패널이다. 단열패널은 구분된 공간 사이에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 1 칸막이(32) 및 제 2 칸막이(33)는 도어전면케이스(311)와 도어후면케이스(312) 사이의 공간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취반기 도어(3) 내부 공간을 3개의 공간으로 나눈다. 제 1 칸막이(32) 및 제 2 칸막이(33)는 도어케이스(31)의 전면과 평행하게 적층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제 1 칸막이(32) 및 제 2 칸막이(33)에 의해 구분된 3개의 공간은 공기를 포함한다. 손잡이(34)가 부착되는 취반기 도어(3)의 전면과 연소실의 입구를 폐쇄하는 취반기 도어(3)의 후면 사이에 단열을 위한 3개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칸막이(32, 33)가 도어케이스(31)의 전면과 평행하게 적층되는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도어케이스(31)의 전면과 평행하게 적층되는 복수 개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취반기 도어(3)의 내부에는 취반기 본체(2)의 연소실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손잡이(34)가 부착된 취반기 도어(3)의 전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칸막이(32, 33)가 삽입된다. 복수 개의 칸막이(32, 33)는 취반기 도어(3) 내부에 다중 공기층을 형성하고, 취반기 도어(3) 내부에 형성된 다중의 공기층, 및 복수 개의 칸막이(32, 33)는 취반기 본체(2)의 연소실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취반기 도어(3)의 전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취반기 도어의 단면도, 상면도 및 저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취반기 도어의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취반기 도어의 상면도이고, 도 3의 (c)는 취반기 도어의 저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취반기 도어(3) 내부는 2개의 칸막이(32, 33)에 의해 3개의 공간으로 구분된다. 취반기 도어(3) 내부에 3개의 공간에는 공기가 포함되어 3개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3개의 공간을 흐르는 공기는 취반기 도어(3)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서 평행한 방향으로 흐른다. 이하에서, 취반기 도어(3)의 3개의 공간 중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공간을 제 1 공간(301)이라 하고, 그 다음의 공간을 제 2 공간(302)이라 하고, 그리고 연소실로부터 가장 먼 공간을 제 3 공간(303)이라고 하기로 한다. 취반기(1)의 취사과정 중에 연소실에서 발생된 열은 연소실과 가장 가까운 공간인 제 1 공간(301)으로 먼저 전달된다. 제 1 공간(301)의 공기는 연소실로부터의 열에 의해 뜨거워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취반기 도어(3) 내부의 복수 개의 공간 중 제 1 공간(301)이 연소실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제 1 공간(301)의 공기가 제 2 공간(302) 및 제 3 공간(303)의 공기보다 가장 빨리 뜨거워진다. 제 2 공간(302) 및 제 3 공간(303)의 공기는 제 1 공간(301)의 공기 및 제 2 칸막이(33)에 의하여 연소실로부터의 열이 차단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취반기 도어 내부에서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 도어(3)의 도어케이스(31)에서 배기구(313)는 제 1 공간(301)의 위에 형성되고, 흡기구(314)는 제 1 공간(301)의 아래에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공간(301)의 가열된 공기가 위로 상승되면서 제 1 공간(301) 위에 형성된 배기구(313)를 통해 취반기 도어(3) 내부에서 빠르게 배출되고, 이에 따라 제 1 공간(301)의 기압이 낮아지고 제 1 공간(301) 아래에 형성된 흡기구(314)를 통해 취반기 도어(3)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제 1 공간(301)으로 유입된다.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공간인 제 1 공간(301)의 공기가 제 1 공간(301)의 바로 위아래에 형성된 배기구(313)와 흡기구(314)를 통하여 빠르게 순환되면서 연소실로부터의 열기가 제 2 공간(302), 제 3 공간(303) 및 취반기 도어(3)의 전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취반기 본체(2)의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제 1 칸막이(32)는 제 1 칸막이(32)의 상부가 하부보다 취반기 본체(2)의 연소실에 가깝도록 기울어져 배치된다. 제 1 칸막이(32)이 기울어져 배치됨으로써 취반기 도어(3) 내부의 복수 개의 공간 중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제 1 공간(301)은 취반기 도어(3)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제 1 공간(301)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공간(301)의 폭은 취반기 도어(3)의 흡기구(314)로부터 배기구(313)로 가까워질수록 제 1 공간(301)의 폭이 좁아진다.
공기가 어떤 공간을 통과할 때에 그 공간의 크기가 달라지면 그 크기 차이에 따라 유속이 달라지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가 발생된다. 벤츄리 효과란 어떤 통로 내에서 흐르는 유체가 통로가 좁아지는 부분을 통과할 때에 유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유속이 더 빨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벤츄리 효과에 따라, 넓은 공간을 흐르는 공기가 좁은 공간으로 진행하게 되면 압력이 낮아지고 유속이 증가하게 된다.
취반기 도어(3) 내부의 제 1 공간(301)을 흐르는 공기는 취반기(1)의 취사 동작 중에 연소실에서 발생된 열이 전달되어 가열되고, 가열된 제 1 공간(301)의 공기는 취반기 도어(3)의 위를 향해 흐른다. 이때, 제 1 공간(301)의 상부의 폭이 좁아짐에 따라 공기가 위로 흐를 때 공기의 유속이 계속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제 1 공간(301)을 흐르는 공기의 유속이 위로 올라 갈 수록 빨라짐에 따라 제 1 공간(301)의 가열된 공기가 빠르게 취반기 도어(3)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 도어는 취반기 도어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더욱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취반기 도어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취반기 도어 전면으로 연소실로부터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취반기 도어(3)는 취반기 도어(3) 내부에 복수 개의 칸막이(32, 33)를 삽입하여, 손잡이(34)가 부착된 취반기 도어(3)의 전면과 연소실 사이에 복수 개의 공기층을 형성한다. 복수 개의 칸막이(32, 33) 및 복수 개의 공기층은 연소실로부터 발생된 열을 차단하여 취반기 도어(3)의 전면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취반기(1)의 취사가 진행 중이거나 취사가 완료된 직후에도 취반기 도어(3)의 전면 및 손잡이에 열이 전달되지 않아 사용자가 뜨거워진 취반기 도어(3)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밥솥의 취사 직후에도 용이하게 취반기 도어(3)의 손잡이(34)를 잡을 수 있고, 취반기 도어(3)를 열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칸막이(32, 33)에 의해 구분된 취반기 도어(3)의 내부 공간 중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공간의 위아래에 배기구(313)와 흡기구(314)가 형성됨에 따라, 빠르게 가열된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공간의 공기가 바로 위에 형성된 배기구(313)를 통해 취반기 도어(3)의 외부로 빠르게 배출되고 취반기 도어(3)의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바로 아래에 형성된 흡기구(314)를 통해 취반기 도어(3)로 내부로 유입된다.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공간의 뜨거운 공기가 빠르게 취반기 도어(3)의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취반기 도어(3)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취반기 도어(3)의 내부를 빠르게 냉각시키고 연소실로부터의 열기가 취반기 도어(3) 전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칸막이(32)를 연소실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설치하여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공간의 폭이 흡기구로부터 배기구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진다. 공간의 폭이 배기구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짐에 따라 벤츄리 효과에 의해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공간을 흐르는 공기의 유속이 배기구에 가까워질수록 빨라지고, 이에 따라 취반기 도어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더욱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취반기 도어의 내부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연소실로부터의 열이 취반기 도어(3) 전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취반기
2: 취반기 본체
3: 취반기 도어
31: 도어케이스 32, 33: 칸막이
34: 손잡이
313: 배기구 314: 흡기구
4: 도어링크

Claims (6)

  1.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연소실을 구비하는 취반기 본체(2);
    사각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의 입구 측에 회전 결합되는 취반기 도어(3); 및
    상기 취반기 본체(2) 및 상기 취반기 도어(3)를 연결하고 상기 취반기 도어(3)가 완전히 열리거나 완전히 닫힐 때 상기 취반기 도어(3)를 고정하는 도어링크(4)를 포함하고,
    상기 취반기 도어(3)는
    사각박스 형태의 도어케이스(31); 및
    상기 도어케이스(31)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단열패널(32, 33)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케이스(31)의 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단열패널(32, 33)에 의해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복수 개의 공간 각각에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취반기 본체(2)의 연소실로부터의 열이 상기 취반기 도어(3)의 전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도어케이스(31)는 상면에 형성된 배기구(313), 및 하면에 형성된 흡기구(314)가 형성되고,
    상기 취반기의 취사과정에서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취반기 도어(3)로 전달되어 가열된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3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취반기 도어(3) 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짐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기구(314)를 통해 상기 취반기 도어(3)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열패널(32, 33) 중 상기 취반기 본체(2)의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제 1 단열패널(32)은 상기 연소실 방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공간 중 상기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공간의 폭이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배기구에 가까울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열패널(32, 33)은 상기 도어케이스(31)의 전면과 평행하게 적층되는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의 전면과 평행하게 적층되는 복수 개의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313)는 상기 복수 개의 공간 중 상기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공간의 위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314)는 상기 복수 개의 공간 중 상기 연소실에 가장 가까운 공간의 아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6. 삭제
KR1020190131673A 2019-10-22 2019-10-22 단열구조를 갖는 취반기 도어 및 이를 갖는 취반기 KR102289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673A KR102289739B1 (ko) 2019-10-22 2019-10-22 단열구조를 갖는 취반기 도어 및 이를 갖는 취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673A KR102289739B1 (ko) 2019-10-22 2019-10-22 단열구조를 갖는 취반기 도어 및 이를 갖는 취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732A KR20210047732A (ko) 2021-04-30
KR102289739B1 true KR102289739B1 (ko) 2021-08-13

Family

ID=7574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673A KR102289739B1 (ko) 2019-10-22 2019-10-22 단열구조를 갖는 취반기 도어 및 이를 갖는 취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614777A (zh) * 2023-03-08 2024-09-1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门体组件和烹饪器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363A (ja) 1998-08-25 2000-03-03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KR101720995B1 (ko) 2016-12-08 2017-04-06 (주)한신기업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KR101750525B1 (ko) * 2016-11-01 2017-06-26 주식회사 알엔에스 기능성 취반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59B1 (ko) * 2011-04-25 2013-08-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프링 고정편을 겸비한 도어스틱 및 이를 구비한 업무용 취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363A (ja) 1998-08-25 2000-03-03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KR101750525B1 (ko) * 2016-11-01 2017-06-26 주식회사 알엔에스 기능성 취반기
KR101720995B1 (ko) 2016-12-08 2017-04-06 (주)한신기업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732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2274C2 (ru) Печ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варианты)
US9625162B2 (en) Heating cooker
KR102289739B1 (ko) 단열구조를 갖는 취반기 도어 및 이를 갖는 취반기
US10222071B2 (en) Oven system with heat exchanger
KR20050056056A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US20210262675A1 (en) Cooking applian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a cooking appliance
CA2904007A1 (en) Thin profile multi-tube burner for gas grill
EP3412975A1 (en) Cooking appliance
JP2005300053A (ja) 加熱調理器
KR20190084661A (ko) 조리용 화덕
CN110249178B (zh) 分层燃烧器
JP7085227B2 (ja) ストーブ
EP3502570A1 (en) A flue chamber
KR200141514Y1 (ko) 오븐렌지의 도어 냉각장치
US1726735A (en) Gas oven
KR102245314B1 (ko) 조리기기
KR200312816Y1 (ko) 가스 오븐레인지의 조리실 배기구조
JP6511357B2 (ja) ガスフライヤー
JPH02174811A (ja) 立体型ガス炊飯器
JP3881922B2 (ja) グリル
KR100665549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탑버너부 배기구조
KR20210047843A (ko) 조리기기
KR980008989U (ko) 오븐렌지의 냉각장치
US1854034A (en) Baking oven
KR20210047849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