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799B1 - 스마트 압축기 홀더 - Google Patents
스마트 압축기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7799B1 KR102287799B1 KR1020190064434A KR20190064434A KR102287799B1 KR 102287799 B1 KR102287799 B1 KR 102287799B1 KR 1020190064434 A KR1020190064434 A KR 1020190064434A KR 20190064434 A KR20190064434 A KR 20190064434A KR 102287799 B1 KR102287799 B1 KR 1022877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part
- fastening
- lower cover
- upper cover
- hi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4—Clamps with pivoted ja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067—C-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스마트 압축기 홀더가 개시된다.
압축기의 외주면 일측이 안착되도록 그에 대응되는 만곡부가 형성된 상측커버부; 상기 상측 커버부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압축기의 외주면 타측이 안착되도록 그에 대응되는 만곡부가 형성한 하측 커버부; 상기 상측 커버부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상측커버부와 상기 하측 커버부를 폐쇄고정하는 라킹부; 일측이 상기 하측 커버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일정 길이만큼 하방 연장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마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의 상기 하측 커버부에 대한 회동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상기 마운트부의 상기 체결부에 대한 회동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기의 외주면 일측이 안착되도록 그에 대응되는 만곡부가 형성된 상측커버부; 상기 상측 커버부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압축기의 외주면 타측이 안착되도록 그에 대응되는 만곡부가 형성한 하측 커버부; 상기 상측 커버부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상측커버부와 상기 하측 커버부를 폐쇄고정하는 라킹부; 일측이 상기 하측 커버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일정 길이만큼 하방 연장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마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의 상기 하측 커버부에 대한 회동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상기 마운트부의 상기 체결부에 대한 회동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압축기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선작업에 사용되는 압축기를 취부하여 전선을 압축하기 위한 스마트 압축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식 전선압축기는 분리된 전력 케이블(전선)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슬리브를 압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동식 유압 압착기는 작업자가 기구의 손잡이를 양손으로 붙잡은 후 손잡이를 늘렸다 오므렸다하면, 압착기 내부의 오일탱크에서 오일을 이송시켜 로드암을 움직일 수 있다. 작업자가 유압작동레버를 작동하면 압착기 내부의 오일탱크에서 실린더내부로 오일이 유입되고, 유압작동레버를 작동하면 실린더 내부의 오일이 압력을 받게 되며, 이때 발생된 압력에 의해서 클램프 로드암을 밀어내게 되므로, 클램프 안에 슬리브가 있다면, 슬리브는 압축력을 받는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클램프 로드암이 연속으로 전진하여 클램프 내부에 있는 슬리브를 압착하게 된다. 전동식 압착기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유압작동레버를 움직이던 작업을 전동모터가 대신 수행하는 것으로 오일탱크의 오일이 실린더 내부로 이송되고, 로드암을 전진시키는 방법은 수동식과 전동식에서 유사하다. 이와 같이 통상적으로 유압을 이용하여 전력용 케이블을 절단하거나, 슬리브를 압착하는 압착기구는 수동식과 전동식 등 다양한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활선 작업에 있어 이 압축기를 파지하기 위한 다양한 공구들이 존재하는데 이를 압축기 홀더라 한다. 종래의 압축기 홀더는 절연을 위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강성이 떨어지고, 전후로만 틸팅이 가능하여 압축기를 홀딩한 상태에서 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후좌우로 틸팅이 가능한 압축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압축기 홀더는 활선작업에서 분리된 전력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슬리브를 압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실린더 형태의 전선 압축기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압축기 홀더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외주면 일측이 안착되도록 제1만곡면(105)이 형성되는 상측커버부(100)와, 일단이 상기 상측 커버부(100)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압축기의 외주면 타측이 안착되도록 제2만곡면(205)이 형성되는 하측 커버부(200)와, 상기 상측 커버부(100)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측커버부(100)의 타단과 상기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을 결합시키는 라킹부(300)와, 상단이 상기 하측 커버부(2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일정 길이만큼 하부로 연장되는 체결부(400) 및, 상기 체결부(4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마운트부(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 커버부(100)의 일단과 상기 하측 커버부(200)의 일단을 서로 힌지 결합시키는 제1힌지핀(150)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400)가 상기 하측 커버부(200)에 대해 상대 회전될 때의 가상의 궤적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마운트부(500)가 상기 체결부(400)에 대해 상대 회전될 때의 가상의 궤적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은 서로 수직을 이룬다.
이때 상기 라킹부(300)는 상단이 상기 상측 커버부(100)에 힌지결합되고 하부로 길게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320)와, 상기 몸체(320) 상단을 상기 상측 커버부(100)의 타단에 힌지 결합 시키는 제3힌지핀(350)과, 상기 몸체(320)와 나사결합되는 고정구(310)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고정구(310)는 상기 몸체(320)를 감싸며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통형 너트(311)와, 상기 원통형 너트(311)의 하부에 형성되는 플랜지(3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에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체결 암(220)이 형성되어, 상기 상측 커버부(100)의 타단과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이 만날 때 상기 라킹부(300)가 회동되면서 상기 두 개의 체결 암(220)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측 커버부(100)와 상기 하측 커버부(200)는 서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체결 암(220) 사이에는 상기 몸체(320)가 삽입되고, 상기 원통형 너트(311)의 상면이 상기 두 개의 체결 암(220)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상측 커버부(100)와 하측 커버부(200)가 서로 체결된다.
이 경우 상기 하측 커버부(200)의 하단에는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을 모두 관통함으로써 상기 체결부(400)의 상단과 상기 하측 커버부(200)를 힌지 결합시키는 제2힌지핀(25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40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재로서 상면에는 상기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 사이에 삽입되어 제2힌지핀(250)으로 힌지 설치용 암(240)에 힌지 결합되는 삽입판(440)이 상부로 돌출되고, 하부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평면의 수직 벽 형태의 접합면(40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운트부(500)는 상부에는 상기 접합면(405)에 밀착되는 수직 벽 형태의 대응 접합면(505)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수직 하부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기둥이 형성되며, 상기 접합면(405)과 대응 접합면(505)을 동시에 관통하는 제4힌지핀(450)이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400)와 마운트부(500)는 서로 힌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삽입판(440)은 상부를 향하여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삽입판(440)의 상면은 상기 반원 형태를 따라 걸림 요철(460)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 사이에는 상기 걸림 요철(460)의 상부를 압박하는 가압핀(260)이 설치되고, 상기 걸림 요철(460)은 상기 반원 형태의 곡률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핀(250)은 상기 곡률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삽입판(440)은 일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가 가압핀(260)이 걸림 요철(460) 사이를 도약하는데 소요되는 힘의 범위 내에서 유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합면(405)에는 제1관통공(450h)이 형성되고, 상기 대응 접합면(505)에는 제2관통공(550h)이 형성되어 상기 제4힌지핀(450)이 제1관통공(450h)과 제2관통공(550h)을 동시에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되, 상기 대응 접합면(505)에는 제2관통공(550h)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원주를 따라 복수개의 스토퍼 홀(500h)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405)에는 제1관통공(450h)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직경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돌기(410)가 형성되어, 상기 마운트부(500)는 체결부(400)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가 스토퍼 돌기(410)가 스토퍼 홀(500h) 사이를 도약하는데 소요되는 힘의 범위 내에서 유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상측 커버부(100)의 일단과 상기 하측 커버부(200)의 일단을 서로 힌지 결합시키는 제1힌지핀(150)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400)가 상기 하측 커버부(200)에 대해 상대 회전될 때의 가상의 궤적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마운트부(500)가 상기 체결부(400)에 대해 상대 회전될 때의 가상의 궤적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은 서로 수직을 이룬다.
이때 상기 라킹부(300)는 상단이 상기 상측 커버부(100)에 힌지결합되고 하부로 길게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320)와, 상기 몸체(320) 상단을 상기 상측 커버부(100)의 타단에 힌지 결합 시키는 제3힌지핀(350)과, 상기 몸체(320)와 나사결합되는 고정구(310)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고정구(310)는 상기 몸체(320)를 감싸며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통형 너트(311)와, 상기 원통형 너트(311)의 하부에 형성되는 플랜지(3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에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체결 암(220)이 형성되어, 상기 상측 커버부(100)의 타단과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이 만날 때 상기 라킹부(300)가 회동되면서 상기 두 개의 체결 암(220)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측 커버부(100)와 상기 하측 커버부(200)는 서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체결 암(220) 사이에는 상기 몸체(320)가 삽입되고, 상기 원통형 너트(311)의 상면이 상기 두 개의 체결 암(220)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상측 커버부(100)와 하측 커버부(200)가 서로 체결된다.
이 경우 상기 하측 커버부(200)의 하단에는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을 모두 관통함으로써 상기 체결부(400)의 상단과 상기 하측 커버부(200)를 힌지 결합시키는 제2힌지핀(25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40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재로서 상면에는 상기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 사이에 삽입되어 제2힌지핀(250)으로 힌지 설치용 암(240)에 힌지 결합되는 삽입판(440)이 상부로 돌출되고, 하부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평면의 수직 벽 형태의 접합면(40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운트부(500)는 상부에는 상기 접합면(405)에 밀착되는 수직 벽 형태의 대응 접합면(505)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수직 하부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기둥이 형성되며, 상기 접합면(405)과 대응 접합면(505)을 동시에 관통하는 제4힌지핀(450)이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400)와 마운트부(500)는 서로 힌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삽입판(440)은 상부를 향하여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삽입판(440)의 상면은 상기 반원 형태를 따라 걸림 요철(460)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 사이에는 상기 걸림 요철(460)의 상부를 압박하는 가압핀(260)이 설치되고, 상기 걸림 요철(460)은 상기 반원 형태의 곡률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핀(250)은 상기 곡률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삽입판(440)은 일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가 가압핀(260)이 걸림 요철(460) 사이를 도약하는데 소요되는 힘의 범위 내에서 유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합면(405)에는 제1관통공(450h)이 형성되고, 상기 대응 접합면(505)에는 제2관통공(550h)이 형성되어 상기 제4힌지핀(450)이 제1관통공(450h)과 제2관통공(550h)을 동시에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되, 상기 대응 접합면(505)에는 제2관통공(550h)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원주를 따라 복수개의 스토퍼 홀(500h)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405)에는 제1관통공(450h)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직경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돌기(410)가 형성되어, 상기 마운트부(500)는 체결부(400)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가 스토퍼 돌기(410)가 스토퍼 홀(500h) 사이를 도약하는데 소요되는 힘의 범위 내에서 유지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단으로 힌지결합된 체결부에 따르면 압축기 홀더를 전후좌우로 틸팅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압축기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압축기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압축기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압축기 홀더(10)는 활선작업에서 분리된 전력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슬리브를 압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실린더 형태의 전선 압축기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압축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압축기 홀더(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의 외주면 일측이 안착되도록 제1만곡면(105)이 형성되는 상측커버부(100)와, 일단이 상측 커버부(100)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며 압축기의 외주면 타측이 안착되도록 제2만곡면(205)이 형성되는 하측 커버부(200)와, 상측커버부(100)의 타단과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을 결합시키는 라킹부(300)와, 하측 커버부(2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며 일정 길이만큼 하부로 연장되는 체결부(400)와, 체결부(4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마운트부(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측 커버부(100)의 일단과 하측 커버부(200)의 일단을 서로 힌지 결합시키는 제1힌지핀(150)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측 커버부(100)가 제1힌지핀(150)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측 커버부(100)의 타단과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이 라킹부(300)로 체결되면 제1만곡면(105)과 제2만곡면(205)이 연결되어 하나의 원을 이룸으로써, 실린더 형태이므로 원통 형상인 압축기의 외주면이 압축기의 원주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400)가 하측 커버부(200)에 대해 상대 회전될 때의 가상의 궤적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과 마운트부(500)가 체결부(400)에 대해 상대 회전될 때의 가상의 궤적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은 서로 수직을 이룬다. 즉 체결부(400)와 하측 커버부(200) 간의 상대 회전 방향과, 마운트부(500)와 체결부(400) 간의 상대 회전 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룸으로써 압축기를 파지하여 이동시키거나 작업 중에 자세를 바꿔야 할 일이 있을 경우, 방향 전환이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자가 원거리에서도 자유롭게 압축기를 취급할 수 있다.
한편 라킹부(3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상측 커버부(100)에 힌지결합되고 하부로 길게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320)와, 몸체(320) 상단을 상측 커버부(100)의 타단에 힌지 결합 시키는 제3힌지핀(350)과, 몸체(320)와 나사결합되는 고정구(310)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구(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20)를 감싸며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통형 너트(311)와, 원통형 너트(311)의 하부에 형성되는 플랜지(3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에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체결 암(220)이 형성되어, 상측 커버부(100)의 타단과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이 만날 때 라킹부(300)가 회동되면서 두 개의 체결 암(220)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상측 커버부(100)와 하측 커버부(200)는 서로 체결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체결 암(220) 사이에는 몸체(320)가 삽입되고, 원통형 너트(311)의 상면이 두 개의 체결 암(220)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상측 커버부(100)와 하측 커버부(200)가 서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즉 원통형 너트(311)의 상면이 두 개의 체결 암(220)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하측 커버부(200)가 상측 커버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특히, 원통형 너트(311)가 더 타이트하게 몸체(320)에 조여지면 원통형 너트(311)의 상면은 두 개의 체결 암(220) 저면을 더 강하게 압박시킴으로써 상측 커버부(100)와 하측 커버부(200)의 결합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커버부(200)의 하단에는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을 모두 관통함으로써 체결부(400)의 상단과 하측 커버부(200)를 힌지 결합시키는 제2힌지핀(250)이 마련된다.
여기서 체결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면에는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 사이에 삽입되어 제2힌지핀(250)으로 힌지 설치용 암(240)에 힌지 결합되는 삽입판(440)이 상부로 돌출된다. 또한 체결부(400)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절개되어 평면의 수직 벽 형태의 접합면(405)이 형성된다.
그리고 마운트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체결부(400)에 형성된 접합면(405)에 밀착되는 수직 벽 형태의 대응 접합면(505)이 형성된다. 마운트부(500)의 하부에는 수직 하부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활선작업용 핫스틱의 상단에 결합되는 체결기둥(510)이 형성된다. 도 6에 나타난 사진에서 왼쪽의 기구가 핫스틱의 상단에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홀더(10)와 결합되는 부재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사진에서 왼쪽의 부재는 바로 체결기둥(510)과 결합된다.
이때 접합면(405)과 대응 접합면(505)을 동시에 관통하는 제4힌지핀(450)이 설치되어 체결부(400)와 마운트부(500)는 서로 힌지 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면(405)에는 제1관통공(450h)이 형성되고, 대응 접합면(505)에는 제2관통공(550h)이 형성되어 제4힌지핀(450)이 제1관통공(450h)과 제2관통공(550h)을 동시에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로써 제2힌지핀(250)에 의해 하측 커버부(200)와 체결부(400)는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고, 제4힌지핀(450)에 의해 체결부(400)와 마운트부(500)는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며, 이 두 가지 회전은 서로 직각을 이룸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압축기 홀더(10)를 활선 작업에 사용되는 절연 재질의 핫 스틱 상단에 결합시켜 이용할 경우 작업자는 압축기의 파지 및 이동과 작업 과정에서 자유롭게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부재 간의 상대 가변이 너무 자유롭게 이루어지면, 작업자는 어떤 특정한 편한 자세를 유지시키는데에 힘이 소요되어 작업의 피로도가 시간이 경과되면서 점차 가중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스마트 홀더의 전 방위 가변이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요청과, 원하는 각도에서는 가변이 억제되어야 한다는 모순된 요청이 서로 조화가 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압축기 홀더(10)에는 상대 가변이 일어나는 지점에서 일정한 가변 각도가 유지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다.
먼저, 하측 커버부(200)와 체결부(400) 간의 상대 가변이 적절한 힘으로 제어될 수 있는 수단에 대해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판(440)은 상부를 향하여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삽입판(440)의 상면은 상기 반원 형태를 따라 복수개의 걸림 요철(460)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 사이에는 걸림 요철(460)의 상부를 압박하는 가압핀(260)이 설치된다.
복수개의 걸림 요철(460)은 상기 반원 형태의 곡률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힌지핀(250)은 상기 곡률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삽입판(440)은 제2힌지핀(250)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가압핀(260)은 삽입판(440)이 회전되더라도 모든 걸림 요철(460)에 대해 동일한 힘으로 압박할 수 있다.
가압핀(260)은 어느 하나의 걸림 요철(460)로부터 인접한 걸림 요철(460)로 넘어가는데에 장애로 작용된다. 따라서 삽입판(440)은 일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 회전된 상태의 각도는 가압핀(260)이 걸림 요철(460) 사이를 도약하는데 소요되는 힘의 범위 내에서 유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면(405)에는 제1관통공(450h)이 형성되고, 대응 접합면(505)에는 제1관통공(450h)과 연통될 수 있게 제2관통공(550h)이 형성되어 제4힌지핀(450)이 제1관통공(450h)과 제2관통공(550h)을 동시에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되, 대응 접합면(505)에는 제2관통공(550h)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원주를 따라 복수개의 스토퍼 홀(500h)이 형성되고, 접합면(405)에는 제1관통공(450h)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직경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돌기(410)가 형성된다. 도 4에서는 스토퍼 돌기(410)가 두 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다.
따라서 마운트부(500)는 체결부(400)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가 스토퍼 돌기(410)가 스토퍼 홀(500h) 사이를 도약하는데 소요되는 힘의 범위 내에서 유지 가능하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압축기 홀더는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로 가변시키면, 다시 그만큼의 힘을 일부러 주지 않는 이상 한번 형성한 각도가 유지되어 작업의 효율이 높아지며, 활선 작업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압축기 홀더(10)는 활선작업에서 분리된 전력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슬리브를 압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실린더 형태의 전선 압축기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압축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압축기 홀더(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의 외주면 일측이 안착되도록 제1만곡면(105)이 형성되는 상측커버부(100)와, 일단이 상측 커버부(100)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며 압축기의 외주면 타측이 안착되도록 제2만곡면(205)이 형성되는 하측 커버부(200)와, 상측커버부(100)의 타단과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을 결합시키는 라킹부(300)와, 하측 커버부(2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며 일정 길이만큼 하부로 연장되는 체결부(400)와, 체결부(4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마운트부(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측 커버부(100)의 일단과 하측 커버부(200)의 일단을 서로 힌지 결합시키는 제1힌지핀(150)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측 커버부(100)가 제1힌지핀(150)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측 커버부(100)의 타단과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이 라킹부(300)로 체결되면 제1만곡면(105)과 제2만곡면(205)이 연결되어 하나의 원을 이룸으로써, 실린더 형태이므로 원통 형상인 압축기의 외주면이 압축기의 원주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400)가 하측 커버부(200)에 대해 상대 회전될 때의 가상의 궤적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과 마운트부(500)가 체결부(400)에 대해 상대 회전될 때의 가상의 궤적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은 서로 수직을 이룬다. 즉 체결부(400)와 하측 커버부(200) 간의 상대 회전 방향과, 마운트부(500)와 체결부(400) 간의 상대 회전 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룸으로써 압축기를 파지하여 이동시키거나 작업 중에 자세를 바꿔야 할 일이 있을 경우, 방향 전환이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자가 원거리에서도 자유롭게 압축기를 취급할 수 있다.
한편 라킹부(3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상측 커버부(100)에 힌지결합되고 하부로 길게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320)와, 몸체(320) 상단을 상측 커버부(100)의 타단에 힌지 결합 시키는 제3힌지핀(350)과, 몸체(320)와 나사결합되는 고정구(310)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구(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20)를 감싸며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통형 너트(311)와, 원통형 너트(311)의 하부에 형성되는 플랜지(3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에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체결 암(220)이 형성되어, 상측 커버부(100)의 타단과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이 만날 때 라킹부(300)가 회동되면서 두 개의 체결 암(220)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상측 커버부(100)와 하측 커버부(200)는 서로 체결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체결 암(220) 사이에는 몸체(320)가 삽입되고, 원통형 너트(311)의 상면이 두 개의 체결 암(220)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상측 커버부(100)와 하측 커버부(200)가 서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즉 원통형 너트(311)의 상면이 두 개의 체결 암(220)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하측 커버부(200)가 상측 커버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특히, 원통형 너트(311)가 더 타이트하게 몸체(320)에 조여지면 원통형 너트(311)의 상면은 두 개의 체결 암(220) 저면을 더 강하게 압박시킴으로써 상측 커버부(100)와 하측 커버부(200)의 결합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커버부(200)의 하단에는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을 모두 관통함으로써 체결부(400)의 상단과 하측 커버부(200)를 힌지 결합시키는 제2힌지핀(250)이 마련된다.
여기서 체결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면에는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 사이에 삽입되어 제2힌지핀(250)으로 힌지 설치용 암(240)에 힌지 결합되는 삽입판(440)이 상부로 돌출된다. 또한 체결부(400)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절개되어 평면의 수직 벽 형태의 접합면(405)이 형성된다.
그리고 마운트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체결부(400)에 형성된 접합면(405)에 밀착되는 수직 벽 형태의 대응 접합면(505)이 형성된다. 마운트부(500)의 하부에는 수직 하부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활선작업용 핫스틱의 상단에 결합되는 체결기둥(510)이 형성된다. 도 6에 나타난 사진에서 왼쪽의 기구가 핫스틱의 상단에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홀더(10)와 결합되는 부재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사진에서 왼쪽의 부재는 바로 체결기둥(510)과 결합된다.
이때 접합면(405)과 대응 접합면(505)을 동시에 관통하는 제4힌지핀(450)이 설치되어 체결부(400)와 마운트부(500)는 서로 힌지 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면(405)에는 제1관통공(450h)이 형성되고, 대응 접합면(505)에는 제2관통공(550h)이 형성되어 제4힌지핀(450)이 제1관통공(450h)과 제2관통공(550h)을 동시에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로써 제2힌지핀(250)에 의해 하측 커버부(200)와 체결부(400)는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고, 제4힌지핀(450)에 의해 체결부(400)와 마운트부(500)는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며, 이 두 가지 회전은 서로 직각을 이룸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압축기 홀더(10)를 활선 작업에 사용되는 절연 재질의 핫 스틱 상단에 결합시켜 이용할 경우 작업자는 압축기의 파지 및 이동과 작업 과정에서 자유롭게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부재 간의 상대 가변이 너무 자유롭게 이루어지면, 작업자는 어떤 특정한 편한 자세를 유지시키는데에 힘이 소요되어 작업의 피로도가 시간이 경과되면서 점차 가중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스마트 홀더의 전 방위 가변이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요청과, 원하는 각도에서는 가변이 억제되어야 한다는 모순된 요청이 서로 조화가 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압축기 홀더(10)에는 상대 가변이 일어나는 지점에서 일정한 가변 각도가 유지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다.
먼저, 하측 커버부(200)와 체결부(400) 간의 상대 가변이 적절한 힘으로 제어될 수 있는 수단에 대해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판(440)은 상부를 향하여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삽입판(440)의 상면은 상기 반원 형태를 따라 복수개의 걸림 요철(460)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 사이에는 걸림 요철(460)의 상부를 압박하는 가압핀(260)이 설치된다.
복수개의 걸림 요철(460)은 상기 반원 형태의 곡률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힌지핀(250)은 상기 곡률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삽입판(440)은 제2힌지핀(250)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가압핀(260)은 삽입판(440)이 회전되더라도 모든 걸림 요철(460)에 대해 동일한 힘으로 압박할 수 있다.
가압핀(260)은 어느 하나의 걸림 요철(460)로부터 인접한 걸림 요철(460)로 넘어가는데에 장애로 작용된다. 따라서 삽입판(440)은 일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 회전된 상태의 각도는 가압핀(260)이 걸림 요철(460) 사이를 도약하는데 소요되는 힘의 범위 내에서 유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면(405)에는 제1관통공(450h)이 형성되고, 대응 접합면(505)에는 제1관통공(450h)과 연통될 수 있게 제2관통공(550h)이 형성되어 제4힌지핀(450)이 제1관통공(450h)과 제2관통공(550h)을 동시에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되, 대응 접합면(505)에는 제2관통공(550h)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원주를 따라 복수개의 스토퍼 홀(500h)이 형성되고, 접합면(405)에는 제1관통공(450h)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직경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돌기(410)가 형성된다. 도 4에서는 스토퍼 돌기(410)가 두 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다.
따라서 마운트부(500)는 체결부(400)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가 스토퍼 돌기(410)가 스토퍼 홀(500h) 사이를 도약하는데 소요되는 힘의 범위 내에서 유지 가능하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압축기 홀더는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로 가변시키면, 다시 그만큼의 힘을 일부러 주지 않는 이상 한번 형성한 각도가 유지되어 작업의 효율이 높아지며, 활선 작업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더욱 방지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 스마트 압축기 홀더 100 : 상측 커버부
105 : 제1만곡면 150 : 제1힌지핀
200 : 하측 커버부 205 : 제2만곡면
220 : 체결 암 240 : 힌지 설치용 암
250 : 제2힌지핀 260 : 가압핀
300 : 라킹부 310 : 고정구
311 : 원통형 너트 312 : 플랜지
320 : 몸체 350 : 제3힌지핀
400 : 체결부 405 : 접합면
410 : 스토퍼 돌기 440 : 삽입판
450 : 제4힌지피니 450h : 제1관통공
460 : 걸림 요철 500 : 마운트부
500h : 스토퍼 홀 505 : 대응 접합면
510 : 체결기둥 550h : 제2관통공
105 : 제1만곡면 150 : 제1힌지핀
200 : 하측 커버부 205 : 제2만곡면
220 : 체결 암 240 : 힌지 설치용 암
250 : 제2힌지핀 260 : 가압핀
300 : 라킹부 310 : 고정구
311 : 원통형 너트 312 : 플랜지
320 : 몸체 350 : 제3힌지핀
400 : 체결부 405 : 접합면
410 : 스토퍼 돌기 440 : 삽입판
450 : 제4힌지피니 450h : 제1관통공
460 : 걸림 요철 500 : 마운트부
500h : 스토퍼 홀 505 : 대응 접합면
510 : 체결기둥 550h : 제2관통공
Claims (6)
- 활선작업에서 분리된 전력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슬리브를 압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실린더 형태의 전선 압축기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압축기 홀더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외주면 일측이 안착되도록 제1만곡면(105)이 형성되는 상측커버부(100);
일단이 상기 상측 커버부(100)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압축기의 외주면 타측이 안착되도록 제2만곡면(205)이 형성되는 하측 커버부(200);
상기 상측 커버부(100)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측커버부(100)의 타단과 상기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을 결합시키는 라킹부(300);
상단이 상기 하측 커버부(2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일정 길이만큼 하부로 연장되는 체결부(400); 및,
상기 체결부(4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마운트부(500);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커버부(100)의 일단과 상기 하측 커버부(200)의 일단을 서로 힌지 결합시키는 제1힌지핀(150)이 마련되며,
상기 체결부(400)가 상기 하측 커버부(200)에 대해 상대 회전될 때의 가상의 궤적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마운트부(500)가 상기 체결부(400)에 대해 상대 회전될 때의 가상의 궤적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평면은 서로 수직을 이루고,
상기 라킹부(300)는 상단이 상기 상측 커버부(100)에 힌지결합되고 하부로 길게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320)와, 상기 몸체(320) 상단을 상기 상측 커버부(100)의 타단에 힌지 결합 시키는 제3힌지핀(350)과, 상기 몸체(320)와 나사결합되는 고정구(31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구(310)는 상기 몸체(320)를 감싸며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통형 너트(311)와, 상기 원통형 너트(311)의 하부에 형성되는 플랜지(31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에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체결 암(220)이 형성되어, 상기 상측 커버부(100)의 타단과 하측 커버부(200)의 타단이 만날 때 상기 라킹부(300)가 회동되면서 상기 두 개의 체결 암(220)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측 커버부(100)와 상기 하측 커버부(200)는 서로 체결되되,
상기 두 개의 체결 암(220) 사이에는 상기 몸체(320)가 삽입되고, 상기 원통형 너트(311)의 상면이 상기 두 개의 체결 암(220)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상측 커버부(100)와 하측 커버부(200)가 서로 체결되고,
상기 하측 커버부(200)의 하단에는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을 모두 관통함으로써 상기 체결부(400)의 상단과 상기 하측 커버부(200)를 힌지 결합시키는 제2힌지핀(250)이 마련되며,
상기 체결부(40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재로서 상면에는 상기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 사이에 삽입되어 제2힌지핀(250)으로 힌지 설치용 암(240)에 힌지 결합되는 삽입판(440)이 상부로 돌출되고, 하부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평면의 수직 벽 형태의 접합면(405)이 형성되며,
상기 마운트부(500)는 상부에는 상기 접합면(405)에 밀착되는 수직 벽 형태의 대응 접합면(505)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수직 하부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기둥이 형성되며, 상기 접합면(405)과 대응 접합면(505)을 동시에 관통하는 제4힌지핀(450)이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400)와 마운트부(500)는 서로 힌지 결합되되,
상기 삽입판(440)은 상부를 향하여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삽입판(440)의 상면은 상기 반원 형태를 따라 걸림 요철(460)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힌지 설치용 암(240) 사이에는 상기 걸림 요철(460)의 상부를 압박하는 가압핀(260)이 설치되고, 상기 걸림 요철(460)은 상기 반원 형태의 곡률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핀(250)은 상기 곡률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삽입판(440)은 일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가 가압핀(260)이 걸림 요철(460) 사이를 도약하는데 소요되는 힘의 범위 내에서 유지 가능하고,
상기 접합면(405)에는 제1관통공(450h)이 형성되고, 상기 대응 접합면(505)에는 제2관통공(550h)이 형성되어 상기 제4힌지핀(450)이 제1관통공(450h)과 제2관통공(550h)을 동시에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되,
상기 대응 접합면(505)에는 제2관통공(550h)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원주를 따라 복수개의 스토퍼 홀(500h)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405)에는 제1관통공(450h)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직경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돌기(410)가 형성되어,
상기 마운트부(500)는 체결부(400)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가 스토퍼 돌기(410)가 스토퍼 홀(500h) 사이를 도약하는데 소요되는 힘의 범위 내에서 유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압축기 홀더.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4434A KR102287799B1 (ko) | 2019-05-31 | 2019-05-31 | 스마트 압축기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4434A KR102287799B1 (ko) | 2019-05-31 | 2019-05-31 | 스마트 압축기 홀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7680A KR20200137680A (ko) | 2020-12-09 |
KR102287799B1 true KR102287799B1 (ko) | 2021-08-10 |
Family
ID=7378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4434A KR102287799B1 (ko) | 2019-05-31 | 2019-05-31 | 스마트 압축기 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7799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1540B1 (ko) * | 2015-08-24 | 2017-04-10 | 한국전력공사 |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
KR101955606B1 (ko) * | 2017-01-31 | 2019-03-07 | 이동민 | 배관용 클램프 장치 |
KR101939593B1 (ko) | 2018-06-18 | 2019-01-17 | 대원산업 주식회사 | 홀딩 가능 유압 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슬리브 압축 시공 방법 |
-
2019
- 2019-05-31 KR KR1020190064434A patent/KR10228779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7680A (ko) | 2020-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55189B2 (ja) | 少なくとも2つのパーツを有するナット | |
MXPA04006434A (es) | Abrazadera de atornillado rapido para tuberia. | |
CA2038459C (en) | Plastic electrical connector for liquidtight conduit | |
US8555754B2 (en) | Biased pliers | |
US7997943B2 (en) | Transverse wedge connector | |
WO2018044745A1 (en) | Cam driven, spring loaded grounding clamp | |
EP2860430B1 (en) | Clamp for locking pipes and/or cylindrical bodies in general | |
JP2007504404A (ja) | クランプ及び修理工具 | |
MX2012014061A (es) | Herramienta de insercion para inserto helicoidal espiral sin espiga. | |
US6671944B2 (en) | Multipurpose coaxial cable tool | |
KR102287799B1 (ko) | 스마트 압축기 홀더 | |
KR100971033B1 (ko) | 퀵 조정형 파이프렌치 | |
JP6212452B2 (ja) | 把持用工具 | |
CN108026962A (zh) | 用于将附件可释放地固定至外部物体的装置 | |
US7971835B2 (en) | Adjustable cable-concealing universal mounts | |
US11644059B2 (en) | Two-part nut with high pressing force | |
KR102125638B1 (ko) | 절단 공구 | |
US2003020159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mpression spindle assembly for clamping | |
KR200497901Y1 (ko) | 파이프 조인트 | |
CA2310001A1 (en) | Joint | |
US9920867B1 (en) | Compression coupling assembly for securing conduits together | |
KR20210050606A (ko) | 풀림방지 기능을 갖춘 배관 연결용 클램프 | |
US11035394B2 (en) | Connection system | |
KR102104535B1 (ko) | 나선형 파이프 연결장치 | |
KR102076226B1 (ko) | 가변형 토크 전달 기구 및 이를 포함한 토크 전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