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362B1 - 화장실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362B1
KR102286362B1 KR1020200097117A KR20200097117A KR102286362B1 KR 102286362 B1 KR102286362 B1 KR 102286362B1 KR 1020200097117 A KR1020200097117 A KR 1020200097117A KR 20200097117 A KR20200097117 A KR 20200097117A KR 102286362 B1 KR102286362 B1 KR 10228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toilet
drain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심
도형균
Original Assignee
박현심
도형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심, 도형균 filed Critical 박현심
Priority to KR1020200097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바닥을 세척하여 화장실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 가능한 화장실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설치되어 상측에 위치된 대상을 지지하며 유입되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배수부; 세척물질을 방출하여 배수부를 세척하는 세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장실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실 세척장치{Toilet cleaners}
본 발명은 화장실 바닥을 세척하여 화장실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 가능한 화장실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급수관이 내장되는 관체수납부; 수도꼭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복수개의 분사홀로 분출시키는 노즐; 화장실 바닥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구가 구비된 배수로; 배수로측이 더 낮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갖는 수납공간이 설치되어 화장실 바닥으로 떨어지는 물이 상기 경사면을 통해 배수로 배수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 내측면에 다수개의 블록들이 차례로 조립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안치되는 고정프레임; 몸체의 내측 수용부에 냄새제거 및 탈취기능을 갖는 활성탄이 조각들이 가득 충진되고, 폭방향으로 조립되는 몸체는 모두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되 전후 방향으로 조립되는 블록들은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되며, 고정프레임의 내측으로 조립되는 몸체의 그 상면부는 모두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단위블록; 화장실의 한쪽 벽면에 부설되는 수도꼭지에 길게 연결되는 고무호스; 상기 고무호스를 연결하기 위해 급수관에 직교되게 나사 결합되는 연결관; 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화장실에 설치되는 바닥 세척 구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리턴스프링을 틸팅브래킷과 코너브래킷 사이에 힘의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틸팅브래킷의 각도조정을 위한 틸팅레버를 틸팅브래킷의 상단에 설치하며, 상기 호스를 안내하기 위한 원호형의 호스안내홈을 코너브래킷의 하단 중앙에 형성하고, 결속선에 의해 호스를 호스안내홈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구멍이 형성되는 코너브래킷; 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화장실 바닥 세척시설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격리벽으로 나누고 이 격리벽의 하부에 회전가능한 회전벽을 설치하며 이 회전벽의 양측에 한 쌍의 변기를 대칭으로 설치하고, 사용된 변기는 회전벽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여 벽 반대편에 준비된 세척실에서 세척기와 열풍건조기에 의해 세척 및 건조되며, 세척실에서 이미 세척된 변기는 반대편의 화장실부로 회전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변기세척 시간을 기다릴 필요가 없고, 바닥의 세척방법은 힌지를 이용하여 한쪽을 고정시키고 반대편을 실린더로 상승시켜 경사를 만들어 자연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인 자동세척 공중화장실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화장실의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화장실의 내벽에 설치되어 있는 변기와 레이다센서 등으로 사용자의 퇴실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전체바닥면이 컨베이어벨트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퇴실이 감지되면 모터의 동력에 의해서 컨베이어벨트가 한바퀴 정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전방하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 세척액이 분사됨과 동시에 브러쉬롤러의 회전에 의해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되고, 제거된 이물질은 스크류 컨베이어축의 외주면을 따라 브러쉬가 나선형으로 식재된 브러쉬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분리형 쓰레기통으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는 세척부; 를 포함하는 바닥 자동청소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0620800 B1 (2006년09월07일) KR 10-1239695 B1 (2013년03월06일) KR 10-2001-0077555 A1 (2001년08월20일) KR 20-0414630 Y1 (2006년04월21일)
본 발명은 화장실 바닥을 세척하여 화장실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 가능한 화장실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장식 세척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바닥에 설치되어 상측에 위치된 대상을 지지하며 유입되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배수부(100); 세척물질을 방출하여 화장실 바닥과 상기 배수부(1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세척하는 세척부(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화장식 세척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배수부(100)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상기 세척부(200)가 수납되는 사이드 플레이트(300); 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화장식 세척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배수부(100)를 건조시키는 건조부(400); 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화장식 세척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배수부(100)와 바닥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를 격리하는 차단부(500); 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화장식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화장실 세척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세척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 모듈(600); 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화장실 바닥을 세척하는 화장실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에 설치되어 상측에 위치된 대상을 지지하며 유입되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배수부(100); 세척물질을 방출하여 화장실 바닥과 상기 배수부(1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세척하는 세척부(200); 상기 세척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 모듈(600); 상기 배수부(100)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수 단위체(100A)가 모여 이루어지는 것; 각각의 상기 배수 단위체(100A)는 서로 결합되는 체결부(101A); 상기 작동조절 모듈(600)은 사용자의 소변기 사용 유무 파악에 사용되는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정보 획득부(610);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610)에서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세척부(200) 작동 시점을 결정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610)에서 획득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소변기가 사용되는 횟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소변기 사용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세척부(200)의 작동 시점을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장실 바닥을 세척하는 화장실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에 설치되어 상측에 위치된 대상을 지지하며 유입되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배수부(100); 세척물질을 방출하여 화장실 바닥과 상기 배수부(1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세척하는 세척부(200); 상기 세척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 모듈(600); 상기 배수부(100)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수 단위체(100A)가 모여 이루어지는 것; 각각의 상기 배수 단위체(100A)는 서로 결합되는 체결부(101A); 상기 작동조절 모듈(600)은 사용자의 소변기 사용 유무 파악에 사용되는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정보 획득부(610);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610)에서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세척부(200) 작동 시점을 결정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610)에서 획득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소변기가 사용되는 횟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소변기 사용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세척부(200)의 작동 시점을 결정하는 것; 상기 배수부(100)와 바닥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를 격리하는 차단부(500); 상기 배수부(100)는 두께 방향으로 복수개의 공극이 형성되는 배수 플레이트(110), 상기 배수 플레이트(110)의 두께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돌기부(120); 상기 돌기부(120)는 상기 배수 플레이트(110) 상에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 단위체(120A); 상기 돌기 단위체(120A)는 상기 배수 플레이트(110)와 연결되는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배수 플레이트(110)와의 연결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는 경사부(121A); 상기 차단부(500)는 화장실의 소변기가 위치되는 일측에서 화장실의 배수구(L)가 위치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 구조를 가지는 것; 상기 차단부(500)는 화장실의 소변기가 위치되는 일측에서 화장실의 배수구(L)가 위치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51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장실의 바닥을 세척 가능하므로, 화장실 바닥에 소변과 같은 오물이 위치되며 나타나는 악취, 세균의 번식 등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배수부가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어 화장실 이용자의 발이 화장실 바닥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므로, 화장실 바닥이 젖어있을 경우 이용자가 발이 젖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소변에 의해 쉽게 오염될 수 있는 특정 영역을 집중적으로 세척 가능하므로, 세척 효과를 극대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소변기 사용 유무, 소변기 사용 빈도를 기반으로 세척 시기를 결정하므로, 세척이 빈번하게 진행될 경우 낭비되는 세척 물질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소변기가 사용되지 않는 시간 및 상황에서만 세척을 진행하므로, 이용자가 소변기를 사용하는 시점에 세척이 진행될 경우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를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화장실에 설치된 화장실 세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돌기부를 구성하는 돌기 단위체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배수 단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체결부를 통하여 배수 단위체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세척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8은 배수부에 세척물질 이송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사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된 화장실 세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사이드 플레이트 상에 수납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연통부재를 통한 사이드 플레이트 단위체의 결합을 나타낸 개념도.
도 12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화장실 세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차단부에 의해 배수부와 세척부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14는 작동조절 모듈을 포함하는 화장실 세척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바닥에 설치되어 상측에 위치된 대상을 지지하며 유입되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배수부(100); 세척물질을 방출하여 화장식 바닥과 상기 배수부(1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세척하는 세척부(200); 를 포함한다.
화장실은 노폐물이 배출되는 배설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노폐물을 보다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노폐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일부 노폐물이 외부로 누출되어 악취를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공용 화장실의 경우 소변기 외부로 누출된 소변이 악취를 유발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세척부(200)가 세척물질을 방출하여, 화장실 바닥에 고이거나 부착된 소변을 화장실의 배수구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화장실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배수부(100)를 이용하여 화장실 바닥과 화장실 이용자의 발을 격리할 수 있으므로, 화장실 이용자가 소변을 제거한 후 남아있는 세척물질에 의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세척부(200)는 물과 같은 액상의 세척물질을 방출하여 배수부(100)와 화장실 바닥 묻어있는 소변을 배수구로 이동시킨다. 이때, 세척물질이 화장실 바닥에 고여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배수부(100)로 발을 지지하여 잔여 세척물질이 화장실 이용자의 발에 묻지 않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1-2)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00)는 두께 방향으로 복수개의 공극이 형성되는 배수 플레이트(110); 상기 배수 플레이트(110)의 두께방향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한측 이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돌기부(1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20)는 상기 배수 플레이트(110) 상에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 단위체(120A); 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돌기 단위체(120A)는 상기 상부면이 볼록한 형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돌기 단위체(120A)는 상기 배수 플레이트(110)와 연결되는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경사부(121A); 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부(100)는 상기 세척부(200)에서 방출되는 세척물질이 소변과 함께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표면에 유로를 형성하는 돌기부(120)가 형성되며, 돌기부(120)는 복수개의 돌기 단위체(120A)가 모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배수부(100)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 단위체(120A) 사이에 형성된 빈 틈이 세척물질과 소변이 함께 이동하는 유로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기 단위체(120A)는 표면에 소변 등의 노폐물 또는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배수 플레이트(110)와 연결되는 가장자리에 경사부(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측 단부가 평평하거나 오목한 형상을 가지거나, 돌기 단위체(120A)와 배수 플레이트(110)의 연결부가 수직을 형성할 경우, 상측 단부와 연결부에 소변이 고이게 되며, 고인 소변의 경우 말라붙어 악취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변이 고이기 쉬운 돌기 단위체(120A) 상부면 및 배수 플레이트(110)와 돌기 단위체(120A)의 연결부가 일정 이상의 경사를 가지게 하여, 소변이 고이지 않고 흘러내릴 수 있게 한 것이다.
(실시예 1-6)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00)는 표면에 형성되는 발수코팅층(101); 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부(100)는 소변 및 세척물질과 직접 접하는 곳으로, 표면에 액체가 부착되거나 흡착되는 성질을 가질 경우 상기 세척부(200)를 이용한 세척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표면에 상기 발수코팅층(101)을 형성하여 소변과 세척물질이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발수코팅층(101)은 부착되는 수분이 퍼지지 않고 응집되어 표면과 일정 이상의 각도를 형성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실리카 혼합물일 수 있다.
(실시예 1-7)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00)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수 단위체(100A)가 모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1-7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배수 단위체(100A)는 서로 결합되는 체결부(101A); 를 포함한다.
(실시예 1-9)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1-8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배수 단위체(100A) 상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체결부(101A)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02A); 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부(100)는 설치되는 바닥의 면적에 대응하여 넓이가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어야 하므로, 복수개의 배수 단위체(100A)가 서로 조립되어 설치되는 대상의 면적 및 형상에 적합한 배수부(100)를 형성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부(101A)는 상기 배수 단위체(100A)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 돌기부(101A-1), 상기 배수 단위체(100A)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상기 체결 돌기부(101A-1)가 끼워지는 홀(h)이 천공된 체결 립(101A-2)을 포함하는 제1 타입(TYPE1), 상기 배수 단위체(100A)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체결 립(101A-4) 이격 형성되며 체결 립(101A-4) 사이에 체결 립(101A-4)이 끼워지는 체결 홀(101A-3)이 형성되는 제2 타입(TYPE2), 상기 배수 단위체(100A)의 가장자리에 체결 홈(101A-5)이 형성되며, 한 쌍의 체결 홈(101A-5)이 연결부재(102A)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3 타입(TYPE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타입의 경우 배수 단위체(100A) 가장자리에 형성된 2개 이상의 변에 상기 체결 돌기부(101A-1)가 형성되고, 다른 2개 이상의 변에 상기 체결 립(101A-2)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배수 단위체(100A)에 형성된 상기 체결 립(101A-2)의 홀(h)에 다른 배수 단위체(100A) 상에 형성된 체결 돌기부(101A-1)를 끼워 넣으면, 서로 다른 배수 단위체(100A)가 결합되며 배수부(10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타입의 경우 체결 립(101A-4)이 배수 단위체(100A)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체결 립(101A-4)에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의 체결 홀(101A-3)을 형성하므로, 서로 다른 배수 단위체(100A)의 체결 홀(101A-3)에 체결 립(101A-4) 삽입 시, 서로 다른 배수 단위체(100A)가 결합되어 배수부(100)를 형성하며, 체결 홀(101A-3)과 체결 립(101A-4)이 모두 같은 형상을 가지므로 바닥 형상에 대응하여 배수 단위체(100A) 결합 형태를 어긋나게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제3 타입의 경우 배수 단위체(100A)의 상면 또는 하면 가장자리에 상기 체결 홈(101A-5)이 연장 형성되어, 두 개의 배수 단위체(100A)를 서로 밀착 시 체결 홈(101A-5)이 동일한 방향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므로, 상기 연결부재(102A)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삽입 돌기(102A-1)를 상기 체결 홈(101A-5)에 끼워, 서로 인접한 배수 단위체(100A)가 연결되며 배수부(100)를 형성 가능하게 한 것이다.
(실시예 1-10)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200)는 세척물질이 이송되는 세척물질 이송부(210); 상기 세척물질 이송부(210)를 통하여 이송된 세척물질이 방출되는 세척물질 방출부(2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11)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1-10에 있어서,
상기 세척물질 이송부(210)를 통하여 이송되는 세척물질이 보관되는 세척물질 보관부(230); 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부(200)는 세척물질이 분사되어 배수부(100)와 화장식 바닥에 묻어있는 소변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세척물질 보관부(230)에 보관되는 세척물질이 상기 세척물질 이송부(210)를 통하여 이송된 후, 상기 세척물질 방출부(220)를 통하여 방출된다.
이때, 상기 세척물질 보관부(230)에 보관되는 세척물질은 물, 소독제, 방향제 중 어느 한 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물의 경우 수도관을 통해 직접 공급받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물, 소독제, 방향제의 경우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 배출되어 배수부(100)와 화장실 바닥을 보다 깨끗하게 세척 가능하다.
또한, 세척물질 이송부(210)의 경우 내부에 세척물질이 이송하는 통로가 형성된 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척물질 방출부(220)는 세척물질 이송부(210)에 결합되는 노즐과 세척물질 방출부(220) 상에 형성된 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척물질 이송부(210)의 경우 상기 돌기 단위체(120A)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으나, 상기 세척물질 방출부(220)에서 세척물질 방출 시 발생하는 수압에 의해 세척물질 이송부(210)가 지정된 위치에서 움직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세척물질 이송부(210)의 직경(H1)이 돌기 단위체(120A) 사이의 이격거리(H2) 이하로 형성되어, 돌기 단위체(120A) 사이에 세척물질 이송부(210)가 끼워져 고정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화장실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00)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상기 세척부(200)가 수납되는 사이드 플레이트(3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00)는 상기 배수부(100)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플레이트 몸체(310); 상기 플레이트 몸체(31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세척부(200)가 위치되는 수납부(320); 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00)는 상기 배수부(100)의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배수부(100)가 지정된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00)는 상기 세척물질 이송부(210)가 수용되는 수납부(320)가 형성되어, 내측에 위치된 배수부(100)와 화장실 바닥을 청소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수부(100) 상에 상기 세척물질 이송부(210)를 위치시킬 경우, 세척물질 이송부(210)가 화장실 이용자의 발에 밟혀 쉽게 파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세척물질 이송부(210)를 사이드 플레이트(300) 상에 수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2-3)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320)는 상기 세척부(200)가 삽입되는 삽입통로(321); 상기 삽입통로(321)를 통하여 삽입된 상기 세척부(200)과 보관되는 수납홈(322); 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320)는 상기 수납홈(322)에 수납된 상기 세척부(200)에서 배출되는 세척물질이 통과하는 배출통로(323); 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부(320)는 상기 배수부(100)와 마주보는 내측에 수납홈(322)이 형성되는 제1 형태, 수납홈(322)보다 직경이 작은 삽입통로(321)가 형성되어 삽입된 세척물질 이송부(210)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제2 형태, 세척물질이 방출되거나 세척물질 방출부(220)가 위치되는 배출통로(323)를 포함하는 제3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납홈(322)의 단면 형상은 삼각, 사각, 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5)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00)는 상기 배수부(100)가 끼워지는 단차부(340); 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00)는 상기 배수부(100)의 가장자리가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 하면에 배수부(100)가 끼워지는 단차부(3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부(340) 형성 시 상기 수납부(320)는 단차진 사이드 플레이트(300)의 하측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6)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00)는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배수부(100)의 가장자리 각각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사이드 플레이트 단위체(300A)가 모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2-6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단위체(300A) 상에 형성된 상기 수납부(320)를 연통하는 연통부재(330); 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300) 는 이동, 제작, 보관을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사이드 플레이트 단위체(300A)가 조립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사이드 플레이트 단위체(300A)는 연통부재(330)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사이드 플레이트 단위체(300A)는 내부에 상기 수납부(32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므로, 굴곡관 형상의 상기 연통부재(330) 양측 단부를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단위체(300A) 상에 형성된 각각의 수납부(320) 상에 삽입하여, 사이드 플레이트 단위체(300A)를 서로 연결하여 준 것이다.
이때, 상기 연통부재(33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관 형상을 가지므로, 연통부재(330)를 이용하여 사이드 플레이트 단위체(300A)를 연결할 경우 각각의 사이드 플레이트 단위체(300A) 상에 형성된 수납부(320)가 서로 연결되어, 세척물질 이송부(210)의 삽입이 용이함은 물론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화장실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00)를 건조시키는 건조부(4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400)는 열풍 생성부(410); 상기 열풍 생성부(410)의 작동을 조절하는 열풍 작동 조절부(4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열풍 생성부(410)는 공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송풍부(411); 상기 송풍부(411)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부(412); 상기 히팅부(412)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히팅공기 배출부(413); 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400)는 바닥의 건조 상태를 파악하는 건조상태 파악부(430); 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부(200)를 이용하여 화장실 바닥을 세척 시, 세척물질이 배수부(100)와 화장실 바닥에 남게 되며, 이러한 세척물질은 증발하며 화장실을 습하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건조부(400)로 배수부(100)와 화장실 바닥에 남아있는 세척물질을 증발시켜 준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400) 상시 작동 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열풍 작동 조절부(420)를 이용하여 열풍을 방출하는 열풍 생성부(410)의 작동 시점을 조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열풍 생성부(4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열풍을 생성 가능하며, 일 실시예로는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상기 송풍부(411)에서 공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히팅부(412)에서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일정온도 이상으로 만들어준 후, 상기 히팅공기 배출부(413)를 통하여 방출시키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열풍 작동 조절부(420)가 상기 열풍 생성부(410)를 작동시키는 시점은, 일발적으로 상기 세척부(200)가 작동된 이후일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상기 건조상태 파악부(430)에서 측정되는 습도가 일정 이상일 경우 열풍 생성부(410)를 작동시켜 화장실을 보다 쾌적한 상태로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화장실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00)와 바닥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를 격리하는 차단부(5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500)는 화장실의 소변기가 위치되는 일측에서 화장실의 배수구(L)가 위치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 구조를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500)는 화장실의 소변기가 위치되는 일측에서 화장실의 배수구(L)가 위치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510); 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500)는 소변과 상기 세척부(200)에서 방출되는 세척물질이 화장실 바닥과 직접 접하는 것을 제한하여, 소변과 세척물질에 의해 바닥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화장실 바닥은 배수구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지만, 잘못된 시공으로 인하여 바닥 경사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 소변과 세척물질이 특정 영역에 고일 수 있으므로, 상기 차단부(500)의 상면이 배수구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를 형성하여, 잘못된 시공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단부(50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홈(510)이 배수구가 위치되는 특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소변과 세척물질의 이동 방향이 배수구를 향하도록 가이드 가능하므로, 소변과 세척물질의 배출이 최적화된 경로로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5의 화장실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화장실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기 세척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 모듈(600); 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부(200)를 통한 화장실의 세척이 빈번히 이루어질 경우 세척물질과 에너지가 낭비되고, 화장실 이용자가 소변기를 사용하는 시점에 화장실 세척이 진행될 경우 이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작동조절 모듈(600)을 통하여 화장실의 세척이 적합한 시점에 최적화된 회수만큼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실시예 5-2)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절 모듈(600)은 사용자의 소변기 사용 유무 파악에 사용되는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정보 획득부(610);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610)에서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작동조절 모듈(600) 작동 시점을 결정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 시스템은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610)는 소변기(A)에 내장된 적외선 센서(611); 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610)는 상기 배수부(100) 상부에 위치된 사용자의 무게 정보를 획득하는 하중 감지 센서(612); 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610)에서 획득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소변기가 사용되는 횟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소변기 사용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세척부(200)의 작동 시점을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부(200)의 작동 횟수와 작동 시점 최적화를 위하여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610)를 통한 소변기 사용 횟수 정보 획득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어부는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소변기의 사용 횟수가 저장되어 있는 횟수 이상일 경우 세척부(200)를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소변기 사용 중 세척을 진행할 경우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소변기를 사용중인 것이 감지될 경우 세척부(200)의 작동을 소변기가 사용되지 않는 시점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610)는 소변기(A)에 내장된 적외선 센서(611), 상기 배수부(100) 상에 설치된 하중 감지 센서(61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사람을 인식 가능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5-6) 본 발명인 화장실 세척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절 모듈(600)은 상기 지정된 시간에 상기 세척부(200)를 작동시키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조절 모듈(600)을 통한 상기 세척부(200)의 작동은 사용자의 화장실 이용이 적은 새벽에 이루어지는 것이 권장되므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세척부(200)와 연동되어 세척부(200)의 작동이 화장실 사용이 최소화되는 새벽 시간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00 : 배수부 100A : 배수 단위체
101 : 발수코팅층 101A : 체결부
102A : 연결부재 110 : 배수 플레이트
120 : 돌기부 120A : 돌기 단위체
121A : 경사부
200 : 세척부 210 : 세척물질 이송부
220 : 세척물질 방출부 230 : 세척물질 보관부
300 : 사이드 플레이트 300A : 사이드 플레이트 단위체
310 : 플레이트 몸체 320 : 수납부
321 : 삽입통로 322 : 수납홈
323 : 배출통로 330 : 연통부재
340 : 단차부
400 : 건조부 410 : 열풍 생성부
411 : 송풍부 412 : 히팅부
413 : 히팅공기 배출부 420 : 열풍 작동 조절부
430 : 건조상태 파악부
500 : 차단부 510 : 가이드 홈
600 : 작동조절 모듈 610 : 사용정보 획득부
611 : 적외선 센서 612 : 하중 감지 센서

Claims (5)

  1. 화장실 바닥을 세척하는 화장실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에 설치되어 상측에 위치된 대상을 지지하며 유입되는 유체를 통과시키는 배수부(100);
    세척물질을 방출하여 화장실 바닥과 상기 배수부(1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세척하는 세척부(200);
    상기 세척부(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 모듈(600);
    상기 배수부(100)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수 단위체(100A)가 모여 이루어지는 것;
    각각의 상기 배수 단위체(100A)는 서로 결합되는 체결부(101A);
    상기 작동조절 모듈(600)은 사용자의 소변기 사용 유무 파악에 사용되는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정보 획득부(610);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610)에서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세척부(200) 작동 시점을 결정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사용정보 획득부(610)에서 획득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소변기가 사용되는 횟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소변기 사용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세척부(200)의 작동 시점을 결정하는 것;
    상기 배수부(100)와 바닥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를 격리하는 차단부(500);
    상기 배수부(100)는 두께 방향으로 복수개의 공극이 형성되는 배수 플레이트(110), 상기 배수 플레이트(110)의 두께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돌기부(120);
    상기 돌기부(120)는 상기 배수 플레이트(110) 상에 서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 단위체(120A);
    상기 돌기 단위체(120A)는 상기 배수 플레이트(110)와 연결되는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배수 플레이트(110)와의 연결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는 경사부(121A);
    상기 차단부(500)는 화장실의 소변기가 위치되는 일측에서 화장실의 배수구(L)가 위치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 구조를 가지는 것;
    상기 차단부(500)는 화장실의 소변기가 위치되는 일측에서 화장실의 배수구(L)가 위치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510); 을 포함하는 화장실 세척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00)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상기 세척부(200)가 수납되는 사이드 플레이트(300); 를 포함하는 화장실 세척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00)를 건조시키는 건조부(400); 를 포함하는 화장실 세척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97117A 2020-08-04 2020-08-04 화장실 세척장치 KR102286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17A KR102286362B1 (ko) 2020-08-04 2020-08-04 화장실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17A KR102286362B1 (ko) 2020-08-04 2020-08-04 화장실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362B1 true KR102286362B1 (ko) 2021-08-05

Family

ID=7731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117A KR102286362B1 (ko) 2020-08-04 2020-08-04 화장실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7502B1 (ja) 2022-06-17 2022-10-20 裕士 平山 床装置及び床装置の駆動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273U (ja) * 1991-09-24 1993-04-20 ユシロ化学工業株式会社 トイレ洗浄装置
KR20010077555A (ko) 2000-02-03 2001-08-20 손석기 무인 자동세척 공중화장실 및 시스템
KR200414630Y1 (ko) 2006-02-01 2006-04-21 (주)보라텍 바닥자동청소시스템
KR100620800B1 (ko) 2006-07-19 2006-09-07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화장실에 설치되는 바닥 세척구조
KR20120000138A (ko) * 2010-06-25 2012-01-02 진성닷컴주식회사 친환경 화장실
KR101239695B1 (ko) 2012-09-14 2013-03-06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화장실 바닥 세척시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273U (ja) * 1991-09-24 1993-04-20 ユシロ化学工業株式会社 トイレ洗浄装置
KR20010077555A (ko) 2000-02-03 2001-08-20 손석기 무인 자동세척 공중화장실 및 시스템
KR200414630Y1 (ko) 2006-02-01 2006-04-21 (주)보라텍 바닥자동청소시스템
KR100620800B1 (ko) 2006-07-19 2006-09-07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화장실에 설치되는 바닥 세척구조
KR20120000138A (ko) * 2010-06-25 2012-01-02 진성닷컴주식회사 친환경 화장실
KR101239695B1 (ko) 2012-09-14 2013-03-06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화장실 바닥 세척시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7502B1 (ja) 2022-06-17 2022-10-20 裕士 平山 床装置及び床装置の駆動方法
JP2023184137A (ja) * 2022-06-17 2023-12-28 裕士 平山 床装置及び床装置の駆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278B1 (en) Auto cleaning toilet seat and drying system
KR910008895B1 (ko) 클린룸용 위생설비실
US8060953B1 (en) Auto cleaning toilet seat with anal cleaning device and blow dry
KR101305387B1 (ko)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CA2496247A1 (en) Pet toilet
KR200406304Y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2286362B1 (ko) 화장실 세척장치
KR100999397B1 (ko)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US6367621B1 (en) Combination plunger and scrubber holder
NL8302159A (nl) Zelfreinigende sanitaire inrichting.
KR101852480B1 (ko) 폴더형 변기
KR20090117111A (ko) 좌우로 기울어져 움직이는 구조를 갖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및 좌우로 기울어진 구조를 갖는 처리장치에서의 자동배변 처리방법
KR102251074B1 (ko)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US2499115A (en) Floor drain for toilet fixtures
KR102468558B1 (ko)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JPH01250537A (ja) 便器ユニット
KR101342096B1 (ko) 위생 소변기
KR101191973B1 (ko) 좌변기용 변좌 세정액 분사장치
EP1416840A1 (en) Automatically sanitized toilet seat incorporating means for collecting the sanitizing fluid
US11752526B1 (en) Shoe sole cleaning device
WO1996034157A1 (en) Floor protection and cleaning in male toilets
KR20210104373A (ko) 낙하요 세척장치
KR102209000B1 (ko) 소변기
RU2756867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туалетный модуль
KR20170106528A (ko) 절수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