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076B1 -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076B1
KR102285076B1 KR1020170178467A KR20170178467A KR102285076B1 KR 102285076 B1 KR102285076 B1 KR 102285076B1 KR 1020170178467 A KR1020170178467 A KR 1020170178467A KR 20170178467 A KR20170178467 A KR 20170178467A KR 102285076 B1 KR102285076 B1 KR 102285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pipe
heat exchanger
main pip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566A (ko
Inventor
박주형
조한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076B1/ko
Priority to PCT/KR2018/013735 priority patent/WO2019117477A1/ko
Publication of KR20190076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28D21/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for thermal power plants or industrial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28F27/006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Abstract

배가스가 내부를 통해 흐르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 연결되며 제1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외기공급관과, 배가스의 유동 경로 상 상기 외기공급관의 연결부 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주배관에 설치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 내 또는 상기 혼합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1 온도센서와, 배가스의 유동 경로 상 상기 혼합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배가스 또는 배가스와 외기의 혼합가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기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에 설치되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Apparatus for recovering waste heat}
본 발명은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산업설비들은 기체, 액체, 고체를 연료 또는 원료로 사용하여 생산품을 제조한 후 열에너지 일부를 대기에 방출하고 있으며, 특히 대표적인 열설비인 연소로, 전기로 등의 공업로와 발전소를 포함한 보일러 등의 열설비에서는 통상 100oC 이상의 배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이들 열설비의 열효율을 향상하고 에너지절감 위해 배열원을 이용하여 공기를 예열하거나 스팀을 생산하기도 한다.
그러나 열설비의 운전부하 변동에 의해 배가스 유량 및 온도 변화가 커서 공기 예열온도 및 스팀의 생산량 등의 변동성이 커서 그 활용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배열 열교환 시스템에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배열 열교환 시스템의 열회수 유체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By-pass 배관의 유량을 조절하여 배열회수를 수행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고온의 배가스가 급격하게 배출될 때 배열 열 교환 시스템의 대응이 늦어져 배열 열교환기가 파손되거나 열교환 tube 등의 장기 안정성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남기게 된다.
또한, By-pass 배관으로 유량을 조절하게 되면 배열회수 열교환기의 열손상은 일부 막을 수 있지만 열회수 효율이 낮아지며 다수의 밸브, 댐프, 센서, IDF 등의 설치로 투자비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587744호
열교환기의 열손상 방지, 안정성 제고 및 열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는 배가스가 내부를 통해 흐르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 연결되며 제1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외기공급관과, 배가스의 유동 경로 상 상기 외기공급관의 연결부 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주배관에 설치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 내 또는 상기 혼합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1 온도센서와, 배가스의 유동 경로 상 상기 혼합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배가스 또는 배가스와 외기의 혼합가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기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에 설치되는 흡입팬을 포함한다.
상기한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는 상기 제1 온도센서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주배관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배관에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과 상기 주배관의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주배관에 설치되는 제2 개폐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는 상기 열교환기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는 제3 개폐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열전달유체용 배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전달유체용 배관에 설치되는 펌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열전달유체용 배관에 설치되는 제2 온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유체용 배관은 열기관용 열교환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열전달유체용 배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연결되며, 고체를 이송하는 이송부재가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기에 설치되는 제3 온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배관에는 상기 흡입팬의 전단에 배치되는 집진설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배관에는 상기 외기공급관의 연결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압력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배관에는 상기 외기공급관의 연결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유입부용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는 상기 제1 온도센서 및 제1 개폐밸브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1 온도센서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주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는 일단이 상기 열교환기의 전단에서 상기 주배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열교환기의 후단에서 상기 주배관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배관에는 상기 열교환기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제2 개폐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는 제3 개폐밸브가 구비될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열전달유체용 배관과, 상기 열교환기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열전달유체용 배관에 설치되는 제2 온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고체를 이송하는 이송부재가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이송부재를 통해 이송되는 고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4 온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열교환기의 열손상 방지, 안정성 제고 및 열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100)는 일예로서, 주배관(110), 외기공급관(120), 혼합부(130), 제1 온도센서(140), 바이패스 배관(150), 열교환부(160), 흡입팬(170), 집진설비(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배관(110)을 통해서는 배가스가 흐른다. 일예로서, 주배관(110)은 대표적인 열설비인 연소로, 전기로 등의 공업로와 발전소를 포함한 보일러 등의 열설비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주배관(110)의 배가스 유입부 측, 즉 외기공급관(120)이 연결된 부분의 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110)에는 압력센서(111)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압력센서(111)는 제어부(190)에 연결되어 주배관(110)으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유입 압력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190)는 흡입팬(170)을 제어하여 전단 설비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배가스의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배관(110)의 배가스 유입부 측, 즉 압력센서(111)에 인접 배치되도록 주배관(110)에는 유입부용 온도센서(113)가 설치될 수 있다. 유입부용 온도센서(113)는 유입되는 배가스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최종적으로 혼합부(130)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외기공급 관(120)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량을 선행하여 결정하기 위하여 주배관(110) 에 설치될 수 있다.
외기공급관(120)은 주배관(110)에 연결되며 주배관(110)으로 외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외기공급관(120)에는 제1 개폐밸브(122)가 구비된다. 또한, 제1 개폐밸브(122)도 제어부(190)에 연결되어 제1 온도센서(140)의 신호에 따라 제1 개폐밸브(122)가 개폐될 수 있다.
혼합부(130)는 외기공급관(120)이 연결되는 부분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110)에 설치된다. 즉, 혼합부(130)에서는 주배관(110)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가스와 외기공급관(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가 혼합되는 영역으로, 일예로서 챔버 형상, 믹서(mixer) 형상 또는 긴 관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혼합부(130)가 주배관(110)에 배치되므로, 배가스의 유입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거나 배가스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더라도 혼합부(130)에서 미리 배가스와 외기가 혼합됨으로써 열교환부(160)에 가해지는 열에 의한 열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 온도센서(140)는 혼합부(130)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1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온도센서(140)는 혼합부(130)를 통과하여 주배관(110)을 흐르는 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한편, 제1 온도센서(140)는 제어부(19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온도센서(14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외기공급관(120)의 제1 개폐밸브(122)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주배관(110)에 설치되는 혼합부(130)의 후단에 제1 온도센서(140)가 설치되어 혼합부(130)를 통과하는 배가스와 외기의 혼합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혼합부(130)로 공급되는 외기의 유입량이 조절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온도센서(140)가 혼합부(130)의 후단에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온도센서(140)는 혼합부(13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바이패스 배관(150)은 제1 온도센서(140)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110)에 연결된다. 일예로서, 바이패스 배관(150)은 주배관(110)에서 열교환부(160)로 배가스가 유동되도록 하는 제1 바이패스 배관(152)과, 열교환부(160)로부터 주배관(110)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제2 바이패스 배관(154)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바이패스 배관(150)으로의 배가스의 유입량은 주배관(110)에 설치되는 제2 개폐밸브(112)와, 바이패스 배관(150)의 제2 바이패스 배관(154)에 설치되는 제3 개폐밸브(156)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일예로서, 제3 개폐밸브(156)가 폐쇄되고 제2 개폐밸브(112)가 개방되는 경우 배가스는 바이패스 배관(150)을 따라 흐르지 않고 주배관(110)을 통해서만 흐른다. 그리고, 제2 개폐밸브(112)가 폐쇄되고 제3 개폐밸브(156)가 개방되는 경우 배가스는 바이패스 배관(150)을 따라 흐르고 주배관(110)을 통해서는 흐르지 않는다.
즉, 제2,3 개폐밸브(112,156)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바이패스 배관(150)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열교환부(160)는 바이패스 배관(150)에 연결되는 열교환기(162)를 구비한다. 또한, 열교환부(160)는 열교환기(162)에 연결되며 열전달유체가 흐르는 열전달유체용 배관(164), 열전달유체용 배관(164)에 설치되는 펌프(166) 및 열교환기(162)를 통과한 열전달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열전달유체용 배관(164)에 설치되는 제2 온도센서(168)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온도센서(168)도 제어부(190)에 연결되며, 제2 온도센서(168)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190)는 제2,3 개폐밸브(112,156)를 제어하는 동시에 제1 개폐밸브(122)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90)는 제2 온도센서(168)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펌프(166)를 제어하여 열전달유체의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흡입팬(170)은 바이패스 배관(150)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110)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팬(170)은 배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흡입팬(170)에 의해 주배관(110)으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유입량 및 전단설비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집진설비(180)는 흡입팬(170)의 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110)에 설치되어 배가스로부터 더스트 및 기타 일정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온도센서(140) 및 제1 개폐밸브(122)에 연결되며, 제1 온도센서(14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1 개폐밸브(122)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1 온도센서(140)에서 감지되는 배가스 또는 배가스와 외기의 혼합가스의 온도에 따라 제1 개폐밸브(122)를 제어하여 외기의 유입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혼합부(130)를 통과하는 배가스 혼합가스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혼합부(130)를 통과하는 배가스 또는 혼합가스의 온도를 제어하여 열교환부(160)로 제공되는 배가스 또는 혼합가스의 온도, 즉 회수 열에너지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2 온도센서(168) 및 제2,3 개폐밸브(112,156)에 연결되며, 제2 온도센서(168)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2,3 개폐밸브(112,156)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2 온도센서(168)에서 감지되는 열전달유체의 온도에 따라 제2,3 개폐밸브(112,156)를 제어하여 바이패스 배관(150)을 통해 유동하는 배가스 또는 혼합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90)는 압력센서(111), 온도센서(113) 및 흡입팬(17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센서(111)로부터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흡입팬(170)을 제어하여 주배관(110)으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유입량 및 전단 설비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90)가 복수개의 센서 및 복수개의 밸브에 연결되어 제어부(190)가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100)의 전반적이고 복합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배관(110)을 통해 유동하는 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 외기공급관(120)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주배관(110) 측에 배치되는 혼합부(130)에서 배가스와 혼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부(130)에서 혼합된 배가스와 외기의 혼합가스가 열교환부(160)로 제공되므로, 배가스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에도 열교환기(162)에 가해지는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160)로 제공되는 혼합가스의 온도를 설정온도 범위 내로 맞출 수 있으므로, 결국 배가스에 의한 열교환기(162)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제2,3 개폐밸브(112,156)를 통해 바이패스 배관(150)으로 유동하는 배가스의 유량 및 온도를 조절하여 열교환기(162)의 열손상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으며 더하여 열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200)는 일예로서, 주배관(110), 외기공급관(120), 혼합부(130), 제1 온도센서(140), 바이패스 배관(150), 열교환부(260), 흡입팬(170), 집진설비(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주배관(110), 외기공급관(120), 혼합부(130), 제1 온도센서(140), 바이패스 배관(150), 흡입팬(170), 집진설비(180)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열교환부(260)는 바이패스 배관(150)에 연결되는 열교환기(262)와,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열전달유체용 배관(264), 열전달유체용 배관(264)에 설치되는 펌프(266)와, 열교환기(262)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열전달유체용 배관(264)에 설치되는 제2 온도센서(268)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260)에는 열전달유체와의 열전달을 위한 열기관용 열교환기(269)가 구비될 수 있다. 열기관용 열교환기(269)에는 열기관용 유체가 유동하는 열기관용 유체 배관(269a)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300)는 일예로서, 주배관(110), 외기공급관(120), 혼합부(130), 제1 온도센서(140), 바이패스 배관(150), 열교환부(360), 흡입팬(170), 집진설비(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주배관(110), 외기공급관(120), 혼합부(130), 제1 온도센서(140), 바이패스 배관(150), 흡입팬(170), 집진설비(180)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열교환부(360)는 바이패스 배관(150)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열교환기(362)와, 열교환기(362)를 통과하여 바이패스 배관(150)과 열교환하는 열전달유체용 배관(364) 및 열교환기(362)에 설치되어 열교환기(362)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3 온도센서(366)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온도센서(366)를 통해 열교환기(362)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열교환부(360)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배관(150)을 통해 유입되는 배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362)의 열손상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으며 더하여 열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400)는 일예로서, 주배관(110), 외기공급관(120), 혼합부(130), 제1 온도센서(140), 바이패스 배관(150), 열교환부(460), 흡입팬(170), 집진설비(180) 및 제어부(190)를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주배관(110), 외기공급관(120), 혼합부(130), 제1 온도센서(140), 바이패스 배관(150), 흡입팬(170), 집진설비(180)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열교환부(460)는 바이패스 배관(150)이 연결되는 열교환기(462)와, 열교환기(46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이송부재(464) 및 및 열교환기(462)에 설치되어 열교환기(462)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3 온도센서(466)를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열교환기(462)는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462) 내부 공간에서 이송부재(464)를 통해 이송되는 고체(예를 들어, 석탄 등)와 바이패스 배관(150)을 통해 공급되는 배가스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재(464)에는 이송되는 고체의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장치(464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바이패스 배관(150)으로 공급되는 배가스의 유입량에 맞추어 이송부재(464)를 통해 이송되는 고체의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속도조절장치(464a)가 이송부재(464)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3 온도센서(466)가 열교환기(462)에 설치되므로, 제3 온도센서(466)를 통해 열교환기(462)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열교환부(460)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배관(150)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462)의 열손상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으며 더하여 열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500)는 일예로서, 주배관(510), 외기공급관(520), 혼합부(530), 제1 온도센서(540), 바이패스 배관(550), 열교환부(560), 흡입팬(570), 집진설비(580) 및 제어부(590)를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배관(510)을 통해서는 배가스가 내부를 통해 흐른다. 일예로서, 주배관(510)은 대표적인 열설비인 연소로, 전기로 등의 공업로와 발전소를 포함한 보일러 등의 열설비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주배관(510)의 배가스 유입부 측, 즉 외기공급관(520)이 연결된 부분의 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510)에는 압력센서(511)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압력센서(511)는 제어부(590)에 연결되어 주배관(510)으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유입 압력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59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590)는 흡입팬(570)을 제어하여 전단 설비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배가스의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배관(510)의 배가스 유입부 측, 즉 압력센서(511)에 인접 배치되도록 주배관(510)에는 유입부용 온도센서(513)가 설치될 수 있다. 유입부용 온도센서(513)는 유입되는 배가스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최종적으로 혼합부(530)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외기공급 관(520)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량을 선행하여 결정하기 위하여 주배관(510)에 설치될 수 있다.
외기공급관(520)은 주배관(510)에 연결되며 주배관(510)으로 외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외기공급관(520)에는 제1 개폐밸브(522)가 구비된다. 또한, 제1 개폐밸브(522)도 제어부(590)에 연결되어 제1 온도센서(540)의 신호에 따라 제1 개폐밸브(522)가 개폐될 수 있다.
혼합부(530)는 외기공급관(520)이 연결되는 부분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510)에 설치된다. 즉, 혼합부(530)에서는 주배관(510)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가스와 외기공급관(520)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가 혼합되는 영역으로, 일예로서 챔버 형상, 믹서(mixer) 형상 또는 긴 관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혼합부(530)가 주배관(510)에 배치되므로, 배가스의 유입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거나 배가스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더라도 혼합부(130)에서 미리 배가스와 외기가 혼합됨으로써 열교환부(160)에 가해지는 열에 의한 열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 온도센서(540)는 혼합부(530)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5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온도센서(540)는 혼합부(530)를 통과하여 주배관(510)을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한편, 제1 온도센서(540)는 제어부(59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90)는 제1 온도센서(54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외기공급관(520)의 제1 개폐밸브(522)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주배관(510)에 설치되는 혼합부(530)의 후단에 제1 온도센서(540)가 설치되어 혼합부(530)를 통과하는 배가스와 외기의 혼합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혼합부(530)로 공급되는 외기의 유입량이 조절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온도센서(140)가 혼합부(130)의 후단에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온도센서(140)는 혼합부(13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바이패스 배관(550)은 제1 온도센서(540)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510)에 연결된다. 바이패스 배관(550)은 열교환부(560)을 통과하지 않고 배가스가 흐를 수 있도록 주배관(51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바이패스 배관(550)에는 후술할 제2 개폐밸브(512)과 함께 열교환부(560)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하도록 제3 개폐밸브(552)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제3 개폐밸브(552)가 폐쇄되고 제2 개폐밸브(512)가 개방되는 경우 배가스는 바이패스 배관(550)을 따라 흐르지 않고 주배관(510)을 통해 흐른다.그리고, 제2 개폐밸브(512)가 폐쇄되고 제3 개폐밸브(552)가 개방되는 경우 배가스는 바이패스 배관(550)을 통해서만 흐르고 주배관(510)을 통해서는 흐르지 않는다.
즉, 제2,3 개폐밸브(512,552)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바이패스 배관(550)을 통해 흐르는 배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열교환부(560)는 주배관(510)에 연결되는 열교환기(562)를 구비한다. 또한, 열교환부(560)는 열교환기(562)에 연결되며 열전달유체가 유동하는 열전달유체용 배관(564), 열교환기(562)를 통과한 열전달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열전달유체용 배관(564)에 설치되는 제2 온도센서(566) 및 열전달유체용 배관(564)에 설치되는 제4 개폐밸브(568)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온도센서(566)도 제어부(590)에 연결되며, 제2 온도센서(56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590)는 제2,3 개폐밸브(512,552)를 제어하는 동시에 제1 개폐밸브(522)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90)는 제2 온도센서(56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4 개폐밸브(568)를 제어하여 열전달유체의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흡입팬(570)은 바이패스 배관(550)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510)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팬(570)은 배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흡입팬(570)에 의해 주배관(510)으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유입량 및 전단설비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집진설비(580)는 흡입팬(570)의 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510)에 설치되어 배가스로부터 더스트 및 기타 일정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590)는 제1 온도센서(540) 및 제1 개폐밸브(522)에 연결되며, 제1 온도센서(54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1 개폐밸브(522)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1 온도센서(540)에서 감지되는 배가스 또는 배가스와 외기의 혼합가스의 온도에 따라 제1 개폐밸브(522)를 제어하여 외기의 유입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혼합부(530)를 통과하는 배가스 혼합가스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혼합부(530)를 통과하는 배가스 또는 혼합가스의 온도를 제어하여 열교환부(560)로 제공되는 배가스 또는 혼합가스의 온도, 즉 회수 열에너지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590)는 제2 온도센서(566) 및 제2,3 개폐밸브(512,552)에 연결되며, 제2 온도센서(56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2,3 개폐밸브(512,552)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2 온도센서(566)에서 감지되는 열전달유체의 온도에 따라 제2,3 개폐밸브(512,552)를 제어하여 바이패스 배관(550)을 통해 흐르는 배가스 또는 혼합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90)는 압력센서(511) 및 흡입팬(57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센서(511)로부터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흡입팬(570)을 제어하여 주배관(510)으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유입량 및 전단 설비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590)가 복수개의 센서 및 복수개의 밸브에 연결되어 제어부(590)가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100)의 전반적이고 복합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배관(510)을 통해 유동하는 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 외기공급관(520)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주배관(510) 측에 배치되는 혼합부(530)에서 배가스와 혼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부(530)에서 혼합된 배가스와 외기의 혼합가스가 열교환부(560)로 제공되므로, 배가스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에도 열교환기(562)에 가해지는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560)로 제공되는 혼합가스의 온도를 설정온도 범위 내로 맞출 수 있으므로, 결국 배가스에 의한 열교환기(562)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제2,3 개폐밸브(512,552)를 통해 바이패스 배관(550)으로 유동하는 배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열교환기(562)의 열손상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으며 더하여 열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600)는 일예로서, 주배관(510), 외기공급관(520), 혼합부(530), 제1 온도센서(540), 바이패스 배관(550), 열교환부(660), 흡입팬(570), 집진설비(580) 및 제어부(5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주배관(510), 외기공급관(520), 혼합부(530), 제1 온도센서(540), 바이패스 배관(550), 흡입팬(570), 집진설비(580)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열교환부(660)는 주배관(510)에 연결되는 열교환기(662)와, 열교환기(66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이송부재(664) 및 이송부재(664) 상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이송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3 온도센서(666)를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열교환기(662)는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662) 내부 공간에서 이송부재(664)를 통해 이송되는 고체(예를 들어, 석탄 등)와 바이패스 배관(550)을 통해 공급되는 배가스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재(664)에는 이송되는 고체의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장치(664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주배관(510)으로 공급되는 배가스의 유입량에 맞추어 이송부재(664)를 통해 이송되는 고체의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속도조절장치(664a)가 이송부재(664)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3 온도센서(666)가 이송부재(664) 상에 설치되므로, 제3 온도센서(666)를 통해 이송되는 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열교환부(660)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배관(550)을 통해 유동하는 배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662)의 열손상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으며 더하여 열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700)는 일예로서, 주배관(110), 외기공급관(120), 혼합부(130), 제1 온도센서(140), 열교환부(760), 흡입팬(170), 집진설비(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부(760)는 주배관(110)에 연결되는 열교환기(762)를 구비한다. 또한, 열교환부(760)는 열교환기(762)에 연결되며 열전달유체가 유동하는 열전달유체용 배관(764), 열교환기(762)를 통과한 열전달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열전달유체용 배관(764)에 설치되는 제2 온도센서(766) 및 열전달유체용 배관(764)에 설치되는 제4 개폐밸브(768)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온도센서(766)도 제어부(190)에 연결되며, 제2 온도센서(76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190)는 제1 개폐밸브(122)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90)는 제2 온도센서(76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4 개폐밸브(968)를 제어하여 열전달유체의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800)는 일예로서, 주배관(110), 외기공급관(120), 혼합부(130), 제1 온도센서(140), 열교환부(860), 흡입팬(170), 집진설비(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부(860)는 주배관(110)에 연결되는 열교환기(862)와, 열교환기(86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이송부재(864) 및 이송부재(864) 상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이송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3 온도센서(866)를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열교환기(862)는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862) 내부 공간에서 이송부재(864)를 통해 이송되는 고체(예를 들어, 석탄 등)와 주배관(110)을 통해 공급되는 배가스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재(864)에는 이송되는 고체의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장치(464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주배관(110)으로 공급되는 배가스의 유입량에 맞추어 이송부재(864)를 통해 이송되는 고체의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속도조절장치(864a)가 이송부재(464)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3 온도센서(866)가 이송부재(864) 상에 설치되므로, 제3 온도센서(866)를 통해 이송되는 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열교환부(860)에 연결되는 주배관(110)을 통해 유동하는 배가스와 외기의 혼합가스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862)의 열손상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으며 더하여 열회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110, 510 : 주배관
120, 520 : 외기공급관
130, 530 : 혼합부
140, 540 : 제1 온도센서
150, 550 : 바이패스 배관
160, 260, 360, 460, 560, 660, 760, 860 : 열교환부
170, 570 : 흡입팬
180, 580 : 집진설비
190, 590 : 제어부

Claims (19)

  1. 배가스가 내부를 통해 흐르는 주배관;
    상기 주배관에 연결되며 제1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외기공급관;
    배가스의 유동 경로 상 상기 외기공급관의 연결부 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주배관에 설치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 내 또는 상기 혼합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1 온도센서;
    배가스의 유동 경로 상 상기 혼합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배가스 또는 배가스와 외기의 혼합가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기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주배관에 설치되는 흡입팬;
    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부는 챔버 형상, 믹서(mixer)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온도센서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주배관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주배관에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과 상기 주배관의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주배관에 설치되는 제2 개폐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는 상기 열교환기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는 제3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열전달유체용 배관을 구비하는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전달유체용 배관에 설치되는 펌프를 더 구비하는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열전달유체용 배관에 설치되는 제2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는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유체용 배관은 열기관용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열전달유체용 배관을 구비하는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연결되며, 고체를 이송하는 이송부재가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기에 설치되는 제3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는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상기 흡입팬의 전단에 배치되는 집진설비가 구비되는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상기 외기공급관의 연결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압력센서가 구비되는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상기 외기공급관의 연결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유입부용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센서 및 제1 개폐밸브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70178467A 2017-12-14 2017-12-22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KR102285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467A KR102285076B1 (ko) 2017-12-22 2017-12-22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PCT/KR2018/013735 WO2019117477A1 (ko) 2017-12-14 2018-11-12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467A KR102285076B1 (ko) 2017-12-22 2017-12-22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961A Division KR102175427B1 (ko) 2019-12-09 2019-12-09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566A KR20190076566A (ko) 2019-07-02
KR102285076B1 true KR102285076B1 (ko) 2021-08-04

Family

ID=6725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467A KR102285076B1 (ko) 2017-12-14 2017-12-22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0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7744B2 (ja) * 1999-08-26 2004-11-10 株式会社 日立インダストリイズ 排ガスの廃熱回収方法及び廃熱回収装置
JP2016205679A (ja) * 2015-04-20 2016-12-0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廃熱回収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744A (ja) 1981-07-08 1983-01-17 Hitachi Ltd 陰極線管けい光面の形成方法
JP3628353B2 (ja) * 1994-07-13 2005-03-09 株式会社宮本工業所 火葬炉の排気装置
JPH11148625A (ja) * 1997-11-20 1999-06-02 Hitachi Ltd 廃棄物燃焼熱回収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7744B2 (ja) * 1999-08-26 2004-11-10 株式会社 日立インダストリイズ 排ガスの廃熱回収方法及び廃熱回収装置
JP2016205679A (ja) * 2015-04-20 2016-12-0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廃熱回収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566A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05861B (zh) 一种燃煤工业锅炉空气预热器系统
CN207187372U (zh) 布袋除尘器防结露自动控制装置
CN104896503B (zh) 锅炉烟气余热利用系统
CN110186067A (zh) 一种防止风机失速的烟风道耦合系统
KR101057276B1 (ko) 보일러 배기열 회수형 환기시스템
KR102285076B1 (ko)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KR102175427B1 (ko)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JP2014206329A (ja) 排ガス処理装置
CN103808200A (zh) 一种控制换热器工质温度的自动调节系统
CN206131023U (zh) 一种稳定控制燃气锅炉煤气预热器低温腐蚀的装置
JP6701577B2 (ja) 廃棄物焼却システム
CN108800192A (zh) 一种回转式空气预热器热烟防堵装置及方法
CN209101871U (zh) 一种新型壁温可调分离式热管换热器
CN208635128U (zh) 一种旁路式烟气余热回收系统
CN108568174A (zh) 布袋除尘器防结露自动控制装置
CN208765266U (zh) 一种导热油加热系统
CN216667726U (zh) 一种空气预热系统及加热炉系统
CN210772276U (zh) 一种烟道蝶阀零泄漏系统
CN208108150U (zh) 一种防止受热面低温腐蚀换热系统
CN207936820U (zh) 一种用于低温尾气回收的相变换热器系统
CN212512522U (zh) 余热回收系统及加热炉系统
CN110793057B (zh) 一种防止燃煤电厂空气预热器堵塞的系统及方法
CN209279137U (zh) 一种锅炉尾部烟道换热装置
CN202125957U (zh) 具有自动清灰功能的锅炉
CN207797771U (zh) 一种用于尿素热解系统的炉外烟气空气换热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40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209

Effective date: 2021043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