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243B1 -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 Google Patents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243B1
KR102285243B1 KR1020190133177A KR20190133177A KR102285243B1 KR 102285243 B1 KR102285243 B1 KR 102285243B1 KR 1020190133177 A KR1020190133177 A KR 1020190133177A KR 20190133177 A KR20190133177 A KR 20190133177A KR 102285243 B1 KR102285243 B1 KR 10228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ipe
flexible
flexible fluid
cable lay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909A (ko
Inventor
정영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33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2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fluid as pulling means, e.g. liquid, pressurised gas or suction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lines, e.g. needles, rods or ta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6Air or water being indistinctly used as working fluid, i.e. the machine can work equally with air or water without any modification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분사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에 설치되는 펌프; 및 폐쇄된 일 단이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개방된 타 단이 상기 분사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유체관을 포함하고, 상기 타 단은 내주면과 외주면이 뒤집힌 상태로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분사부 및 상기 외주면이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몸체부 내로 흡입된 유체가 유입되는 팽창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외주면이 상기 팽창유로로 유입된 유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이 상기 분사부에서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PNEUMATIC CABLE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으로, 구체적으로 펌프에 의해 팽창되는 플렉시블 유체관을 구비한 공압식 케이플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중 관로는 지중에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인입 관로이다. 지중 관로는 지하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시설이며, 지상과 지하를 연통하는 개구를 복개하는 맨홀 및 케이블을 보호하는 관로 등으로 구성된다.
관로는 콘크리트관, 철관, 도관 등이 사용된다. 관로에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관로에 선통선을 인입하여 관로를 관통한다. 그 후, 반대편으로 돌출된 선통선과 케이블을 연결하고, 인입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선통선을 견인한다. 이를 통해, 케이블이 관로에 포설된다.
선통선은 장애물을 회피하거나 곡선경로를 지나기 위한 적절한 굴곡성과 직선경로에서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적절한 직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된다. 상기 재료로는 관로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꼬아져 있는 스틸, 플라스틱 선 등이 사용된다.
선행기술문헌 1(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9632호)에는 상술한 선통선을 사용하는 케이블 포설 장비가 개시된다.
다만, 상기와 같은 선통선을 사용하여 케이블을 포설하려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먼저, 관로가 노후화되는 경우, 관로에는 이물질이 적층 및 관로의 침식과 같은 경년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이물질이나 홈과 같은 장애물이 선통선이 걸릴 수 있다. 즉, 선통선의 인입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이 포설되는 관로는 보통 긴 거리로 형성된다. 특히, 300m 이상의 장거리 관로에 선통선이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선통선이 인입됨에 따라 선통선과 관로 사이의 접촉면이 증가된다. 즉, 선통선과 관로 사이의 마찰력이 점점 증가되어 선통선의 인입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관로 내에 이미 다른 케이블이 있거나, 관로의 직경이 너무 작거나, 관로가 복잡하게 굴곡될 수 있다. 종래의 선통선이 직진선과 굴곡성을 어느 정도 갖고 있지만, 선통선이 인입될 공간이 너무 작거나 굴곡부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선통선의 인입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한 조건에서도 원활하게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선통선을 구비한 케이블 포설 장치가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9632호 (2010. 04. 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 및 포설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노후화된 관로, 인입공간이 작은 관로 및 복잡하게 굴곡된 관로에서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는 구조의 선통선을 구비한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 및 포설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관로에 인입된 상태에서 케이블을 원활하게 견인할 수 있는 정도의 인장강도를 갖는 선통선을 구비한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 및 포설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관로에 인입된 상태에서 몸체부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의 선통선을 구비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 및 포설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관로에 인입되기 전, 몸체부 내에서 선통선이 수납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 및 포설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분사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에 설치되는 펌프; 및 폐쇄된 일 단이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개방된 타 단이 상기 분사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유체관을 포함하고, 상기 타 단은 내주면과 외주면이 뒤집힌 상태로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분사부 및 상기 외주면이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몸체부 내로 흡입된 유체가 유입되는 팽창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외주면이 상기 팽창유로로 유입된 유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이 상기 분사부에서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단에서 상기 타 단을 향해 연장되는 플렉시블 로프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는 유체관 고정홈을 구비하는 유체관 클립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은, 상기 일 단이 상기 유체관 고정홈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유체관 클립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권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펌프는,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토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타 단과 상기 분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타 단 및 상기 분사부와 각각 결합되는 연결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연결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 결합부의 외주면에 결합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캡은, 일 측에 상기 돌출 결합부를 수용하도록 내주면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된 오목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돌부와 맞물리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일 측과 대향하는 타 측에 유체관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로의 일 측에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의 몸체부 내의 펌프를 가동하여 플렉시블 유체관을 상기 관로의 일 측과 대향하는 타 측을 향하여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펌프를 역 가동하여 팽창된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 내부의 유체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관로의 타 측에서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을 상기 관로의 일 측을 향하여 견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을 상기 몸체부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관로의 일 측에서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과 선통선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분사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에 설치되는 펌프;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체관 클립부; 및 폐쇄된 일 단이 상기 유체관 클립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체관 클립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권취되는 플렉시블 유체관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의 개방된 타 단은 상기 분사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에 배치되어, 내주면과 외주면이 뒤집힌 상태로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분사부 및 상기 외주면이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몸체부 내로 흡입된 유체가 유입되는 팽창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외주면이 상기 팽창유로로 유입된 유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이 상기 분사부에서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펌프는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흡배기구 및 상기 제1 흡배기구와 연통되는 제2 흡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단에서 상기 타 단을 향해 연장되는 플렉시블 로프가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럭시블 유체관은 관로에서 빈 공간으로 팽창된다. 관로의 관경이 너무 좁거나, 관로의 이미 케이블이 포설되어 있거나, 관로가 복잡하게 절곡되어 있는 경우에도 플럭시블 유체관은 빈 공간으로 팽창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유체관은 다양한 상태 및 형상의 관로를 원활하게 관통할 수 있어, 다양한 상태 및 형상의 관로 케이블을 원활하게 포설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유체관은 절곡부의 내측에 위치된 부분이 외측을 향해 이동되는 방식으로 팽창되므로, 관로와의 마찰이 미미하다. 이를 통해, 플렉시블 유체관은 장거리 관로에서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다.
즉, 장거리 관로에 케이블을 원활하게 포설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유체관의 외주면에는 플렉시블 로프가 부착된다. 플렉시블 로프는 플렉시블 유체관과 함께 굴곡되고, 소정의 인장력을 견딜 수 있는 인장 강도를 갖는다.
즉, 플렉시블 유체관에 소정의 인장강도를 갖는 플렉시블 로프를 결합하여 케이블을 견인하는데 필요한 인장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유체관과 플렉시블 로프가 결합된 견인선은 관로에 인입된 상태에서 몸체부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견인선을 직접 당기지 않고, 다른 선통선에 연결해 모터로 당길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블을 보다 효율적으로 견인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유체관은 몸체부 내에서 유체관 클립부에 권취되어 수납된다. 이를 통해, 플렉시블 유체관이 서로 엉키지 않고 팽창될 수 있다.
도 1은 케이블 종래의 케이블 포설 과정을 도시하는 개념도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b는 도 2a의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의 플렉시블 유체관이 팽창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c는 도 2a의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의 플렉시블 유체관이 팽창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3a는 도 2a의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의 플렉시블 유체관이 팽창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다.
도 3b는 도 2a의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의 플렉시블 유체관이 팽창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다.
도 3c는 도 2a의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의 플렉시블 유체관이 팽창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의 플렉시블 유체관이 관로에서 팽창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4b는 도 4a의 팽창된 플렉시블 유체관 내부의 유체를 펌프를 통해 배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유체관을 케이블에 연결하여 견인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념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방법의 변형 예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 및 포설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설명
이하에서 사용되는 '원주방향'은, 몸체부(11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유체관 클립부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축과 수직한 가상선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분사부(112) 및 연결캡(151)으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가상선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2. 종래의 케이블 포설 장치에 대한 설명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케이블 포설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케이블 종래의 케이블 포설 과정을 도시하는 개념도다.
종래의 케이블 포설 장치(10)는 선통선(11)과 선통선 권취부(13)를 포함한다. 지중에는 케이블이 포설되는 관로(20)가 형성되고, 케이블 포설 장치(10)를 통해 케이블(31)이 관로(20)내에 포설된다.
먼저, 선통선 권취부(13)에 권취된 상태의 선통선(11)을 풀어 관로(20) 내부에 삽입한다. 선통선(11)은 관로(20)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일 측과 대향하는 타 측을 향해 삽입된다.
선통선 권취부(13)는 전동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선통선 권취부(13)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선통선(11)이 이로부터 풀린다. 상술한 과정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선통선(11)이 풀리면서 관로(20)의 타 측을 향해 삽입된다. 선통선(11)이 관로(2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풀리면 선통선(11)의 단부가 관로(20)의 타 측으로 돌출된다.
케이블부(30)는 케이블(31)과 케이블 권취부(32)를 포함한다. 케이블(31)이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 권취부(32)로부터 케이블(31)이 풀린다. 작업자가 케이블(31)의 단부와 돌출된 선통선(11)의 단부를 연결한다.
선통선 권취부(13)가 모터 또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고, 풀렸던 선통선(11)은 다시 선통선 권취부(13)에 감긴다. 이를 통해, 선통선(11)의 단부에 연결된 케이블이 관로(20)의 타 측에서 일 측으로 견인된다.
케이블(31)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 관로(20) 내에 포설된다.
다만, 관로(20)가 노후화되는 경우, 관로(20) 내부에는 걸림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이 적층되어 돌출된 형상일 수 있고, 관로(20)가 손상되어 파여진 홈 형상일 수 있다.
즉, 관로(20)에는 경년 변화에 의한 걸림부(21)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걸림부(21)에 선통선이 걸릴 수 있다. 즉, 선통선의 인입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긴 거리의 관로(20)에 선통선(11)이 인입됨에 따라 선통선(11)과 관로(20) 사이의 접촉면이 증가된다. 즉, 선통선(11)과 관로(20) 사이의 마찰력이 점점 증가되어 선통선(11)의 인입이 제한될 수 있다.
도시 되지는 않았으나, 관로(20) 내에 이미 다른 케이블이 있거나, 관로(20)의 직경이 너무 작거나, 관로(20)가 복잡하게 굴곡될 수 있다. 종래의 선통선(11)이 직진선과 굴곡성을 어느 정도 갖고 있지만, 선통선(11)이 인입될 공간이 너무 작거나 굴곡부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선통선(11)의 인입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케이블 포설 장치가 요구된다.
3.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에 대한 설명
이하에서는,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b는 도 2a의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의 플렉시블 유체관이 팽창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c는 도 2a의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의 플렉시블 유체관이 팽창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1)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의 구성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몸체부(110), 펌프(130) 및 선통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몸체부(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몸체부(110)는 펌프(130) 및 선통부(15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몸체부(110) 내의 일 측에는 펌프(130)가 설치된다.
몸체부(110)의 저면에는 유체관 클립부(1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체관 클립부(114)에는 유체관 클립부(114)의 중심을 관통하는 유체관 고정홈(114a)이 형성된다. 유체관 클립부(114)는 원기둥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공지의 형상일 수 있다.
유체관 고정홈(114a)에는 플렉시블 유체관(1551)의 개방단(1551d)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몸체부(110)는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분사부(112)를 구비한다. 분사부(112)는 몸체부(110) 내부의 유체를 몸체부(110) 외측으로 분사한다. 다만, 플렉시블 유체관(1551)의 개방단(1551c)에 의해 복개된다. 따라서, 분사부(112)가 몸체부(110) 외측으로 분사하는 유체는 플렉시블 유체관(1551)의 내주면으로 분사된다. 이와 관련하여 뒤에서 상술한다.
분사부(112)는 몸체부(11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분사부(112)의 일 측이 몸체부(110)의 외측을 향해 개방된다.
다음으로, 펌프(130)에 대해 설명한다.
펌프(13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몸체부(110) 외부의 유체를 내부로 흡입한다. 또는, 펌프(130)는 몸체부(110)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토출한다.
펌프(130)는 외부와 연통되는 흡입부(134) 및 몸체부(110)의 내부와 연통되는 배출부(132)를 포함한다.
흡입부(134)는 몸체부(110)를 관통하여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흡입부(134)와 배출부(132)는 서로 연통된다.
펌프(130)는 압력작용에 의하여 유체를 수송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130)는 공기 펌프일 수 있다.
펌프(130)를 가동하여 몸체부(110) 외부의 유체를 흡입부(134)를 통해 흡입하고, 배출부(132)를 통해 몸체부(110) 내로 토출한다. 또한, 펌프(130)를 역 가동하여 몸체부(110) 내부의 유체를 배출부(132)를 통해 흡입하고, 흡입부(134)를 통해 몸체부(110)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즉, 배출부(132) 및 흡입부(134)는 모두 유체를 흡입 또는 배출할 수 있다. 흡입부(134)와 제1 흡배기구(134)는 같은 구성을 의미하고, 배출부(132)와 제2 흡배기구(132)는 같은 구성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선통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선통부(150)는 연결캡(151), 플렉시블 로프(153) 및 플렉시블 유체관(155)을 포함한다.
플렉시블 유체관의 폐쇄단(155d)은 유체관 고정홈(114a)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플렉시블 유체관(155)은 유체관 클립부(114)에 원주방향을 따라 권취된다. 즉, 플렉시블 유체관(155)은 유체관 클립부(114)를 중심으로 롤(roll)형태로 배치된다.
플렉시블 유체관의 개방단(155c)은 분사부(112)를 관통하여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즉, 개방단(155c)은 몸체부(110)의 외측에 배치된다.
개방단(155c)은 내주면(155a)과 외주면(155b)이 뒤집힌 상태로 분사부(112)에 연결된다.
즉, 분사부(112)에 인접하여 플렉시블 유체관(155)의 외주면(155b)의 일부는 서로 마주한다.
분사부(112)와 개방단(155c) 사이에는 연결캡(151)이 배치된다. 연결캡(151)은 분사부(112)의 개방된 단부 및 플렉시블 유체관의 개방단(155c)과 각각 결합된다.
즉, 플렉시블 유체관(155)은 분사부(112)를 밀폐한다. 플렉시블 유체관(155)의 외주면(155b)은 몸체부(110) 내부의 유체에 노출될 수 있고, 내주면(155a)은 몸체부(110) 외부의 유체에 노출될 수 있다.
플렉시블 유체관(155)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쉽게 굴곡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유체관(155)은 비닐(vinyl)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유체관(155)의 외주면(155b)에는 개방단(155c)에서 폐쇄단(155d)을 향해 연장되는 플렉시블 로프(153)가 부착된다.
플렉시블 로프(153)는 플렉시블 유체관(155)과 함께 굴곡되나, 플렉시블 로프(153)는 소정의 인장력을 견딜 수 있는 인장 강도를 갖는다. 플렉시블 로프(153)는 복수의 섬유가 꼬아져 형성될 수 있다.
(2)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의 작동에 대한 설명
이하에서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구동 전 제1 상태를 도시하고, 도 2b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구동 중인 제2 상태를 도시하며, 도 2c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모두 팽창된 제3 상태를 도시한다.
제1 상태에서 펌프(130)가 구동되면, 펌프(130)는 외부의 유체를 몸체부(110) 내부로 흡입한다. 이를 통해, 몸체부(11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한다. 이 경우, 몸체부(110) 내부의 유체는 압력이 낮은 곳을 향하여 유동된다. 즉, 몸체부 내부의 유체는 분사부(112)를 통하여 몸체부(110)의 외측을 향하여 유동된다.
다만, 분사부(112)의 개방된 단부는 플렉시블 유체관의 개방단(155c)에 의해 감싸져 있으므로, 몸체부(110) 내부의 유체는 플렉시블 유체관(155)의 외주면(155b)을 가압하면서 몸체부(110)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즉, 플렉시블 유체관(155)의 외주면(155b)은 몸체부(110)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되고 뒤집힌다.
이를 통해, 플렉시블 유체관(155)은 분사부(112)에서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된다.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팽창 중인 제2 상태가 도 2b에 도시된다.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개방단(155c) 측에서 팽창됨에 따라 유체관 클립부(114)에 권취되어 있는 플렉시블 유체관(155)의 폐쇄단(155d) 측은 유체관 클립부(114)와 함께 회전된다. 이를 통해, 권취되어 있던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유체관 클립부(114)로부터 풀려 나온다.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소정 거리 이상 팽창되면 폐쇄단(155d)은 유체관 고정홈(114a)으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폐쇄단(155d)은 분사부(112)를 통해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모두 팽창되는 경우, 폐쇄단(155d)이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가장 멀리 이격된다.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모두 팽창된 제3 상태가 도 2c에 도시된다.
(3) 몸체부와 플렉시블 유체관의 연결관계에 대한 구체적 설명
이하에서는, 도 3a를 참조하여, 몸체부와 플렉시블 유체관의 연결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는 도 2a의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의 플렉시블 유체관이 팽창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다.
연결캡(151)은 개방단(155c)과 상기 분사부 사이에 배치되고, 개방단(155c) 및 분사부(112)와 각각 결합된다.
연결캡(151)은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부(112)는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개방된 단부를 구비한다.
분사부(112)의 개방된 단부는 연결캡(151)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 결합부(1121)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 결합부(1121)는 인접한 부분보다 얇게 형성된다. 즉, 분사부(112)의 외주면은 단차지도록 형성된다.
돌출 결합부(1121)의 외주면에는 결합돌부(1121a)가 형성된다. 결합돌부(1121a)는 돌출 결합부(1121)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연결캡(151)은 일 측에 돌출 결합부(1121)를 수용하도록 내주면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된 오목 결합부(1511)를 구비한다.
오목 결합부(1511)의 내주면에는 결합돌부(1121a)와 맞물리는 결합홈(1511a)이 형성된다.
돌출 결합부(1121)가 오목 결합부(1511)에 삽입되고, 결합돌부(1121a)가 결합홈(1511a)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분사부(112)와 연결캡(151)이 결합된다.
연결캡(151)의 일 측과 대향하는 타 측에는 유체관 수용홈(1513)이 형성된다. 유체관 수용홈(1513)은 타 측에서 몸체부(110)를 향하여 소정 길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 유체관 수용홈(1513)은 타 측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플렉시블 유체관(155)의 개방단(155c)을 수용한다.
돌출 결합부(1121)의 외주면과 오목 결합부(1511)의 내주면의 결합은 상술한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공지의 결합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결합부(1121)의 외주면과 오목 결합부(1511)의 내주면은 나사결합 될 수 있고, 돌출 결합부(1121)가 오목 결합부에 압입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구조에 의해 선통부(150)와 분사부(112)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4) 플렉시블 유체관의 팽창과정에 대한 구체적 설명
이하에서는,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플렉시블 유체관의 팽창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도 2a의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의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팽창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다.
도 3a는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팽창되기 전의 제1 상태를 도시하고, 도 3b는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팽창 중인 제2 상태를 도시하며, 도 3c는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거의 다 팽창된 제3 상태를 도시한다.
분사부(112) 및 플렉시블 유체관(155)의 외주면(155b)이 펌프(130)에 의해 몸체부(110) 내로 흡입된 유체가 유입되는 팽창유로(F)를 형성한다.
제1 상태에서 펌프(130)가 구동되면, 펌프(130)는 외부의 유체를 몸체부(110) 내부로 흡입한다. 이를 통해, 몸체부(11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한다. 이 경우, 몸체부(110) 내부의 유체는 압력이 낮은 곳을 향하여 유동된다. 즉, 몸체부 내부의 유체는 분사부(112)를 통하여 몸체부(110)의 외측을 향하여 유동된다.
이 때, 분사부(112)와 분사부(112)에 인접한 개방단(155c) 주변의 외주면(155b) 사이에 팽창유로(F)가 형성된다. 몸체부(110) 내부의 유체는 팽창유로(F)로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는 내주면(155a)과 외주면(155b)이 뒤집힌 절곡부(V1)를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가압한다.
이를 통해, 접혀있던 절곡부(V1)가 펴지고, 절곡부(V1)의 내측에 있던 플렉시블 유체관(155)을 절곡부(V1)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몸체부(110) 내측에 있던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몸체부(110)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팽창된다.
제2 상태를 살펴보면, 제1 상태에서 몸체부(110)의 내측에 위치했던 제1 지점(P1)의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몸체부(110)의 외측의 제2 지점(P2)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1 상태에서의 접혀 있던 절곡부(V1)가 펴지면서 절곡부(V1)의 내측에 위치했던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절곡부(V1)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절곡부(V1)의 내측에 위치했던 플렉시블 유체관(155) 뒤집히면서 새로운 절곡부(V2)를 형성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팽창유로(F)가 몸체부(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차 연장되고,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몸체부(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된다.
플렉시블 유체관(155)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플렉시블 로프(153)도 플렉시블 유체관(155)을 따라 이동된다.
도 3c에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거의 다 팽창된 제3 상태가 도시된다.
(5) 케이블 포설과정에 대한 구체적 설명
이하에서는, 도 4a, 도 4b 및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100)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의 플렉시블 유체관이 관로에서 팽창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4b는 도 4a의 팽창된 플렉시블 유체관 내부의 유체를 펌프를 통해 배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유체관을 케이블에 연결하여 견인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념도다.
플럭시블 유체관(155)을 관로(20)에 삽입하기 위하여, 몸체부(110)를 관로(20)의 일 측에 배치시킨다. 분사부(112)는 관로(20)의 일 측에 상기 일 측과 대향하는 타 측을 향한다.
펌프(130)가 가동되어 제1 흡배기구(134)를 통해 외부의 유체가 몸체부(110)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된 유체는 플럭시블 유체관(155)을 관로(20)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팽창시킨다.
플럭시블 유체관(155)이 팽창하는 과정에서 걸림부(21)와 접촉되는 경우, 흡입된 유체가 걸림부(21)가 없는 빈 공간으로 플럭시블 유체관(155)의 외주면(155b)을 가압한다. 즉, 플럭시블 유체관(155)은 걸림부(21)를 회피하여 빈 공간으로 팽창된다.
관로(20)의 관경이 너무 좁거나, 관로(20)의 이미 케이블이 포설되어 있거나, 관로(20)가 복잡하게 절곡되어 있는 경우에도 플럭시블 유체관(155)은 빈 공간으로 팽창될 수 있다.
즉, 관로(20)가 폐쇄된 경우가 아니라면, 본 발명에 따른 선통부(150)는 빈 공간을 찾아 팽창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통부(150)는 다양한 상태 및 형상의 관로(20)에서 원활하게 팽창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유체관(155)은 플렉시블 유체관(155)의 절곡부(V1, V2)의 내측에 위치된 부분이 외측을 향해 이동되는 방식으로 팽창되므로, 관로(20)와의 마찰이 미미하다. 따라서, 플렉시블 유체관(155)은 장거리 관로(20)에서도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다. 즉, 장거리 관로(20)에 케이블(31)을 원활하게 포설할 수 있다.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모두 팽창되어 관로(20)의 타 측으로 돌출되면, 펌프(130)를 역 가동한다. 역 가동된 펌프(130)는 플렉시블 유체관(155) 내부의 유체를 제1 흡배기구(134)를 통해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배출한다.
이 경우, 관로(20)를 관통하는 플렉시블 로프(153)의 외주면에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부착되어 하나의 견인선(250)을 형성한다.
견인선(250)을 몸체부(110)로부터 분리한다.
견인선(250)은 플렉시블 로프(153), 플렉시블 로프(153)의 외주면에 부착된 플렉시블 유체관(155) 및 연결캡(15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캡(151)에서 플렉시블 로프(153) 및 플렉시블 로프(153)의 외주면에 부착된 플렉시블 유체관(155)을 절삭하는 경우, 견인선(250)은 플렉시블 로프(153) 및 플렉시블 로프(153)의 외주면에 부착된 플렉시블 유체관(155)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관로(20)의 타 측으로 돌출된 견인선(250)의 단부를 케이블(31)과 연결하고, 견인선(250)을 관로(20)의 일 측을 향하여 견인하여 케이블(31)을 관로(20)의 타 측에서 일 측으로 이동시킨다.
또는, 관로(20)에 일 측에 위치하는 견인선(250)의 단부를 선통선(11)과 연결하고, 작업자 또는 모터가 선통선 권취부(13)를 회전시켜 선통선(11)을 견인한다. 이를 통해, 케이블(31)이 관로(20)의 타 측에서 일 측으로 이동된다.
4.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방법에 대한 설명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방법의 변형 예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다.
먼저, 관로(20)의 일 측에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100)를 배치한다(S100).
관로(20)의 일 측에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100)를 배치한다. 몸체부(110)의 분사부(112)가 관로(20)의 일 측과 대향하는 타 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몸체부(110) 내의 펌프(130)를 가동하여 플렉시블 유체관(155)을 관로(20)의 일 측과 대향하는 타 측을 향하여 팽창시킨다(S200).
펌프(130)가 몸체부(110) 외부의 유체를 몸체부(110)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유체는 팽창유로(F)로 유입되어 플렉시블 유체관(155)을 팽창시킨다. 플렉시블 유체관(155)은 관로(20)의 타 측을 향하여 빈 공간을 찾아 팽창된다.
플렉시블 유체관(155)의 외주면(155a)에 부착된 플렉시블 로프(153)도 관로(20)의 타 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그리고, 몸체부(110) 내의 펌프(130)를 역 가동하여 팽창된 플렉시블 유체관(155) 내부의 유체를 제거한다(S300).
펌프(130)가 몸체부(110) 내부의 유체를 몸체부(110) 외부로 배출한다. 플렉시블 유체관(155) 내부의 유체는 제1 흡배기구(134)를 통해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 경우, 관로(20)를 관통하는 플렉시블 로프(153)의 외주면에 플렉시블 유체관(155)이 부착되어 하나의 견인선(250)을 형성한다.
그리고, 관로(20)의 타 측에서 플렉시블 유체관(155)과 케이블(31)을 연결한다(S400).
케이블(31)을 견인하기 위하여, 관로(20)의 타 측으로 돌출된 플렉시블 유체관(155)의 폐쇄단(155d)과 케이블(31)을 연결한다.
그러한 다음, 케이블(31)을 관로(20)의 일 측을 향하여 견인한다(S500).
견인선(250)을 관로(20)의 일 측으로 당겨 케이블(31)을 견인할 수 있다.
또한, 견인선(250)에 다른 선통선(11)을 연결하고, 상기 선통선(11)을 당겨 케이블(31)을 견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견인선(250)을 몸체부(110)로부터 분리한다. 즉, 플렉시블 유체관(155)을 몸체부(110)에서 분리한다(S420). 그리고, 관로(20)의 일 측에서 플렉시블 유체관(155)과 선통선(11)을 연결한다(S440).
그러한 다음, 케이블(31)을 관로(20)의 일 측을 향하여 견인한다(S500). 작업자 또는 모터가 선통선 권취부(13)를 회전시켜 선통선(11)을 견인한다. 이를 통해, 케이블(31)이 관로(20)의 타 측에서 일 측으로 이동된다
플렉시블 유체관(155)을 직접 당기지 않고, 다른 선통선(11)에 연결해 모터로 당기므로, 케이블(31)을 보다 효율적으로 견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케이블 포설 방법은 상술한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100)를 통해 케이블(31)을 견인하는 방법으로, 간략하게 설명되거나 생략된 부분은 상술한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10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케이블 포설 장치
11: 선통선
13: 선통선 권취부
20: 관로
21: 걸림부
30: 케이블부
31: 케이블
32: 케이블 권취부
100: 공압식 케이블 포설 장치
110: 몸체부
112: 분사부
1121: 돌출결합부
1121a: 결합돌부
114: 유체관 클립부
114a: 유체관 고정홈
130: 펌프
132: 배출구, 제2 흡배기구
134: 흡입구, 제1 흡배기구
150: 선통부
151 연결캡
1511: 오목결합부
1511a: 결합홈
1513: 유체관 수용홈
153: 플렉시블 로프
155: 플렉시블 유체관
155a: 내주면
155b: 외주면
155c: 개방단
155d: 폐쇄단
F: 팽창유로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V1: 절곡부
V2: 절곡부

Claims (11)

  1.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분사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에 설치되는 펌프; 및
    폐쇄된 일 단이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개방된 타 단이 상기 분사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유체관을 포함하고,
    상기 타 단은 내주면과 외주면이 뒤집힌 상태로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분사부 및 상기 외주면이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몸체부 내로 흡입된 유체가 유입되는 팽창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외주면이 상기 팽창유로로 유입된 유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이 상기 분사부에서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되며,
    상기 펌프는,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토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단에서 상기 타 단을 향해 연장되는 플렉시블 로프가 부착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는 유체관 고정홈을 구비하는 유체관 클립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은,
    상기 일 단이 상기 유체관 고정홈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유체관 클립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권취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 단과 상기 분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타 단 및 상기 분사부와 각각 결합되는 연결캡을 더 포함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연결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 결합부의 외주면에 결합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캡은,
    일 측에 상기 돌출 결합부를 수용하도록 내주면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된 오목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돌부와 맞물리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일 측과 대향하는 타 측에 유체관 수용홈이 형성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7. 관로의 일 측에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의 몸체부 내의 펌프를 가동하여 플렉시블 유체관을 상기 관로의 일 측과 대향하는 타 측을 향하여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펌프를 역 가동하여 팽창된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 내부의 유체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관로의 타 측에서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을 상기 관로의 일 측을 향하여 견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을 상기 몸체부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관로의 일 측에서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과 선통선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방법.
  9.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분사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에 설치되는 펌프;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체관 클립부; 및
    폐쇄된 일 단이 상기 유체관 클립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체관 클립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권취되는 플렉시블 유체관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의 개방된 타 단은 상기 분사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에 배치되어, 내주면과 외주면이 뒤집힌 상태로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분사부 및 상기 외주면이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몸체부 내로 흡입된 유체가 유입되는 팽창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외주면이 상기 팽창유로로 유입된 유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이 상기 분사부에서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흡배기구 및 상기 제1 흡배기구와 연통되는 제2 흡배기구를 포함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유체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단에서 상기 타 단을 향해 연장되는 플렉시블 로프가 부착되는,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KR1020190133177A 2019-10-24 2019-10-24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KR102285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177A KR102285243B1 (ko) 2019-10-24 2019-10-24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177A KR102285243B1 (ko) 2019-10-24 2019-10-24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909A KR20210048909A (ko) 2021-05-04
KR102285243B1 true KR102285243B1 (ko) 2021-08-04

Family

ID=7591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177A KR102285243B1 (ko) 2019-10-24 2019-10-24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2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17901B (zh) * 2023-11-16 2024-04-05 浙江朔风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弱电工程线路布线走线辅助设备及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5166A (ja) * 2009-08-19 2011-03-03 Ichimatsu Denki Koji Kk 挿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946B1 (ko) 2008-10-08 2011-10-26 주식회사 케이티 케이블 포설 장비
KR20160002929U (ko) * 2015-02-13 2016-08-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5166A (ja) * 2009-08-19 2011-03-03 Ichimatsu Denki Koji Kk 挿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909A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0545B1 (en) Deployment of equipment into fluid containers and conduits
US5922995A (en) Partitioning device for a tubular conduit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EP2031720B1 (en) System for the simultaneous introduction of two items into a conduit
ES2239755T3 (es) Instalacion de conductos para cables.
KR102285243B1 (ko) 공압식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US201403535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cable
KR20110033839A (ko) 직물 슬리브를 구비하는 통신 케이블
US6409155B1 (en) Method of inserting a light transmitting member into a tube
BE1010492A3 (nl) Systeem voor het trekken van een kabel door een een mediumleiding.
JPH0774849B2 (ja) 線材の布設・回収装置および布設・回収方法
US7018136B2 (en) Method installing a duct,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and a tape-shape element for use with said method
EP0429457A1 (en) Conduit liner assembly
KR100904609B1 (ko) 공압을 이용하여 광케이블이 포설된 내관에 추가의광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광케이블 견인선 포설 장치 및방법
JP3501043B2 (ja) 光ケーブル気体圧送工法
JP4117861B2 (ja) 挿線方法
JP2000102129A (ja) ケーブル通線方法
JP5557369B2 (ja) ケーブル敷設構造およびケーブル敷設方法
US20220260743A1 (en) Underground pipe detection system
JP3647242B2 (ja) 曲管部のパイプインパイプ工法
JP3858130B2 (ja) 配線・配管材の布設方法、及び端末キャップ
JP4092698B2 (ja) 端末キャップ
KR19990021763U (ko) 지중 배관 내의 전선 매설 장치
JP3508588B2 (ja) 光ケーブル空気圧送工法
JP3000338B2 (ja) 配線・配管用ダクト装置及び配線・配管用ダクト内へのケーブルや管の引込み方法
KR19990081329A (ko) 풀링아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