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846B1 -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846B1
KR102286846B1 KR1020170068367A KR20170068367A KR102286846B1 KR 102286846 B1 KR102286846 B1 KR 102286846B1 KR 1020170068367 A KR1020170068367 A KR 1020170068367A KR 20170068367 A KR20170068367 A KR 20170068367A KR 102286846 B1 KR102286846 B1 KR 102286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plate
tank
baffle
tank body
de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1806A (ko
Inventor
임준식
박준영
이태윤
이성원
최승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846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177Fuel tanks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e.g. plastics, or of a combination of non-metallic and metall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4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comprising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in-tank reservoirs or baffles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fuel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탱크 내부에 배플을 조립함에 있어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배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탱크 본체에 조립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와 일체로 결합되고, 변형된 상태로 상기 탱크 본체에 마련된 펌프모듈 결합홀을 통과하여 상기 탱크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배플 플레이트; 및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단부를 수용하여 변형된 형상을 유지시키는 고정 캡;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 본체 내부에 배치된 후 상기 고정 캡을 제거함에 따라 배플 플레이트의 복원력에 의한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한 배플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Baffle assembly of tank}
본 발명은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 내부에 배플을 조립함에 있어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배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 내에 담긴 유체(액상 물질)가 용기의 움직임에 따라 유동하여 출렁거리거나 또는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슬로싱(sloshing)이라고 표현하는데, 많은 기술 분야에서 이러한 슬로싱 현상이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LNG 이송 선박이나 탱커와 같은 액상 화물을 이송하는 선박과 탱크롤리와 같은 차량에서 슬로싱은 이들 이송수단의 운행 안전과 관련하여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회전하거나 감속, 가속하여 일상적으로 속도 변화가 발생하는 차량에서 탱크 내의 연료도 관성에 의해 연료탱크의 일측으로 쏠리면서 탱크 벽체와 부딪쳐 진동, 소음을 유발할 수 있고, 탱크 및 그 주변 고정구조의 내구성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연비까지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량 슬로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탱크 내에 연료의 이동을 억제하는 구조물인 배플을 설치하는 경우가 통상적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배플은 탱크 내에 조립 시 탱크 내에 배플을 삽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펌프모듈 결합홀의 직경이 작아 배플의 크기나 배치 구조에 제약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86085호(2009.02.20.)
본 발명의 목적은, 배플의 고정을 위한 체결부재 및 유동음 발생을 억제하는 배플 플레이트를 일체로 조립하고, 배플 플레이트를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게 제작하며, 배플 플레이트를 롤링된 상태로 탱크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 및 조립하여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게 함으로써, 배플의 배치가 쉽고, 조립이 용이하여 배플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는, 탱크 본체에 조립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와 일체로 결합되고, 변형된 상태로 상기 탱크 본체에 마련된 펌프모듈 결합홀을 통과하여 상기 탱크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배플 플레이트; 및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단부를 수용하여 변형된 형상을 유지시키는 고정 캡;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 본체 내부에 배치된 후 상기 고정 캡을 제거함에 따라 배플 플레이트의 복원력에 의한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캡은, 롤링 또는 폴딩된 상태로 변형된 배플 플레이트의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배플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제거됨으로써 상기 롤링 또는 폴딩된 상태로 변형된 배플 플레이트가 복원력에 의한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기 펌프모듈 결합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롤링되어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 계열의 박막형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기 체결부재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에 의하면, 배플의 고정을 위한 체결부재 및 유동음 발생을 억제하는 배플 플레이트를 일체로 조립하고, 배플 플레이트를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게 제작하며, 배플 플레이트를 롤링된 상태로 탱크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 및 조립하여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게 함으로써, 배플의 배치가 쉽고, 조립이 용이하여 배플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위치에 배플을 배치할 수 있어 유동음 개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 캡의 제거 만으로 용이하게 배플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공수를 절약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에 대한 롤링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에 대한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에 대한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에 대한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에 대한 탱크 본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에 대한 롤링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에 대한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에 대한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에 대한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에 대한 탱크 본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플 어셈블리가 적용될 수 있는 탱크는 차량의 요소수 탱크가 될 수 있고, 요소수 탱크 외에도 연료 탱크가 될 수도 있으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에서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라면 본 발명에 따른 배플 어셈블리의 적용이 가능하고, 본 발명에서 탱크의 종류에 대해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는 체결부재(100), 배플 플레이트(200) 및 고정 캡(300)을 포함한다.
먼저, 체결부재(100)는 탱크 본체(10)에 조립된다.
종래 체결부재의 경우 탱크 본체(10)의 사출 성형 시 배플 플레이트(200)가 결합될 위치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체결부재가 미리 형성되게 되면, 배플 플레이트(200)의 위치가 한정적일 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배플 플레이트(200)를 설치함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따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00)는 탱크 본체(10)가 사출 성형된 이후 필요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배플 플레이트(200)의 배치에 따른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200)는 탱크 본체(10)의 내부에서 결합부재(110)에 조립되어 체결부재(100)와 일체로 결합된다.
배플 플레이트(200)는 롤링 또는 폴딩된 상태로 탱크 본체(10)에 마련된 펌프모듈 결합홀(H)을 통과하여 탱크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며, 탱크 본체(10)의 내부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질 수 있게 형성된다.
즉, 일반적으로 탱크 본체(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성형 시 펌프모듈과의 연결을 위한 펌프모듈 결합홀(H)이 형성되게 되며, 이러한 펌프모듈 결합홀(H)은 상기와 같은 펌프모듈과의 연결을 위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배플 플레이트(200)가 통과하여 탱크 본체(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펌프모듈 결합홀(H)은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배플 플레이트(200)의 크기 및 구조가 펌프모듈 결합홀(H) 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탱크 본체(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므로, 크기 및 형상에 따른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복수개의 배플 플레이트(200)를 펌프모듈 결합홀(H)을 통해 투입하여 탱크 본체(10)의 내부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크기 및 형상의 제약 뿐만 아니라, 배플 조립에 따른 어려움이 발생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플 플레이트(200)는 펌프모듈 결합홀(H)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롤링 또는 폴딩 등과 같은 방법으로 변형시킨 후 펌프모듈 결합홀(H)을 통해 탱크 본체(10)의 내부로 인입시켜 체결부제(100)와 일체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크기 및 형상에 따른 제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플 플레이트(200)는 탱크 본체(10)의 내부에서 초기 상태로 변형, 즉 롤링이나 폴딩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변형된 상태에서 펼쳐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비하여 배플 설치에 따른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속/감속 시 유체가 탱크 본체(10)의 내벽을 타격하거나, 유체끼리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 즉 유동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배플 플레이트(200)는 상기와 같이 자유롭게 롤링 또는 폴딩된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사진 필름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 계열의 박막형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플 플레이트(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00)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탱크 본체(10)의 내부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배플 플레이트(200)는 체결부재(100)가 탱크 본체(10) 사출 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체결부재(100)의 조립을 통해 설치가 어려운 공간에 배플 플레이트(2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배플 플레이트(200) 설치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서브 배플로서도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고정 캡(300)은 롤링 또는 폴딩 등의 형태로 변형된 배플 플레이트(200)의 단부를 수용하여 변형된 상태의 배플 플레이트(200)의 형상을 유지 및 고정시킨다.
고정 캡(300)은 변형된 상태의 배플 플레이트(200)의 단부에 결합되어 배플 플레이트의 변형된 형상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탱크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되기 직전에 배플 플레이트(200)의 단부에서 제거되어 배플 플레이트(200)가 탱크 본체(10)의 내부에서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즉, 고정 캡(300)은 롤링 또는 폴딩된 상태인 배플 플레이트(200)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결합되고, 이후 탱크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되기 직전에 작업자에 의해 제거되는바, 그에 따라 배플 플레이트(200)의 설치 이전에는 롤링 또는 폴딩 등의 변형된 상태를 유지시켜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 직전에는 배플 플레이트(200)의 단부에서 제거되어 탱크 본체(10)의 내부에서 배플 플레이트(200)가 펼쳐지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정 캡(300)은 상기와 같은 선택적인 제거의 역할을 통해 배플 플레이트(200)의 보관, 형상 유지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배플의 고정을 위한 체결부재와 유동음 발생을 억제하는 배플 플레이트를 일체로 조립하고, 배플 플레이트를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게 제작하며, 배플 플레이트를 롤링된 상태로 탱크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 및 조립하여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게 함으로써, 배플의 배치가 쉽고, 조립이 용이하여 배플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위치에 배플을 배치할 수 있어 유동음 개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 캡의 제거 만으로 용이하게 배플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공수를 절약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탱크 본체 100 : 체결부재
110 : 결합부재 200 : 배플 플레이트
300 : 고정 캡 H : 펌프모듈 결합홀

Claims (5)

  1. 탱크 본체에 조립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와 일체로 결합되고, 변형된 상태로 상기 탱크 본체에 마련된 펌프모듈 결합홀을 통과하여 상기 탱크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배플 플레이트; 및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단부를 수용하여 배플 플레이트의 변형된 형상을 유지시키는 고정 캡;을 포함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탱크 본체 내부에 배치된 후 상기 고정 캡이 제거됨에 따라 복원력에 의한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캡은,
    롤링 또는 폴딩된 상태로 변형된 배플 플레이트의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배플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제거됨으로써 상기 롤링 또는 폴딩된 상태로 변형된 배플 플레이트가 복원력에 의한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기 펌프모듈 결합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롤링되어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 계열의 박막형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기 체결부재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
KR1020170068367A 2017-06-01 2017-06-01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 KR102286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367A KR102286846B1 (ko) 2017-06-01 2017-06-01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367A KR102286846B1 (ko) 2017-06-01 2017-06-01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806A KR20180131806A (ko) 2018-12-11
KR102286846B1 true KR102286846B1 (ko) 2021-08-05

Family

ID=6467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367A KR102286846B1 (ko) 2017-06-01 2017-06-01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21019315A2 (tr) * 2021-12-07 2021-12-21 Doenmez Oto Yedekleri Sanayi Ve Ticaret Ltd Sirketi Kanatlı dalgakırana sahip yakıt deposu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446A (ja) 2005-01-27 2006-08-10 Toyota Motor Corp 燃料タンク内のセパレータ構造
US20150352945A1 (en) 2012-09-18 2015-12-10 Aeromotive, Inc. Compressible baffle for a fuel tank
JP2016190550A (ja) 2015-03-31 2016-11-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樹脂製燃料タンクのバッフル設置方法及びバッフルが内部に設けられた樹脂製燃料タン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5693Y2 (ja) * 1979-12-13 1984-07-27 マツダ株式会社 プラステイツク製燃料タンクのバッフルプレ−トの取付け構造
KR20090010375A (ko) * 2007-07-23 2009-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 소음저감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86085B1 (ko) 2007-09-11 2009-02-26 주식회사 동희산업 연료탱크의 배플 플레이트
KR101067169B1 (ko) * 2010-01-06 2011-09-22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연료탱크의 배플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446A (ja) 2005-01-27 2006-08-10 Toyota Motor Corp 燃料タンク内のセパレータ構造
US20150352945A1 (en) 2012-09-18 2015-12-10 Aeromotive, Inc. Compressible baffle for a fuel tank
JP2016190550A (ja) 2015-03-31 2016-11-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樹脂製燃料タンクのバッフル設置方法及びバッフルが内部に設けられた樹脂製燃料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806A (ko)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0508B2 (en) Fuel filling device
EP2837519B1 (en) Vehicle fuel tank
US9493068B2 (en) Fuel tank baffle
WO2017141596A1 (ja) 燃料供給装置
US9644583B2 (en) Fuel pipe protective structure
WO2017163752A1 (ja) 燃料供給装置
KR102286846B1 (ko) 탱크의 배플 어셈블리
US9776578B2 (en) Clip and pillar garnish fixing structure
JP2017145802A (ja) 燃料タンク用蓋部材
JP6140635B2 (ja) 燃料供給系
CN203892074U (zh) 车载加油油气回收系统及包含该系统的汽车
CN109703356B (zh) 燃料罐
JP2009090706A (ja) 車両の収納装置
JP4673915B2 (ja) 燃料タンクの波消し構造
JP6848535B2 (ja) 車体構造
JP6641695B2 (ja) 燃料電池車
JP6559594B2 (ja) 燃料供給装置
CN104724179A (zh) 用于车辆的前罩板横向构件安装组合
JP6868886B2 (ja) 燃料タンク
CN108725183B (zh) 车辆用燃料配管保护结构
KR102621556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강성 보강 장치
JP2007331486A (ja) 輸送用液体タンクのスロッシング制御装置
JP5516886B2 (ja) 車両搭載タンク
JP2010138866A (ja) サージタンクの移動抑制構造
JP2021006459A (ja) 燃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