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100A - Drone Call System - Google Patents

Drone Cal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100A
KR20180028100A KR1020160115260A KR20160115260A KR20180028100A KR 20180028100 A KR20180028100 A KR 20180028100A KR 1020160115260 A KR1020160115260 A KR 1020160115260A KR 20160115260 A KR20160115260 A KR 20160115260A KR 20180028100 A KR20180028100 A KR 20180028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drone
accident
communication module
wa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2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연모
최우석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5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8100A/en
Publication of KR20180028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1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1/00Propellers, e.g. of ducted type; Features common to propellers and rotors for rotorcraft
    • B64C11/16Blades
    • B64C11/20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32Rotors
    • B64C27/46Blades
    • B64C27/473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5/04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D2700/6218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call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rones waiting at a certain distance in each zone; and a control server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rones. Each of the drones includes: a GPS unit configured to sense location information; a first communications modul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server; a second communications modul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other drones;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with the GPS unit and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s modules and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 of the drone. The drone shares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drone via the second communications module in real tim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n accident sit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drone and controls a drone waiting at a shortest distance from the accident site to fly to the accident site when a dispatch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via the first communications module. Therefore, the drone call system makes only the drones at the shortest or second shortest distance from the accident site fly to the accident site so as to quickly cope with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and simultaneously increase operational efficiency of a drone system. In addition, the drone is equipped with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and a distance sensor to prevent damage to the drone and the propeller structure of the drone is changed to enhance thrust and lift during rotation of the propeller, thereby facilitating an efficient flight.

Description

드론 호출 시스템{Drone Call System}Drone Call System [0002]

본 발명은 드론 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s calling system.

드론(Drone)은 최초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운반 및 보관의 편리성, 조작 용이로 방송에서 촬영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재난 재해 모니터링, 물류 운반. 산불진화 또는 농약 살포용 드론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드론은 언제 어디서든 이륙 및 착륙이 용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Drone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military use, but it is most commonly used for shooting in broadcasting due to its ease of transport and storage, and ease of operation. Recently, disaster disaster monitoring, logistics transportation.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volution of forest fires or pesticide spraying drones. In particular, drones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because they are easy to take off and land at any time.

드론 관련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87893호(2016.01.18. 등록)에는 드론 보드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35401호(2015.07.02. 등록)에는 드론방식의 구명장비 투하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드론을 이용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related art related to dron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87893 (Registered on Jan. 18, 2016) describes a drone board, and Korean 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o. 10-1535401 (Registered on May 21, 2015) Describes a dragon lifting device dropping device. In addition, the technology using drones is being developed in various technical fields.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발생에 신속한 대응을 구현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one call system which realizes quick response to an accid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드론을 모두 동시에 운용하지 않고 드론 간 위치 정보 확인을 통하여 최단 거리 또는 차순위 거리의 드론들만을 활용하여 사고 대응을 수행하는 드론 시스템 운영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드론 호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ones system capabl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dronesystem operation for performing an accident response by utilizing only the drones of the shortest distance or the next distance through checking the position information between drones, And to provide a drone call system.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역별 일정 거리를 두고 대기 중인 복수의 드론; 및 상기 복수의 드론과 통신으로 접속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론은,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GPS;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는 제1통신모듈; 드론 간 통신하는 제2통신모듈; 및 상기 GPS, 제1, 2통신모듈과 연결되며,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드론은 제2통신모듈을 통하여 각 드론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제1통신모듈을 통하여 출동 신호가 접수될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사고 위치와 각 드론의 위치정보를 연산하여 사고 위치로부터 최단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이 사고 위치로 비행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a plurality of drones waiting at a certain distance in the zone; And a control server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drones, wherein the dron comprises: a GPS for sensing position information;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drone units;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GPS,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s, wherein the drones shar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dron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n real time, 1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accident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drones so as to control the drones so that the drones waiting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accident location fly to the accident location ≪ / RTI >

여기서, 상기 드론은 비행 중 건물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 및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rones may further include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and a distance detection sensor for preventing collision with buildings or obstacles during flight.

또한, 상기 드론 호출 시스템은 상기 드론의 배터리 충전 또는 급유를 수행하는 복수의 기착지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s call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destination points for performing battery charging or lubrication of the drones.

여기서, 상기 드론의 프로펠러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단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propeller of the drone may be formed in a tapered shape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enter.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역별 일정 거리를 두고 대기 중인 복수의 드론; 및 상기 복수의 드론과 통신으로 접속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론은,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GPS;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는 제1통신모듈; 드론 간 통신하는 제2통신모듈 및 상기 GPS, 제1, 2통신모듈과 연결되며,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드론은 제2통신모듈을 통하여 각 드론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제1통신모듈을 통하여 출동 신호가 접수될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사고 위치와 각 드론의 위치정보를 연산하여 사고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과 사고 위치로부터 차순위 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이 사고 위치로 비행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s are achieved by a dredging mach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drones wait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each zone; And a control server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drones, wherein the dron comprises: a GPS for sensing position information;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GPS,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 wherein the drone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dron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n real time When the dispatch server receives the dispatch signal from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accident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dron to calculate the distance from the dron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accident position to the next distance Can be accomplished by a drones calling system that controls the drones so that the waiting drones fly to the accident location.

여기서, 상기 드론은 비행 중 건물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 및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rones may further include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and a distance detection sensor for preventing collision with buildings or obstacles during flight.

또한, 상기 드론 호출 시스템은 상기 드론의 배터리 충전 또는 급유를 수행하는 복수의 기착지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s call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destination points for performing battery charging or lubrication of the drones.

여기서, 상기 드론의 프로펠러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단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propeller of the drone may be formed in a tapered shape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enter.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역별 일정 거리를 두고 대기 중인 복수의 드론; 및 상기 복수의 드론과 통신으로 접속되는 관제서버; 를 포함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론은,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GPS;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는 제1통신모듈; 드론 간 통신하는 제2통신모듈; 및 상기 GPS, 제1, 2통신모듈과 연결되며,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드론은 제2통신모듈을 통하여 각 드론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제1통신모듈을 통하여 출동 신호가 접수될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사고 위치와 각 드론의 위치정보를 연산하여 사고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이 사고 위치로 비행하여 사고에 대응하고, 사고 위치로부터 차순위 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이 사고 위치 인근으로 비행하여 대비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s are achieved by a dredging mach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drones wait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each zone; And a control server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drones; Wherein the drones comprise: a GPS for sensing position information;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drone units;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GPS,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drone; Wherein the drones shar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drone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n real time and when the dispatch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 drone call system that calculates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drone so that the drone waiting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accident location flew to the accident location to cope with the accident and the drone waiting at the next distance from the accident location flew to the vicinity of the accident location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드론은 비행 중 건물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 및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rones may further include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and a distance detection sensor for preventing collision with buildings or obstacles during flight.

또한, 상기 드론 호출 시스템은 상기 드론의 배터리 충전 또는 급유를 수행하는 복수의 기착지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s call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destination points for performing battery charging or lubrication of the drones.

여기서, 상기 드론의 프로펠러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단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propeller of the drone may be formed in a tapered shape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enter.

본 발명에 의해, 사고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 또는 차순위 거리에 있는 드론들만을 사고 위치로 비행시킴으로써, 사고 발생에 신속한 대응을 구현함과 동시에 드론 시스템 운영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lying only the drones at the shortest distance or the next distance from the accident location to the accident loca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of the drone system.

또한, 드론에 충돌감지센서 및 거리감지센서를 채택하여 드론의 파손을 방지하며, 드론의 프로펠러의 구조를 변경하여 프로펠러의 회전 시, 추력 및 양력을 강화시켜 효율적인 비행을 구현한다.In addition, the drones are equipped with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and a distance sensor to prevent damage to the drones, and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propeller of the drone,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thrust and lift when the propeller is rotate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호출 시스템의 사고 발생 대응 프로세스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호출 시스템의 드론에 장착된 프로펠러의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ccident occurrence process of a drone cal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propeller mounted on a dron of a drone p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공지된 기술 요소에 대한 구성 설명 또한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드론이 포함하는 통신 모듈, 비행 제어 모듈, 전원 공급 수단, 모터, 카메라, 각종 센서 등의 드론이 포함하는 공지 기술 요소들이 포함된 것을 전제로 본 발명이 추구하는 특징적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pursued by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premise that the well-known technical elements including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the drone, the flight control module, the power supply means, the motor, the camera, I will explai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결합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upled" or "coupl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with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substrate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upl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즉,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other words,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explain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exis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호출 시스템의 사고 발생 대응 프로세스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호출 시스템의 드론에 장착된 프로펠러의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ccident response process of a drone ca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hape of a propeller mounted on a dron of a drone ca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론 호출 시스템은, 구역별 일정 거리를 두고 대기 중인 복수의 드론; 및 상기 복수의 드론과 통신으로 접속되는 관제서버(미도시)를 포함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론은,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GPS(미도시),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는 제1통신모듈(미도시), 드론 간 통신하는 제2통신모듈(미도시) 및 상기 GPS, 제1, 2통신모듈과 연결되며,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드론은 제2통신모듈을 통하여 각 드론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제1통신모듈을 통하여 출동 신호가 접수될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사고 위치와 각 드론의 위치정보를 연산하여 사고 위치로부터 최단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이 사고 위치로 비행하도록 해당 드론을 제어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drones ca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rones wait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each zone; And a control server (not shown)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drones, wherein the dron comprises a GPS (not shown) for sensing location information,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GPS,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s. The drones are connected to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2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the dispatch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accident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dron, The drones waiting at the shortest distance control the drone to fly to the accident location.

먼저, 드론들이 일정 구역 내에서 일정 거리를 둔 상태로 대기한다.(대기 상태) 이때, 각 드론들은 GPS에서 수집된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타 드론으로 제2통신모듈을 통해 상호 공유하고 있다. 여기서 드론 간 공유되는 정보는 해당 드론들의 위치정보 뿐만 아니라 비행 가능 여부, 비행 가능 시간, 드론 내 장착된 구성들에 대한 정상 작동 여부 등의 정보가 부가된다.First, the drones are waiting with a certain distance in a certain area (waiting state). At this time, each of the drones shares thei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GPS with a treadron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Here, the information shared among the drone information includes not only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but also information such as availability of flight, available time, and normal operation of the drone mounted components.

이어, 관제서버에 사고 발생에 대한 신고가 접수되면, 관제서버에서 해당 구역에서 대기 중인 각 드론들에게 출동 신호를 전송한다.(출동 상황 발생)Then, when a notification about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is received at the control server, the control server transmits a dispatch signal to each of the waiting drones in the corresponding area (dispatch situation occurs).

다음, 제1통신모듈을 통해 출동 신호를 수신한 드론들은 각각 자신의 위치와 타 드론들의 위치 및 사고 위치를 연산하여 사고 위치로부터 최단거리에 있고, 출동이 가능한 상태인 드론을 출동 대상 드론으로 결정한다.(최단 거리 드론 결정)Next, the drones receiving the dispatch sig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calculate their own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tron drone and the thought position, and determine the dron as the dispatch target dron in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thinking position and in a state where dispatch is possible (Determination of the shortest distance drones)

다음, 출동 대상 드론으로 결정된 드론은 사고 위치로 비행하여 사고 대응 프로세스를 수행한다.(임무 수행) 여기서, 임무 수행은 사고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특정 개인의 호신이 필요한 상황, 도주차량 발생 상황, 사고차량 발생 상황, 화재 상황 등과 같은 사고 발생 시,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촬영, 추적, 경고, 화재 진압 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Next, the drone determined to be the drones to be dispatched flew to the accident location and performs the accident response process. (Mission Execution) Here, the mission duties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accident situation. For example, Tracking, warning, and fire suppress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s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such as an accident, an accident, a fire, or the like.

여기서, 상기 드론은 비행 중 건물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 및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rones may further include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and a distance detection sensor for preventing collision with buildings or obstacles during flight.

드론의 사고 대응 프로세스는 사고 발생 위치에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며, 라이트를 통해 조명을 조사하고, 카메라를 통해 사고 발생 상황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관제서버에서 현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cident response process of the drone may be performed by emitting a warning sound through a speaker at an accident occurrence position, illuminating the light through a light, and controlling the camera to shoot an accident occurrence situation. In addition,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so that the control server can grasp the current situation accurately.

여기서, 상기 드론은 드론몸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1회성으로 전개 또는 사출되는 낙하방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낙하방지유닛은 드론이 더 이상 사고 대응을 할 수 없는 경우(비행이 불가능할 경우)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낙하방지유닛은 드론이 땅에 떨어져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드론 몸체의 일방향에서 사출되는 낙하산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드론 몸체의 둘레를 따라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히도록 전개되는 보조 날개의 형태로도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사고 대응 드론에서 낙하방지유닛이 동작될 경우, 차순위의 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으로 사고 대응 드론이 재할당되어 사고 대응 프로세스를 유지시킬 수 있다.Here, the dron further includes a drop preventing unit which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rone body and is deployed or injected on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flight is not possible), it can be provided to be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drop prevention unit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a parachute projected from one direction of the drone body to prevent the drone from falling on the ground and being broken, and may be provided to exte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rone body It may also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uxiliary wing. In addition, when the fall prevention unit is operated in the accident response drone, the accident response drone can be reassigned to the standby drone at a distance of the subordinate to maintain the accident response process.

한편, 본 발명에서는 프로펠러(130)의 구조를 테이퍼지도록 형성하여 프로펠러(130) 회전 시, 추력 및 양력을 강화시켜 효율적인 비행을 구현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프로펠러(130)는 중앙 회전축을 기준으로 양단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마련되며, 이에 의해 프로펠러(130)의 중앙 부분의 폭(d1)이 양 단부의 폭(d2) 보다 작도록 마련된다. 여기에 더불어, 프로펠러(130)의 양단부를 특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경사부를 형성하여 전술한 효과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즉, 드론의 비행 시, 프로펠러(130)의 단면적을 넓히고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프로펠러(130)의 회전에 의한 드론의 추력 및 양력이 증대되어 효율적인 비행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propeller 130 is formed to be tapered so as to enhance the thrust and lift when the propeller 130 is rotated, thereby realizing efficient flight. 2, the propeller 130 is taper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peller 130 increases toward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rotation. Thus, the width d1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propeller 130 is Is smaller than the width (d2) of both end portions. In addition, the inclined portion may be formed so as to incline the both ends of the propeller 130 at a specific angle to increase the above-described effect. That is, at the time of flight of the drones, the sectional area of the propeller 130 is widened and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air, thereby increasing the thrust and lift of the dron by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13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드론 호출 시스템은 대기 중인 드론의 배터리 충전 또는 급유를 수행하는 복수의 기착지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착지점은 드론이 착륙하기 위한 지지부분과 드론 착륙 시에 드론의 고정 및 전기적, 물리적 연결을 구현하는 도킹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킹부분은 적외선 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 송신부를 포함하며, 드론은 지지부분 및 도킹부분과의 거리 및 각도를 측정하는 레이저 센서와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를 포함한다. 이는 드론과 기착지점과의 착륙 및 도킹 결합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기착지점의 인근에서 적외선 수신부를 통하여 인접한 적외선 신호를 서칭하여 기착지점을 찾고, 이후, 레이저 센서를 통해 대상 기착지점의 도킹부분과 결합하여 드론과 도킹부분의 자동 도킹을 구현한다. 도킹이 완료되면, 해당 드론의 배터리 충전 또는 급유 과정이 진행되며, 이 상태에서도 관제서버 및 해당 구역의 타 드론과 정보 공유를 위한 통신을 유지한다.Meanwhile, the drones ca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destination points for performing battery charging or lubrication of the standby drones. Here, the landing point may include a supporting portion for landing the drones and a docking portion for realizing the fixed and electrical and physical connection of the drones when the drones are landing. Here, the docking part includes an infrared ray transmitter for generating an infrared ray signal, and the dron includes a laser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and angle between the supporting part and the docking part, and an infrared ray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the infrared ray signal. In order to realize a landing and docking connection between the drones and the landing site, an adjacent infrared ray signal is searched through an infrared receiver near the landing site to find a landing site. Then, To implement automatic docking of the drones and docking areas. When the docking is completed, the charging or lubrication process of the battery of the drone is performed. In this state, communication for information sharing with the control server and the tardor in the corresponding area is maintained.

이상에서와 같이 드론 호출 시스템은, 출동 신호 접수 시 사고 위치에서 최단 거리에 있는 드론이 출동 대상 드론으로 결정되어 사고 대응을 수행하는데, 사고 대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드론 호출 시스템이 구축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one call system determines the drone which is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accident position when accepting the dispatch signal is determined as the dispatch target dron and performs an accident response.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accident response, have.

첫번째, 관제서버로부터 출동 신호가 접수될 경우, 사고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과 차순위 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에게 사고 위치로 비행하도록 제어하는 형태이다. 두번째, 관제서버로부터 출동 신호가 접수될 경우, 사고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이 사고 위치로 비행하여 사고에 대응하고, 사고 위치로부터 차순위 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이 사고 위치 인근으로 비행하도록 제어하는 형태이다. 즉, 첫번째의 경우 사고 대응 드론을 두 대로 설정하여 동시에 사고 대응 임무를 수행하게 하는 형태로 정확한 사고 상황 파악 및 대응에 장점이 있으며, 두번째의 경우 사고 대응 드론을 한 대로 설정하되 백업 사고 대응 드론을 설정하고 이를 사고 위치 인근에 대기시킴으로써 사고 대응 드론의 이상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후에 드론의 사고 대응 프로세스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First, when a dispatch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it is controlled so as to fly to the accident location by a waiting dron at a distance from the waiting dron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accident location. Second, when a dispatch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he drones waiting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accident position fly to the accident position to respond to the accident, and control so that the droness waiting at the next distance from the accident position fly near the accident location . That is, in the first case, the accident response drones are set to two, and at the same time, the accident response missions are performed. In the second case, the incident response drones are set as one, but the backup accident response drones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related drones by setting it and waiting near the accident location. The drones' incident handling proces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 호출 시스템은, 사고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 또는 차순위 거리에 있는 드론들만을 사고 위치로 비행시킴으로써, 사고 발생에 신속한 대응을 구현함과 동시에 드론 시스템 운영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one cal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respond to accidents 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drone system operation by flying only the drone at the shortest distance or the next distance from the accident location to the accident location .

또한, 드론에 충돌감지센서 및 거리감지센서를 채택하여 드론의 파손을 방지하며, 드론의 프로펠러의 구조를 변경하여 프로펠러의 회전 시, 추력 및 양력을 강화시켜 효율적인 비행을 구현한다.In addition, the drones are equipped with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and a distance sensor to prevent damage to the drones, and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propeller of the drone,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thrust and lift when the propeller is rotated.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2)

구역별 일정 거리를 두고 대기 중인 복수의 드론; 및
상기 복수의 드론과 통신으로 접속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론은,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GPS;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는 제1통신모듈;
드론 간 통신하는 제2통신모듈; 및
상기 GPS, 제1, 2통신모듈과 연결되며,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드론은 제2통신모듈을 통하여 각 드론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제1통신모듈을 통하여 출동 신호가 접수될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사고 위치와 각 드론의 위치정보를 연산하여 사고 위치로부터 최단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이 사고 위치로 비행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
A plurality of drones waiting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nd a control server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drones,
The drones,
GPS to sense location information;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drone units; An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GPS,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s,
When the dispatch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accident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spective drones And controls the drones so that the drones waiting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accident position fly to the accident lo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비행 중 건물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 및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on further comprises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and a distance detection sensor for preventing collision with buildings or obstacles during f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호출 시스템은 상기 드론의 배터리 충전 또는 급유를 수행하는 복수의 기착지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ones call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destination points for performing battery charging or refueling of the dro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프로펠러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단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peller of the drone is provided in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peller is increased toward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enter.
구역별 일정 거리를 두고 대기 중인 복수의 드론; 및
상기 복수의 드론과 통신으로 접속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론은,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GPS;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는 제1통신모듈;
드론 간 통신하는 제2통신모듈; 및
상기 GPS, 제1, 2통신모듈과 연결되며,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드론은 제2통신모듈을 통하여 각 드론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제1통신모듈을 통하여 출동 신호가 접수될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사고 위치와 각 드론의 위치정보를 연산하여 사고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과 사고 위치로부터 차순위 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이 사고 위치로 비행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
A plurality of drones waiting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nd a control server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drones,
The drones,
GPS to sense location information;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drone units; An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GPS,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s, wherein the drones shar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rones in real tim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dispatch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accident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dron so that the dron waiting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accident position and the dron waiting at the next distance from the accident position fly Wherein the drones are controlled by the dron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비행 중 건물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 및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ron further comprises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and a distance detection sensor for preventing collision with buildings or obstacles during fligh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호출 시스템은 상기 드론의 배터리 충전 또는 급유를 수행하는 복수의 기착지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rones call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destination points for performing battery charging or refueling of the dron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프로펠러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단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opeller of the drone is provided in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peller is increased toward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enter.
구역별 일정 거리를 두고 대기 중인 복수의 드론; 및
상기 복수의 드론과 통신으로 접속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론은,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GPS;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는 제1통신모듈;
드론 간 통신하는 제2통신모듈; 및
상기 GPS, 제1, 2통신모듈과 연결되며,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드론은 제2통신모듈을 통하여 각 드론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며,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제1통신모듈을 통하여 출동 신호가 접수될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사고 위치와 각 드론의 위치정보를 연산하여 사고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이 사고 위치로 비행하여 사고에 대응하고, 사고 위치로부터 차순위 거리에 대기 중인 드론이 사고 위치 인근으로 비행하여 대비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
A plurality of drones waiting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nd a control server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drones,
The drones,
GPS to sense location information;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drone units; An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GPS,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s, wherein the drones shar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rones in real tim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dispatch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accident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dron so that the drones waiting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accident position fly to the accident position to cope with the accident, Wherein the drones are controlled such that the drones waiting in the distance fly to the vicinity of the accident loc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비행 중 건물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 및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ron further comprises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and a distance detection sensor for preventing collision with buildings or obstacles during fligh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호출 시스템은 상기 드론의 배터리 충전 또는 급유를 수행하는 복수의 기착지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rones call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destination points for performing battery charging or refueling of the dron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프로펠러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단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호출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opeller of the drone is provided in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peller is increased toward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enter.
KR1020160115260A 2016-09-07 2016-09-07 Drone Call System KR201800281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260A KR20180028100A (en) 2016-09-07 2016-09-07 Drone Cal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260A KR20180028100A (en) 2016-09-07 2016-09-07 Drone Cal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100A true KR20180028100A (en) 2018-03-16

Family

ID=6191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260A KR20180028100A (en) 2016-09-07 2016-09-07 Drone Cal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810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800B1 (en) * 2018-04-20 2019-03-25 전석기 Emergency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drones
KR20200012360A (en) * 2018-07-27 2020-02-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ffic accident using dron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800B1 (en) * 2018-04-20 2019-03-25 전석기 Emergency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drones
KR20200012360A (en) * 2018-07-27 2020-02-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ffic accident using dro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60066B (en) Virtual reality system for an aircraft
US11126204B2 (en) Aerial vehicle interception system
CN109425265B (en) Aircraft imaging and aiming system
JP6542294B2 (en) Multi-mode unmanned aerial vehicle
CN108241349B (en) Fire-fighting unmanned aerial vehicle cluster system and fire-fighting method
US20200064845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oving object capturing system
US10496107B2 (en) Autonomous security drone system and method
US10933996B2 (en) Release and capture of a fixed-wing aircraft
JP2022501263A (en) Aircraft with countermeasures to neutralize the target aircraft
JP2022504284A (en) Deployable aviation measures to neutralize and capture target aircraft
US20210263537A1 (en) Uav systems, including autonomous uav operational containme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KR102034494B1 (en) Anti-Drones system and operation methode to neutralize abusing drones
CN110624189B (en) Unmanned aerial vehicle-mounted fire extinguishing bomb device, fire-fight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emission control method
JP2010095246A (en) System for navig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used for the same
KR101701397B1 (en)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unmanned vehicle and system
US11794897B2 (en) Aerial drone
KR20180098055A (en) Drone system
CN212332970U (en) Unmanned aerial vehicle machine carries fire extinguishing bomb device, fire control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80028100A (en) Drone Call System
US115515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rone release detection
KR102321351B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drone
EP3956220B1 (en) A uav carrier
KR20160119988A (en) Folding type multi-purpose multi-rotor drone which can takeoff and landing on the moving vehicle
KR2019005284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aking off and landing of a dron in a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202003808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s between aircraft and other flying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