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406B1 -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406B1
KR102289406B1 KR1020190087043A KR20190087043A KR102289406B1 KR 102289406 B1 KR102289406 B1 KR 102289406B1 KR 1020190087043 A KR1020190087043 A KR 1020190087043A KR 20190087043 A KR20190087043 A KR 20190087043A KR 102289406 B1 KR102289406 B1 KR 102289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ironment
control board
monitoring control
traffic
environmental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895A (ko
Inventor
이옥연
이재훈
이인호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4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주변 도로 통행량을 분석하는 교통량 감시 센서, 주변 대기 오염도를 분석하는 환경감시 센서, 상기 주변 도로 통행량을 기초로 상기 환경감시 센서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주변 대기 오염도로서 배기가스 오염도 또는 미세먼지 오염도를 수신하고 상기 주변 대기 오염도를 상호인증 채널 기반의 보안화 처리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환경감시 제어보드 및 보안화 처리된 상기 주변 대기 오염도를 복호화한 후 대기환경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TRAFFIC SIGNAL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ANALYSIS OF ATMOSPHERIC ENVIRONMENT}
본 발명은 교통신호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환경감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신호제어기를 활용하여 전국 환경감시 데이터 정보 수집 및 공익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의 도래와 최근 미세먼지로 인한 환경 오염 등의 문제를 토대로 다양한 환경감시분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교통신호 제어시스템은 국가의 중요 인프라로써 국민의 안전과 교통의 흐름을 제어하고 통신기능을 탑재하고 있어 전국의 신호체계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교통신호 제어시스템은 도로교통공단에서 주관하고 있는 표준규격서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 환경감시 데이터는 데이터의 정밀도와 수집된 데이터의 양 등이 중요하다.
교통신호 제어시스템은 이미 전국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교통신호제어기의 통신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면 이를 토대로 국민들에게 보다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공익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교통신호 제어시스템과 연동함으로써 국내의 환경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89728(2002.11.3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통신호제어기를 활용하여 전국 환경감시 데이터 정보 수집 및 공익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의 특정 지역별로 설치 운영되던 환경감시 데이터를 교통신호 제어시스템을 활용하여 광범위하게 수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데이터의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대기오염에 관련된 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정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국민의 복지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존에 운영되던 신호제어기에 설치 운영 가능하여 필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경정보 수집을 위한 단말들 간의 통신 과정에서 보안화 처리를 통해 환경정보 데이터의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는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주변 도로 통행량을 분석하는 교통량 감시 센서, 주변 대기 오염도를 분석하는 환경감시 센서, 상기 주변 도로 통행량을 기초로 상기 환경감시 센서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주변 대기 오염도로서 배기가스 오염도 또는 미세먼지 오염도를 수신하고 상기 주변 대기 오염도를 상호인증 채널 기반의 보안화 처리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환경감시 제어보드 및 보안화 처리된 상기 주변 대기 오염도를 복호화한 후 대기환경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환경감시 제어보드는 상기 교통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에 장착되고 상기 주변 도로 통행량이 제1 특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환경감시 센서를 통해 상기 배기가스 오염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환경감시 제어보드는 상기 주변 도로 통행량이 제2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환경감시 센서를 통해 상기 미세먼지 오염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환경감시 제어보드는 상기 주변 도로 통행량이 상기 제1 특정 기준 미만과 상기 제2 특정 기준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배기가스 오염도와 상기 미세먼지 오염도를 교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환경감시 제어보드는 도로 교차로에 있는 다른 환경감시 제어보드와 무선통신 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과 다른 방식으로 사전에 설정된 암호화 메커니즘을 통해 애드혹(ad-hoc)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로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환경감시 처리 유닛은 상기 환경감시 제어보드에 서버 인증을 요청하여 상기 환경감시 제어보드가 상기 환경감시 처리 유닛으로부터 제1 공개키를 수신하여 서버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서버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환경감시 제어보드로부터 제2 공개키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는 기존의 특정 지역별로 설치 운영되던 환경감시 데이터를 교통신호 제어시스템을 활용하여 광범위하게 수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데이터의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는 다양한 대기오염에 관련된 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정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국민의 복지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존에 운영되던 신호제어기에 설치 운영 가능하여 필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는 환경정보 수집을 위한 단말들 간의 통신 과정에서 보안화 처리를 통해 환경정보 데이터의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환경감시 제어보드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교통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교통신호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 처리 장치의 전체 개념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교통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교통신호 처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신호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시스템(이하, 교통신호 처리 장치라 한다.)(100)은 감시 센서(110), 환경감시 제어보드(130) 및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감시 센서(110)는 주변환경에 관한 환경정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시 센서(110)는 교통신호 장치의 인근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교통신호 장치의 특정 높이에 결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교통신호 장치 주변의 가로수, 가로등 또는 건물 외벽 등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교통신호 장치는 교통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교차로에 설치되는 신호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시 센서(110)는 교통량 감시 센서와 환경감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교통량 감시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주변 도로 통행량을 분석하는 센서에 해당할 수 있고, 환경감시 센서는 주변 대기 오염도를 분석하는 센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센서는 대기 농도, 온도, 습도, 기압, 자외선 지수, 일사량, 풍속, 풍향 및 소음 중 적어도 하나를 환경정보 신호로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기 농도는 미세먼지 농도, 일산화탄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오존 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감시 센서는 측정하는 환경정보 신호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수치화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환경감시 센서는 자체적으로 일정 기간동안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 통신을 위한 유선 또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감시 센서는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환경감시 센서들은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복수의 감시 센서(110)들로부터 주변도로 교통량이나 주변 대기 오염도를 수집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에지(edge)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의 감시 센서(110)들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선별하는 등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교통신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교통신호제어기에 설치될 수 있고, 복수의 감시 센서(110)들을 제어하여 환경정보 신호를 수집하고 선별하여 환경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환경정보 데이터를 보안화 처리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환경정보 신호는 주변 도로 통행량 또는 주변 대기 오염도에 관한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교통신호제어기는 교차로에 설치되는 신호등처럼 교통신호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교통신호제어기는 국가의 중요 인프라로서 국민의 안전과 교통의 흐름을 제어하고 전국의 신호체계를 관리하는 교통신호 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보안화 처리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또는 통신 방식에 따라 적용되는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주변 도로 통행량을 기초로 환경감시 센서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여 주변 대기 오염도로서 배기가스 오염도 또는 미세먼지 오염도를 수신하고 주변 대기 오염도를 상호인증 채널 기반의 보안화 처리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교통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에 장착되고 주변 도로 통행량이 제1 특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환경감시 센서를 통해 배기가스 오염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주변 도로 통행량이 제2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환경감시 센서를 통해 미세먼지 오염도를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교통량 감시 센서를 통해 주변 도로의 교통량을 감지할 수 있고, 주변 도로의 교통량이 많다고 판단되면 배기가스 오염도를 수집하고, 교통량이 적다고 판단되면 미세먼지 오염도를 수집함으로써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주변 도로 통행량이 제1 특정 기준 미만과 제2 특정 기준 초과인 경우에는 배기가스 오염도와 미세먼지 오염도를 교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특정 기준은 교통신호 처리 장치(100)에서 사전에 설정될 수 있고, 주변 도로의 평균 교통량, 측정 시점의 일일 날씨와 계절 정보를 기초로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주변 도로 통행량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로 판단되면 배기가스 오염도와 미세먼지 오염도를 교번하여 수집함으로써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교통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에 장착되고 해당 교통신호제어기의 통신 모듈에 관한 사용 권한이 할당된 경우 통신 모듈의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보안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교통신호제어기에 대한 관리권한은 지방 경찰청과 같은 교통 통제 권한을 갖는 공공기관에 속할 수 있고,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교통신호제어기에 포함된 옵션보드에 장착될 수 있으나, 특별 권한 없이는 교통신호제어기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들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다.
만약 교통신호제어기의 통신 모듈에 관한 사용 권한이 할당된 경우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통신 모듈의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보안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교통신호제어기의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통신으로 외부에 환경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을 사용하기 위하여 해당 통신 모듈에 적용된 보안 프로토콜에 따라 환경정보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도로 교차로에 있는 다른 환경감시 제어보드와 무선통신 하는 경우 무선통신과 다른 방식으로 사전에 설정된 암호화 메커니즘을 통해 애드혹(Ad-hoc)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로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애드혹(Ad-hoc) 네트워크는 독립적인 단말들 간의 자율적인 임시 통신망을 구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주변 통신 환경에 따라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의 통신 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 통신을 통해 다양한 대기환경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암호화 메커니즘을 통해 애드혹(Ad-hoc)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외부의 다른 환경감시 제어보드와 무선통신 하는 경우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의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즉, 환경감시 제어보드(130)가 다른 환경감시 제어보드와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의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 간의 통신이 LTE 또는 5G 통신인 경우, 환경감시 제어보드(130) 간의 D2D 통신의 경우에는 와이파이(WiFi) 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의 상호인증을 통해 상호인증 채널을 생성하고 상호인증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환경정보 데이터의 기밀성, 무결성, 부인방지, 키교환, 키분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의 통신을 위해 상호인증된 채널을 생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의 기밀성은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이 데이터 암호화 또는 복호화에 사용되는 세션키를 공유하고 해당 세션키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으로부터 제1 공개키를 수신하여 서버 인증을 수행하고,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은 서버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로부터 제2 공개키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버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에 해당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는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에 해당할 수 있으며,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에는 보안 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안 프로토콜은 SSL/TLS 표준보안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서버 공개키와 서버 인증서를 이용하여 서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서버 공개키와 서버 인증서가 신뢰할 수 있는 것인지 확인함으로써 서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는 신뢰할 수 있는 인증된 서버 목록을 자체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특정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서버 공개키와 서버 인증서가 신뢰할 수 있는 서버에서 발행된 것인지, 유효 기간이 만료되지 않았는지 등을 확인하여 서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클라이언트에서의 서버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클라이언트 공개키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클라이언트 공개키와 클라이언트 인증서가 신뢰할 수 있는 것인지 확인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서버에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인증은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서버 인증의 과정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서버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사전 마스터 비밀(Pre-Master Secret)을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전 마스터 비밀(Pre-Master Secret)은 클라이언트가 만든 난수에 해당할 수 있고, 마스터 비밀(Master Secret)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및 클라이언트는 사전 마스터 비밀, 클라이언트 난수 및 서버 난수를 이용하여 마스터 비밀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마스터 비밀(Master Secret)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합의한 비밀값에 해당할 수 있고, 통신의 기밀성을 보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마스터 비밀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 암호화에 사용되는 세션키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비밀은 대칭 암호키, 메시지 인증 코드키 및 대칭 암호 CBC 모드에서 이용하는 초기화 벡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임의의 사전 마스터 비밀을 생성할 수 있고 서버 공개키를 이용하여 사전 마스터 비밀을 암호화할 수 있다. 서버는 전송받은 정보를 복호화하여 사전 마스터 비밀을 획득할 수 있고, 사전 마스터 비밀을 이용하여 마스터 비밀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상호 인증 채널이 생성되면 통신 환경에 따라 데이터 암호화 또는 복호화에 사용되는 암호 알고리즘 및 세션키를 결정할 수 있다. 환경감시 제어보드(130) 및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 간의 상호 인증이 완료된 경우,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은 동일한 세션키를 공유할 수 있고,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해당 세션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또는 복호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암호 알고리즘 및 세션키를 결정하기 위하여 데이터 암호 수트 집합에 있는 데이터 암호 수트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암호 수트는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 간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사용되는 암호 알고리즘의 추천 세트에 해당할 수 있고, 데이터 암호 수트 집합은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에서 선택 가능한 다양한 데이터 암호 수트들을 모아 놓은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의 거리, 무선통신의 종류, 통신신호의 세기, 동작 성능, 호환성 및 중요성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 환경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의 무선통신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요소로서 상호인증 채널과 직접 관련 있는 환경감시 제어보드(130) 및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 간의 거리, 무선통신의 종류, 통신 신호의 세기 등을 통신 환경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무선통신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요소로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 직접 관련 있는 동작 성능, 호환성 및 중요성을 통신 환경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의 거리, 무선통신의 종류 및 통신신호의 세기를 제1 통신 환경으로 결정하고, 동작 성능, 호환성 및 중요성을 제2 통신 환경으로 결정하며, 제1 및 제2 통신 환경들에 따라 데이터 암호화 또는 복호화에 사용되는 암호 알고리즘 및 세션키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제1 통신 환경 및 제2 통신 환경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화된 제1 통신 환경 및 제2 통신 환경에 따라 암호 알고리즘 및 세션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제1 통신 환경에 포함된 요소들에 2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제2 통신 환경에 포함된 요소들에 0.5의 가중치를 부여한 후, 각각의 요소들에 의해 결정되는 전체 무선통신 환경을 고려하여 데이터 통신에 요구되는 보안 강도를 결정할 수 있고, 해당 보안 강도를 충족하는 암호 알고리즘 및 세션키를 결정할 수 있다.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은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의 통신을 통해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보안화 처리를 해제한 후 환경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은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은 데이터베이스(도 1에 미도시함)와 연동하여 주변환경에 대한 환경감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은 보안화 처리된 주변 대기 오염도를 복호화한 후 대기환경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은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의 통신을 위하여 데이터의 기밀성 및 무결성을 제공하는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는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의 상호 인증을 위하여 서로 주고 받는 인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통신 보안을 위하여 사용하는 암호 알고리즘 및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은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에 서버 인증을 요청하여 환경감시 제어보드(130)가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으로부터 제1 공개키를 수신하여 서버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고, 서버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로부터 제2 공개키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환경감시 제어보드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환경감시 센서로부터 수집된 환경정보 신호를 선별하거나 분석하여 환경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외부로 전송하는 과정에서의 각 동작들을 처리하는 각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교통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교통신호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교통신호 처리 장치(100)는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를 통해 교통량 감시 센서로부터 주변 도로 통행량을 수집할 수 있다(단계 S310). 교통신호 처리 (100)은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를 통해 주변 도로 통행량을 기초로 환경감시 센서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여 주변 대기 오염도로서 배기가스 오염도 또는 미세먼지 오염도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330). 교통신호 처리 장치(100)는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를 통해 주변 대기 오염도를 상호인증 채널 기반의 보안화 처리할 수 있다(단계 S350).
또한, 교통신호 처리 장치(100)는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를 통해 보안화 처리된 주변 대기 오염도를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370). 교통신호 처리 장치(100)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을 통해 보안화 처리된 주변 대기 오염도를 복호화한 후 대기환경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390).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은 생성된 환경 분석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외부 장치는 개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은 주변환경에 관한 환경 분석 정보를 큐레이팅(curating)하여 관련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 처리 장치의 전체 개념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교통신호 처리 장치(100)는 감시 센서(110), 환경감시 제어보드(130) 및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감시 센서(110)는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고, 교통신호 장치(410)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주변환경에 관한 환경정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즉, 감시 센서(110)는 교통량 감시 센서와 환경감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교통신호 장치(4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교통신호제어기(430) 내의 옵션보드에 장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교통신호제어기(430)의 통신 모듈을 통해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이 경우 교통신호제어기(430)로부터 통신 모듈에 관한 사용 권한을 사전에 획득할 필요가 있다.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교통신호제어기(430)의 통신 모듈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이 경우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의 상호인증을 통해 무선통신을 위한 상호인증 채널을 사전에 생성할 수 있다. 즉,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 상호인증 채널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의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의 상호 인증 채널이 생성된 경우 통신 환경에 따라 데이터 암호화 또는 복호화에 사용되는 암호 알고리즘 및 세션키를 결정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복수의 암호 알고리즘 및 세션키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암호 알고리즘 및 세션키에 관한 추천 집합을 사전에 정의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교통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교통신호 처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교통신호 처리 장치(100)는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를 통해 환경감시 센서로부터 주변환경에 관한 환경정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단계 S510). 교통신호 처리 장치(100)는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를 통해 환경정보 신호 중에서 선별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보안화 처리할 수 있다(단계 S530). 일 실시예에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과의 상호인증을 통해 상호인증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S550).
또한,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는 상호인증 채널을 통해 보안화 처리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으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환경정보 데이터에 관한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데이터에 관한 기밀성은 환경감시 제어보드(130)와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이 데이터 암호화 또는 복호화에 사용되는 세션키를 공유하고 해당 세션키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교통신호 처리 장치(100)는 환경감시 제어보드(130)를 통해 보안화 처리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환경감시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570). 교통신호 처리 장치(100)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150)을 통해 환경정보 데이터에 관한 보안화 처리를 해제하고 환경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59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시스템
110: 감시 센서 130: 환경감시 제어보드
150: 환경감시 처리 유닛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410: 교통신호 장치 430: 교통신호제어기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주변 도로 통행량을 분석하는 교통량 감시 센서;
    주변 대기 오염도를 분석하는 환경감시 센서;
    상기 주변 도로 통행량을 기초로 상기 환경감시 센서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주변 대기 오염도로서 배기가스 오염도 또는 미세먼지 오염도를 수신하고 상기 주변 대기 오염도를 상호인증 채널 기반의 보안화 처리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환경감시 제어보드; 및
    보안화 처리된 상기 주변 대기 오염도를 복호화한 후 대기환경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환경감시 처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환경감시 제어보드는 도로 교차로에 있는 교통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에 장착되고, 상기 도로 교차로의 인근에 있는 다른 환경감시 제어보드와 무선통신 하는 경우 상기 환경감시 처리 유닛과의 무선통신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사전에 설정된 암호화 메커니즘을 통해 애드혹(Ad-hoc)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로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환경감시 처리 유닛과의 무선통신 과정에서 상호인증을 통해 상호인증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상호인증 채널이 생성되면 가중화된 통신 환경에 따라 데이터 암호화 또는 복호화에 사용되는 암호 알고리즘 및 세션키를 결정하며, 상기 주변 도로 통행량이 제1 특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환경감시 센서를 통해 상기 배기가스 오염도를 결정하고, 상기 주변 도로 통행량이 제2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환경감시 센서를 통해 상기 미세먼지 오염도를 결정하며,
    상기 통신 환경은 상기 환경감시 처리 유닛과의 거리, 상기 무선통신의 종류 및 통신신호의 세기에 관한 제1 통신 환경과 동작 성능, 호환성 및 중요성에 관한 제2 통신 환경을 포함하고, 상기 가중화된 통신 환경은 상기 제1 및 제2 통신 환경에 서로 상이한 가중치가 적용된 결과로서 결정되며,
    상기 환경감시 처리 유닛은 상기 환경감시 제어보드에 서버 인증을 요청하여 상기 환경감시 제어보드가 상기 환경감시 처리 유닛으로부터 제1 공개키를 수신하여 서버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서버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환경감시 제어보드로부터 제2 공개키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인증을 수행함과 동시에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생성된 사전 마스터 비밀을 추가로 수신하고 마스터 비밀을 생성하여 상기 세션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감시 제어보드는
    상기 주변 도로 통행량이 상기 제1 특정 기준 미만과 상기 제2 특정 기준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배기가스 오염도와 상기 미세먼지 오염도를 교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90087043A 2019-07-18 2019-07-18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 KR102289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043A KR102289406B1 (ko) 2019-07-18 2019-07-18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043A KR102289406B1 (ko) 2019-07-18 2019-07-18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895A KR20210009895A (ko) 2021-01-27
KR102289406B1 true KR102289406B1 (ko) 2021-08-12

Family

ID=7423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043A KR102289406B1 (ko) 2019-07-18 2019-07-18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348B1 (ko) * 2021-02-16 2023-01-04 주식회사 대한전광씨앤씨 교통약자 횡단보도 구역 보행자 위치 추적 스마트폴시스템
KR102307398B1 (ko) * 2021-04-02 2021-09-30 에스비비(주) 도로 미세먼지 스마트 세척관리 시스템
KR102583449B1 (ko) * 2021-08-19 2023-09-26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질 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1620A (ja) * 2005-05-19 2006-11-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環境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環境情報収集方法
KR101771366B1 (ko) 2016-09-06 2017-08-24 김동화 공기 오염 측정을 위한 교통 정보 단말
KR101771367B1 (ko) * 2016-09-06 2017-08-24 김동화 공기 오염 정보 및 교통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728A (ko) 2001-05-24 2002-1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교통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664394B1 (ko) * 2013-10-11 2016-10-10 (주)케이에프 도로변의 기상정보 및 대기오염물질 농도 측정 기능을 구비한 대중교통 수단 승강장
KR20160036831A (ko) * 2014-09-26 2016-04-05 (주)한경아이넷 고정형 환경 정보 센서 또는 이동형 환경 정보 센서를 이용한 지역별 환경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환경 정보 수집 방법
KR101854384B1 (ko) * 2016-06-22 2018-06-20 (주)네스랩 IoT 용 무선모뎀과 낸드 플래시 메모리가 일체화된 IoT 센싱칩 및 이를 이용한 센싱 데이터 저장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1620A (ja) * 2005-05-19 2006-11-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環境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環境情報収集方法
KR101771366B1 (ko) 2016-09-06 2017-08-24 김동화 공기 오염 측정을 위한 교통 정보 단말
KR101771367B1 (ko) * 2016-09-06 2017-08-24 김동화 공기 오염 정보 및 교통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895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22162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扁平化建筑设备物联网监控系统及方法
KR102289406B1 (ko) 대기환경 분석 가능형 교통신호 처리 장치
Doukas et al. Enabling data protection through PKI encryption in IoT m-Health devices
Alrawais et al. Fog computing for the internet of things: Security and privacy issues
US10097529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right to server of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080071863A (ko) 센서 네트워크의 측정 데이터에 대한 분산 검증을 수행하는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CN110972136A (zh) 物联网安全通信模组、终端、安全控制系统及认证方法
WO2021042746A1 (zh) 信息推荐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2018174525A (ja) プライバシー配慮型の信号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CN112788042A (zh) 物联网设备标识的确定方法及物联网设备
KR100722253B1 (ko) 센서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센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15459919A (zh) 物联网泛终端安全认证系统、方法、装置和物联网通信终端
Ma et al. Decentralized privacy-preserving reputation management for mobile crowdsensing
US11463250B2 (en) Sharing data among different service providers at edge level through collaboration channels
JP2018152796A (ja) 遠隔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機器制御方法
JP6716424B2 (ja) データ収集システム、末端装置、データ収集装置、データ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7119012A (zh) 城市生命线数据处理方法及设备
CN117793155A (zh) 环境控制回路
Nikiforov et al. Structure of information security subsystem in the systems of commercial energy resources accounting
Jerald et al. Algorithmic approach to security architecture for integrated IoT smart services environment
CN114710796A (zh) 一种基于区块链的传感器异常检测方法、装置及系统
Raja et al. Internet of things: A research-oriented introductory
Ramya et al. Analysis of security issues and possible solutions in the internet of things for home automation system
KR101406530B1 (ko)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암호키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30135A (ko) 사물 인터넷 장치의 서버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반도체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