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859B1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7859B1 KR102287859B1 KR1020200009952A KR20200009952A KR102287859B1 KR 102287859 B1 KR102287859 B1 KR 102287859B1 KR 1020200009952 A KR1020200009952 A KR 1020200009952A KR 20200009952 A KR20200009952 A KR 20200009952A KR 102287859 B1 KR102287859 B1 KR 1022878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ling wall
- spacer
- wall
- secondary sealing
- storage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1—Thermal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cryogenic vess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29—Two wal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내부벽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벽, 단열벽 상에 구비되는 2차 밀봉벽, 2차 밀봉벽 상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액화천연가스와 직접 접하는 1차 밀봉벽, 1차 밀봉벽과 2차 밀봉벽 사이에 개재되어, 1차 밀봉벽과 2차 밀봉벽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 및 2차 밀봉벽 상에 구비되고, 스페이서를 관통하여 2차 밀봉벽에 체결하고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탱크의 방벽 구조체를 구성하는 밀봉벽과 스페이서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저장탱크 제조시 작업 편의성과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는 화석연료의 하나인 천연가스를 액화시킨 것으로서, 이러한 액화천연가스는 -162℃의 극저온 상태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지상에 설치되거나 지중에 매립되는 육상 저장탱크 또는 자동차, 선박 등의 운송수단에 설치된 이동형 저장탱크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액화천연가스는 충격에 노출시 폭발의 위험성이 있고, 극저온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액화천연가스를 보관하는 저장탱크는 내충격성 및 액밀성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탱크는 유동이 거의 없는 육상 저장탱크와 대비하여, 유동이 있는 자동차, 선박에 설치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구조는 유동에 의한 기계적 응력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하여야 한다는 점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
그러나, 기계적 응력에 대하여 대비책이 마련된 선박에 설치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는 당연히 육상 저장탱크에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는 선박에 설치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구조를 일례로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가 설치된 선박(1)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의 저장탱크(10) 일부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가 설치되는 선박(1)은, 통상, 외형을 이루는 외부벽(16)과, 이 외부벽(16)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벽(12)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구조의 선체를 갖는다.
상기 선박(1)의 내부벽(12)과 외부벽(16)은 연결 리브 등의 보강부재(13)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내부벽(12)이 존재하지 않은 단일구조의 선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선체의 내부, 즉 내부벽(12)의 내부는 하나 이상의 격벽(14)에 의하여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14)은 통상적인 액화천연가스 수송용 선박(1)에 설치되는 공지의 코퍼댐(cofferdam)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격벽(14)에 의해 분할된 각각의 내부 공간은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극저온 액체를 적재하는 저장탱크(10)로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장탱크(10)의 내주벽면은 밀봉벽(30)에 의해서 액밀 상태로 밀봉된다. 즉, 상기 밀봉벽(30)은 복수개의 금속판들이 용접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10)는 액화천연가스를 누출 없이 저장 및 수송할 수 있게 된다.
밀봉벽(30)과 내부벽(12) 또는 격벽(14) 사이에는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단열벽(20)이 배열되고, 단열벽(20)은 저장탱크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밀봉벽(30)은 단열벽(20)에 적층되는 2차 밀봉벽(32)과, 2차 밀봉벽(32)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액화천연가스를 액밀하는 1차 밀봉벽(31)을 포함할 수 있고, 1차 및 2차 밀봉벽(31,32) 사이에는 1차 및 2차 밀봉벽(31,3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기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중 밀봉벽을 통해 저장탱크(10) 내 저장된 액화가스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완벽히 밀봉할 수 있다.
또한, 극저온 상태인 액화천연가스와 직접 접촉하는 1차 및 2차 밀봉벽(31,32)에는 액화천연가스의 선하적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봉벽(30)은 앵커부재(40, 도1 참조)를 통해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벽(12)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는 저장탱크의 내부벽(12) 또는 격벽(14)에 단열벽(20), 2차 밀봉벽(32), 스페이서(50) 및 1차 밀봉벽(31)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제작하고 있는데, 종래의 경우 2차 밀봉벽(32)에 스페이서(50)의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성이 떨어지고 밀봉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스페이서(50) 설치 과정에서는 작업자가 스페이서(50)를 2차 밀봉벽(32)에 임시로 배치시킨 후, 앵커부재(미도시)를 통해 스페이서(50) 위에 1차 밀봉벽(31)을 설치하고 있어, 저장탱크(10)의 벽체나 천장 쪽에 배치되는 밀봉벽(30)의 경우 스페이서(50)의 설치 작업이 상당히 까다로워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스페이서(50)가 틀어져 설치되는 경우 밀봉벽(30)의 밀봉 신뢰성이 저하되어 LNG가 누출(leakage)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구체적으로는 밀봉벽과 스페이서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저장탱크 제조시 작업 편의성과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내부벽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벽, 단열벽 상에 구비되는 2차 밀봉벽, 2차 밀봉벽 상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액화천연가스와 직접 접하는 1차 밀봉벽, 1차 밀봉벽과 2차 밀봉벽 사이에 개재되어, 1차 밀봉벽과 2차 밀봉벽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 및 2차 밀봉벽 상에 구비되고, 스페이서를 관통하여 2차 밀봉벽에 체결하고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를 제공한다.
또한, 스페이서 상에는 체결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체결부재는 2차 밀봉벽에 구비되고, 상부에 안착되는 스페이서의 결합공에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체결본체 및 체결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스페이서의 상면을 탄성 가압하여 스페이서를 2차 밀봉벽에 고정하는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를 제공한다.
또한, 체결본체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 가압부는 체결본체의 네 측벽 상단으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굽혀져 하향 연장되며 탄성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를 제공한다.
또한, 탄성 가압부는 체결본체의 측벽 상단으로부터 만곡되게 형성되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벤딩부 및 벤딩부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고 돌출된 가압구를 통해 스페이서의 상면을 탄성 가압하여 스페이서를 상기 2차 밀봉벽에 고정하는 가압편을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를 제공한다.
또한, 벤딩부는 가압편 또는 체결본체의 측벽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를 제공한다.
또한, 체결부재는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에 대응하도록, 벤딩부가 스페이서의 상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로 가압편을 통해 스페이서를 탄성 가압하여 2차 밀봉벽에 고정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는, 저장탱크의 방벽 구조체를 구성하는 밀봉벽과 스페이서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2차 밀봉벽에 스페이서를 쉽고 간편하고 고정할 수 있고, 더불어 스페이서를 2차 밀봉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저장탱크의 제작 시 스페이서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밀봉벽의 밀봉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가 설치된 선박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의 저장탱크 일부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방벽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상기 도 3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밀봉벽과 스페이서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2차 밀봉벽에 스페이서를 고정하는 과정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의 저장탱크 일부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방벽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상기 도 3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밀봉벽과 스페이서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2차 밀봉벽에 스페이서를 고정하는 과정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0)의 방벽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상기 도 3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0)는 LNG 등의 액화가스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할 수 있고, 액화가스가 자연 기화되어 증발가스로 변화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단열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0)는 외부의 열 침입에 의한 증발가스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단열 처리된 멤브레인(Membrane) 타입으로 형성되거나, 독립 탱크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액화가스는 LNG, LPG, 에틸렌,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액화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써 LNG 가스를 저장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0)의 방벽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0)는 단열벽(110), 2차 밀봉벽(120), 1차 밀봉벽(130), 스페이서(140) 및 체결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벽(110)은 저장탱크(100)의 내부벽(미도시)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00)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열벽(110)은 고분자 폼(foam) 등의 단열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단열재(111)와, 단열재(11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단열재(111)를 보호하는 보호 플레이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단열재(111)는 단열 성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호 플레이트(112)는 강성을 갖는 플라이우드(plywoo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면에 보호 플레이트(112)가 결합된 형태의 단열벽(110)은 소정 면적으로 단위 제작될 수 있고, 단위 단열벽(110)을 복수개 배열하여 저장탱크(100) 내부의 전체적인 단열벽(110)을 형성할 수 있다.
2차 밀봉벽(120)은 단열벽(110) 상에 적층될 수 있고, 1차 밀봉벽(130)은 2차 밀봉벽(120) 상에 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어 액화천연가스와 직접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1차 밀봉벽(130)은 복수의 금속판을 용접을 통해 서로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고, 2차 밀봉벽(120)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1차 밀봉벽(130)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중 밀봉벽 구조를 통해 저장탱크(100) 내 저장된 액화가스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완벽히 밀봉할 수 있다.
이때, 1차 및 2차 밀봉벽(120,130)은 스테인레스강 또는 인바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1차 및 2차 밀봉벽(120,130)은 각각 온도 변화에 의해 변형될 수 있도록 일부에 주름부(121,1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1차 및 2차 밀봉벽(120,130)에는 수축 및 신장시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주름부(121,131)가 형성되는데, 주름부(121,131)는 액화가스의 선하적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하여 신장되거나 수축되어 밀봉벽에 가해지는 열적 변형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차 및 2차 밀봉벽(120,130)은 앵커부재(160)에 의해 단열벽(1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앵커부재(160)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0)의 내부벽(미도시)과 밀봉벽(120,130)을 연결하여 밀봉벽(120,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1차 밀봉벽(130)과 2차 밀봉벽(120)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140)가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스페이서(140)는 플라이우드(plywoo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1차 밀봉벽(130)과 2차 밀봉벽(120)을 인접하여 적층시키되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로 방벽 구조체를 제작하기 위해, 1차 밀봉벽(130)과 2차 밀봉벽(120) 사이에 스페이서(140)가 개재될 수 있다.
이때, 1차 밀봉벽(130)의 주름부(131)와 2차 밀봉벽(120)의 주름부(121) 사이에는 스페이서(140)가 개재되지 않고, 1차 밀봉벽(130)과 2차 밀봉벽(120)의 평평한 평면부 사이에만 스페이서(140)가 개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밀봉벽(120)과 스페이서(140)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페이서(14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2차 밀봉벽(120)의 평면 부분에 배치되는 평면 스페이서(140a)와,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2차 밀봉벽(120)의 주름부(121)가 통과하는 홈이 형성되어 2차 밀봉벽(120)의 주름부(121) 주변에 배치되는 홈 스페이서(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평면 스페이서(140a)와 홈 스페이서(140b)는 다수개가 일정한 패턴을 이루면서 2차 밀봉벽(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2차 밀봉벽(120)에는 각각의 스페이서(140), 즉 평면 스페이서(140a) 및 홈 스페이서(140b)를 2차 밀봉벽(120) 상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스페이서(140)에는 체결부재(150)에 의해 2차 밀봉벽(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150)가 결합되는 결합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써, 체결부재(150)가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스페이서(140)에 형성되는 결합공(141)도 대응하는 사각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 스페이서(140a)와 홈 스페이서(140b)의 네 코너 부분에 각각 결합공(141)이 형성되고, 결합공(141)과 대응하는 2차 밀봉벽(120)의 상면에 각각 체결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50)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체결부재(150)는 복수로 구비되어 2차 밀봉벽(120)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페이서(140)가 적층되기 전에 용접에 의해 2차 밀봉벽(1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15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의 체결본체(151)와, 체결본체(151)의 네 측면 상단으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굽혀져 하향 연장되며 탄성력을 갖는 탄성 가압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150)는 스프링강 등의 탄성력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본체(151)는 바닥부가 2차 밀봉벽(120) 상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는데, 사각 형태로 형성된 바닥부의 네 측부로부터 상측으로 측벽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본체(151)의 측벽은 스페이서(140)의 두께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가압부(152)는 체결본체(151)의 네 측벽 상단으로부터 각각 "∩"형태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벤딩부(153)와, 벤딩부(153)로부터 소정 길이 하향 연장되고 끝단에 가압구(154)가 형성되는 가압편(15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가압부(152)에 형성된 벤딩부(153)는 외력에 의해 펴지거나 탄성 복원되는 부분으로서 가압편(155)이나 체결본체(151)의 측벽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편(155)의 끝단에 형성되는 가압구(154)는 체결본체(151)의 측벽과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체결부재(150)는 2차 밀봉벽(120) 상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2차 밀봉벽(120) 상에 스페이서(14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스페이서(140)에 형성된 결합공(141)에 대응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갖는 탄성 가압부(152)를 통해 스페이서(140)를 2차 밀봉벽(120)에 가압하여 공고히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50)를 이용하여 2차 밀봉벽(120)에 스페이서(140)를 고정하는 과정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2차 밀봉벽(120) 상에 스페이서(140)를 고정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2차 밀봉벽(120)에 구비된 복수의 체결부재(150)에 각각 대응하는 스페이서(140)의 결합공(141)을 끼워 넣어 2차 밀봉벽(120)에 스페이서(14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140)의 결합공(141)은 체결부재(150)와 대응하는 형태로 스페이서(140) 상에 관통 형성되어 있어, 2차 밀봉벽(120)에 구비된 체결부재(150)에 스페이서(140)의 결합공(141)을 끼워 결합하는 경우 2차 밀봉벽(120) 상에서 스페이서(14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2차 밀봉벽(120)에 구비된 체결부재(150)에 스페이서(140)의 결합공(141)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는 스페이서(140)의 결합공(141) 상부로 체결부재(150)의 탄성 가압부(152)가 돌출될 수 있는데, 작업자는 탄성 가압부(152)의 가압편(155)을 상측으로 들어 올려 스페이서(140)의 상면에 지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페이서(140)를 2차 밀봉벽(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공구 등을 이용하여 외력으로 탄성 가압부(152)의 가압편(155)을 스페이서(140) 위쪽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벤딩부(153)가 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공구를 해제하면 벤딩부(153)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굽혀지면서 벤딩부(153)와 연결된 가압편(155)이 스페이서(140)의 상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스페이서(140)가 2차 밀봉벽(120)에 공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때에는, 가압편(155)의 끝단에 돌출 형성된 가압구(154)가 스페이서(140)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스페이서(140)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150)를 통해 2차 밀봉벽(120)에 스페이서(140)를 쉽고 간편하고 고정할 수 있고, 더불어 스페이서(140)를 2차 밀봉벽(120)에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스페이서(140)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2차 밀봉벽(120)과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체결부재(150)의 가압편(155)에 의해 스페이서(140)가 2차 밀봉벽(120)에 가압되어 고정된 상태에서는, 벤딩부(153)가 스페이서(140)의 상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벤딩부(153)와 스페이서(140)의 상면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탱크(100)는 내부에 극저온은 액화가스를 저장함에 따라, 액화가스의 선하적 시, 온도 변화에 의하여 금속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50)가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는데, 벤딩부(153)가 스페이서(140)의 상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로 가압편(155)이 스페이서(140)를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체결부재(150), 즉 체결본체(151)의 측벽이 수축되는 경우에도 벤딩부(153)에 의해 탄성력을 유지하며 벤딩부(153)에 연결된 가압편(155)을 통해 스페이서(140)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단열벽(110)에 설치되는 1차 및 2차 밀봉벽(120,130)과 스페이서(140)는 앵커부재(160)를 통해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0)의 내부벽(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앵커부재(160)는 1차 밀봉벽(130)이 부착되는 제1 접합부(161)와, 2차 밀봉벽(120)이 부착되는 제2 접합부(162)와, 제1 및 제2 접합부(161,16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앵커 플레이트(163)와, 제1 및 제2 접합부(161,162)가 앵커 플레이트(16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 플레이트(163)에 부착되는 앵커 캡(164)과, 앵커 플레이트(163)로부터 선체쪽으로 연장되어 저장탱크(100)의 내부벽(미도시)에 연결되는 앵커 지지 로드(165)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및 2차 밀봉벽(120,130)이 부착되는 제1 및 제2 접합부(161,162)는 저장탱크(100)의 열변형으로 인한 변위 발생시 앵커 플레이트(163)와 앵커 캡(16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1 접합부(161)는 제2 접합부(162) 상에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제2 접합부(162)는 앵커 플레이트(163)와 앵커 캡(164)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박의 선체 내부에 설치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0)의 방벽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육상에 설치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방벽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0)는, 저장탱크(100)의 방벽 구조체를 구성하는 밀봉벽(120,130)과 스페이서(140)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2차 밀봉벽(120)에 스페이서(140)를 쉽고 간편하고 고정할 수 있고, 더불어 스페이서(140)를 2차 밀봉벽(120)에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저장탱크(100)의 제작 시 스페이서(140)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밀봉벽(120,130)의 밀봉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저장탱크 110 : 단열벽
120 : 2차 밀봉벽 130 : 1차 밀봉벽
140 : 스페이서 150 : 체결부재
151 : 체결본체 152 : 탄성 가압부
155 : 가압편 160 : 앵커부재
120 : 2차 밀봉벽 130 : 1차 밀봉벽
140 : 스페이서 150 : 체결부재
151 : 체결본체 152 : 탄성 가압부
155 : 가압편 160 : 앵커부재
Claims (6)
- 저장탱크의 내부벽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벽;
상기 단열벽 상에 구비되는 2차 밀봉벽;
상기 2차 밀봉벽 상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액화천연가스와 직접 접하는 1차 밀봉벽;
상기 1차 밀봉벽과 상기 2차 밀봉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1차 밀봉벽과 상기 2차 밀봉벽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 및
상기 2차 밀봉벽 상에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를 관통하는 체결본체와, 상기 체결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2차 밀봉벽에 고정하는 탄성 가압부를 구비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본체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가압부는 상기 체결본체의 네 측벽 상단으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굽혀져 하향 연장되며 탄성력을 갖도록 구비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부는,
상기 체결본체의 측벽 상단으로부터 만곡되게 형성되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고 돌출된 가압구를 통해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2차 밀봉벽에 고정하는 가압편을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가압편 또는 상기 체결본체의 측벽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에 대응하도록, 상기 벤딩부가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압편을 통해 상기 스페이서를 탄성 가압하여 상기 2차 밀봉벽에 고정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9952A KR102287859B1 (ko) | 2020-01-28 | 2020-01-28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9952A KR102287859B1 (ko) | 2020-01-28 | 2020-01-28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6461A KR20210096461A (ko) | 2021-08-05 |
KR102287859B1 true KR102287859B1 (ko) | 2021-08-06 |
Family
ID=7731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9952A KR102287859B1 (ko) | 2020-01-28 | 2020-01-28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785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4217B1 (ko) | 2006-04-20 | 2006-11-10 | 한국가스공사 | 개선된 단열구조를 갖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그제조방법 |
KR101557052B1 (ko) * | 2015-05-20 | 2015-10-06 | 주식회사 동서사무용가구 | 책상용 탈취제 용기 |
KR101610257B1 (ko) | 2014-07-11 | 2016-04-20 | 한국가스공사 | 앵커 구조체 및 앵커 구조체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
JP6050836B2 (ja) | 2012-02-17 | 2016-12-21 | エルエヌゲー ニュー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イー エルティーディー | 液化天然ガス(lng)の格納容器のための構成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7517A (ko) * | 2014-09-01 | 2016-03-1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화물창 방벽구조 |
-
2020
- 2020-01-28 KR KR1020200009952A patent/KR1022878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4217B1 (ko) | 2006-04-20 | 2006-11-10 | 한국가스공사 | 개선된 단열구조를 갖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그제조방법 |
JP6050836B2 (ja) | 2012-02-17 | 2016-12-21 | エルエヌゲー ニュー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イー エルティーディー | 液化天然ガス(lng)の格納容器のための構成 |
KR101610257B1 (ko) | 2014-07-11 | 2016-04-20 | 한국가스공사 | 앵커 구조체 및 앵커 구조체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
KR101557052B1 (ko) * | 2015-05-20 | 2015-10-06 | 주식회사 동서사무용가구 | 책상용 탈취제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6461A (ko) | 2021-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19273B2 (en) | Liquid natural gas tank with wrinkled portion and spaced layers and vehicle with the same | |
US10371321B2 (en) | Anchor structure and LNG storage tank including the same | |
KR101876975B1 (ko) |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의 단열 구조체 및 단열 구조체 설치 방법 | |
KR20180061945A (ko) |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 |
KR20200083496A (ko) | 복수의 영역을 갖는 밀폐 및 단열 탱크 | |
KR20160004756A (ko)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 |
KR102287859B1 (ko)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 |
KR20160004754A (ko)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 |
KR101686507B1 (ko)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 |
KR101686506B1 (ko)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 |
KR20200092816A (ko) |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 |
KR20180011424A (ko) | 독립형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 |
KR20210101859A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 |
KR102549378B1 (ko) | 액화가스 화물창 | |
KR102351144B1 (ko) | 앵커 구조체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210081916A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 |
KR102685798B1 (ko) | 액화가스 화물창의 보강 구조 | |
KR102498659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220067236A (ko) | 단열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 |
KR102480577B1 (ko) | 단열 구조체가 구비된 액화가스 화물창 | |
KR102616517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180061944A (ko) |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 |
KR102323470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335578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375111B1 (ko) |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