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660B1 -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ffic accident using drone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ffic accident using dro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660B1
KR102284660B1 KR1020180087545A KR20180087545A KR102284660B1 KR 102284660 B1 KR102284660 B1 KR 102284660B1 KR 1020180087545 A KR1020180087545 A KR 1020180087545A KR 20180087545 A KR20180087545 A KR 20180087545A KR 102284660 B1 KR102284660 B1 KR 102284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drone
traffic control
control server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5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2360A (en
Inventor
곽재섭
고윤수
강창근
박현철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660B1/en
Publication of KR20200012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3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6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B64C2201/066
    • B64C2201/12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Abstract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사고 접수 앱을 통해 사고 신고를 접수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고 신고가 접수되면, 사고 현장으로 드론을 출동시키는 교통 관제 서버; 및 상기 교통 관제 서버의 출동 지시에 따라 사고 현장에 출동하여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드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isclosed are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an accident report through the accident reception app; When an accident repor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 traffic control server that dispatches a drone to the accident site; and a drone that dispatches to the accident site according to the dispatch instruction of the traffic control server and notifies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FFIC ACCIDENT USING DRONES}Road accident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drones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서 차량 사고나 고장 발생시 드론을 현장에 출동시켜 현장 상황을 확인하고, 사고나 고장이 발생한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차량에게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vehicle accident or breakdown occurs on the road, the drone is dispatched to the site to check the on-site situation, and a vehicle located behind the vehicle in which the accident or breakdown occurs It relates to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that can notify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터널 및 다리 등 모든 도로 상에서 차량의 사고, 고장 등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경찰 또는 견인차가 출동하기 전까지 사고 또는 고장 차량이 도로 상에 일시 정차하게 된다.When a vehicle accident or breakdown occurs on all roads such as highways, automobile-only roads, tunnels and bridges, the accident or breakdown vehicle is temporarily stopped on the road until the police or a tow truck is dispatched.

이와 같이 사고 또는 고장 등으로 차량이 도로 상에 정차하게 되는 경우, 해당 차량을 뒤따르던 차량이 전방의 정차된 차량을 보지 못하여, 1차 사고 이후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way,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n the road due to an accident or breakdown, etc., the vehicle following the vehicle does not see the stopped vehicle in front, so that a secondary accident occurs frequently after the primary accident. there is.

그리고 갑작스런 정체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후방의 차량들이 속도 저하를 인식하지 못하여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a sudden congestion situation occu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ehicles in the rear do not recognize the decrease in speed, so that an accident occur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2667호(공개일 2016.09.2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12667 (published on September 28, 201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2292호(공개일 2017.08.1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92292 (published on August 11, 2017)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로에서 차량 사고나 고장 발생시 드론을 현장에 출동시켜 현장 상황을 확인하고, 사고나 고장이 발생한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차량에게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so that when a vehicle accident or breakdown occurs on the road, a drone is dispatched to the site to check the on-site situation, and to notify the vehicle located behind the vehicle where the accident or breakdown occur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은, 사고 접수 앱을 통해 사고 신고를 접수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고 신고가 접수되면, 사고 현장으로 드론을 출동시키는 교통 관제 서버; 및 상기 교통 관제 서버의 출동 지시에 따라 사고 현장에 출동하여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드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an accident report through an accident reception app; When an accident repor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 traffic control server that dispatches a drone to the accident site; and a drone that dispatches to the accident site according to the dispatch instruction of the traffic control server and notifies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드론이 충전하면서 대기하는 드론 충전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drone charging station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ad and waiting for the drone to charge while charg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은, 사고 현장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고 현장 영상을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one acquires an image of the accident scene, and transmits the acquired accident scene image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은, 사고 접수 앱을 통해 사고 신고를 접수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고 신고가 접수되면, 사고 현장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드론에 출동을 지시하는 교통 관제 서버; 및 상기 교통 관제 서버의 출동 지시에 따라 사고 현장에 출동하여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드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an accident report through an accident reception app; When an accident repor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 traffic control server for instructing a drone located closest to the accident site to dispatch; and a drone that dispatches to the accident site according to the dispatch instruction of the traffic control server and notifies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은, 경광등을 동작시켜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one operates a warning light to notify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occurren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은, 사고 접수 앱을 통해 사고 신고를 접수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고 신고가 접수되면, 대기중인 드론 중에서 사고 현장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드론에 출동을 지시하는 교통 관제 서버; 및 상기 교통 관제 서버의 출동 지시에 따라 사고 현장에 출동하여 사고 현장의영상을 획득하고, 경광등을 동작시켜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드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an accident report through an accident reception app; a traffic control server that, when an accident repor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structs a drone located closest to the accident site among the waiting drones to dispatch; and a drone that arrives at the accident site according to the dispatch instruction of the traffic control server, acquires an image of the accident scene, and operates a warning light to notify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은, LED 전광판을 통해 후방 차량의 차선 변경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one induces a lane change of the vehicle in the rear through an LED signbo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사고 지원이 가능한 드론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출동 지시에 따라 드론 충전소에서 사고 현장까지의 비행경로를 생성하는 비행 경로 생성부; 상기 사고 현장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교통 통제 요청에 따라 경광등을 구동시키는 경광등 구동부; 및 안착된 상기 드론 충전소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압을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drone capable of supporting a road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traffic control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flight path generator for generating a flight path from the drone charging station to the accident site according to the dispatch instruction receive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accident site; a warning ligh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warning light according to the traffic control request receive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and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with the charg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drone charging station seated there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교통 통제 요청에 따라 LED 전광판을 구동시키는 LED 전광판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LED signboard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ED signboard according to the traffic control request receive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고 접수 앱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로 사고 신고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교통 관제 서버가, 사고 현장으로 출동시킬 드론을 검색하고, 검색된 드론에 출동을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동을 지시받은 드론이, 사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road accident support method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by a user terminal, an accident report to a traffic control server through an accident reception app; searching, by the traffic control server, a drone to be dispatched to the accident site, and instructing the searched drone to dispatch;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d the step of notifying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to the vehicle in the rear by the drone, which has been instructed to dispatch, to the scene of the accid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동을 지시받은 드론이, 사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사고 현장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고 현장 영상을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drone, which has been instructed to dispatch, dispatches to the accident site, acquires an image of the accident scene, and transmits the acquired accident scene image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고 접수 앱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로 사고 신고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교통 관제 서버가, 사고 현장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드론을 검색하고, 검색된 드론에 출동을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동을 지시받은 드론이, 사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road accident support method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by a user terminal, an accident report to a traffic control server through an accident reception app; searching, by the traffic control server, a drone located closest to the accident site, and instructing the searched drone to dispatch;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d the step of notifying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to the vehicle in the rear by the drone, which has been instructed to dispatch, to the scene of the accid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출동을 지시받은 드론이, 사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단계는, 상기 출동을 지시받은 드론이, 사고 현장으로 자동 비행하여 이동하고, 사고현장에 도착하면, 경광등을 동작시켜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he drone instructing the dispatch to the accident site and notifying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occurrence includes the drone instructing the dispatch to automatically fly to the accident site and move, and the accident When arriving at the scene,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he warning light to notify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occurren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고 접수 앱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로 사고 신고를 접수하는 단계; 상기 교통 관제 서버가, 대기중인 드론 중에서 사고 현장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드론을 검색하고, 검색된 드론에 출동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출동을 지시받은 드론이, 사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사고 현장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고 현장 영상을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경광등을 동작시켜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road accident support method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by a user terminal, an accident report to a traffic control server through an accident reception app; searching, by the traffic control server, a drone located closest to the accident site among waiting drones, and instructing the searched drone to dispatch; the drone receiving the command to dispatch, dispatching to the accident site, acquiring an image of the accident scene, and transmitting the acquired accident scene image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and operating a warning light to notify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occurren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경광등을 동작시켜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단계; 이후에, LED 전광판을 통해 사고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여 후방 차량의 차선 변경을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the warning light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to the vehicle behind; Thereafter, the step of inducing a lane change of the vehicle behind by displaying an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e LED display boar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도로에서 차량 사고나 고장 발생시 드론을 현장에 출동시켜 현장 상황을 확인하고, 사고나 고장이 발생한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차량에게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게 됨에 따라,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on-site situation by dispatching the drone to the scene when a vehicle accident or breakdown occurs on the road, and notify the vehicle located behind the vehicle where the accident or breakdown occurs. As such, it is possible to prevent secondary accidents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의 운용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드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1 is an operation conceptual diagram of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on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conceptual diagram of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upporting a road accident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23]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의 운용 개념도로, 드론 충전소(200)가 도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드론 충전소(200)에는 드론(100)이 충전하면서 대기한다.1 is a conceptual view of an operation of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drone charging stations 20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ad, and drones 100 are installed at each drone charging station 200. ) is waiting while charging.

드론(100)은 드론 충전소(200)에서 충전하면서 대기하고 있다가, 교통 관제 서버(300)로부터 출동 지시가 있으면, 사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사고 현장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고 현장의 영상을 교통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The drone 100 is waiting while charging at the drone charging station 200, and when there is a dispatch instruction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he drone 100 goes to the accident site to obtain an image of the accident site, and the acquired image of the accident site is displayed. It is transmitted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

그리고 드론(100)은 경광등, LED 전광판 등을 이용하여 후방에 위치한 차량 운전자에게 사고 발생을 알려 2차 사고를 방지한다.In addition, the drone 100 uses a warning light, an LED signboard, etc. to notify the driver of the vehicle located at the rear of the accident to prevent a secondary accid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400), 교통 관제 서버(300), 드론 충전소(200), 드론(100), 경찰 단말(5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2, the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terminal 400, a traffic control server 300, a drone charging station 200, a drone 100, a police terminal ( 500) and the like.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400)은 사고 접수 앱(APP)이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고 접수 앱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300)로 차량 사고, 고장 등과 같은 사고 신고를 접수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user terminal 400 has an accident reception app (APP) installed, and receives an accident report such as a vehicle accident, breakdown, etc.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accident recep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do.

이와 같이 차량 사고, 고장 등과 같은 사고 신고를 접수할 때 사용자 단말(400)은 교통 관제 서버(300)로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when receiving an accident report such as a vehicle accident or breakd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terminal 400 provides 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ogether.

사용자 단말(400)이 사고 접수 앱을 통해 신고한 차량 사고, 고장 등은 교통 관제 서버(300)에 접수된다.Vehicle accidents, breakdowns, etc. reported by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accident reception app are received by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

사용자 단말(40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300)에 접속하여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400 is capable of performing Internet communication by accessing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교통 관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차량 사고, 고장 등과 같은 사고 신고를 접수 받으면, 사고 신고 접수 시에 함께 제공된 사용자 단말(4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 사고, 고장 등으로 차량이 정차되어 있는 사고 현장으로 드론(100)을 출동시킨다.When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receives an accident report such as a vehicle accident, breakdown, etc. from the user terminal 400, it i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provided together with the accident report reception. The drone 100 is dispatched to the accident site where the vehicle is stopped.

즉, 사용자 단말(4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사고 현장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는 드론(100)을 검색하고, 검색된 드론(100)에 현장 출동을 지시한다.That i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 the drone 100 located closest to the accident site is searched for, and the searched drone 100 is instructed to dispatch to the scene.

여기서 검색된 드론(100)이 출동중인 경우에는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드론(100)에 현장 출동을 지시할 수 있고, 검색된 드론(100)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도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드론(100)에 현장 출동을 지시할 수 있다.Here, if the found drone 100 is being dispatched, it is possible to instruct the drone 100 in the next nearest location to dispatch to the field, and even if the charge state of the searched drone 10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it is located at the next closest location. It is possible to instruct the drone 100 to be dispatched to the field.

또한, 드론(100)을 검색할 때 출동중인 드론(100)과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드론(100)을 검색 대상에서 제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one 100 is searched, the drone 100 that is being dispatched and the drone 100 whose charging stat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may be excluded from the search target.

그리고 검색된 드론(100)에 현장 출동을 지시할 때, 사용자 단말(4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instructing the searched drone 100 to go to the field,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together.

교통 관제 서버(300)는 도로 사고 지원에 이용되는 모든 드론(1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may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on all drones 100 used for road accident support.

드론(100)에 대한 정보로는, 드론(100)이 대기하는 드론 충전소(200)의 식별정보 및 위치 정보, 각 드론(100)의 대기 여부(예를 들어, 대기중, 출동중), 각 드론(100)의 현재 충전 상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drone 100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charging station 200 where the drone 100 is waiting, whether each drone 100 is on standby (eg, on standby, on the go), each The current charging state of the drone 100 may be included.

드론 충전소(200)는 도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드론(100)이 안착되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drone charging stations 20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ad, and the drone 100 can be seated and charged.

드론 충전소(200)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드론(100)이 안착되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충전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one charging station 20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rone 100 is seated and provided with a charging unit capable of charging.

드론(100)은 드론 충전소(200)에 안착되어 대기하고 있다가, 교통 관제 서버(300)로부터 현장 출동 지시를 수신 받으면, 현장 출동 지시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4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고 현장으로 자동 비행하여 출동한다.The drone 100 is seated at the drone charging station 200 and is waiting, and when receiving an on-site dispatch instruction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included in the on-site dispatch instruction. It automatically flies to the accident site and dispatches it.

사고 현장으로 출동한 드론(100)은 탑재되어 있는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사고 현장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고 현장의 영상을 교통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The drone 100 dispatched to the accident site acquires an image of the accident site using a mounted camera, etc., and transmits the acquired image of the accident scene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

이후, 교통 관제 서버(300)로부터 교통 통제 요청을 수신 받으면, 경광등을 동작시켜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린다.Thereafter, when a traffic control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 a warning light is operated to notify the driver of the vehicle behind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이때, 드론(100)은 사고 현장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여 위치를 고정한 후, 경광등을 동작시켜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one 100 may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ear direction from the accident site to fix the position, and then operate the warning light to inform the driver of the vehicle behind that the accident has occurred.

또한, 드론(100)은 LED 전광판 등을 통해 사고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2차로 사고 발생. 3, 4차로 이용바람)를 표시하여 후방 차량의 차선 변경을 유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rone 100 may induce a lane change of the rear vehicle by displaying an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eg, an accident occurred in the second lane.

교통 통제 요청에 따라 경광등, LED 전광판 등을 통해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동안에도 드론(100)은 사고 현장의 영상을 계속 촬영하여 교통 관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In response to a traffic control request, the drone 100 continues to capture an image of the accident site and transmits it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while notifying the driver of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through a warning light, an LED signboard, etc.

이후, 교통 관제 서버(300)로부터 복귀 명령을 수신 받으면, 경광등, LED 전광판 등을 동작을 모두 멈춘 후, 자신의 드론 충전소(200)로 복귀한다.Thereafter, upon receiving a return comman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 all operations of the warning light, the LED signboard, etc. are stopped, and then the drone returns to its own drone charging station 200 .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드론(100)은 사고 현장에 출동한 후 경광등을 이용하여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사고 현장에 출동한 후 사고 현장 영상을 획득하여 교통 관제 서버(300)로 사고 현장 영상을 전송하고, 경광등을 이용하여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사고 현장에 출동한 후 사고 현장 영상을 획득하여 교통 관제 서버(300)로 사고 현장 영상을 전송하고, 경광등과 LED 전광판을 이용하여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drone 1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to a vehicle in the rear using a warning light after dispatching to the accident site, and after mobilizing to the accident site, acquire an accident scene image and obtain a traffic control server ( 300) to transmit the accident scene image and use a warning light to notify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It can also be implemented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to the vehicle behind by using a warning light and an LED signboard.

경찰 단말(500)은 교통 관제 서버(300)에 접속하여 드론(100)이 전송한 사고 현장 영상을 확인하고, 교통 관제 서버(300)를 통해 드론(100)에 교통 통제를 요청한다.The police terminal 500 accesses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 checks the accident scene image transmitted by the drone 100 , and requests traffic control from the drone 100 through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

드론(100)에 교통 통제를 요청할 때, LED 전광판을 통해 후방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전할 사고 알림 메시지를 경찰로부터 입력받아 함께 전송할 수 있다.When a traffic control request is made to the drone 100 , an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drivers of the vehicle in the rear through the LED display may be received from the police and transmitted together.

경찰 단말(500)은 드론(100)이 전송한 사고 현장 영상을 확인한 경찰의 요청에 따라 드론(100)에 복귀 명령을 전송한다.The police terminal 500 transmits a return command to the drone 100 at the request of the police who has checked the accident scene image transmitted by the drone 100 .

경찰 단말(500)은 사용자 단말(400)과 마찬가지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300)에 접속하여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Like the user terminal 400 , the police terminal 500 is capable of performing Internet communication by accessing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드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on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드론(100)은 제어부(110), 통신부(120), 구동부(130), 위치 측정부(140), 비행 경로 생성부(150), 영상 획득부(160), 경광등 구동부(170), LED 전광판 구동부(180), 충전부(19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drone 1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0 , a communication unit 120 , a driving unit 130 , a position measuring unit 140 , a flight path generating unit 150 , and an image acquisition. It may include a unit 160 , a warning light driving unit 170 , an LED electric sign driving unit 180 , a charging unit 190 , and the like.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어부(110)는 드론(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되, 교통 관제 서버(300)로부터 현장 출동을 지시 받으면, 비행 경로 생성부(150)와 연동하여 사고 현장까지의 비행경로를 생성한 후, 구동부(130)와 연동하여 비행경로를 따라 사고 현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사고 현장에 도착하게 되면, 영상 획득부(160)와 연동하여 사고 현장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을 교통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rone 100 , but when an instruction to go to the scene is receive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 the controller 110 interworks with the flight path generator 150 to fly to the accident site. After creating the route, it moves to the accident site along the flight route in conjunction with the driving unit 130 . And, upon arrival at the accident site, the image of the accident site is acquired in conjunction with the image acquisition unit 160 , and the acquir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

또한, 제어부(110)는 교통 관제 서버(300)로부터 교통 통제 요청을 수신 받으면, 경광등 구동부(170) 및 LED 전광판 구동부(180)와 연동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사고 발생을 알리고, 교통 관제 서버(300)로부터 복귀 명령을 수신 받으면, 비행 경로 생성부(150)와 연동하여 드론 충전소(200)까지의 비행경로를 생성한 후, 생성된 비행경로를 따라 드론 충전소(200)로 복귀한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a traffic control request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he control unit 110 interworks with the warning light driving unit 170 and the LED electric sign driving unit 180 to notify drivers of the rear vehicle of the accident, and the traffic control server Upon receiving the return command from 300 , the flight route is gen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flight route generator 150 to the drone charging station 200 , and then returns to the drone charging station 200 along the generated flight route.

통신부(12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communicates with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구동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드론(100)을 구동시킨다.The driving unit 130 drives the dron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

위치 측정부(140)는 드론(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인가한다.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140 measur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drone 100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 unit 110 .

위치 측정부(140)는 GPS 수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The position measuring unit 140 may be implemented as a GPS receiving module.

비행 경로 생성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출발점(드론 충전소 또는 사고 현장)에서 목표점(사고 현장 또는 드론 충전소)까지의 비행경로를 생성한다.The flight path generating unit 150 generates a flight path from a starting point (drone charging station or accident site) to a target point (accident site or drone charging st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여기서 비행경로는 출발점에서 목표점 사이의 직선상의 최단거리를 구한 상태에서 회피지점을 추가하거나 변경하여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flight path can be created by adding or changing an avoidance point in the state that the shortest distance on a straight line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the target point is obtained.

영상 획득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사고 현장의 영상을 획득한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60 acquires an image of the accident si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

경광등 구동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경광등을 구동시킨다.The warning light driving unit 170 drives the warning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

LED 전광판 구동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LED 전광판을 구동시킨다.The LED signboard driver 180 drives the LED signboar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충전부(190)는 안착된 드론 충전소(200)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압을 배터리에 충전한다.The charging unit 190 charges the battery with a charg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seated drone charging station 20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의 동작 개념도로, 도로 상에서 차량의 사고, 고장 등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운전자는 사용자 단말(40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사고 접수 앱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300)로 차량 사고, 고장 등과 같은 사고 신고를 접수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400)의 현재 위치 정보가 함께 교통 관제 서버(300)로 제공된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ident reports such as vehicle accidents, breakdowns, etc. are received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reception app. At this tim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

교통 관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사고 신고를 접수하게 되면, 경찰차 출동을 지시함과 함께 사용자 단말(4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위치를 파악하고, 사고 위치가 파악된 사고 현장으로 드론(100)을 출동시킨다.When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receives an accident report from the user terminal 400, it instructs the police car to dispatch and us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The drone 100 is dispatched to the accident site.

즉, 교통 관제 서버(300)는 사고 위치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드론(100)에 현장 출동을 지시한다.That is,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instructs the drone 100 located closest to the accident location to dispatch to the scene.

현장 출동을 지시받은 드론(100)은 자동 비행으로 현장으로 출동한 후, 사고 현장의 영상을 획득하여 교통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The drone 100, which has been instructed to go to the scene, is dispatched to the scene by automatic flight, and then acquires an image of the accident site and transmits it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

그리고 교통 관제 서버(300)의 교통 통제 요청에 따라 경광등 및 LED 전광판을 동작시켜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사고 발생을 알리고, 복귀 요청에 따라 드론 충전소(200)로 복귀하여 대기한다.And, according to the traffic control request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he warning light and the LED display are operated to notify the driver of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and return to the drone charging station 200 according to the return request and wai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upporting a road accident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로 상에서 차량의 사고, 고장 등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운전자는 사용자 단말(40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사고 접수 앱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300)로 차량 사고, 고장 등과 같은 사고 신고를 접수시킨다(S10).First, when an accident or breakdown of a vehicle occurs on the road, the driver receives an accident report such as a vehicle accident or breakdown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accident reception app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400 . make it (S10).

상기한 단계 S10에서 운전자는 사용자 단말(400)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사고 접수 앱을 통해 간단한 조작만으로 사고 신고를 접수시킬 수 있다.In step S10 , the driver may receive an accident report through a simple operation through the accident reception app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400 .

상기한 단계 S10에서 교통 관제 서버(300)로 사고 신고를 접수시킬 때, 사용자 단말(400)의 현재 위치 정보가 함께 교통 관제 서버(300)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receiving an accident report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in step S10,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is provided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ogether.

상기한 단계 S10을 통해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사고 신고를 접수 받은 교통 관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사고 위치로 출동시킬 드론(100)을 검색한다(S20).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receiving the accident report from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above step S10 us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and to dispatch the drone to the identified accident location. (100) is searched (S20).

상기한 단계 S20에서 사고 위치로 출동시킬 드론(100)을 검색할 때, 교통 관제 서버(300)는 사고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드론(100)을 검색하되, 검색된 드론(100)이 다른 사고 현장에 출동중인 경우에는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드론(100)을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드론(100)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도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드론(100)을 검색할 수 있다.When searching for the drone 100 to be dispatched to the accident location in step S20 above,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searches for the drone 100 closest to the accident location, but the searched drone 100 has a different accident When dispatched to the field, the next closest drone 100 can be searched for, and even if the charge state of the found drone 10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next closest drone 100 can be searched. can

또한, 상기한 단계 S20에서 사고 위치로 출동시킬 드론(100)을 검색할 때, 교통 관제 서버(300)는 사고 현장에 출동중인 드론(100)과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드론(100)은 검색 대상에서 제외할 수도 있다. 즉, 교통 관제 서버(300)는 대기중인 드론(100)과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드론(100) 중에서 사고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드론(100)을 검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earching for the drone 100 to be dispatched to the accident location in the above step S20,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detects the drone 100 dispatched to the accident site and the drone 100 whose charging stat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You can also exclude them from the search target. That is,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may search for the drone 100 that is closest to the accident location among the waiting drones 100 and the drones 100 with a charging stat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상기한 단계 S20을 통해 드론(100)을 검색한 후에는, 검색된 드론(100)에 현장 출동을 지시한다(S30).After the drone 100 is searched for in step S20, the searched drone 100 is instructed to dispatch to the field (S30).

상기한 단계 S30에서 해당 드론(100)에 출동을 지시할 때, 드론(100)에 사용자 단말(4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instructing the corresponding drone 100 to dispatch in step S30 abov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drone 100 with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together.

한편, 상기한 단계 S10을 통해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사고를 접수 받은 교통 관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위치를 파악한 후, 사고 현장으로 경찰차 출동을 지시한다.On the other hand,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receiving the accident from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the above step S10 us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to determine the accident location, and then instructs the police car to go to the accident site. do.

상기한 단계 S30을 통해 현장 출동을 지시받은 드론(100)은 현장 출동 지시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400)의 현재 위치 정보와 드론(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출발점(드론 충전소)에서 목표점(사고 현장)까지의 비행경로를 생성한다(S40).The drone 100, which has been instructed to dispatch to the field through the above step S30, is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drone charging station)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100 included in the field dispatch instruction. A flight path to the target point (accident site) is generated (S40).

상기한 단계 S40에서 드론(100)은 출발점에서 목표점 사이의 직선상의 최단거리를 구한 상태에서 회피지점을 추가하거나 변경하여 비행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above step S40, the drone 100 may create a flight path by adding or changing an avoidance point in a state in which the shortest distance on a straight line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the target point is obtained.

이후에는, 상기한 단계 S40을 통해 생성한 비행경로에 따라 사고 현장으로 이동하고(S50), 사고 현장에 도착하게 되면, 사고 현장의 상공에서 사고 현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S60), 획득한 사고 현장 영상을 교통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S70).After that, it moves to the accident site according to the flight path created through the above step S40 (S50), and upon arrival at the accident site, acquires an image of the accident site from above the accident site (S60), and The accident scene image is transmitted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S70).

상기한 단계 S70을 통해 사고 현장에 출동한 드론(100)으로부터 사고 현장 영상을 전송받은 교통 관제 서버(300)는 수신한 사고 현장 영상을 모니터링 화면에 띄워 교통 관제사가 사고 현장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hat has received the accident scene image from the drone 100 dispatched to the accident site through the above step S70 displays the received accident scene image on the monitoring screen so that the traffic controller can understand the accident scene situation. .

또한, 상기한 단계 S70을 통해 사고 현장에 출동한 드론(100)으로부터 사고 현장 영상을 전송받은 교통 관제 서버(300)는 수신한 사고 현장 영상을 사고 현장으로 출동하고 있는 경찰의 경찰 단말(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S80).In addition,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hat has received the accident scene image from the drone 100 dispatched to the accident scene through the above step S70 is the police terminal 500 of the police that is dispatching the received accident scene image to the accident scene. It can also be transmitted to (S80).

상기한 단계 S80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300)로부터 사고 현장 영상을 수신한 경찰 단말(500)은 해당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경찰이 사고 현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police terminal 500 that has received the accident scene image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above step S80 displays the image on the screen so that the police can check the accident scene situation.

사고 현장 영상을 통해 사고 현장 상황을 파악한 경찰은 경찰 단말(500)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300)로 교통 통제를 요청할 수 있다(S90).The police, who have identified the accident scene situation through the accident scene image, may request traffic control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police terminal 500 (S90).

한편, 교통 관제 서버(300)는 상기한 단계 S70을 통해 드론(100)으로부터 수신한 사고 현장 영상을 확인한 교통 관제사로부터 교통 통제를 요청받거나, 상기한 단계 S90을 통해 경찰 단말(500)로부터 수신한 교통 통제 요청에 따라 사고 현장에 출동해 있는 드론(100)에 교통 통제를 요청한다(S100).On the other hand,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receives a request for traffic control from the traffic controller that has confirmed the accident scene image received from the drone 100 through the above step S70, or receives a request from the police terminal 500 through the above step S90. According to the traffic control request, a traffic control request is made to the drone 100 dispatched to the accident site (S100).

상기한 단계 S100에서 드론(100)에 교통 통제를 요청할 때, 사고 현장 영상을 확인한 교통 관제사 또는 경찰로부터 입력받은 사고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2차로 사고 발생. 3, 4차로 이용바람)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requesting traffic control from the drone 100 in the above step S100, the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input from the traffic controller or police who checked the accident scene video (for example, the second accident occurred. Use the third and fourth lanes) together It is desirable to provide

상기한 단계 S100을 통해 교통 통제를 요청받은 드론(100)은 교통 통제 요청에 따라 경광등을 구동시켜 후방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사고 발생을 알린다(S110).The drone 100, which has been requested for traffic control through the above step S100, drives a warning light according to the traffic control request to notify drivers of the rear vehicle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S110).

상기한 단계 S110에서 드론(100)은 교통 통제 요청에 따라 사고 현장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일정거리(예를 들어, 100m) 이동하여 위치를 고정한 후, 경광등을 동작시켜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In the above step S110, the drone 100 moves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100 m) in the rear direction from the accident site according to the traffic control request to fix the position, and then operates the warning light to cause an accident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behind. can inform

상기한 단계 S110을 통해 경광등을 구동시켜 후방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사고 발생을 알리는 드론(100)은 교통 통제를 요청받을 때, 함께 제공받은 사고 알림 메시지가 있으면, LED 전광판을 통해 사고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2차로 사고 발생. 3, 4차로 이용바람)를 표시하여 후방 차량의 차선 변경을 유도할 수 있다(S120).The drone 100, which notifies the drivers of the rear vehicle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by driving the warning light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ep S110, receives a traffic control request, and if there is an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provided together, an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eg,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duce a lane change of the rear vehicle by displaying the accident on the second lane (use wind on lanes 3 and 4) (S120).

상기한 단계 S110 및 단계 S120을 통해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동안에도 드론(100)은 사고 현장의 영상을 계속 촬영하여 교통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rone 100 continuously captures an image of the accident site and transmits it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while notifying the driver of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through the steps S110 and S120 described above.

한편, 교통 관제 서버(300)는 사고 현장에 출동해 있는 드론(100)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전송되는 사고 현장 영상을 통해 사고 처리 종료를 확인한 교통 관제사로부터 드론(100)의 복귀를 요청받거나, 현장에 출동해 있는 경찰의 경찰 단말(500)로부터 드론(100)의 복귀를 요청받으면(S130), 사고 현장에 출동해 있는 드론(100)에 복귀를 지시한다(S140).On the other hand,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receives a request to return the drone 100 from the traffic controller that confirms the end of accident processing through the accident scene image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the drone 100 dispatched to the accident site, or is dispatched to the scene. Upon receiving a request for the return of the drone 100 from the police terminal 500 of the police stationed there (S130), it instructs the drone 100 to return to the scene of the accident (S140).

상기한 단계 S140에서 드론(100)에 복귀를 지시할 때, 드론(100)에 드론 충전소(200)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When instructing the drone 100 to return in step S140 described abo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charging station 200 may also be provided to the drone 100 together.

상기한 단계 S140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300)로부터 복귀를 지시받은 드론(100)은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와 드론 충전소(2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출발점(사고 현장)에서 목표점(드론 충전소)까지의 비행경로를 생성한다(S150).The drone 100, which has been instructed to return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above step S140, moves from the starting point (accident site) to the target point (drone charging station) based on 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charging station 200. Creates a flight path up to (S150).

이후에는, 상기한 단계 S150을 통해 생성한 비행경로에 따라 드론 충전소(200)로 이동하여 충전하면서 대기한다(S160).After that, it moves to the drone charging station 200 according to the flight path created in step S150 and waits while charging (S160).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will be able

100. 드론, 110. 제어부,
120. 통신부, 130. 구동부,
140. 위치 측정부, 150. 비행경로 생성부,
160. 영상 획득부, 170. 경광등 구동부,
180. LED 전광판 구동부, 190. 충전부,
200. 드론 충전소, 300. 교통 관제 서버,
400. 사용자 단말, 500. 경찰 단말
100. Drone, 110. Control,
120. communication unit, 130. driving unit,
140. Position measurement unit, 150. Flight path generation unit,
160. Image acquisition unit, 170. Warning light driving unit,
180. LED signage driving unit, 190. Charging unit,
200. Drone charging station, 300. Traffic control server,
400. User terminal, 500. Police terminal

Claims (15)

사고 접수 앱을 통해 사고 신고를 접수하되, 사고 신고를 접수할 때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도로 사고 지원에 이용되는 모든 드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고 신고가 접수되면, 경찰차 출동을 지시함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사고 현장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는 드론을 검색하되, 출동중인 드론과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드론을 검색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대기중이며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드론 중에서 사고 현장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드론을 검색하여 출동을 지시하고, 상기 검색된 드론에 출동을 지시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교통 관제 서버;
상기 교통 관제 서버의 출동 지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고 현장으로 자동 비행하여 출동하고, 사고 현장에 도착하게 되면 사고 현장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고 현장 영상을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부터 교통 통제 요청을 수신받으면, 사고 현장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여 위치를 고정한 후,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고,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동안에도 사고 현장의 영상을 계속 촬영하여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드론; 및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획득한 사고 현장 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사고 현장 영상을 확인한 경찰로부터 상기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사고 알림 메시지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사고 알림 메시지와 함께 상기 교통 통제 요청을 상기 교통 관제 서버를 통해 상기 드론으로 전송하며, 상기 경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교통 관제 서버를 통해 상기 드론으로 복귀 명령을 전송하는 경찰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드론은,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사고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를 고정 중에, LED 전광판을 구동하여 상기 사고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복귀 명령과 드론 충전소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드론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 충전소로 복귀하고,
상기 드론에 대한 정보는,
각 드론이 대기하는 드론 충전소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 각 드론의 대기 여부, 각 드론의 현재 충전 상태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A user terminal that receives an accident report through the accident reception app, but provides thei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hen receiving an accident report;
Information on all drones used for road accident support is stored and managed, and when an accident repor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t instructs the police car to dispatch an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closest to the accident site. Search for located drones, but exclude from the search target drones that are on the move and drones with a charging state below a preset value, and search for the drones located closest to the accident site among drones that are on standby and have a charging stat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 traffic control server that instructs and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gether when instructing the searched drone to dispatch;
According to the dispatch instruction of the traffic control server,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t automatically flies to the accident site and dispatches it, and when arriving at the accident site, an image of the accident site is acquired, and the acquired accident scene image is obtained. It is transmitted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and when a traffic control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it moves a certain distance in the rear direction from the accident site to fix the location, then informs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occurrence, and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occurs. a drone that continuously captures an image of the accident site and transmits it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while notifying the traffic control server; and
Receives the obtained accident scene image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receives an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for delivery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in the rear from the police who has confirmed the received accident scene image, and receives the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together with the input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A police terminal that transmits a traffic control request to the drone through the traffic control server, and transmits a return command to the drone through the traffic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police request.
When the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the drone displays the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by driving an LED display while fixing the location, and the return comman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charging station is received, returns to the drone charging station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about the drone,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charging station where each drone is waiting, whether each drone is on standby, and the current charging status of each drone.
제1항에 있어서,
도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드론이 충전하면서 대기하는 상기 드론 충전소;를 더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rone charging station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ad, and the drone charging station stands by while the drone is charging; further comprising,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경광등을 동작시켜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rone is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that operates a warning light to notify the vehicle behind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LED 전광판을 통해 후방 차량의 차선 변경을 유도하는,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rone is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that induces a lane change of a rear vehicle through the LED sign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출동 지시에 따라 드론 충전소에서 사고 현장까지의 비행경로를 생성하는 비행 경로 생성부;
상기 사고 현장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교통 통제 요청에 따라 경광등을 구동시키는 경광등 구동부; 및
안착된 상기 드론 충전소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압을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rone is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traffic control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flight path generator for generating a flight path from the drone charging station to the accident site according to the dispatch instruction receive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accident site;
a warning ligh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warning light according to the traffic control request receive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and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including;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a battery with a charg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drone charging station seated therei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교통 통제 요청에 따라 LED 전광판을 구동시키는 LED 전광판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rone is
A road accident support system using a drone, further comprising a; an LED signboard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ED signboard according to the traffic control request receive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사용자 단말이, 사고 접수 앱을 통해 교통 관제 서버로 사고 신고를 접수하되, 사고 신고를 접수할 때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단계;
도로 사고 지원에 이용되는 모든 드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상기 교통 관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고 신고가 접수되면, 경찰차 출동을 지시함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사고 현장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는 드론을 검색하되, 출동중인 드론과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드론을 검색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대기중이며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드론 중에서 사고 현장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드론을 검색하여 출동을 지시하고, 상기 검색된 드론에 출동을 지시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
경찰 단말이,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부터 획득한 사고 현장 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사고 현장 영상을 확인한 경찰로부터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사고 알림 메시지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사고 알림 메시지와 함께 교통 통제 요청을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경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 상기 드론에 대한 복귀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동을 지시받은 드론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고 현장으로 자동 비행하여 출동하고, 사고 현장에 도착하게 되면 사고 현장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고 현장 영상을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 통제 요청을 수신받으면, 사고 현장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여 위치를 고정한 후,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고, 상기 경찰 단말로부터 상기 교통 관제 서버를 통해 상기 사고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를 고정 중에, LED 전광판을 구동하여 상기 사고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고,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동안에도 사고 현장의 영상을 계속 촬영하여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교통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복귀 명령과 드론 충전소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드론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 충전소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에 대한 정보는,
각 드론이 대기하는 드론 충전소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 각 드론의 대기 여부, 각 드론의 현재 충전 상태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방법.
The user terminal, but receiving an accident report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through the accident reception app, when receiving the accident report, provid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hen an accident repor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traffic control server, which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all drones used for road accident support, instructs a police car to dispatch and an accident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earch for the drones located closest to the scene, but exclude the drones that are on the move and the drones with a charging state below a preset value from the search target Searching for and instructing a dispatch, and transmit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gether when instructing the searched drone to dispatch;
The police terminal receives the accident scene image obtaine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receives an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police who has confirmed the received accident scene imag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in the rear, and the input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and transmitting a traffic control request together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and transmitting a return command for the drone to the traffic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police; and
The drone, which has been instructed to dispatch, automatically flies to the accident sit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dispatches it, and when it arrives at the accident site, acquires an image of the accident scene, and transfers the acquired accident scene image to the traffic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and when the traffic control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it moves to the rear direction from the accident site by a certain distance to fix the position, then informs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occurrence, and the traffic control from the police terminal When the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server, the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is displayed by driving the LED signboard while the location is fixed, and the image of the accident site is continuously taken while notifying the vehicle behind the accident. Transmitting to a control server, and when the return comman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charging station are received from the traffic control server, returning to the drone charging station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about the drone,
A road accident support method using a dron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charging station where each drone is waiting, whether each drone is on standby, and the current charging status of each dr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이 상기 교통 통제 요청에 따라 상기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릴 때,
경광등을 동작시켜 후방의 차량에 사고 발생을 알리고, 상기 LED 전광판을 통해 사고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여 후방 차량의 차선 변경을 유도하는,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drone notifies the vehicle behind the vehicle of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according to the traffic control request,
A road accident support method using a drone that operates a warning light to notify the vehicle behind of the accident, and displays an accident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e LED display to induce a lane change of the vehicle behind.
KR1020180087545A 2018-07-27 2018-07-27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ffic accident using drones KR1022846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545A KR102284660B1 (en) 2018-07-27 2018-07-27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ffic accident using dr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545A KR102284660B1 (en) 2018-07-27 2018-07-27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ffic accident using dro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360A KR20200012360A (en) 2020-02-05
KR102284660B1 true KR102284660B1 (en) 2021-08-02

Family

ID=6951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545A KR102284660B1 (en) 2018-07-27 2018-07-27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ffic accident using dro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6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176B1 (en) * 2020-05-26 2020-08-28 임철규 Intelligent highway traffic system based on 5G network
CN114639231B (en) * 2020-12-15 2023-10-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Road traffic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2403431B1 (en) * 2020-12-17 2022-06-02 주식회사 드론비즈 Traffic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dr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752B1 (en) * 2016-05-03 2016-09-21 송성훈 Flight safety apparatus for guiding car and docking system thereof
KR101691751B1 (en) * 2015-10-22 2016-12-30 장성수 Accident reporting system using iot safety trip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667A (en) 2015-03-20 2016-09-28 김차동 The signal device for a traffic accident
KR20170092292A (en) 2016-02-03 2017-08-11 (주)이에스브이 Expressway traffic monitoring system with unmanned flight electrical equipment
KR20170132923A (en) * 2016-05-24 2017-12-05 (주)이랩코리아 Control system for unmanned assignment of drone
KR20180028100A (en) * 2016-09-07 2018-03-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Drone Call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751B1 (en) * 2015-10-22 2016-12-30 장성수 Accident reporting system using iot safety tripod
KR101658752B1 (en) * 2016-05-03 2016-09-21 송성훈 Flight safety apparatus for guiding car and docking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360A (en)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6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ffic accident using drones
CN112550309B (en) Autonomous vehicle,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605968B2 (en) Navigation route cooperatio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9021200A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control system
JP2018032433A (en) Automatic driving support system
KR102134576B1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flight path of drone
US20130242104A1 (en) Traffic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oadway condition
CN112085960A (en) Vehicle-road cooperativ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and automatic driving vehicle
JP7081534B2 (en) Processing equipment,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program
JP6003824B2 (en) Traffic light control system
US20190250635A1 (en) Mobile shop vehicle and mobile shop system
JP4942567B2 (en) Risk level notification system, server device, and level of risk notification method
WO2019021971A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management method
US20200160693A1 (en) Stop sign with traffic control features
JP2010072713A (en) Large-vehicle rear image provision system
US20140222320A1 (en) Operating method of road guide system and road guide method of portable device
WO20190087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ed in same
JP2020060870A (en) signage
JP2016031707A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EP3846094A1 (e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JP7478601B2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s
WO2021095481A1 (en) Driving assistance method, roadside device, and in-vehicle device
KR1003122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ervice traveling regular route
JP2000306192A (en) System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JP2021124926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tribu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