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595B1 - 신호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보조 블루투스 회로 - Google Patents

신호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보조 블루투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595B1
KR102287595B1 KR1020190043163A KR20190043163A KR102287595B1 KR 102287595 B1 KR102287595 B1 KR 102287595B1 KR 1020190043163 A KR1020190043163 A KR 1020190043163A KR 20190043163 A KR20190043163 A KR 20190043163A KR 102287595 B1 KR102287595 B1 KR 102287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luetooth
main
remot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085A (ko
Inventor
이-청 천
콴-충 황
치아-춘 훙
Original Assignee
리얼텍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얼텍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리얼텍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12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04W36/035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in self-organis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직접적으로 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 및 메인 블루투스 회로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간접적으로 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 보조 블루투스 회로를 포함하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를 제공한다.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한 후,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장치 식별 데이터 및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 사이의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보조 블루투스 회로에 전송한다. 보조 블루투스 회로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지시를 수신할 경우,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장치 식별 데이터와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명의를 사칭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직접적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진행하며,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이어서 보조 블루투스 회로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변경된다.

Description

신호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보조 블루투스 회로{MULTI-MEMBER BLUETOOTH DEVICE CAPABLE OF AVOIDING SIGNAL INTERRUPT AND RELATED MAIN BLUETOOTH CIRCUIT AND AUXILIARY BLUETOOTH CIRCUIT}
본 발명은 블루투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보조 블루투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서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복수의 블루투스 회로로 이루어진 짝을 이루는 블루투스 이어셋, 그룹을 이루는 블루투스 스피커 등과 같은 블루투스 장치를 지칭한다.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가 다른 블루투스 장치(이하 원격 블루투스 장치라고 함)와 연결되면, 원격 블루투스 장치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를 단일 블루투스 장치로 취급한다. 종래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작동 시,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다른 멤버 회로 사이의 데이터 통신 브리지로서 하나의 멤버 회로를 신호 중계 회로로 특정한다.
작동 시, 신호 중계 회로의 연산 부하는 다른 멤버 회로보다 높기에, 신호 중계 회로의 전력 소비량과 발열량도 통상적으로 다른 멤버 회로보다 높다. 신호 중계 회로가 전력 부족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다른 멤버 회로 사이의 데이터 통신 브리지로서 역할하는 것을 계속하기가 어려울 때, 종래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다른 하나의 멤버 회로를 새로운 신호 중계 회로로 특정하고, 새로운 신호 중계 회로에 의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새로운 블루투스 연결을 구축한다. 새로운 신호 중계 회로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가 새로운 블루투스 연결을 구축한 후,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중의 모든 멤버 회로는 새로운 신호 중계 회로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회복한다.
그러나, 새로운 신호 중계 회로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 사이의 새로운 블루투스 연결이 구축되기 이전에, 다른 멤버 회로는 일시적으로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없기에, 신호 중단의 상황이 나타날 수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 헤드셋의 응용 상황에서, 한 개의 헤드셋에 오디오 중단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체험이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 점을 감안하여,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에 신호 중단의 상황이 발행하는 것을 어떻게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것인가 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명세서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 제1 데이터 전송 회로 및 제1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 -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통해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를 통해 다른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 - ; 및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 제2 데이터 전송 회로 및 제2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보조 블루투스 회로 -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회로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를 통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장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 사이의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회로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지시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가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명의를 사칭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이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회로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여,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를 통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본 명세서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중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보조 블루투스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블루투스 통신 회로; 데이터 전송 회로; 및 제어 회로 -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통해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 회로를 통해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어,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가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를 통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장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 사이의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 회로를 통해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에 전송하여,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가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명의를 사칭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이어서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를 통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변경된다.
본 명세서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중의 보조 블루투스 회로의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와 메인 블루투스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는, 블루투스 통신 회로; 데이터 전송 회로; 및 제어 회로 -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데이터 전송 회로가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를 통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전송 회로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에 의해 전송된 장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 사이의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도 수신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지시를 수신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 통신 회로가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명의를 사칭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이어서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를 통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변경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장점 중 하나는, 보조 블루투스 회로가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명의를 사칭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새로운 블루투스 연결을 다시 구축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중의 멤버 회로에 신호 중단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다른 하나의 장점은,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를 대신하여 보조 블루투스 회로로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타이밍을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기에,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복수의 블루투스 회로에서 부하 균형, 전력 균형, 또는 발열 균형 등 관리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하기의 설명과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상이한 멤버 회로 사이에서 심리스 핸드오버(seamless handover)를 구현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가 상이한 동작 단계에서의 개략적인 작업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어셈블리 또는 방법의 단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이다.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복수의 멤버 회로(member circuit)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실시예에는 각각 제1 블루투스 회로(110), 제2 블루투스 회로(120) 및 제3 블루투스 회로(130)인 3 개의 멤버 회로만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의 모든 멤버 회로는 모두 유사한 주요 회로 구조를 갖지만, 상이한 멤버 회로에는 상이한 추가적인 회로 어셈블리를 설치할 수 있고, 모든 멤버 회로의 회로 구조가 모두 완전히 동일하도록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데이터 전송 회로(113), 제어 회로(115) 및 판단 회로(117)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 데이터 전송 회로(123), 제어 회로(125) 및 판단 회로(127)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회로(130) 내부의 주요 회로 어셈블리도 상기 블루투스 회로(110) 또는 블루투스 회로(120)와 유사하나, 간결성을 위해 블루투스 회로(130)의 내부 회로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았다.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서,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는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회로(113)는 다른 멤버 회로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제어 회로(115)는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와 데이터 전송 회로(113)에 커플링되고,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다른 멤버 회로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판단 회로(117)는 제어 회로(115)에 커플링되고,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 잉여 전력, 온도, 또는 작업 환경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전술한 작업 파라미터가 기설정 조건에 도달할 경우, 제어 회로(115)에 통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판단 회로(117)는 데이터 전송 회로(113)에 커플링될 수도 있고,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다른 멤버 회로(예컨대, 도 1의 블루투스 회로(120) 또는 블루투스 회로(130))에 의해 전송된 연산 부하, 잉여 전력, 온도, 또는 작업 환경의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서,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회로(123)는 다른 멤버 회로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제어 회로(125)는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와 데이터 전송 회로(123)에 커플링되고,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다른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회로(123)를 통해 다른 멤버 회로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판단 회로(127)는 제어 회로(125)에 커플링되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연산 부하, 잉여 전력, 온도, 또는 작업 환경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전술한 작업 파라미터가 기설정 조건에 도달할 경우, 제어 회로(125)에 통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판단 회로(127)는 데이터 전송 회로(123)에 커플링될 수도 있고, 데이터 전송 회로(123)를 통해 다른 멤버 회로(예컨대, 도 1의 블루투스 회로(110) 또는 블루투스 회로(130))에 의해 전송된 연산 부하, 잉여 전력, 온도, 또는 작업 환경의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실제적으로, 상기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와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모두 다양한 버전을 지원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의 적합한 통신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회로(113)와 데이터 전송 회로(123)는 모두 다양한 유선 전송 회로, 무선 전송 회로 또는 상기 두 가지 전송 메커니즘을 동시에 통합하는 혼합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115)와 제어 회로(125)는 모두 적당한 연산 능력을 구비하는 다양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판단 회로(117)와 판단 회로(127)는 모두 관련되는 작업 파라미터를 감지, 수집, 기록 및 비교할 수 있는 적합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판단 회로(117) 또는 판단 회로(127)를 제어 회로(115) 또는 제어 회로(125)에 통합시킬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데이터 전송 회로(113)와 데이터 전송 회로(123)를, 상기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와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각각 통합시키거나, 상기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와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회로(113)와 데이터 전송 회로(123)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와 데이터 전송 회로(113)는 상이한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일한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와 데이터 전송 회로(123)는 상이한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일한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응용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상이한 기능의 블록을 단일 회로 칩에 통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모든 기능 블록은 단일 블루투스 제어 칩(Bluetooth controller IC)에 통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모든 기능 블록은 다른 하나의 단일 블루투스 제어 칩에 통합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상이한 멤버 회로는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전송 메커니즘으로 각자의 데이터 전송 회로를 통해 서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여,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데이터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경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복수의 멤버 회로는 동일한 시간에 하나만의 특정 멤버 회로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직접적인 데이터 통신을 담당하고, 다른 멤버 회로는 모두 상기 특정 멤버 회로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한다. 따라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를 단일 블루투스 장치로 취급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작동 방식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상이한 멤버 회로 사이에서 심리스 핸드오버를 구현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가 상이한 동작 단계에서의 개략적인 작업 모식도이다.
도 2의 흐름도에서, 특정 장치에 속하는 문단에 위치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대표한다. 예컨대, "제1 블루투스 회로"에 표기된 부분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이고, "제2 블루투스 회로"에 표기된 부분은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이며, "제3 블루투스 회로"에 표기된 부분은 제3 블루투스 회로(130)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에서 디폴트로 외부 블루투스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담당하는 멤버 회로를 제1 블루투스 회로(110)라고 가정한다.
단계 202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한다. 예컨대, 제어 회로(115)는 단계 202에서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블루투스 연결을 구축하고,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어 회로(115)는 단계 202에서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가 광고 모드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일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어 회로(115)는 단계 202에서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가 적당한 블루투스 패킷 수신 모드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일방향으로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양방향일 수도 있고, 일방향일 수도 있다.
단계 204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의 다른 멤버 회로에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통신을 담당한다고 통지한다. 즉,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이어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다른 멤버 회로 사이의 데이터 통신 브리지 역할을 한다. 단계 204에서, 제어 회로(115)는 데이터 전송 회로(123)를 통해 상기 통지 정보를 다른 멤버 회로의 데이터 전송 회로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가 있거나, 데이터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단계 206을 수행한다. 유사하게, 제3 블루투스 회로(13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가 있거나, 데이터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3 블루투스 회로(130)는 단계 208을 수행한다.
단계 206에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한다. 예컨대, 제2 블루투스 회로(120) 중의 제어 회로(125)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할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회로(123)를 통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데이터 전송 회로(113)에 전송하고, 다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데이터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2 블루투스 회로(120) 중의 제어 회로(125)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08에서, 제3 블루투스 회로(130)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한다. 예컨대, 제3 블루투스 회로(13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할 데이터를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데이터 전송 회로(113)에 전송하고, 다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데이터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3 블루투스 회로(130)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작동 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만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고, 다른 멤버 회로는 모두 제1 블루투스 회로(110)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한다. 다시 말해, 이때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다른 멤버 회로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신호 중계 역할을 한다.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모든 멤버 회로는 배터리로 움직이는(battery-powered) 환경에 의존하고, 전술한 메커니즘은 다른 멤버 회로의 연산량, 전력 소비량 및 발열량을 절약할 수 있다.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작동 과정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판단 회로(117)는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단계 210을 진행한다.
단계 210에서, 판단 회로(117)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수행된 신호 중계 역할을 다른 멤버 회로에 핸드오버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 잉여 전력, 온도 및/또는 작업 환경 등 작업 파라미터를 평가한다. 만약 판단 회로(117)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현재 상황이 신호 중계 역할을 다른 멤버 회로에 핸드오버할 필요가 있는 디폴트 조건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면,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단계 212를 수행하고, 그렇지 아니할 경우, 판단 회로(117)는 계속하여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단계 210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예컨대, 판단 회로(117)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가 기설정 레벨을 초과하고,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잉여 전력이 기설정 레벨보다 낮으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온도가 기설정 온도값을 초과하고,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환경이 기설정 조건을 벗어나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수행된 신호 중계 역할을 다른 멤버 회로에 핸드오버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블루투스 헤드셋인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환경의 기설정 조건은,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사용자의 이도(耳道) 내에서 작동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 경우, 판단 회로(117)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위치가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환경이 기설정 조건을 벗어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판단 회로(117)는 상기 조건의 적어도 하나가 성립될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중계 역할을 다른 멤버 회로에 핸드오버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판단 회로(117)는 단계 210에서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다른 멤버 회로(예컨대, 도 1에서의 블루투스 회로(120)와 블루투스 회로(130))에 의해 전송된 연산 부하, 잉여 전력, 온도, 또는 작업 환경 등 작업 파라미터의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단계 210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파라미터와 다른 멤버 회로의 작업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비교하여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중계 역할을 다른 멤버 회로에 핸드오버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른 멤버 회로는 각각의 판단 회로를 이용하여 자신의 연산 부하, 잉여 전력, 온도 및/또는 작업 환경 등 작업 파라미터를 평가하고, 단계 210에서 획득된 작업 파라미터를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판단 회로(117)에 전송한다.
예컨대, 판단 회로(117)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가 다른 멤버 회로를 초과하여 기설정 정도에 도달하고,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잉여 전력이 다른 멤버 회로의 잉여 전력보다 낮아 기설정 정도에 도달하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온도가 다른 멤버 회로의 온도를 초과하여 기설정 정도에 도달하고,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환경이 기설정 조건을 벗어나되 다른 멤버 회로의 작업 환경이 디폴트 조건에 부합되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중계 역할을 다른 멤버 회로에 핸드오프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판단 회로(117)는 전술한 조건의 적어도 하나가 성립될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중계 역할을 다른 멤버 회로에 핸드오버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판단 회로(117)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 자신의 작업 파라미터 및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다른 멤버 회로의 작업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차이를 모두 상기 단계 210의 종합적인 판단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컨대, 판단 회로(117)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가 기설정 레벨을 초과하고,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잉여 전력이 기설정 레벨보다 낮으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온도가 기설정 온도값을 초과하고,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가 다른 멤버 회로를 초과하여 기설정 정도에 도달하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잉여 전력이 다른 멤버 회로의 잉여 전력보다 낮아 기설정 정도에 도달하고,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온도가 다른 멤버 회로의 온도를 초과하여 기설정 정도에 도달하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환경이 기설정 조건을 벗어나되 다른 멤버 회로의 작업 환경이 디폴트 조건에 부합되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중계 역할을 다른 멤버 회로에 핸드오프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는, 판단 회로(117)는 전술한 조건의 적어도 일부가 성립될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중계 역할을 다른 멤버 회로에 핸드오버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할 수도 있다.
판단 회로(117)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중계 역할을 다른 멤버 회로에 핸드오버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면, 판단 회로(117)는 제어 회로(115)가 단계 212를 수행하도록 제어 회로(115)에 통지한다.
단계 212에서, 제어 회로(115)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다른 멤버 회로에서 하나의 멤버 회로를 선택하여 후속 동작 중의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 및 핸드오버 지시(handover instruction)를 선택된 멤버 회로에 전송할 수 있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제어 회로(115)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다른 멤버 회로에서, 임의의 하나의 멤버 회로를 선택하여 후속 동작 중의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 회로(115)도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다른 멤버 회로에서, 작업 파라미터가 가장 이상적인 하나의 멤버 회로를 선택하여 후속 동작 중의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회로(115)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다른 멤버 회로에서, 잉여 전력이 가장 높은 하나의 멤버 회로를 선택하여 후속 동작 중의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어 회로(115)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다른 멤버 회로에서, 평균 연산 부하량이 가장 낮은 하나의 멤버 회로를 선택하여 후속 동작 중의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어 회로(115)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다른 멤버 회로에서, 온도가 가장 낮은 하나의 멤버 회로를 선택하여 후속 동작 중의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어 회로(115)는 다른 멤버 회로의 복수의 작업 파라미터에 대해 각각 적합한 가중치를 설정하고, 이러한 작업 파라미터의 가중 스코어가 가장 높은 하나의 멤버 회로를 선택하여 후속 동작 중의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제어 회로(115)는 상기 단계 212에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를 선택하여 후속 동작 중의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115)는 단계 212에서 데이터 전송 회로(113)와 데이터 전송 회로(123)를 통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 및 핸드오버 지시를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한다.
상기 핸드오버 지시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와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명의를 사칭(imitate)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지시한다. 즉,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와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1 블루투스 회로(110)를 대신하여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여, 신호 중계 역할을 이어서 수행하도록 할 것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지시한다.
실제적으로, 상기 단계 212에서 전송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에 사용되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사용하는 동기 언어(sync word),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블루투스 주소(Bluetooth address) 및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논리 전송 주소(logical transport address, LT_ADDR)를 포함한다.
또한, 예컨대,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액세스 주소(access address)를 포함한다.
또한, 예컨대,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액세스 주소 및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광고 장치 주소(advertising device address)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단계 212에서 전송된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에 사용되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는 피코네트 클럭(piconet clock) 및 적응형 주파수 도약 맵(adaptive frequency hopping map, AFH map)을 포함한다.
또한, 예컨대,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는 피코네트 클럭(piconet clock), 적응형 주파수 도약 맵, 링크 키(link key) 및 암호화 키(encryption key)를 포함한다.
또한, 예컨대,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는 광고 시간 간격(advertising interval), 채널 맵(channel map) 및 제조업체 특정 타이밍 데이터(vendor specific timing data)를 포함한다.
또한, 예컨대,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는 앵커 포인트 인스턴트(anchor point instant), 연결 카운터(connection counter), 연결 시간 간격(connection interval), 채널 맵,롱텀 키(long term key), 세션 키(session key), 초기화 벡터(initialization vector), 암호화 알고리즘 카운터(CCM counter) 및 제조업체 특정 타이밍 데이터를 포함한다.
단계 214에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제어 회로(125)는 데이터 전송 회로(123)를 통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된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 및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한다.
단계 216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 또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통신을 담당한다고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의 다른 멤버 회로에 통지한다. 즉, 이어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다른 멤버 회로 사이의 데이터 통신 브리지 역할을 수행한다. 단계 216에서, 제어 회로(115) 또는 제어 회로(125)는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 회로를 통해 상기 통지 정보를 다른 멤버 회로의 데이터 전송 회로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18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제어 회로(125)는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와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명의를 사칭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명의를 사칭한다는 것은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진행할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를 의도적으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장치 식별 데이터로 사용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 하여금 자신이 여전히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블루투스 통신을 진행하고 있다고 오해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명의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어 회로(115)는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가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제어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의 수신에 충돌을 야기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동안,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지 않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동안,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지 않는다.
이 밖에,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가 장치 식별 데이터와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명의를 사칭해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방법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의 동의를 사전에 거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시작하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블루투스 연결 프로그램의 재진행이 요구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와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블루투스 통신하는 방식을 계속하여 사용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블루투스 연결 프로그램을 다시 진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방식은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자신의 명의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블루투스 연결을 다시 구축하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신호 중단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데이터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하여야 할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단계 220을 수행한다. 유사하게, 제3 블루투스 회로(13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데이터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하여야 할 경우, 제3 블루투스 회로(130)는 단계 222를 수행한다.
단계 220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한다. 예컨대, 제1 블루투스 회로(110) 중의 제어 회로(115)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할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데이터 전송 회로(123)에 전송하고, 다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데이터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한다. 또한, 예컨대, 제1 블루투스 회로(110) 중의 제어 회로(115)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22에서, 제3 블루투스 회로(13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한다. 예컨대, 제3 블루투스 회로(13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할 데이터를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데이터 전송 회로(123)에 전송하고, 다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데이터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3 블루투스 회로(13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다음의 동작에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만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고, 다른 멤버 회로는 모두 제2 블루투스 회로(120)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한다. 다시 말해, 이때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를 대신하여 다른 멤버 회로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상기 도 2 중의 단계의 수행 순서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실제 실시형태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 및 핸드오버 지시를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하는 동작은 단계 212에서 동시에 실행되나, 실제 응용에서는 상이한 시점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 또는 응용에서,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응용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단계 210의 동작을 스킵(skip)하여 단계 212의 동작을 직접적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 회로(115)는 신호 중계 역할을 이어서 수행하기 위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어느 특정 동작 모드일 경우(예컨대, 절전 모드일 경우, 펌웨어 자동 업데이트 모드일 경우, 또는 리부팅 준비할 경우), 다른 멤버 회로 중의 어느 하나의 멤버 회로(예컨대, 상기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제1 블루투스 회로(110)를 대신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주동적으로 요구하고, 그 때의 판단 회로(117)의 판단 결과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상기 단계 210을 스킵하여 단계 212의 동작을 직접 실행하는 것에 해당된다.
이 밖에,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의 멤버 회로의 개수는 두 개로 감소될 수 있고, 실제 회로 응용의 수요에 따라 증가될 수도 있다.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구조의 작동 방식은 페어링된 블루투스 헤드셋, 그룹화된 블루투스 스피커, 그룹화된 가상 현실 기기, 그룹화된 블루투스 타이어 압력 검출기, 복수의 사물 인터넷 유닛 회로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시스템 등 블루투스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한 다양한 장치 또는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는 블루투스 전송 능력을 구비하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 스마트 시계, 가상 현실 영상 신호 발생 장치, 스마트 스피커, 스마트 텔레비전, 차량 전자 기기 및 사물 인터넷 전송 회로 등 다양한 적합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먼저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의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고,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진행하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다른 멤버 회로 사이의 데이터 통신 브리지 역할을 한다.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한 후,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어 회로(115)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이어받아,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와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명의를 사칭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를 대신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진행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다른 멤버 회로 사이의 데이터 통신 브리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것을 지시한다.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신호 중계 역할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핸드오버하는 방법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량, 전력 소비량 또는 발열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명의를 사칭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새로운 블루투스 연결을 다시 구축할 필요가 없기에,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의 멤버 회로에 신호 중단이 발생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도 2의 방법을 사용하면,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신호 중계 역할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심리스 핸드오버할 수 있고,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의 동의를 사전에 거칠 필요가 없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에서 현재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멤버 회로(이하 메인 블루투스 회로라고 함)는 적당한 시기에 이어서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할 멤버 회로(이하 보조 블루투스 회로라고 함)를 선택하고, 보조 블루투스 회로로 메인 블루투스 회로를 대신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블루투스 통신을 진행하는 타이밍을 유연하게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도 2의 방법을 사용하면,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복수의 블루투스 회로 사이에서 부하 균형, 전력 소비 균형, 또는 발열 균형 등 관리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기에,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전체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거나, 사용자의 체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정 어셈블리를 지칭하기 위해 명세서 및 출원 특허 범위에서 일부 단어를 사용하였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이한 명사로 동일한 어셈블리를 지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및 출원 특허 범위는 명칭의 차이로 어셈블리를 구분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어셈블리의 기능 상의 차이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하였다. 명세서 및 출원 특허 범위에 언급된 "포함”은 개방식 용어로,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로 해석하여야 한다. 이 밖에, "커플링”이라는 단어는 여기서 임의의 직접적 및 간접적인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문에서 제1 어셈블리가 제2 어셈블리에 커플링된다고 설명되면, 제1 어셈블리가 전기적 연결 또는 무선 전송, 광학 전송 등 신호 연결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제2 어셈블리에 연결되거나, 다른 어셈블리 또는 연결 수단을 통해 제2 어셈블리에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되거나 신호 연결되는 것을 대표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된 "및/또는”의 설명 방식은, 나열된 항목 중의 하나의 항목 또는 복수의 항목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 밖에, 명세서에 따로 특정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단수의 표현은 모두 동시에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따른 균등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100: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multi-member Bluetooth device)
110: 블루투스 회로(Bluetooth circuit)
111: 블루투스 통신 회로(Bluetooth communication circuit)
113: 데이터 전송 회로(data transmission circuit)
115: 제어 회로(control circuit)
117: 판단 회로(determining circuit)
120: 블루투스 회로(Bluetooth circuit)
121: 블루투스 통신 회로(Bluetooth communication circuit)
123: 데이터 전송 회로(data transmission circuit)
125: 제어 회로(control circuit)
127: 판단 회로(determining circuit)
130: 블루투스 회로(Bluetooth circuit)
202 ~ 222: 동작 단계(operation)

Claims (28)

  1.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로서,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 제1 제어 회로(115) 및 제1 판단 회로(117)를 포함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 상기 제1 제어 회로(115)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다른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판단 회로(117)는 상기 제1 제어 회로(115)에 커플링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온도, 또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환경을 평가하도록 구성됨 - ; 및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 제2 데이터 전송 회로(123) 및 제2 제어 회로(125)를 포함하는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 - 상기 제2 제어 회로(125)는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회로(123)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를 통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 회로(115)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회로(123)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125)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지시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가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명의를 사칭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115)는 이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회로(123)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여,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를 통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판단 회로(117)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가 기설정 레벨을 초과하거나,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온도가 기설정 온도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환경이 기설정 조건을 벗어나면, 상기 제1 제어 회로(115)에 통지하여, 상기 제1 제어 회로(115)가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에,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를 대신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것을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지시하도록 하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회로(115)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통신을 진행한 후,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에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를 대신해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것을 지시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량, 전력 소비량 또는 발열량을 줄이거나,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가 자신의 명의로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블루투스 연결을 다시 구축하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신호 중단 상황을 방지하도록 하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가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명의를 사칭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동작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의 동의를 사전에 거칠 필요가 없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4.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로서 -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및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를 포함함 -: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 제1 제어 회로(115) 및 제1 판단 회로(117)를 포함하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 상기 제1 제어 회로(115)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다른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판단 회로(117)는 상기 제1 제어 회로(115) 및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에 커플링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온도, 또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환경을 평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된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의 연산 부하, 온도, 또는 작업 환경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됨 -; 및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 제2 데이터 전송 회로(123) 및 제2 제어 회로(125)를 포함하는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 - 상기 제2 제어 회로(125)는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회로(123)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를 통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 회로(115)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회로(123)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125)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지시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가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명의를 사칭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115)는 이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가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회로(123)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여,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를 통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판단 회로(117)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가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의 연산 부하를 초과하여 기설정 정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온도가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의 온도를 초과하여 기설정 정도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환경이 기설정 조건을 벗어나지만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의 작업 환경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제1 제어 회로(115)에 통지하여, 상기 제1 제어 회로(115)가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에,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를 대신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것을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지시하도록 하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가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명의를 사용하여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면, 상기 제1 제어 회로(115)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직접적인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회로(115)가,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에,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를 대신하여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하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가 사용하는 동기 언어(sync word),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블루투스 주소(Bluetooth address),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논리 전송 주소(logical transport address),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액세스 주소(access address) 및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광고 장치 주소(advertising device address)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는, 피코네트 클럭(piconet clock), 적응형 주파수 도약 맵(AFH map), 링크 키(link key), 암호화 키(encryption key), 앵커 포인트 인스턴트(anchor point instant), 연결 카운터(connection counter), 연결 시간 간격(connection interval), 채널 맵(channel map), 롱텀 키(long term key), 세션 키(session key), 초기화 벡터(initialization vector), 암호화 알고리즘 카운터(CCM counter), 광고 시간 간격(advertising interval) 및 제조업체 특정 타이밍 데이터(vendor specific timing data) 중 적어도 일부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동안,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지 않고,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동안,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지 않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10.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로서,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및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데이터 전송 회로(113);
    제어 회로(115) - 상기 제어 회로(115)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어,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를 통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제어 회로(115)에 커플링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온도, 또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환경을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회로(117)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회로(115)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장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하여,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명의를 사칭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 회로(115)는 이어서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를 통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판단 회로(117)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가 기설정 레벨을 초과하거나,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온도가 기설정 온도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환경이 기설정 조건을 벗어나면, 상기 제어 회로(115)에 통지하여, 상기 제어 회로(115)가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에,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를 대신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것을 상기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지시하도록 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15)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통신을 진행한 후,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에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를 대신해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것을 지시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량, 전력 소비량 또는 발열량을 줄이거나,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가 자신의 명의로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블루투스 연결을 다시 구축하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신호 중단 상황을 방지하도록 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명의를 사칭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동작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의 동의를 사전에 거칠 필요가 없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13.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로서,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및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데이터 전송 회로(113);
    제어 회로(115) - 상기 제어 회로(115)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어,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를 통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간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제어 회로(115) 및 상기 데이터 전송 회로(113)에 커플링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온도, 또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환경을 평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된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의 연산 부하, 온도, 또는 작업 환경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회로(117)
    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 회로(117)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가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의 연산 부하를 초과하여 기설정 정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온도가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의 온도를 초과하여 기설정 정도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환경이 기설정 조건을 벗어나지만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의 작업 환경이 기설정 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제어 회로(115)에 통지하여, 상기 제어 회로(115)가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에, 장치 식별 데이터와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를 대신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것을 상기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지시하도록 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명의를 사용하여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면, 상기 제어 회로(115)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직접적인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115)가,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에,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를 대신해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할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회로(113)를 통해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식별 데이터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가 사용하는 동기 언어,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블루투스 주소,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논리 전송 주소,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액세스 주소 및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광고 장치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는, 피코네트 클럭, 적응형 주파수 도약 맵, 링크 키, 암호화 키, 앵커 포인트 인스턴트, 연결 카운터, 연결 시간 간격, 채널 맵, 롱텀 키, 세션 키, 초기화 벡터, 암호화 알고리즘 카운터, 광고 시간 간격 및 제조업체 특정 타이밍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동안,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지 않고, 상기 보조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는 동안, 상기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지 않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90043163A 2018-04-13 2019-04-12 신호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보조 블루투스 회로 KR102287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7112825A TWI659637B (zh) 2018-04-13 2018-04-13 可避免信號中斷的多成員藍牙裝置以及相關的主藍牙電路與副藍牙電路
TW107112825 2018-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085A KR20190120085A (ko) 2019-10-23
KR102287595B1 true KR102287595B1 (ko) 2021-08-11

Family

ID=6734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163A KR102287595B1 (ko) 2018-04-13 2019-04-12 신호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보조 블루투스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21666B2 (ko)
JP (1) JP6847998B2 (ko)
KR (1) KR102287595B1 (ko)
CN (1) CN110381481B (ko)
TW (1) TWI6596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672A1 (ko) * 2021-11-18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온도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0759B (zh) * 2018-04-13 2022-02-25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用于多成员蓝牙装置中的副蓝牙电路
TWI727899B (zh) * 2019-11-05 2021-05-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可使不同藍牙電路的音訊播放保持同步的多成員藍牙裝置中的主藍牙電路與副藍牙電路
US11405880B2 (en) * 2019-11-05 2022-08-02 Realtek Semiconductor Corp. Main Bluetooth circuit and auxiliary Bluetooth circuit of multi-member Bluetooth device capable of synchronizing audio playback between different Bluetooth circuits
CN111200769B (zh) * 2020-01-08 2022-01-28 昆山泰芯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蓝牙耳机设备的通信方法以及蓝牙耳机设备
TWI789236B (zh) * 2021-02-09 2023-01-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可避免聲音中斷的藍牙通信系統及相關的藍牙設備群
JP7200284B2 (ja) * 2021-03-31 2023-0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CN116133108B (zh) * 2023-02-03 2023-06-23 天津大学 一种低功耗蓝牙通信的数据同步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0010A (ja) * 2003-05-22 2004-1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
CN107894881A (zh) * 2017-10-18 2018-04-10 恒玄科技(上海)有限公司 蓝牙耳机的主从连接切换、通话监听和麦克切换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3502B2 (ja) 2002-03-15 2007-06-20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JP2004015136A (ja) 2002-06-04 2004-01-15 Sharp Corp 通信方法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US8155055B2 (en) 2007-09-14 2012-04-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utomatic re-connection of a previously lost connection in a frequency hopping communication system
US8115609B2 (en) 2008-07-22 2012-02-14 Nissaf Ketari Multi function bluetooth apparatus
US8768252B2 (en) 2010-09-02 2014-07-01 Apple Inc. Un-tethered wireless audio system
US9014633B2 (en) * 2013-03-07 2015-04-21 Kin-Man TSE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switching modes of operation in between electronic devices
KR101490732B1 (ko) * 2013-04-23 2015-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
JP2015180043A (ja) * 2014-02-25 2015-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304833A1 (en) * 2014-04-18 2015-10-22 Laird Technologies, Inc. Bluetooth attribute repeater and aggregator
CN104240346B (zh) * 2014-09-05 2018-06-05 深圳坚朗海贝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移动终端互联的智能防盗锁系统
US20160112825A1 (en) * 2014-10-15 2016-04-21 Qualcomm Incorporated Rendering A Media Stream By Wireless Devices Sharing Device Identifiers And Encryption Keys
US10178494B2 (en) * 2015-01-30 2019-01-08 Cassia Networks Inc. Bluetooth transparent relay
US10164484B2 (en) * 2015-06-08 2018-12-25 Ossia Inc. Techniques for leveraging existing components of a device for wireless power transfer functionality
US10454756B2 (en) 2015-09-25 2019-10-22 Orion Labs Wearable group communication device bypass connectivity
KR20170070615A (ko) * 2015-12-14 2017-06-22 코마테크 주식회사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무선전력전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전력전송방법
CN106296899B (zh) * 2016-08-02 2018-09-11 成都荷码科技有限公司 一种用户账号与智能锁解除绑定的方法
CN106209900B (zh) * 2016-08-02 2019-11-05 成都荷码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锁向中继器注册的方法
CN106535081A (zh) 2016-12-20 2017-03-22 建荣半导体(深圳)有限公司 蓝牙模式切换方法、装置、通信系统及立体声音频传输方法
US10206084B2 (en) 2016-12-27 2019-02-12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Power-efficient, balanced, and reliable true wireless bluetooth stereo audio solution
CN107145330A (zh) * 2017-04-26 2017-09-0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双耳蓝牙耳机的方法和装置
CN107071618A (zh) 2017-04-26 2017-08-1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双耳蓝牙耳机的方法和装置
CN107465537A (zh) * 2017-07-13 2017-12-12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物联网中继器的备份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0010A (ja) * 2003-05-22 2004-1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
CN107894881A (zh) * 2017-10-18 2018-04-10 恒玄科技(上海)有限公司 蓝牙耳机的主从连接切换、通话监听和麦克切换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672A1 (ko) * 2021-11-18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온도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20370A1 (en) 2019-10-17
CN110381481A (zh) 2019-10-25
KR20190120085A (ko) 2019-10-23
US10721666B2 (en) 2020-07-21
JP6847998B2 (ja) 2021-03-24
TWI659637B (zh) 2019-05-11
CN110381481B (zh) 2022-08-30
JP2019186944A (ja) 2019-10-24
TW201944765A (zh) 2019-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595B1 (ko) 신호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보조 블루투스 회로
KR102101761B1 (ko)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블루투스 회로
KR102089891B1 (ko)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의 블루투스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네트워크 및 관련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보조 블루투스 회로
KR102202988B1 (ko)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에 사용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
KR102224417B1 (ko) 신호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US10813020B2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CN110636539B (zh) 配置资源的方法、移动终端、网络侧设备和介质
KR20210040813A (ko) 수신된 패킷의 데이터 유형 변화에 응답하여 동작 모드를 적응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TWI733094B (zh) 可避免信號中斷的多成員藍牙裝置
KR20210040805A (ko)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KR20210040811A (ko) 수신된 패킷의 데이터 유형 변화에 응답하여 동작 모드를 적응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KR20210040807A (ko) 수신된 패킷의 데이터 유형 변화에 응답하여 동작 모드를 적응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된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CN112702724B (zh) 多成员蓝牙装置
KR20210040812A (ko)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된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KR20210040814A (ko)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서브 블루투스 회로
KR20210040806A (ko)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
CN116939732A (zh) 网络切换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