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709B1 -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 Google Patents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709B1
KR102284709B1 KR1020200129325A KR20200129325A KR102284709B1 KR 102284709 B1 KR102284709 B1 KR 102284709B1 KR 1020200129325 A KR1020200129325 A KR 1020200129325A KR 20200129325 A KR20200129325 A KR 20200129325A KR 102284709 B1 KR102284709 B1 KR 10228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catheter
expansion
reinforcing sleeve
cathe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언
홍문기
Original Assignee
문동언
주식회사 엠케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동언, 주식회사 엠케어코리아 filed Critical 문동언
Priority to KR1020200129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34Joining of shaft and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2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36Making parts for balloon catheter systems, e.g. shafts or distal e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9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atheter, sheath or lumens from collapsing due to outer forces, e.g. compressing forces, or caused by twisting or k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6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guide wire lumens outside the main shaft, i.e. the guide wire lumen is within or on the surface of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84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features for increasing the shape stability, the reproducibility or for limiting expansion, e.g. containments, wrapped around fibres, yarns or str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금속재질로 제작한 카테터의 본체부에 벌룬이 특정 구조를 통하여 부착된 금
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팽창 도관 및 주입 도관을 포함하는 카테터 본체, 카테터 본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벌룬, 카테터 본체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벌룬의 양 단부가 고정수단에 의하여 카테터 본체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Balloon Catheter Comprising a Metal Body}
본 발명은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재질로 제작한 카테터의 본체부에 벌룬이 특정 구조를 통하여 부착된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벌룬 카테터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팽창 도관 및 주입 도관을 갖는 카테터 도관(catheter tube), 카테터 도관의 양쪽 단부 중 한쪽에 연결된 벌룬(balloon), 카테터 도관의 양쪽 단부 중 다른 쪽에 연결된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한다.
커넥터에는 시린지(syringe)와 같은 유체 주입기구가 연결된다. 벌룬 카테터는 유체 주입기구로부터의 유체(용액일 수 있다.)가 카테터 도관의 팽창 도관에 주입, 팽창 도관을 따라 이송되고 벌룬이 팽창 도관으로부터 유체를 제공받아 팽창하도록 구성된다.
벌룬 카테터는 벌룬이 수축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표피로부터 체내(뼈나 장기, 혈관 등)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벌룬은 유체 주입기구로부터의 유체의 압력으로 팽창되어 해당 조직을 확장 또는 복원한다. 주입 도관에는 카테터 도관의 강성을 보강하여 벌룬 카테터를 체내로 삽입하는 때 카테터 도관이 임의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되거나, 삽입 이후 약물이나 체액의 통로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카테터는 벌룬을 일체형으로 제작하거나, 따로 제작된 벌룬을 부착하기 위하여 카테터의 도관부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도관의 경우 체내에 진입할 때 외력에 의하여 구부러 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 시술자의 신체에 상처를 남겨 후유증이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335333호에서는 벌룬카테터 어셈블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에서는 카테터 튜브에서 카테터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하여 협착부위를 단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지만, 카테터튜브를 플라스틱으로 제작하고 있으므로, 진입시 피 시술자의 몸에 상처를 줄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49546호에서는 벌룬카테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에서는 금속튜브로 구성되는 후단측 샤프트를 이용하여 카테터의 강성을 확보하고 있지만, 벌룬이 부착되는 선단부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하고 있으므로, 신체에 진입하는 경우 구부러질 가능성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카테터의 본체부를 금속으로 제작하며, 특정 구조에 의하여 벌룬을 부착하는 것으로, 외력에 의하여 구부러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유착부위 진입시 정확한 부위로 진입 가능한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팽창 도관 및 주입 도관을 포함하는 카테터 본체, 카테터 본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벌룬, 카테터 본체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벌룬의 양 단부가 고정수단에 의하여 카테터 본체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a) 금속, 고분자물질 또는 천연물질로 구성되는 섬유; (b) UV경화 또는 공기와의 접촉으로 접착되는 접착제; 또는 (c) 열 또는 압력으로 고정 가능한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테터 본체는 길이 150~500mm, 직경 1~5mm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는 0.2~2mm의 직경을 가지는 팽창도관 및 주입도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벌룬은 양단부 사이의 확장부가 5~20mm의 길이를 가지며, 확장시 1.5~6m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테터 본체는 일측 단부의 결합부가 에칭되어 있으며, 상기 에칭된 결합부에 상기 고정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팽창 도관 및 주입 도관을 포함하는 카테터 본체, 카테터 본체의 일측 단부에 부착된 벌룬, 카테터 본체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벌룬의 부착력을 보강하기 위해서 상기 벌룬의 양 단부가 결합수단에 의하여 카테터 본체와 결합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벌룬이 부착된 상기 카테터 본체의 상기 일측 단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 본체 보다 직경이 큰 보강 슬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 슬리브의 일측에는 상기 벌룬이 팽창시 비집고 외부로 나오면서 팽창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 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팽창 관통부는 상기 보강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 슬리브의 원주면을 따라서 적어도 두 개 이상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팽창 관통부가 환자의 몸 안에서 조직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팽창 관통부의 내측면은 방사방향으로 내측으로 가면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 슬리브의 상기 팽창 관통부 사이의 외주면에는 그라인더 기능을 가지는 엣지 돌출부가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 슬리브의 상기 팽창 관통부 사이의 원주면에는 약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데터 본체의 상기 벌룬이 부착된 상기 일측 단부의 팁부에는 약물의 분사구를 폐쇄하는 마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테터 본체를 금속으로 제작하므로, 유착부위 진입시 외력에 의하여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기존에 수술적 처치에 의하여 분리하여야 하는 고도유착부위도 진입가능하며, 외부가이드 없이도 유착부위까지 진입 가능하므로, 유착부위 분리, 카테터 수술 시 통로 확보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본체 내부의 팽창도관 및
주입도관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룬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슬리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보강 슬리브가 카테터 본체에 삽입 설치된 단면 모습을 나타낸다. 도 5에서 확대도는 보강 슬리브의 후단링브와 벌룬분할부 나사결합하는 보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보강 슬리브가 카테터 본체에 삽입 설치된 축방향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벌룬이 팽창하여 보강 슬리브의 팽창관통부를 통하여 삐져 나와 팽창한 단면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벌룬이 팽창관통부를 통하여 삐져 나와 팽창한 축방향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보강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로서 벌룬분할부와 팽창관통부가 각각 4개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에서 벌룬이 팽창관통부를 삐져나와 팽창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1은 보강 슬리브의 벌룬분할부에 엣지 돌출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엣지 돌출부의 단면 모습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슬리브에 유로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슬리브의 팽창관통부의 내측면이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5는 도 14의 축방향 단면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구조이며, 도 3은 벌룬부의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팽창 도관 및 주입 도관을 포함하는 카테터 본체, 카테터 본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벌룬, 카테터 본체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카테터 본체(100)는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카테터의 경우 상기 본체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유착을 통과하는 경우 구부러질 수 있으며, 일정 수준 이상의 유착은 통과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카테터 본체(100)를 금속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 구부러지지 않는 카테터를 제작 가능하다.
이때 상기 카테터 본체(100)는 인체내부에서 용할 수 있는 금속이면 제한없이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또는 티타늄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의 내부에는 팽창도관(110) 및 주입도관(1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팽창도관(110)은 카테터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커넥터(112)와 일측 단부에 설치된 벌룬(200)을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112)에 주사기 등을 연결하여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하는 경우 벌룬(200)이 부풀어 오르면서 카테터가 인체의 밖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12)는 주사기등을 연결할 때 편의를 위하여 카테터 본체(100)보다 직경이 굵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도관(110)은 벌룬(200)의 팽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카테터의 일측 단부 측면에 개구부(111)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개구부(111)를 통하여 벌룬(200)을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 커넥터(112)의 내부에는 팽창 도관(110)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112) 내의 팽창 도관은 카테터 본체(100)내의 팽창 도관(110)에 비하여 직경이 굵게 제작되어 주사기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112)는 카테터 본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분리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분리형으로 제작하는 경우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제작하여 주사기의 삽입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주입 도관(120)은 카테터를 통하여 약물을 주입하거나 의료기구를 통과시켜 인체 내부의 처치를 할 수 있도록 할수 있으며, 또는 인체 내부의 체액 또는 혈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부분으로, 카테터 몸체(100)의 일측 단부에서 시작되어 타측 단부의 측면까지 연결된다. 또한 카테터의 타측 단부에는 커넥터(11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의 측면을 통과하여 연결(122)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넥터의 측면을 통과하여 연장된 주입 도관(122)의 끝부분에는 연결수단에 설치되어 주사기 또는 배액관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주사기 또는 배액관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카테터는 인체의 내부에 사용되므로 인체의 내부에 도달하기 위한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150~500mm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150mm미만으로 제작되는 경우 충분한 길이를 가지지 목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삽입이 불가능하며, 500mm를 초과하여 제작되는 경우 길이가 길어져 사용시 구부러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 본체(100)는 직경 1~5mm이며, 내부에는 0.2~2mm의 팽창도관(110) 및 주입도관(1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팽창도관(110) 및 주입도관(120)이 0.2mm미만의 직경을 가지는 경우, 내부의 액체나 기체 또는 수술기구의 이동이 어려우며, 2mm를 초과하는 경우 카테터 본체(100)의 직경이 굵어져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경우 상기 팽창도관(110) 및 주입도관(120)을 수용할 수 있는 직경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벌룬(200)은 상기 팽창배관(110)을 통하여 공급된 기체 또는 액체에 의하여 팽창되어 카테터가 일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거나, 주변의 신체조직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벌룬(200)은 탄성을 가지며,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또는 우레탄으로 제작되며, 이를 카테터 본체와 일체화하여 제작하거나 접합하기 위하여 카테터의 재질 역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카테터 본체(100)를 금속 재질로 제작하므로 금속 재질과 우레탄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벌룬(200)을 접합 하기 위하여 하기의 특정한 접합 수단(210)을 사용할 수 있다.
(a) 금속, 고분자물질 또는 천연물질로 구성되는 섬유의 사용
상기 벌룬(200)은 튜브형으로 제조되며, 상시 카테터 본체의 일측 단부 측면에 위치한 팽창 도관의 개구부(111)에 의하여 팽창되므로, 튜브의 양쪽 끝을 막는 경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적절한 굵기를 가지는 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벌룬의 양측 단부(210)를 고정하는 것으로 벌룬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되는 실의 굵기는 1nm~1mm 굵기의 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2~30회 정도를 감아 벌룬 내부의 액체 또는 기체가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2회 미만으로 감는 경우 벌룬 내의 기체 또는 액체가 유출될 수 있으며, 30회를 초과하여 감는 경우 섬유에 의하여 카테터 본체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므로 삽입시 인체에 손상을 줄 수 있다.
(b) UV경화 또는 공기와의 접촉으로 접착되는 접착제 사용
상기 벌룬을 조립함에 있어서 벌룬의 양측 단부(210)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접착제의 경우 금속과 고분자사이의 접착은 원활하지 않으므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접착력을 늘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공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경화되는 접착제 또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하여 경화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열 또는 압력으로 고정 가능한 튜브 사용
상기 벌룬의 양측 단부(210)를 튜브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열 또는 압력에 의하여 수축하거나 경화되는 튜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기재된 a 및 b의 고정수단에 비하여 제조가 간단하여 대량생산 공정에 적용이 더욱 용이하다. 하지만 상기 튜브를 이용한 고정법의 경우 상기 a 및 b의 고정수단에 비하여 고정성이 약하므로, 높은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벌룬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b 및 c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벌룬(210)을 고정하는 경우, 살기 카테터 본체의 일측 단부에 에칭을 수행하여 상기 에칭부위에 고정수단(210)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제로 제작된 카테터 본체(100)의 표면은 오염물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끄럽게 처리된다. 하지만 이 경우 고정수단(210)에 의한 벌룬의 고정 역시 어렵게 되므로, 카테터 본체(100)의 상기 고정수단(210)이 설치되는 부분에 에칭 처리하여 표면을 거칠게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에칭 처리는 화학적 에칭, 물리적 에칭, 레이저 에칭, 전기 에칭등 금속표면을 처리할 수 있는 에칭 방법은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며, 카테터 본체(100)의 재질에 따라 적절한 에칭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룬(100)은 접합수단(210) 사이의 확장부가 5~20mm의 길이를 가지며, 확장시 1.5~6m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벌룬의 확장부는 팽창도관에서 공급괸 액체 또는 기체에 의하여 확장되는 부분으로 5~2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확장부가 5mm미만의 길이를 가지는 경우 확장되는 면적이 줄어들어 벌룬(200)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20mm를 초과하는 경우 정확한 위치의 확장이 어렵에 된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최대로 확장한 경우 1.5~6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1.5mm미만의 직경을 가지는 경우 상기 카테터 본체(100)와의 직경차이가 거의 없어 벌룬(200)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6mm를 초과하는 경우 확장량이 과도하게 되어 사용시 인체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카테터 사용방법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존의 카테터의 경우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체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관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본 발명의 카테터의 경우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없이 삽입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카테터의 삽입이 완료되면, 커넥터(112)에 기체 또는 액체에 채워진 주사기를 연결하고, 상기 주사기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기체 또는 액체를 팽창도관(110)으로 주입하게 된다. 주입된 기체 또는 액체는 팽창도관(110)을 통하여 상기 벌룬(200)을 팽창시키게 되며, 상기 벌룬(200)은 팽창에 의하여 상기 카테터를 고정하거나 벌룬 주변의 조직을 확장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주사기 또는 주사기와 연결된 관에는 벨브를 설치하여 벌룬에 주입 완료된 액체 또는 기체가 주사기 쪽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벌룬(200)이 팽창된 이후 상기 주입도관(120)을 통하여 약물을 주입하거나. 수술기구를 통과시켜 추가적인 처치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주입도관(120)을 통하여 혈액 또는 체액을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입도관(120)의 끝부분에는 연결수단이 설치되어 약물 주입용 주사기 또는 배액관 등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술기구를 통과시키는 경우 깔대기 형상의 연결수단을 부착하여 수술기구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처치가 종료된 이후, 벨브를 열고 주사기의 피스톤을 후퇴하면, 벌룬(200)의 크기가 줄어들어 카테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슬리브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5는 도 4의 보강 슬리브가 카테터 본체에 삽입 설치된 단면 모습을 나타낸다. 도 5에서 확대도는 보강 슬리브의 후단링브와 벌룬분할부 나사결합하는 보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보강 슬리브가 카테터 본체에 삽입 설치된 축방향 모습을 나타내고, 도 7은 도 5의 벌룬이 팽창하여 보강 슬리브의 팽창관통부를 통하여 삐져 나와 팽창한 단면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벌룬이 팽창관통부를 통하여 삐져 나와 팽창한 축방향 모습을 나타내고, 도 9는 보강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로서 벌룬분할부와 팽창관통부가 각각 4개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에서 벌룬이 팽창관통부를 삐져나와 팽창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11은 보강 슬리브의 벌룬분할부에 엣지 돌출부(350)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엣지 돌출부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고,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슬리브에 유로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슬리브의 팽창관통부의 내측면이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15는 도 14의 축방향 단면 모습을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척추협착풍선확장술은 국소마취 후 꼬리뼈 부위를 통하여 풍선이 내장되어 있는 특수 카테터를 척추에 삽입, 풍선을 부풀려 좁아진 척추관의 폭을 넓히는 시술방법이며 척추관 내에 공간을 만들어 신경압박을 해소하고 혈류장애를 해결하는 것으로 기존 신경성형술이나 경막외내시경 시술을 받았음에도 협착과 통증이 없어지지 않는 난치성 척추관협착증 및 척추수술 실패증후군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크다. 그러나 이러한 척추협착풍선확장술을 시술함에 있어서 커테터를 환자의 척추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벌룬이 부착된 카테터의 일측 단부는 과도한 부하를 받는다.
신체 내부의 조직이나 기관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단단하며 특히 협착부나 폐색부 등의 조직을 카테터가 파고 들어가는 경우 벌룬이 접합된 부위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벌룬 접합부가 벌어지는 현상이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벌룬이 카테터 본체에 강하게 부착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전술한 벌룬을 카테터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뿐만 아니라 그 부착력을 보강하는 부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팽창 도관 및 주입 도관을 포함하는 카테터 본체, 카테터 본체의 일측 단부에 부착된 벌룬, 카테터 본체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벌룬의 부착력을 보강하기 위해서, 벌룬의 양 단부가 결합수단에 의하여 카테터 본체와 결합되되,
결합수단은 벌룬이 부착된 카테터 본체의 일측 단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카테터 본체 보다 직경이 큰 보강 슬리브(300)로 구성되고, 보강 슬리브(300)의 일측에는 벌룬이 팽창시 비집고 외부로 나오면서 팽창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 관통부(3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팽창 관통부(340)는 보강 슬리브(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보강 슬리브(300)의 원주면을 따라서 적어도 두 개 이상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팽창 관통부(340)가 복수로 형성되는 구조는 벌룬의 팽창부(200a)를 복수로 형성되게 하여 마치 하나의 팽창부가 팽창하는 것과 같이 혈관 등의 부위를 360도(°) 모두 균일하게 팽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보강 슬리브(300)는 카테터 본체의 벌룬이 부착된 일측 단부에 삽입 고정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보강 슬리브(300)는 벌룬의 부착력을 보강하기 위해서 적용될 수 있다.
보강 슬리브(300)의 직경은 벌룬이 코팅된 카테터 본체의 직경보다 더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작자는 벌룬 카테터를 제조할 때 먼저 벌룬을 커테터 본체의 일측 단부에 융착 또는 접착 등의 특정 접합수단(210)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부착한 뒤에 보강 슬리브(300)를 삽입 설치하여 접합수단(210)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 슬리브(300)는 선단링부(320)와 후단링부(310)과 선단링부(320)와 후단링부(310)를 연결하는 벌룬분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선단링부(320)와 후단링부(310) 사이에서 벌룬분할부와 팽창관통부는 교호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벌룬분할부는 벌룬이 팽창시 팽창하는 부분을 분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벌룬분할부는 벌룬의 팽창을 분할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벌룬이 카테터 본체에 부착이 유지되도록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즉, 선단링부(320)와 후단링부(310)는 벌룬이 카테터 본체에 부착된 부착부위를 누르고 보호하여 부착 부위가 압력을 받더라도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벌룬분할부는 선단링부(320)와 후단링부(310)에 더하여 벌룬을 분할하여 잡아줌으로써 벌룬이 팽창시에도 벌룬 접합부(210)가 힘을 받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벌룬 분할부(330)를 통하여 벌룬이 팽창시 팽창 부분이 분할되어 팽창하게 된다. 이는 의사 등 협착부 또는 폐색부 등의 부위를 시술하는 시술자가 카테터의 협착부위를 원활하게 넓히면서도 경우에 따라서는 카테터의 손잡이를 축방향으로 회전시켜 벌룬(200)이 분할 팽창된 복수의 팽창부(200a)를 축방향(C) 회전시킴으로써 협착부위를 자극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강 슬리브(300)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보강슬리브의 후단링부(310)와 벌룬분할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선단링부(320)와 후단링부(310)는 벌룬이 부착된 카테터 본체의 일측 단부에 압착되어 삽입될 수 있다. 제작자는 우선 후단링부(310)를 벌룬이 부착된 카테터 본체에 삽입하여 끼워맞춤 결합을 시킨 뒤에 벌룬분할부가 일체로 형성된 선단링부(320)를 카테터 본체에 삽입하여 후단링부(310)와 나사결합하여 결합을 완성시킬 수 있다. 이는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팽창 관통부(340)가 환자의 몸 안에서 조직을 담을 수 있도록, 팽창 관통부(340)의 내측면은 방사방향(P, Q)으로 내측으로 가면서 경사지는 경사면(340a)을 가질 수 있다. 즉, P 방향 또는 Q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면(340a)은 P 방향 또는 Q 방향 보다 더 안쪽으로 경사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는 예리한 엣지를 형성하게 하므로 카테터를 축회전시켜 환자의 신체 내부의 조직을 뜨거나 퍼올릴 때 편리하다.
벌룬이 팽창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팽창 관통부(340)는 내측면의 높이(t)에 의해서 스푼과 같은 형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스푼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 등 시술자는 헨들을 축 회전(C)시킴으로써 스푼을 축회전 시켜 환자의 내부 조직을 뜨거나 퍼올릴 수 있다. 내측면의 높이(t) 만큼 조직을 퍼올릴 수 있는 것이다. 시술시 시술자는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관을 삽입하고 여러 기능을 하는 카테터를 번갈아 삽입하며 시술을 진행한다. 그러나 본 팽창 관통부(340)의 구성에 의하여 벌룬과 스푼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는 시술 시간을 줄여 환자의 시술후 회복 시간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보강 슬리브(300)의 팽창 관통부(340) 사이의 외주면에는 그라인더 기능을 가지는 엣지 돌출부(350)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즉 엣지 돌출부(350)는 벌룬 분할부(33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엣지 돌출부(350)는 원주면을 따라서 둘레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의사 등 시술을 하는 시술자가 카테터의 핸들을 축방향(D, 선단방향 또는 후단방향) 으로 직선 이동시켜 엣지 돌출부(350) 직선 이동시켜서 환자 내부의 조직을 긁어 내는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엣지 돌출부(350) 구조에 의하여 시술자는 삽입관에서 벌룬 카테터를 삽입하여 시술하다가 다시 벌룬 카테터를 빼내고, 다시 별도의 그라인더 카테터를 삽입하여 조직을 긁어내는 등 여러 가지 카테터의 삽입과 빼냄을 반복할 필요가 없이 벌룬 팽창 기능과 그라인더 기능을 하나의 카테터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술자의 피로도가 낮아진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슬리브(300)에는 엣지 돌출부(350)와 경사면(340a)이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시술자는 스푼 기능과 그라인더 기능과 벌룬 팽창 기능을 하나의 카테터를 가지고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술 시간이 혁신적으로 단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보강 슬리브(300)의 내부에는 약물이 이동하는 약물 이동통로(360)가 형성될 수 있다. 약물 이동통로는 엣지 돌출부(350) 사이의 벌룬 분할부(330)를 관통하는 노즐통로부(370)와 연통한다. 이러한 구조는 벌룬의 팽창부(200a) 사이에서 약물(S)이 분사되도록 하므로 환자의 신체 내부의 혈관, 척추관 등에서 벌룬의 팽창에 의하여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그 공간이 확보된 부분에 직접 약물이 주입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약효가 직접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카데터 본체의 상기 벌룬이 부착된 상기 일측 단부의 팁부(100a)에는 약물의 분사구를 폐쇄하는 마개(400)가 설치될 수 있다. 시술자는 경우에 따라서 팁부(100a)에 마개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설치하여 팁부(100a)의 약물(S)의 분사구(400a)를 폐쇄함으로써 약물이 방향을 바꾸어 보강 슬리브(300)의 약물 이동통로(36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작한 뒤에 벌룬의 팽창부(200a) 사이에서 약물(S)이 분사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벌룬의 외면에 압력센서(600)가 부착되는 것이다. 압력센서(600)는 실시예에 따라서 박형 가변 저항 센서(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환자의 신체 내부 예컨대 척추관 등의 타겟 부위에 정확히 접촉하였는지를 센싱할 수 있도록, 선단링부(320) 또는 후단링부(310)의 외주면에 압력센서(600)가 부착될 수 있다. 목적하는 정확한 위치에 접촉 여부를 확인하는 압력센서(600)는 실시예에 따라서 가변저항센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센서(600)는 선단링부(320) 또는 후단링부(310)의 외주면에 다수가 분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압력센서(600)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브랜치(640)를 가지는 제1 전도체(650)와 복수의 브랜치(660)를 가지는 제2 전도체(670)가 대향하여 배치되는 구성으로 제1 전도체(650)의 브랜치(640)와 제2 전도체(670)의 브랜치(660)는 서로 엇갈려 배치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브랜치들은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카테터가 환자의 신체 내부의 타겟 부위에 정확히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카테터가 환자의 신체 내부의 타겟 부위에 정확히 위치하는 경우, 일정한 영역에서 카테터(예컨대 선단부)의 센서가 부착된 외주면과 환자의 신체 내부의 조직 기관 등이 밀착되므로 압력(P)이 발생하고, 압력센서(600)가 이 압력(P)을 측정한다. 즉, 신체의 내부의 조직 구조물과 카테터 선단부의 외면이 접촉하면 압력센서(600)의 브랜치들이 가압되는 면적이 변하면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변하는 가변저항 방식을 이용하여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면,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가 압력의 크기, 압력의 변화 양상, 압력의 분포 양상, 압력의 분포 영역 등을 분석, 계산하여 카테터가 환자의 신체 내부의 정확한 부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압력센서(600)는 미세 전기케이블에 의하여 제어부 및 경고부와 연결될 수 있다. 내부 전기케이블은 압력센서(600)와 연결되는 전기케이블로서 카테터 본체에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카테터 바디
110 : 팽창 도관
111 : 팽창도관 개구부
112 : 커넥터
120 : 주입도관
121 : 주입도관 개구부
122 : 주입도관 연장부
200 : 벌룬
210 : 벌룬 고정수단

Claims (5)

  1. 팽창 도관(110) 및 주입 도관(120)을 포함하는 카테터 본체(100), 카테터 본체(100)의 일측 단부에 부착된 벌룬(200), 카테터 본체(10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112)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벌룬(200)의 부착력을 보강하기 위해서 상기 벌룬(200)의 양 단부가 결합수단에 의하여 카테터 본체(100)와 결합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벌룬(200)이 부착된 상기 카테터 본체(100)의 상기 일측 단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 본체(100) 보다 직경이 큰 보강 슬리브(300)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 슬리브(300)의 일측에는 상기 벌룬(200)이 팽창시 비집고 외부로 나오면서 팽창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 관통부(340)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 슬리브(300)의 상기 팽창 관통부(340) 사이의 외주면에는 그라인더 기능을 가지는 엣지 돌출부(350)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보강 슬리브(300)는 선단링부(320)와, 후단링부(310)와, 상기 선단링부(320)와 상기 후단링부(310)를 연결하는 벌룬분할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벌룬(200)의 팽창부(200a) 사이에서 약물(S)이 분사되도록 하여 환자의 신체 내부에서 상기 벌룬의 팽창에 의하여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그 공간이 확보된 부분에 직접 약물이 주입되어 약효가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슬리브(300)의 내부에는 약물이 이동하는 약물 이동통로(360)가 형성되고, 상기 약물 이동통로(360)는 상기 엣지 돌출부(350) 사이의 상기 벌룬 분할부(330)를 관통하는 노즐통로부(370)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관통부(340)는 상기 보강 슬리브(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 슬리브(300)의 원주면을 따라서 적어도 두 개 이상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관통부(340)가 환자의 몸 안에서 조직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팽창 관통부(340)의 내측면은 방사방향으로 내측으로 가면서 경사지는 경사면(340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5. 삭제
KR1020200129325A 2020-10-07 2020-10-07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KR102284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325A KR102284709B1 (ko) 2020-10-07 2020-10-07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325A KR102284709B1 (ko) 2020-10-07 2020-10-07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709B1 true KR102284709B1 (ko) 2021-08-02

Family

ID=7731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325A KR102284709B1 (ko) 2020-10-07 2020-10-07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7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276A (ko) * 2004-06-08 2006-05-18 코디스 코포레이션 미세돌출부를 갖는 장치를 사용하여 혈관 외막에 약물을전달하는 방법
KR20110118972A (ko) * 2010-04-26 2011-11-02 (주)이화바이오메딕스 약물주입용 풍선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
KR20120019362A (ko) * 2010-08-25 2012-03-06 (주)이화바이오메딕스 약물 전달용 필름이 제공된 풍선 카테터
JP2014528809A (ja) * 2011-10-07 2014-10-30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W.L. Gore & Associates, Incorporated 制御可能な可変的なトポグラフィを有するバルーンアセンブリ
JP2018538040A (ja) * 2015-11-20 2018-12-27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バルーンカテーテル
KR20190034519A (ko) * 2019-03-26 2019-04-02 홍문기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276A (ko) * 2004-06-08 2006-05-18 코디스 코포레이션 미세돌출부를 갖는 장치를 사용하여 혈관 외막에 약물을전달하는 방법
KR20110118972A (ko) * 2010-04-26 2011-11-02 (주)이화바이오메딕스 약물주입용 풍선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
KR20120019362A (ko) * 2010-08-25 2012-03-06 (주)이화바이오메딕스 약물 전달용 필름이 제공된 풍선 카테터
JP2014528809A (ja) * 2011-10-07 2014-10-30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W.L. Gore & Associates, Incorporated 制御可能な可変的なトポグラフィを有するバルーンアセンブリ
JP2018538040A (ja) * 2015-11-20 2018-12-27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バルーンカテーテル
KR20190034519A (ko) * 2019-03-26 2019-04-02 홍문기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2035A1 (en) Increased axial load carrying sheathed irrigating balloon catheter
CN104043182B (zh) 具有压力致动针的展开和回缩功能的流体供送导管
JP6492093B2 (ja) インターベンショナル副鼻腔内視鏡
US11045214B2 (en) Increased axial load carrying sheathed irrigating balloon catheter
AU2010276333B2 (en) Needleless injection device components
US9446218B2 (en) Microcatheter tip
EP2544753B1 (en) Catheter assembly
CN103566452A (zh) 冠状动脉用导管及其卡合方法
CN105025968A (zh) 囊导管及其使用方法
KR20030020923A (ko) 브레이드 및 코일을 구비한 의료 기기
JPH10501429A (ja) 脳治療用拡張器
WO2007133959A3 (en) Device for treating chronic total occlusion
US20140243783A1 (en) Method of backflow reduction during material delivery through a needle into tissue
CN113546287A (zh) 一种球囊扩张导管
KR102284709B1 (ko)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KR20220047101A (ko)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JP4920279B2 (ja) 内視鏡
KR20190034519A (ko)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US20240082543A1 (en) Guide Element for a Controllable Vessel Expansion System, and Controllable Vessel Expansion System
CN201625318U (zh) 一种特殊显影元件及具有该特殊显影元件的导管
CN211724353U (zh) 四腔三囊前列腺扩张导管组件
JP4847774B2 (ja) 内視鏡
JP2011152181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CN107690324B (zh) 导管组件
KR20180074877A (ko) 금속 본체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