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275B1 -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275B1
KR102286275B1 KR1020200039728A KR20200039728A KR102286275B1 KR 102286275 B1 KR102286275 B1 KR 102286275B1 KR 1020200039728 A KR1020200039728 A KR 1020200039728A KR 20200039728 A KR20200039728 A KR 20200039728A KR 102286275 B1 KR102286275 B1 KR 102286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vic
sacrum
incidence
pelvis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택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1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angles, e.g. using goni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71Evaluating the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23Operational features of calibration, e.g. protocols for calibrating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ometr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는, 골반의 중심축과 천추 상면 중심점을 잇는 선과 천추 상면 중심점에서 내린 수선과의 각도인 골반 입사각을 측정하는 장비의 정확성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의 골반을 모사한 골반 모형; 상기 골반 모형에서 상기 골반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연결바; 상기 골반 모형의 양 측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바; 및 회전 중심이 상기 천추의 상면 중심점에 대응하도록 상기 골반 모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바가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둘레 면에 환상으로 가이드홈이 관통 형성된 원판 형상의 회전디스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에 의하면, 골반 모형 회전부에 의해 골반의 방향을 정량적으로 제어하고, 회전디스크부의 내측판을 회전시켜 골반의 일부인 천골부가 골반 모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현하여 골반 입사각을 정량적으로 조정할 수가 있으며, 입사각 표시자가 지시하는 입사각 표시부의 눈금을 확인하여 임의로 조정된 골반 입사각의 참값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가 측정한 골반 입사각을 참값과 비교하여 골반 방향에 따른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정확성을 검사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골반 자체의 방향이 측정오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간편하게 검증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Inspection device of pelvic incidence meas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반의 중심축과 천추 상면 중심점을 잇는 선과 천추 상면 중심점에서 내린 수선과의 각도인 골반 입사각을 측정하는 측정 장비의 정확도를 검사하고, 골반 자체의 방향이 측정오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4-0047879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인체의 골반은 궁둥이뼈, 엉덩뼈, 두덩뼈로 형성되는 볼기뼈가 좌우에 존재하고, 이들이 뒤에서는 엉치뼈와 엉치엉덩관절로 연결되며, 앞에서는 두덩 결합으로 좌우의 두덩뼈가 연결되어 둥그란 원(Ring) 모양 구조를 이룬다.
또한 골반은 앞뒤의 폭보다는 좌우의 폭이 더 넓으며 아래로 갈수록 깔때기 모양으로 좁아져서 그 속에 중요한 내부 장기가 위치한다. 특히 골반의 안쪽 면과 바깥쪽 면에는 여러 종류의 근육들이 시작하기도 하고 끝나기도 하는 부착점이 있어서,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몸체와 하지가 움직일 수 있는 지렛대 지점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골반은 척추에서 전달되어 내려오는 체중이 엉치뼈를 거쳐 양측 볼기뼈(무명골) 부위에 전달되면서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엉덩관절(고관절)에서 양쪽 다리와 연결되어 걷기와 달리기 등의 신체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골반 안에는 내장과 방광, 여성의 경우에는 자궁과 난소 등의 중요한 장기가 위치하는데, 골반은 이런 장기가 담길 공간을 마련해주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손상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해 준다.
위와 같은 골반은 하지와 척추를 연결하는 중축골격(Axial skeleton)의 중심으로서 상체의 근간이 되는 베이스(Base)로서의 역할과 두 하지가 모이는 중심자적 역할을 한다.
한편 골반 입사각(Pelvic incidence)이라는 방사선학적 지표가 해부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골반 입사각의 차이가 중축골격의 시상 정렬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고, 고관절의 시상 균형상 보상범위와 고관절 운동범위를 결정하고 있다는 증거들이 나타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골반 입사각을 설명하면, 골반 입사각(α)은 골반(G)의 중심축(C)과 천추(S) 상면 중심점(P)을 잇는 선(L1)과 천추(S) 상면 중심점(P)에서 내린 수선(L2)과의 각도로 정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골반 입사각(α)은 자세에 따라 변하지 않는 골반(G)의 고유값으로서, 원칙적으로는 골반(G)의 방향(Orientation)에 따라 변하지 않아야 된다.
그런데 투영 상에 의존하고 있는 현재 진료 방법에 따르면, 골반 입사각(α)은 자세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함에도 자세에 따른 오차가 있으며, 골반 자세에 따른 골반 입사각(α)의 측정오차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부재한 상태인 바,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부합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정확도를 검사하고, 골반 자체의 방향이 측정오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간편하게 검증할 수 있는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반 입사각을 측정하는 장비의 정확성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의 골반을 모사한 골반 모형; 상기 골반 모형에서 상기 골반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연결바; 상기 골반 모형의 양 측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바; 및 회전 중심이 상기 천추의 상면 중심점에 대응하도록 상기 골반 모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바가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둘레 면에 환상으로 가이드홈이 관통 형성된 원판 형상의 회전디스크부를 포함하는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디스크부는, 서로 이격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회전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디스크는, 각각 둘레 면에 상기 연결바가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는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내측판과, 원판 형상으로 상기 내측판이 회전 가능하게 밀착하도록 상기 골반 모형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통과한 상기 연결바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된 외측판과, 링(Ring) 형상으로 상기 외측판의 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외측판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상기 내측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판은, 그 단부가 상기 내측판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판은 상기 절곡부의 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외측판과의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내측판은, 그 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내측판은 천추의 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된 천추 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천추 대응부는, 상기 내측판 상에 천추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요홈일 수 있다.
상기 내측판은, 천추의 위치에 대응하는 골반 입사각을 표시하는 입사각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판은 천추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입사각 표시부에 표시된 골반 입사각을 지시하는 입사각 표시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는, 상기 골반 모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골반 모형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반 모형 회전부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눈금부가 마련된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연결프레임과, 반원형상으로 상기 연결프레임의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 가능하며, 전면에는 제2눈금부가 구비되는 반원프레임과, 상기 반원프레임의 양단에 전후방향으로 회전되게 장착되고 상기 골반모형이 장착되며 일측단에는 제3눈금부가 마련되는 가로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에 의하면, 골반 모형 회전부에 의해 골반의 방향을 정량적으로 제어하고, 회전디스크부의 내측판을 회전시켜 골반의 일부인 천골부가 골반 모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현하여 골반 입사각을 정량적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입사각 표시자가 지시하는 입사각 표시부의 눈금을 확인하여 임의로 조정된 골반 입사각의 참값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가 측정한 골반 입사각을 참값과 비교하여 골반 방향에 따른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정확성을 검사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골반 자체의 방향이 측정오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간편하게 검증할 수 있다.
도 1은 골반 입사각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회전디스크부가 골반 모형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회전디시크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회전디스크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나타낸 회전디스크부의 내측판을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에 나타낸 회전디스크부의 내측판을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회전디스크부의 내측판을 회전시켜 변화되는 골반 입사각을 입사각 표시부와 입사각 표시자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반(G)의 중심축(C)과 천추 상면 중심점(P)을 잇는 선(L1)과 천추(S) 상면 중심점(P)에서 내린 수선(L2)과의 각도인 골반 입사각(α)을 측정하는 장비의 정확성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나타낸 회전디스크부가 골반 모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반 입사각(α)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10)는, 골반 모형(100)과, 연결바(200)와, 한 쌍의 지지바(300)와, 회전디스크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골반 모형(100)은 인체의 골반을 모사한 것으로서, 후술(後述)할 골반 모형 회전부(5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골반 모형(100)에서, 상기 연결바(200)는 골반의 중심축(C)을 관통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바(300)는 골반 모형(100)의 양 측부를 지지한다.
상기 회전디스크부(400;400a,400b)는 원판(Disc) 형상으로서, 그 회전 중심(O)이 상기 천추(S)의 상면 중심점(P)에 대응하도록 상기 골반 모형(1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회전디스크부(400;400a,400b)에는 상기 연결바(200)가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둘레 면에 환상으로 가이드홈(40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디스크부(400)는 천추(S)의 상면 중심점(P)을 통과하고 상기 연결바(200)와 평행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회전디스크부(400;400a,400b)의 분해 사시도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상기 회전디스크부(400;400a,400b)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디스크부(400)는 서로 이격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회전디스크(400a)(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회전디스크(400a)(400b)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골반 모형(100)에는 제1 및 제2회전디스크(400a)(400b)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제1 및 제2장입홈(110)(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회전디스크(400a)(400b)는, 상기 골반 모형(10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Disc) 형상의 내측판(410)과, 골반 모형(100)에 고정 설치되는 원판 형상의 외측판(420)과, 회전하는 상기 내측판(410)이 이탈을 방지하는 링(Ring) 형상의 이탈방지판(4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측판(410)은, 그 둘레 면에 상기 연결바(200)가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는 가이드홈(40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판(410)에는 천추(S;도 1)의 위치에 대응하여 천추 대응부(411)를 마련할 수 있다. 그 일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판(410) 상에 천추(S)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요홈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천추 대응부(411)로서 복수의 요홈 형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그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외측판(420)은 회전하는 내측판(410)을 밀착하여 지지한다. 또한 상기 외측판(420)에는 내측판(410)의 가이드홈(401)을 통과한 연결바(200)가 통과하는 통과홀(42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판(430)은 외측판(420)의 단부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내측판(410)의 이탈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판(420)은, 그 단부가 상기 내측판(410)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42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판(430)은 상기 절곡부(421)의 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외측판(420)과의 사이에 삽입홈(40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판(410)의 단부는 상기 삽입홈(402)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 때문에 내측판(410)은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판(420)의 절곡부(421)와 이탈방지판(430)은 볼트 결합, 접착제 결합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지금까지 상술한 내측판(410)의 이탈 방지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외에도 다양한 이탈 방지구조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내측판(410) 상에는 골반 입사각(α; 도 1 참조)을 표시하는 입사각 표시부(4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천추(S)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입사각 표시부(412)에 표시된 골반 입사각(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입사각 표시자(4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사각 표시자(4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판(430)의 전면(前面)에 화살표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입사각 표시부(412)와 입사각 표시자(431)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입사각 표시부(412)를 연결바(200)가 관통하는 가이드홈(401)에 인접하게 마련하고, 상기 연결바(200)가 입사각 표시자(431)의 역할을 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사각 표시자(431)는, 그 일단이 상기 외측판(420))에 결합하고, 타단이 천추(S)의 위치에 대응하는 골반 입사각(α)을 지시하는 지시판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도 2에 나타낸 회전디스크부의 내측판을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6과 같이, 회전디스크부(400)의 내측판(4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골반 입사각(α)은 점차 커지게 되며, 가이드홈(401)의 구조에 의해 최대로 회전하였을 때의 골반 입사각은 "α2"가 된다.
반면에, 도 7과 같이, 회전디스크부(400)의 내측판(4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골반 입사각(α)은 점차 작아지게 되며, 가이드홈(401)의 구조에 의해 최대로 회전하였을 때의 골반 입사각은 "α1"이 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회전디스크부(400)의 내측판(410)을 회전시켜 변화되는 골반 입사각(α)을 입사각 표시부(412)와 입사각 표시자(431)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와 같이, 회전디스크부(400)의 내측판(410)을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시키면, 골반 입사각은 최대인 "α2"가 된다. 반대로 도 10과 같이, 회전디스크부(400)의 내측판(410)을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시키면, 골반 입사각은 최소인 "α1"이 된다.
여기서 도 8과 같이, 회전디스크부(400)의 내측판(410)을 임의의 위치로 회전시킨 경우, 입사각 표시부(412)를 통해 확인하는 눈금(412a), 즉 입사각 표시자(431)가 지시하는 입사각 표시부(412)의 눈금(412a)이, 임의의 위치로 회전된 내측판(410)에 대응하는 골반 입사각(α)이 된다. 한편, 입사각 표시부(412)의 눈금(412a)은 최소인 α1과 α2 사이의 값을 균등 분할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골반 모형(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반 모형 회전부(5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골반 모형 회전부(500)는 지지프레임(510)과, 연결프레임(520)과, 반원프레임(530)과, 가로프레임(54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510)은 바닥면에 지지되며, 그 상부로는 상기 반원프레임(530)을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프레임(52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연결프레임(520)은 상기 지지프레임(5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원판(521)과, 이러한 회전원판(521)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반원프레임(530)을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재(522)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원판(521)에는 가이드부재(522)에 의해 지지되는 반원프레임(530)의 회전 수치를 측정하는 제1눈금부(521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522)는 반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반원프레임(53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원프레임(530)은 반원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부재(522)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반원프레임(530)의 전면에는 제2눈금부(530a)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반원프레임(530)의 양단에는 가로프레임(54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러한 가로프레임(540)은 상기 반원프레임(530)에 장착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가로프레임(540)에는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에서 측정될 골반 모형(100)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프레임(540)에 장착되는 상기 골반 모형(100)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단이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대칭 골반이며, 이러한 골반 모형(100)에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제1회전디스크(400a)와 제2회전디스크(400b)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가로프레임(540)에는 연결바(200), 한 쌍의 지지바(300) 및 하단연결바(541)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바(200)는 골반 모형(100)에서 골반의 중심을 관통하고, 반원프레임(5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단부에는 연동연결바(542)의 회전 수치를 측정하는 제3눈금부(543)가 장착된다.
상기 골반 모형(100)을 관통하는 연결바(200) 및 하단연결바(541)는 전 골반 평면(Anterior pelvic plane)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골반 모형 회전부(500)는 연결프레임(520), 반원프레임(530) 및 가로프레임(540)을 이용하여 전체 골반 모형(100)을 좌우로 기울어지게 하고, 전,후,좌,우로 회전시켜 골반의 방향을 정량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10)에 의하면, 골반 모형 회전부(500)에 의해 골반의 방향을 정량적으로 제어하고, 회전디스크부(400)의 내측판(410)을 회전시켜 골반의 일부인 천골부가 골반 모형(100)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현하여 골반 입사각(α)을 정량적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입사각 표시자(431)가 지시하는 입사각 표시부(412)의 눈금(412a)을 확인하여 임의로 조정된 골반 입사각(α)의 참값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가 측정한 골반 입사각(α)을 참값과 비교하여 골반 방향에 따른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정확성을 검사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골반 자체의 방향이 측정오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간편하게 검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100 : 골반 모형 200 : 연결바
300 : 지지바 400 : 회전디스크부
400a,400b : 제1 및 제2회전디스크 401 : 가이드홈
402 : 삽입홈 410 : 내측판
411 : 천추 대응부 412 : 입사각 표시부
420 : 외측판 421 : 절곡부
430 : 이탈방지판 431 : 입사각 표시자
500 : 골반 모형 회전부 510 : 지지프레임
520 : 연결프레임 530 : 반원프레임
540 : 가로프레임 α : 골반 입사각

Claims (10)

  1. 골반의 중심축과 천추 상면 중심점을 잇는 선과 천추 상면 중심점에서 내린 수선과의 각도인 골반 입사각을 측정하는 장비의 정확성을 검사하기 위한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골반을 모사한 골반 모형;
    상기 골반 모형에서 상기 골반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연결바;
    상기 골반 모형의 양 측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바; 및
    회전 중심이 상기 천추의 상면 중심점에 대응하도록 상기 골반 모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바가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둘레 면에 환상으로 가이드홈이 관통 형성된 원판 형상의 회전디스크부를 포함하는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디스크부는, 서로 이격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회전디스크를 포함하는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디스크는, 각각
    둘레 면에 상기 연결바가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는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내측판과,
    원판 형상으로 상기 내측판이 회전 가능하게 밀착하도록 상기 골반 모형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통과한 상기 연결바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된 외측판과,
    링(Ring) 형상으로 상기 외측판의 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외측판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상기 내측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하는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은, 그 단부가 상기 내측판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판은 상기 절곡부의 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외측판과의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내측판은, 그 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은 천추의 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된 천추 대응부를 포함하는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천추 대응부는, 상기 내측판 상에 천추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은, 천추의 위치에 대응하는 골반 입사각을 표시하는 입사각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판은, 천추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입사각 표시부에 표시된 골반 입사각을 지시하는 입사각 표시자를 더 포함하는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반 모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골반 모형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골반 모형 회전부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눈금부가 마련된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연결프레임과,
    반원형상으로 상기 연결프레임의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 가능하며, 전면에는 제2눈금부가 구비되는 반원프레임과,
    상기 반원프레임의 양단에 전후방향으로 회전되게 장착되고 상기 골반모형이 장착되며 일측단에는 제3눈금부가 마련되는 가로프레임을 포함하는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KR1020200039728A 2020-04-01 2020-04-01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KR102286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728A KR102286275B1 (ko) 2020-04-01 2020-04-01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728A KR102286275B1 (ko) 2020-04-01 2020-04-01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275B1 true KR102286275B1 (ko) 2021-08-05

Family

ID=7731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728A KR102286275B1 (ko) 2020-04-01 2020-04-01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2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879A (ko) * 2012-10-15 2014-04-23 손상기 다리 길이 불균형 환자를 위한 골반 교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879A (ko) * 2012-10-15 2014-04-23 손상기 다리 길이 불균형 환자를 위한 골반 교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8121A (en) Range of motion instruments for the spine
US4768779A (en) Back exercise apparatus with a neck exercise attachment
Capuano-Pucci et al. Intratester and intertester reliability of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device
Picerno et al. A spot check for assessing static orientation consistency of inertial and magnetic sensing units
Garrett et al. Reliability of measuring forward head posture in a clinical setting
CN100333691C (zh) 确定人体在直立姿势下非正确姿势的测量装置
KR20020086887A (ko) 인체에 대한 평형 위치 평가를 위한 장치
Muyor et al. Test-re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motion capture (MOCAP) system for measuring thoracic and lumbar spinal curvatures and sacral inclination in the sagittal plane
KR102286275B1 (ko) 골반 입사각 측정 장비의 검사 장치
JP4714799B1 (ja) 角度計
US20070208279A1 (en) Motor Function Test System
US67733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riving angular isokinetic measurements using a linear dynamometer
Dewi et al. Reproducibility of standing posture for X-ray radiography: a feasibility study of the BalancAid with healthy young subjects
US68551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leg length in an upright position
US82297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 object's center of gravity
FitzGerald et al. Comparison of balance assessment by sway magnetometry and force platforms
Yaikwawongs et al. Reliability of digital compass goniometer in knee joint range of motion measurement
CN110448274A (zh) 一种躯干核心肌群平衡控制能力评估系统
JP4491580B2 (ja) 捻れ計測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捻れ測定方法
Prushansky et al. Reproducibility of sagittal pelvic tilt measurements in normal subjects using digital inclinometry
Adler RAF Near Point Rule modification.
CN113842136A (zh) 一种腰椎活动度的检测设备和方法
TW39627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tively determining the x-axis, y-axis, and z-axis
CN111568435A (zh) 一种膝关节软组织平衡测量装置
Tozawa et al. Absolute and relative reliability of lumbar interspinous process ultrasound imaging measu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