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311B1 -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 - Google Patents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311B1
KR102285311B1 KR1020210013225A KR20210013225A KR102285311B1 KR 102285311 B1 KR102285311 B1 KR 102285311B1 KR 1020210013225 A KR1020210013225 A KR 1020210013225A KR 20210013225 A KR20210013225 A KR 20210013225A KR 102285311 B1 KR102285311 B1 KR 10228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rame
melted
window
he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덕
Original Assignee
성방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방산업(주) filed Critical 성방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01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04Welded or soldered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06B3/222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06B3/9648Mitr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창호프레임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별도의 절삭가공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인서트심재가 간단하게 조립되어 정위치에서 용융접합되도록 구조 개선되므로 제조공정의 간소화와 더불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특히, 인서트심재에 의해 창호프레임 연결부분이 견고하게 보강되어 창호의 대형화에 따른 풍압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창호프레임(100), 인서트심재(200), 심재프레임(210), 경사패널(22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Window frame connection reinforcement system for PVC windows}
본 발명은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프레임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별도의 절삭가공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인서트심재가 간단하게 조립되어 정위치에서 용융접합되도록 구조 개선되므로 제조공정의 간소화와 더불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특히, 인서트심재에 의해 창호프레임 연결부분이 견고하게 보강되어 창호의 대형화에 따른 풍압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창호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경우 프레임으로 창틀과 창문틀을 형성하고 창문틀에 유리창을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창틀과 창문틀용 프레임은 내부식성, 단열성 및 제조원가 절감을 위해 대부분 PVC 재질로 형성되어 널리 보급되는바, 이때 PVC 프레임은 네모서리를 경사지게 절단하고, 절단면을 용융접합하는 방식으로 접합됨에 따라 내구성이 취약하여 강한 풍압을 견디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특허등록 제10-1051883호에서, 절단된 가로 및 세로 창짝프레임의 절단면에 용접블럭을 설치한 후 그 절단면을 서로 맞대어 용접합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용접블럭은, 창짝프레임내로 삽입되어 창짝프레임의 절단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용접판과; 상기 용접판의 일면에 연장 형성되어 창짝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리브와; 상기 용접블럭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창짝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지만, 창짝프레임에 고정된 용접블럭의 상태보정을 위해 창짝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부를 형성해야 하고, 또, 용접블럭의 고정판을 결합부에 일치시킨 상태로 스크류 체결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다분화되어 생선성 저하 및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특허공개 제10-2009-0091507호에서, 중공의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 그리고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그리고 연결부 사이에공간이 형성되는 창호용 형재 내에 수용되어 창호용 형재의 용접 부위의 용접강도를 증가시키는 보강 부재에 있어서, 평행하게 배치된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 3 부재를 포함하되, 제 1 부재, 제 2 부재 및 제 3 부재는 창호용 형재의 제 1 부재, 제 2 부재 및 연결부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제 3 부재의 하부면에는 소정 길이의 스토퍼가 형성되어 창호용 형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절개부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기술이 선공개된 바 있지만, 보강 부재를 창호용 형재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보강 부재의 제 3 부재의 하부면에 형성된 스토퍼를 창호용 형재의 연결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절개부 내에 삽입되어 조립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창호용 형재를 경사강으로 커팅한 후에 별도의 홈파기 공정을 거쳐 절개부를 가공해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번거롭고, 절개부 가공 깊이에 따라 보강 부재의 삽입 깊이가 가변되면서 접합 불량률이 증가하는 폐단이 따랐다.
KR 10-1051883 B1 (2011.07.20.) KR 10-2009-0091507 A (2009.08.28.)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창호프레임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별도의 절삭가공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인서트심재가 간단하게 조립되어 정위치에서 용융접합되도록 구조 개선되므로 제조공정의 간소화와 더불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특히, 인서트심재에 의해 창호프레임 연결부분이 견고하게 보강되어 창호의 대형화에 따른 풍압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에 'ㄷ'자형으로 중공홀(110)이 형성되는 창호프레임(100)을 45°커팅하여 경사면(120)을 형성하고,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을 서로 용융 접착하여 사각 창호틀을 형성하며,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에 삽입되도록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경사면(120)과 함께 용융 접착되어 사각 창호틀 모서리부분을 보강하는 인서트심재(200)가 구비되고,
상기 인서트심재(200)는, 중공홀(110)에 끼움 결합되도록 단면 형상이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단부에 경사면(212)이 형성되는 심재프레임(210)과,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과 대응하는 심재프레임(210) 단부에 경사각으로 구비되는 경사패널(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심재프레임(210)은, 외부 센터플레이트(214a) 양단에 한 쌍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가 직각으로 연결되어 'ㄷ'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외부암(214)과, 외부암(214) 내측에 이격 배치되고, 외부 센터플레이트(214a)와 대향하는 내부 센터플레이트(216a)와, 내부 센터플레이트(216a) 양단에 한 쌍의 내부 사이드플레이트(216b)가 직각으로 연결되어 'ㄷ'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내부암(216)과, 내,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216b)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ㄷ'자형 이너 중공홀(217a)을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플레이트(217)와, 연결플레이트(217)와 평행하도록 내, 외부암(214)(216)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내,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216b)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이드구획(218a)을 형성하는 제 1보강플레이트(218)와, 내, 외부암(214)(216) 사이에 배치되고, 내, 외부 센터플레이트(214a)(216a)에 양단이 직각으로 연결되어 센터구획(219a)을 형성하는 제 2보강플레이트(2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암(214)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 외측면에 심재프레임(210) 길이방향으로 양각라인(214c)이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 사이 거리는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에 중간 끼워맞춤 공차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에 형성되는 양각라인(214c) 사이 거리는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에 억지 끼워맞춤 공차로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양각라인(214c) 단부와 대응하는 경사패널(220) 표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경사패널(220) 외측으로 연장되어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에 걸린 상태로 심재프레임(210)의 삽입 깊이를 결정하는 걸림편(214d)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창호프레임(100)은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히팅판(H)의 양면을 이용하여 각각의 창호프레임(100) 경사면(120)과 인서트심재(200)의 경사패널(220)을 동시에 용융한 상태로 가압식으로 접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걸림편(214d)은 0.5 ~ 1mm 두께로 형성되어, 창호프레임(100) 경사면(120)과 인서트심재(200)의 경사패널(220)이 히팅판(H)에 의해 용융되기 직전에 용융 제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패널(220)은 가장자리부에 외곽띠부(221)가 돌출형성되고, 외곽띠부(221) 내측에 복수의 이너띠부(222)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너띠부(222) 사이에 이너홈부(223)가 형성되고, 상기 창호프레임(100) 양단부에 인서트심재(200)를 삽입한 상태로 직각으로 배치하고,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 및 경사패널(220)을 단일의 히팅판(H)으로 동시에 용융시킨 상태로 접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경사패널(220)을 히팅판(H)으로 용융시, 외곽띠부(221)와 이너띠부(222)가 히팅판(H)에 면접되어 용융되면서 발생되는 용융물(M)은 이너홈부(223)로 수용되면서 외부 유출이 차단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창호프레임(100) 양단부에 인서트심재(200)를 삽입한 상태로 준비하고, 어느 하나의 창호프레임(100)은 제 1용접테이블(10)에 로딩되어 직선 이동가능하면서 제 1용접테이블(10)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클램프(12)에 의해 양단부가 상부에서 가압되어 인서트심재(200)가 압착 고정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창호프레임(100)은 제 1용접테이블(10)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 2용접테이블(20)에 로딩된 상태로 단부가 제 2클램프(22)에 의해 상부에서 가압되어 인서트심재(200)가 압착고정되며, 상기 제 2용접테이블(20)에 로딩되는 창호프레임(100)은 제 1, 2용접테이블(10)(20) 사이에 45° 경사각으로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작동되는 세팅블록(30)을 기준으로 로딩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제 2용접테이블(20)에 로딩되는 창호프레임(100)의 로딩위치가 결정되면, 세팅블록(30)이 하향 이동되고, 제 1, 2용접테이블(10)(20) 사이로 45°경사각으로 히팅판(H)이 전진 이송한 상태로 제 1용접테이블(1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의 단부가 히팅판(H) 양면에 밀착된 상태로 용융되며, 소정의 용융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 1용접테이블(10)에 의해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이 히팅판(H) 상에서 이격되고, 상기 히팅판(H)이 후진 이송된 상태로 제 1용접테이블(10)에 의해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의 용융 단부가 서로 가압 밀착되어 경사면(120) 및 경사패널(220)이 용착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너홈부(223)는 내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축소되는 경사유로(224)를 형성하고, 이너홈부(223)와 대응하는 외부암(214)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에 관통유로(225)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유로(224) 바닥은 관통유로(225)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패널(220)을 히팅판(H)으로 용융시, 외곽띠부(221)와 이너띠부(222)가 함께 용융되면서 발생되는 용융물(M)이 경사유로(224) 및 관통유로(225)를 타고 이동되어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과 심재프레임(210)의 외부암(214) 사이 틈새로 유입되어 경화되면서 틈새를 마감하는 사이블록(226)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유로(224) 바닥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경사유로(224) 외측으로 연장되어 경사패널(220) 표면 대비 외측으로 돌출되는 용융스틱(227)이 구비되고, 상기 히팅판(H)에 의한 용융과정에서 용융스틱(227)이 경사패널(220) 대비 먼저 히팅판(H)에 접촉되어 용융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용융스틱(227)에서 용융되는 용융물은 경사유로(224) 내부로 충진되어 관통유로(225)를 타고 이동되어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과 심재프레임(210)의 외부암(214) 사이 틈새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별도의 절삭가공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인서트심재가 간단하게 조립되어 정위치에서 용융접합되도록 구조 개선되므로 제조공정의 간소화와 더불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특히, 인서트심재에 의해 창호프레임 연결부분이 견고하게 보강되어 창호의 대형화에 따른 풍압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의 인서트심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의 창호프레임과 인서트심재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의 창호프레임 용융접합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의 경사유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의 용융스틱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의 인서트심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의 창호프레임과 인서트심재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의 창호프레임 용융접합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의 경사유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의 용융스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창호프레임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별도의 절삭가공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인서트심재가 간단하게 조립되어 정위치에서 용융접합되도록 구조 개선되므로 제조공정의 간소화와 더불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특히, 인서트심재에 의해 창호프레임 연결부분이 견고하게 보강되어 창호의 대형화에 따른 풍압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창호프레임(100), 인서트심재(200), 심재프레임(210), 경사패널(22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은, 내부에 'ㄷ'자형으로 중공홀(110)이 형성되는 창호프레임(100)을 45°커팅하여 경사면(120)을 형성하고,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을 서로 용융 접착하여 사각 창호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에 삽입되도록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경사면(120)과 함께 용융 접착되어 사각 창호틀 모서리부분을 보강하는 인서트심재(2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창호프레임(100) 및 인서트심재(200)는 PVC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창호프레임(100)은 소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압축바를 소정의 길이로 커팅하여 형성된다.
상기 인서트심재(200)는, 중공홀(110)에 끼움 결합되도록 단면 형상이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단부에 경사면(212)이 형성되는 심재프레임(210)과,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과 대응하는 심재프레임(210) 단부에 경사각으로 구비되는 경사패널(220)을 포함된다.
이에 상기 인서트심재(200)의 심재프레임(210)이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에 삽입 설치된 상태로 경사패널(220)에 의해 중공홀(110)이 마감된다.
이때, 상기 심재프레임(210)은, 외부 센터플레이트(214a) 양단에 한 쌍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가 직각으로 연결되어 'ㄷ'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외부암(214)과, 외부암(214) 내측에 이격 배치되고, 외부 센터플레이트(214a)와 대향하는 내부 센터플레이트(216a)와, 내부 센터플레이트(216a) 양단에 한 쌍의 내부 사이드플레이트(216b)가 직각으로 연결되어 'ㄷ'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내부암(216)과, 내,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216b)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ㄷ'자형 이너 중공홀(217a)을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플레이트(217)와, 연결플레이트(217)와 평행하도록 내, 외부암(214)(216)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내,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216b)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이드구획(218a)을 형성하는 제 1보강플레이트(218)와, 내, 외부암(214)(216) 사이에 배치되고, 내, 외부 센터플레이트(214a)(216a)에 양단이 직각으로 연결되어 센터구획(219a)을 형성하는 제 2보강플레이트(219)를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심재프레임(210) 내부에 형성되는 이너 중공홀(217a)이 제 1, 2보강플레이트(218)(219)에 의해 분할되어 사이드구획(218a)과 센터구획(219a)을 형성함에 따라 심재프레임(210)의 구조적 안정성(예컨대, 풍압 내구성 등)이 확보됨과 더불어 제 1, 2보강플레이트(218)(219)에 의해 경사패널(220)이 이면에서 지지되어 후술하는 용융접합시, 경사패널(220) 전체면이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 접착된다.
또한, 상기 외부암(214)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 외측면에 심재프레임(210) 길이방향으로 양각라인(214c)이 돌출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 사이 거리는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에 중간 끼워맞춤 공차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에 형성되는 양각라인(214c) 사이 거리는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에 억지 끼워맞춤 공차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각라인(214c) 단부와 대응하는 경사패널(220) 표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경사패널(220) 외측으로 연장되어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에 걸린 상태로 심재프레임(210)의 삽입 깊이를 결정하는 걸림편(214d)이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인서트심재(200)를 창호프레임(100) 중공홀(110)에 삽입하면, 양각라인(214c)에 의해 인서트심재(200)가 중공홀(110)에 억지 끼워맞춤 공차로 맞물려 고정력이 발생됨과 더불어 걸림편(214d)이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에 걸린 상태로 인서트심재(200)의 삽입 깊이가 정확하게 조절된다. 즉, 상기 걸림편(214d)은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과 인서트심재(200)의 경사패널(220)이 평면상에 일치되도록 인서트심재(200)의 삽입 깊이를 결정한다.
이에 창호프레임(100)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별도의 절삭가공 공정 및 고정구를 추가하지 않고 인서트심재(200)가 간단하게 조립되어 정위치에서 용융접합되도록 구조 개선되므로 제조공정의 간소화와 더불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한다.
도 7에서, 상기 창호프레임(100)은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히팅판(H)의 양면을 이용하여 각각의 창호프레임(100) 경사면(120)과 인서트심재(200)의 경사패널(220)을 동시에 용융한 상태로 가압식으로 접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걸림편(214d)은 0.5 ~ 1mm 두께로 형성되어, 창호프레임(100) 경사면(120)과 인서트심재(200)의 경사패널(220)이 히팅판(H)에 의해 용융되기 직전에 용융 제거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걸림편(214d)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생략되어 제조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한다.
이때, 상기 걸림편(214d) 두께가 0.5mm 미만으로 형성되면 내구성이 약하여 쉽게 부러지고, 두께가 1mm를 초과하면 창호프레임(100)을 용융 접합되는 중에 히팅판(H)과의 이격 거리가 확장되어 접합 정밀도가 저하된다.
도 2에서, 상기 경사패널(220)은 가장자리부에 외곽띠부(221)가 돌출형성되고, 외곽띠부(221) 내측에 복수의 이너띠부(222)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너띠부(222) 사이에 이너홈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창호프레임(100) 양단부에 인서트심재(200)를 삽입한 상태로 직각으로 배치하고,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 및 경사패널(220)을 단일의 히팅판(H)으로 동시에 용융시킨 상태로 접합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패널(220)을 히팅판(H)으로 용융시, 외곽띠부(221)와 이너띠부(222)가 히팅판(H)에 면접되어 용융되면서 발생되는 용융물(M)은 이너홈부(223)로 수용되면서 외부 유출이 차단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용융공정을 완료한 후에 버어를 제거하는 공정이 생략된다.
도 4 내지 도 9에서, 상기 창호프레임(100) 양단부에 인서트심재(200)를 삽입한 상태로 준비하고, 어느 하나의 창호프레임(100)은 제 1용접테이블(10)에 로딩되어 직선 이동 가능하면서 제 1용접테이블(10)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클램프(12)에 의해 양단부가 상부에서 가압되어 인서트심재(200)가 압착 고정된다.
상기 다른 하나의 창호프레임(100)은 제 1용접테이블(10)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 2용접테이블(20)에 로딩된 상태로 단부가 제 2클램프(22)에 의해 상부에서 가압되어 인서트심재(200)가 압착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 2용접테이블(20)에 로딩되는 창호프레임(100)은 제 1, 2용접테이블(10)(20) 사이에 45° 경사각으로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작동되는 세팅블록(30)을 기준으로 로딩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용접테이블(20)에 로딩되는 창호프레임(100)의 로딩위치가 결정되면, 세팅블록(30)이 하향 이동되고, 제 1, 2용접테이블(10)(20) 사이로 45° 경사각으로 히팅판(H)이 전진 이송한 상태로 제 1용접테이블(1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의 단부가 히팅판(H) 양면에 밀착된 상태로 용융되며, 소정의 용융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 1용접테이블(10)에 의해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이 히팅판(H) 상에서 이격된다.
이어서 상기 히팅판(H)이 후진 이송된 상태로 제 1용접테이블(10)에 의해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의 용융 단부가 서로 가압 밀착되어 경사면(120) 및 경사패널(220)이 용착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각각의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 및 경사패널(220)이 히팅판(H) 양면에 접촉되어 동시 용융된 상태로 신속하게 접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용융상태가 활성화된 시점에 전체면이 긴밀하게 용접되고, 나아가 인서트심재(200)에 의해 창호프레임(100) 연결부분이 견고하게 보강되어 창호의 대형화에 따른 풍압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에서, 상기 이너홈부(223)는 내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축소되는 경사유로(224)를 형성하고, 이너홈부(223)와 대응하는 외부암(214)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에 관통유로(225)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유로(224) 바닥은 관통유로(225)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패널(220)을 히팅판(H)으로 용융시, 외곽띠부(221)와 이너띠부(222)가 함께 용융되면서 발생되는 용융물(M)이 경사유로(224) 및 관통유로(225)를 타고 이동되어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과 심재프레임(210)의 외부암(214) 사이 틈새로 유입되어 경화되면서 틈새를 마감하는 사이블록(226)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도 11에서, 또한, 상기 경사유로(224) 바닥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경사유로(224) 외측으로 연장되어 경사패널(220) 표면 대비 외측으로 돌출되는 용융스틱(227)이 구비된다. 상기 용융스틱(227)은 판 또는 봉형태로 복수개 구비되고, 외측 단부로 갈수록 사이즈가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판(H)에 의한 용융과정에서 용융스틱(227)이 경사패널(220) 대비 먼저 히팅판(H)에 접촉되어 용융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용융스틱(227)에서 용융되는 용융물은 경사유로(224) 내부로 충진되어 관통유로(225)를 타고 이동되어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과 심재프레임(210)의 외부암(214) 사이 틈새로 유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용융스틱(227)에 의해 경사유로(224) 내부로 충진되는 용융물 양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사이블록(226) 사이즈가 증가된다.
이처럼 상기 사이블록(226)에 의해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과 심재프레임(210)의 외부암(214) 사이 틈새 공간이 긴밀하게 마감 처리됨에 따라 이웃하는 인서트심재(200)의 경사패널(220)이 용융접합된 상태로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 내에서 유동이 방지되어 인서트심재(200)에 의한 보강성능이 고도로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창호프레임 200: 인서트심재
210: 심재프레임 220: 경사패널

Claims (8)

  1. 내부에 'ㄷ'자형으로 중공홀(110)이 형성되는 창호프레임(100)을 45°커팅하여 경사면(120)을 형성하고,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을 서로 용융 접착하여 사각 창호틀을 형성하며,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에 삽입되도록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경사면(120)과 함께 용융 접착되어 사각 창호틀 모서리부분을 보강하는 인서트심재(200)가 구비되고,
    상기 인서트심재(200)는, 중공홀(110)에 끼움 결합되도록 단면 형상이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단부에 경사면(212)이 형성되는 심재프레임(210)과, 상기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과 대응하는 심재프레임(210) 단부에 경사각으로 구비되는 경사패널(220)을 포함하며,
    상기 심재프레임(210)은, 외부 센터플레이트(214a) 양단에 한 쌍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가 직각으로 연결되어 'ㄷ'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외부암(214)과, 외부암(214) 내측에 이격 배치되고, 외부 센터플레이트(214a)와 대향하는 내부 센터플레이트(216a)와, 내부 센터플레이트(216a) 양단에 한 쌍의 내부 사이드플레이트(216b)가 직각으로 연결되어 'ㄷ'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내부암(216)과, 내,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216b)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ㄷ'자형 이너 중공홀(217a)을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플레이트(217)와, 연결플레이트(217)와 평행하도록 내, 외부암(214)(216)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내,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216b)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이드구획(218a)을 형성하는 제 1보강플레이트(218)와, 내, 외부암(214)(216) 사이에 배치되고, 내, 외부 센터플레이트(214a)(216a)에 양단이 직각으로 연결되어 센터구획(219a)을 형성하는 제 2보강플레이트(219)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암(214)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 외측면에 심재프레임(210) 길이방향으로 양각라인(214c)이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 사이 거리는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에 중간 끼워맞춤 공차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에 형성되는 양각라인(214c) 사이 거리는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에 억지 끼워맞춤 공차로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양각라인(214c) 단부와 대응하는 경사패널(220) 표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경사패널(220) 외측으로 연장되어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에 걸린 상태로 심재프레임(210)의 삽입 깊이를 결정하는 걸림편(214d)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100)은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히팅판(H)의 양면을 이용하여 각각의 창호프레임(100) 경사면(120)과 인서트심재(200)의 경사패널(220)을 동시에 용융한 상태로 가압식으로 접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걸림편(214d)은 0.5 ~ 1mm 두께로 형성되어, 창호프레임(100) 경사면(120)과 인서트심재(200)의 경사패널(220)이 히팅판(H)에 의해 용융되기 직전에 용융 제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패널(220)은 가장자리부에 외곽띠부(221)가 돌출형성되고, 외곽띠부(221) 내측에 복수의 이너띠부(222)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너띠부(222) 사이에 이너홈부(223)가 형성되고,
    상기 창호프레임(100) 양단부에 인서트심재(200)를 삽입한 상태로 직각으로 배치하고,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의 경사면(120) 및 경사패널(220)을 단일의 히팅판(H)으로 동시에 용융시킨 상태로 접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경사패널(220)을 히팅판(H)으로 용융시, 외곽띠부(221)와 이너띠부(222)가 히팅판(H)에 면접되어 용융되면서 발생되는 용융물(M)은 이너홈부(223)로 수용되면서 외부 유출이 차단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
  6. 제 1항,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100) 양단부에 인서트심재(200)를 삽입한 상태로 준비하고, 어느 하나의 창호프레임(100)은 제 1용접테이블(10)에 로딩되어 직선 이동 가능하면서 제 1용접테이블(10)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클램프(12)에 의해 양단부가 상부에서 가압되어 인서트심재(200)가 압착 고정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창호프레임(100)은 제 1용접테이블(10)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 2용접테이블(20)에 로딩된 상태로 단부가 제 2클램프(22)에 의해 상부에서 가압되어 인서트심재(200)가 압착고정되며,
    상기 제 2용접테이블(20)에 로딩되는 창호프레임(100)은 제 1, 2용접테이블(10)(20) 사이에 45° 경사각으로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작동되는 세팅블록(30)을 기준으로 로딩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제 2용접테이블(20)에 로딩되는 창호프레임(100)의 로딩위치가 결정되면, 세팅블록(30)이 하향 이동되고, 제 1, 2용접테이블(10)(20) 사이로 45° 경사각으로 히팅판(H)이 전진 이송한 상태로 제 1용접테이블(1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의 단부가 히팅판(H) 양면에 밀착된 상태로 용융되며, 소정의 용융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 1용접테이블(10)에 의해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이 히팅판(H) 상에서 이격되고,
    상기 히팅판(H)이 후진 이송된 상태로 제 1용접테이블(10)에 의해 이웃하는 창호프레임(100)의 용융 단부가 서로 가압 밀착되어 경사면(120) 및 경사패널(220)이 용착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홈부(223)는 내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축소되는 경사유로(224)를 형성하고, 이너홈부(223)와 대응하는 외부암(214)의 외부 사이드플레이트(214b)에 관통유로(225)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유로(224) 바닥은 관통유로(225)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패널(220)을 히팅판(H)으로 용융시, 외곽띠부(221)와 이너띠부(222)가 함께 용융되면서 발생되는 용융물(M)이 경사유로(224) 및 관통유로(225)를 타고 이동되어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과 심재프레임(210)의 외부암(214) 사이 틈새로 유입되어 경화되면서 틈새를 마감하는 사이블록(226)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유로(224) 바닥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경사유로(224) 외측으로 연장되어 경사패널(220) 표면 대비 외측으로 돌출되는 용융스틱(227)이 구비되고, 상기 히팅판(H)에 의한 용융과정에서 용융스틱(227)이 경사패널(220) 대비 먼저 히팅판(H)에 접촉되어 용융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용융스틱(227)에서 용융되는 용융물은 경사유로(224) 내부로 충진되어 관통유로(225)를 타고 이동되어 창호프레임(100)의 중공홀(110)과 심재프레임(210)의 외부암(214) 사이 틈새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
KR1020210013225A 2021-01-29 2021-01-29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 KR102285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225A KR102285311B1 (ko) 2021-01-29 2021-01-29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225A KR102285311B1 (ko) 2021-01-29 2021-01-29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311B1 true KR102285311B1 (ko) 2021-08-03

Family

ID=7731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225A KR102285311B1 (ko) 2021-01-29 2021-01-29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3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738A (ko) * 2007-10-12 2009-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의 보강구조
KR20090091507A (ko) 2008-02-25 2009-08-28 (주)엘지하우시스 용접 강도 향상을 위한 보강 부재
KR20180078185A (ko) * 2018-04-06 2018-07-09 주식회사 대신시스템 용접식 창짝프레임의 모서리 중공부에 설치되는 내부보강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738A (ko) * 2007-10-12 2009-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의 보강구조
KR101051883B1 (ko) 2007-10-12 2011-07-26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의 보강구조
KR20090091507A (ko) 2008-02-25 2009-08-28 (주)엘지하우시스 용접 강도 향상을 위한 보강 부재
KR20180078185A (ko) * 2018-04-06 2018-07-09 주식회사 대신시스템 용접식 창짝프레임의 모서리 중공부에 설치되는 내부보강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7248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ibrationsschweissen vo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teilen
RU2378473C2 (ru) Раз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еклопакетов с плавким соединителем
RU2324800C2 (ru) Панельный элемент с рамой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050115178A1 (en) Corner key for connecting profiles together and frame work assembly
RU97115221A (ru)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ий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рофиль для дверей, окон или фасадов
KR102033799B1 (ko) 합성수지 창호 프레임 용접장치
US11536082B2 (en) Pivot bar for sash windows
RU2592194C2 (ru) Термически разделенный профиль
EP2085558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stic casing, window or door
KR102285311B1 (ko) Pvc 창호용 창호프레임 연결부 보강시스템
KR102133582B1 (ko) 돌기 결합형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US6490839B1 (en) Window frame and method of producing it
HRP920806A2 (hr) Postupak za proizvodnju okvira krila prozora i vrata od profila od plastičnih masa
KR102033303B1 (ko) 창호용 합성수지 프로파일의 무이음매 용접장치
CN212054305U (zh) 一种整体填充式门窗框体
US10760329B1 (en) Fenestration frames with integral mull pos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697728B1 (ko) 구조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건축물용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N215533344U (zh) 一种快速拼装的屏风结构
KR20160002338A (ko) 이형재질의 프레임을 조립시킨 창틀프레임
CN110792362B (zh) 一种整体填充式门窗框体及其制作方法
US3836274A (en) Self-aligning, miter joint connecting means
KR20140121589A (ko) 조립식 방화문틀
KR20180057175A (ko) 조립식 프레임 구조
US3928100A (en) Corner joint for hollow profile members of plastic with reinforcing frame
EP2638228B1 (en) System provided with panel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