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322B1 -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 - Google Patents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322B1
KR102284322B1 KR1020200183489A KR20200183489A KR102284322B1 KR 102284322 B1 KR102284322 B1 KR 102284322B1 KR 1020200183489 A KR1020200183489 A KR 1020200183489A KR 20200183489 A KR20200183489 A KR 20200183489A KR 102284322 B1 KR102284322 B1 KR 102284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upper plate
clip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305A (ko
Inventor
김성원
Original Assignee
김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원 filed Critical 김성원
Publication of KR2021000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독서대의 받침대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게 유도할 수 있으며, 상판의 보조판수납부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판을 이용하여 상판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보조판을 수납할 수 있는 보조판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좌측면 및 우측면에 클립과 결합될 수 있는 클립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 받침대의 높이를 고정시킬수 있는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상판과 받침대를 결합시키며, 클립레일을 따라 승강운동할 수 있는 클립; 클립과 결합되어, 클립레일을 따라 승강할 수 있는 받침대; 상판의 보조판수납부에 수납될 수 있는 보조판; 및 상판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Multi functional book holder with height adjustment}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대의 받침대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게 유도할 수 있으며, 상판의 보조판수납부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판을 이용하여 상판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사용자의 시선과 책이 고정되는 경사도를 조절하여 바른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게 유도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독서대는 통상적으로 상판의 전면에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가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판의 배면에는 상판을 경사지게 고정 및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반적인 독서대는 사용자의 눈높이에 알맞게 맞추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책을 읽기 위하여 고개를 숙이거나 등과 허리가 앞으로 굽은 상태를 취하게 되며, 이는 거북목과 디스크 등을 유발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등록번호:20-0475482)' 및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등록번호:10-1458470)'에서는 높이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독서대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된 문헌들에 제시된 독서대들은 부피가 크거나 또는 무거워서 휴대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독서대의 받침대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게 유도하고, 부피 및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KR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6911호(2014년11월03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독서대의 받침판이 승강운동을 하여 사용자가 알맞은 위치로 받침대를 위치하게 하여 바른자세의 독서를 유도할 수 있는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는 거치할 대상을 그 일면에서 지지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물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상판 배면에 구비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상판에 형성된 고정홈에 안착되어 상기 받침대의 승강 또는 하강 이동을 제한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고정돌기를 구비한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받침대와 결합되어 상판 좌우측에 복수 개로 형성된 상기 고정홈에 인입되어 상기 받침대를 특정 높이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돌기를 상판의 상기 고정홈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와 위치 고정 상태로 전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 으로부터 인출되어 위치 고정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받침대를 승강 또는 하강 이동시키고, 상기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홈에 인입되어 상기 받침대를 특정 높이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받침대와 함께 승강 또는 하강 이동하며; 일단에 독서대의 높이조절을 위해 압력이 가해지거나 압력이 제거되는 접촉부의 역할을 하는 버튼이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 좌우측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과 상기 받침대를 연결시키고, 상기 고정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와 함께 상기 상판의 형성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 이동시키는 클립과;상기 클립에 형성되어 상판과 클립을 결합시켜주는 클립후크; 상기 상판의 좌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클립후크를 걸어 상판에서 클립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클립후크의 상하 높이조절의 이동통로가되는 후크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은 상기 버튼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버튼홈과; 상기 받침대를 접었다 펼수 있는 받침대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 상측으로 인출되고 연장판의 역할을 하는 보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판은 상기 상판 상측으로 인출되고, 상판 다른 거치할 대상을 지지하는 보조 받침대와; 상기 보조 받침대를 수용하는 보조받침대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 일면에는 책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책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판 내부에는 무선충전코일 및 회로기판(PCB)가 탑재되어 있어서 보조받침대에 전자기기를 거치 시에 전원을 공급하면 무선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독서대의 받침판이 승강운동을 하여 사용자가 알맞는 위치로 받침대를 위치하게 하여 바른자세의 독서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보조판의 보조받침대가 보조받침대삽입홈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판의 내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버튼 및 고정클립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보조판이 보조판수납부에 수납되고, 받침대 및 지지대가 접철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클립레일이 상판의 내부에 파형으로 형성된 경우, 고정장치 및 클립레일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클립레일이 상판의 외부에 파형으로 형성된 경우, 고정장치 및 클립레일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보조판이 회전힌지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보조판의 보조받침대가 보조받침대삽입홈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판의 내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버튼 및 고정클립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보조판이 보조판수납부에 수납되고, 받침대 및 지지대가 접철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고정홈이 상판의 내부에 파형으로 형성된 경우, 높이고정 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고정홈이 상판의 외부에 파형으로 형성된 경우, 높이고정 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보조판이 회전힌지에 의해 각도가 조절 및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판(100), 클립(200), 받침대(300), 보조판(400), 지지대(500), 고정장치(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판(100)에는 보조판(400)을 수납할 수 있는 보조판수납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 좌측 및 우측에는 상기 고정장치(600)의 고정돌기(611)가 안착되어 받침대와 클립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판 좌우 일면에는 상판과 클립을 결합하고 클립이 상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후크(220)가 걸려지며. 받침대 및 클립이 상판의 형성방향으로 상하 높이조절시에 클립후크의 이동통로가 되는 후크레일(13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장치(600)는 클립(200)과 결합되고, 상기 클립은 받침대(300)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600)를 구비하고, 상판(100)과 받침대(300)를 결합시킨다.
상기 받침대(300)는 클립(200)에 의해 상판(100)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클립의 클립후크(220)가 상판(100)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레일(130)을 따라 상기 받침대(330)는 클립과 함께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클립(200)에는 상기 버튼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버튼홈(230)과 받침대와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를 접었다 펼수 있는 받침대결합홈(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조판(400)은 보조받침대(410) 및 보조받침대삽입홈(420)을 구비하고, 보조받침대는 상기 보조받침대삽입홈 하부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직각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보조판은 상부보조판(400a)과 하부보조판(400b)으로 나뉘어지고, 상부보조판(400a)과 하부보조판(400b)은 보조판각도힌지(430)으로 결합되며 사용자의 시야각도에 맞게 개별적으로 보조판(400)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다.
각도지지대(500)는 상판(100)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판(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판(100)은 보조판(400)을 수납할 수 있는 보조판수납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보조판(400)은 보조판의 높이를 고정시킬수 있는 보조판높이조절장치가 형성될 수 있고, 보조판높이조절장치로 하단의 양측면에 내부걸림돌기(440)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판수납부(110)는 상판의 내부에 보조판(4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판수납부의 양측면에는 걸림턱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판수납부(1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부를 통하여 상판 상측으로 보조판(400)이 슬라이딩방식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보조판(400)이 슬라이딩방식으로 인출되는 경우 보조판(400)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판걸림돌기(440)가 보조판수납부(1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걸림턱홈(111)에 걸려서 보조판(400)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100) 상단에는 보조판손가락홈(140)이 형성되어 있어 보조판수납부(110)에 삽입되어 있는 보조판(400)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판(100)은 좌측면 및 우측면에 고정장치(600)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장치수용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장치(600)는 고정돌기(611)를 구비한 버튼(610), 고정클립(620), 탄성부재(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판(100)의 고정장치수용부(120)는 고정장치(600)의 고정돌기(611)를 이용하여 받침대(300)를 원하는 높이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611)를 구비한 버튼(610)은 고정클립(620)과 결합되는 부분이 고정클립(620)의 버튼삽입홈(621)에 인입될 수 있고, 상기 고정돌기(611)는 클립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클립(620)은 버튼삽입홈(621)이 형성되어 있어 버튼(61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고, 버튼삽입홈(621)에 탄성부재가 위치하여 버튼(61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버튼(610)의 고정돌기(611)가 고정장치수용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121)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홈(121)사이에는 가이드돌기(121a)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장치는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611)가 상기 고정홈(121)으로부터 인출되어 위치 고정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받침대를 승강 또는 하강 이동시키고, 상기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고정홈(121)에 다시 인입되어 상기 받침대를 특정 높이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판(100)의 고정장치수용부(120)는 상판(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다수의 파형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1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장치(600)에는 탄성체(640)가 구비되고, 승강운동을 하는 클립(200)이 일정 높이에 위치할 때, 클립(200)의 고정장치(600)에 구비된 탄성체(640)가 고정장치수용부(120)의 고정홈(121)에 형성된 파형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도록 고정돌기(611)에 압착력을 제공함으로서 클립이 승강한 높이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장치수용부(120)는 상판의 내측 뿐 아니라 외측에 형성될 수 있고, 클립(200)은 이동및고정홈(121)을 따라 승강운동을 하며, 클립(200)에 구비된 고정장치(600)에 의하여 클립이 승강한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판(100)은 후크레일(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립(200)에는 클립후크(220)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레일(130)은 상판(100)의 전면 양측가장자리 및 배면 양측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립후크(220)와 결합되어 클립(200)이 후크레일(13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때, 클립(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판(400)은 보조받침대(410) 및 보조받침대삽입홈(420)을 구비하고, 보조받침대삽입홈(420) 하단의 양측면에 보조 회전힌지(413)에 의하여 보조받침대(410)가 결합되어 있다.
보조받침대(410)는 보조받침대삽입홈(420)에 인입될 수 있으며, 보조 회전힌지(413)를 이용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회동하여 보조받침대삽입홈(420)에 삽입되어 닫히는 경우, 보조판(4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이 없는 편평한 판상구조가 되어 보조판(400)이 보조판수납부(110)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보조받침대(410)에는 보조받침대걸림턱(411)이 형성되어 있어, 보조받침대(410)에 물품을 거치하는 경우, 물체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물품을 거치할 수 있다.
보조받침대삽입홈(420)의 상단 중앙에는 보조받침대손가락홈(421)이 형성되어 있어 보조받침대삽입홈(420)에 삽입되어 있는 보조받침대(41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보조받침대손가락홈(421)은 보조받침대삽입홈(420) 뿐만 아니라 보조받침대(410)에 형성되어 보조받침대(41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보조판(400)을 보조판수납부(110)에서 인출시켜 사용하는 경우, 보조받침대(410)를 보조받침대삽입홈(420)에 삽입되어 닫힌 상태에서 사용하면, 상판의 길이가 길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보조받침대(410)를 보조받침대삽입홈(420)에서 인출시켜 전면 직각방향으로 펼치면, 휴대전화를 포함한 물품을 거치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판(400) 내부에는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코일(미도시)과 충전기판 및 IC회로를 포함한 무선충전기(미도시) 및 LED를 포함한 발광소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어, 휴대전화를 포함한 전자기기를 보조판에 거치하는 경우, 전자기기가 무선충전될 수 있고, 발광소재에 의하여 충전여부 및 완충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보조판(400)에 보조판각도힌지(430)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시야각도에 맞게 상부 보조판(400a)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 및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지대(500)는 상판(100)의 배면에 결합되며, 바닥판(510) 및 각도지지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판(510) 및 각도지지대는 상판(100)의 배면에 회전부재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회전이 가능하며, 바닥판(510)에는 각도고정턱(511)이 형성되어 있어 각도지지대를 고정하여 상판(100)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의 높이조절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버튼(610)에 압력을 가하면 고정장치 내부의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상판 좌우측에 형성된 고정홈(121)에 인입되어 있던 고정돌기(611)가 인출되어 받침대(300)가 상하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버튼(610)의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고정돌기(611)가 고정홈(121)에 인입되어 받침대(300)의 높이가 고정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받침대(3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판 좌우측에 결합되어 있는 클립(200)의 버튼홈(230)에 돌출되어 있는 버튼(610)에 압력을 가한다.
버튼(610)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버튼(610)의 버튼삽입홈 연결부가 고정클립(620)의 버튼삽입홈(621) 내부로 인입이되고, 버튼(61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611)가 상판(100)의 고정홈(121)에서 인출되며, 고정돌기(611)가 고정홈(121)에서 인출되면 위치고정이 해제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버튼(610)을 누른상태에서 받침판(300)을 고정하고자하는 곳(높이)에 위치시킨후에 버튼(610)의 압력을 제거하면 고정클립(620)의 버튼삽입홈(621)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부재가 버튼에 탄성력(원위치로 복원하려는 힘)을 제공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61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611)가 상판(100)의 고정홈(121)에 인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받침대(300)의 높이로 인하여 상판(100)의 높이 확장이 필요한 경우, 상판(100)의 보조판수납부(110)에 수납되어 있는 보조판(400)을 상부로 인출시켜 이용할 수 있다.
보조판(400)을 인출시켜 이용하는 경우, 보조판(400)의 하단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판걸림돌기(440)와 보조판수납부(1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판걸림턱홈(111)에 의하여 보조판(400)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판(100)의 고정홈(121)은 상판(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다수의 파형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클립의 고정장치에는 탄성체가 구비되되, 승강운동을 하는 클립이 일정 높이에 위치할 때, 클립의 고정장치에 구비된 탄성체가 고정홈(121)에 형성된 파형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압착력을 제공함으로서 클립이 승강한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판(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다수의 파형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형태로 구비된 고정홈(121)을 따라 클립(200)이 승강운동을 하며, 클립(200)의 고정장치(600)에는 판스프링을 포함한 탄성체(64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홈(121)을 따라 클립(200)이 일정 높이에 위치할 때, 클립(200)의 고정장치(600)에 구비된 탄성체(64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탄성체(640)가 상판(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다수의 파형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121)에 형성된 파형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클립(200)이 승강한 높이에 고정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상판 110 - 보조판수납부
111 - 보조판걸림홈
120 - 고정장치수용부 121 - 고정홈
130 - 후크레일
200 - 클립 210 : 받침대결합홈
220 - 클립후크 230 : 버튼홈
300 - 받침대 400 - 보조판
400a - 상부 보조판 400b - 하부 보조판
410 - 보조판받침대 420 - 보조받침대삽입홈
430 - 보조판각도힌지 440 - 보조판걸림돌기
500 - 각도지지대 511- 각도고정턱
610 - 버튼 611 - 고정돌기
620 - 고정클립

Claims (9)

  1. 거치물을 그 일면에서 지지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물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상판 배면에 구비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상판에 형성된 고정홈에 안착되어 상기 받침대의 승강 또는 하강 이동을 제한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고정돌기를 구비한 고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받침대와 결합되어 상판 좌우측에 복수 개로 형성된 상기 고정홈에 인입되어 상기 받침대를 특정 높이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돌기를 상판의 상기 고정홈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와 위치 고정 상태로 전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 으로부터 인출되어 위치 고정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받침대를 승강 또는 하강 이동시키고, 상기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홈에 인입되어 상기 받침대를 특정 높이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좌우측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과 상기 받침대를 연결시키고, 상기 고정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와 함께 상기 상판의 형성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 이동시키는 클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3. 제 2 항 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받침대와 함께 승강 또는 하강 이동하며;
    일단에 독서대의 높이조절을 위해 압력이 가해지거나 압력이 제거되는 접촉부의 역할을 하는 버튼이 일체로 결합되고;
    버튼에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 으로부터 인출되어 위치 고정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받침대를 승강 또는 하강 이동시키고, 버튼에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홈에 인입되어 상기 받침대를 특정 높이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고정돌기의 일단에 독서대의 높이조절을 위해 압력이 가해지거나 압력이 제거되는 접촉부의 역할을 하는 버튼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버튼홈과;
    상기 받침대를 접었다 펼수 있는 받침대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에 형성되어 상판과 클립을 결합시켜주는 클립후크;
    상기 상판의 좌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클립후크를 걸어 상판에서 클립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클립후크의 상하 높이조절의 이동통로가되는 후크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상측으로 인출되고 연장판의 역할을 하는 보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은
    거치할 대상을 지지하는 보조 받침대와;
    상기 보조 받침대를 수용하는 보조받침대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8. 삭제
  9. 삭제
KR1020200183489A 2018-11-04 2020-12-24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 KR102284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076 2018-11-04
KR20180134076 2018-11-04
KR1020190071195 2019-06-16
KR20190071195 2019-06-16
KR1020190122693 2019-10-03
KR20190122693 2019-10-03
KR1020190139390A KR102198055B1 (ko) 2018-11-04 2019-11-04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거치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390A Division KR102198055B1 (ko) 2018-11-04 2019-11-04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05A KR20210000305A (ko) 2021-01-04
KR102284322B1 true KR102284322B1 (ko) 2021-08-02

Family

ID=704626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390A KR102198055B1 (ko) 2018-11-04 2019-11-04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거치대
KR1020200183489A KR102284322B1 (ko) 2018-11-04 2020-12-24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390A KR102198055B1 (ko) 2018-11-04 2019-11-04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198055B1 (ko)
WO (1) WO2020091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465B1 (ko) 2021-02-25 2022-12-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 독서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820Y1 (ko) * 1993-04-16 1995-10-16 주호돈 절첩식 독서대
KR960007178U (ko) * 1994-08-12 1996-03-13 장재순 원반형 과일 선별기의 공급기 구동장치
US6644748B2 (en) * 1999-02-25 2003-11-11 Health Postures, Inc. Synergistic body positioning and dynamic support system
JP2006034551A (ja) * 2004-07-27 2006-02-09 Tetsuo Sakuma 書見台
KR20100008639U (ko) * 2009-02-23 2010-09-01 박우민 기능 분리형 휴대용 독서대
KR20130035626A (ko) * 2011-09-30 2013-04-09 (주)한국바이오초크 승하강식 칠판
KR20150003522U (ko) * 2014-03-17 2015-09-25 최지윤 독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548A1 (ko) 2020-05-07
KR20210000305A (ko) 2021-01-04
KR20200051502A (ko) 2020-05-13
KR102198055B1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601B1 (ko) 만능 독서대
KR101615329B1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KR102244886B1 (ko) 바닥판을 구비한 독서대
KR102411776B1 (ko) 휴대용 독서대
CN210143041U (zh) 高拍仪
KR102284322B1 (ko)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
JP2022509950A (ja) 多機能スタンド
US20180031174A1 (en) Adjus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KR20140058852A (ko) 다기능 받침대로 활용 가능한 독서대
KR200495398Y1 (ko) 휴대용 독서대
CN202588789U (zh) 书页托可折叠的阅读支架
KR200476126Y1 (ko) 접이식 일체 독서대
CN107726093B (zh) 一种伸缩两用的充电灯具
KR200284749Y1 (ko) 휴대용 독서대
KR20200002192U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용 독서대
CN219020502U (zh) 一种多功能阅读架
KR200316841Y1 (ko) 클램프를 채용한 절첩식 독서대
CN215685602U (zh) 一种折叠式书架
CN215862503U (zh) 一种支架
KR102471325B1 (ko)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
KR102616268B1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CN219330972U (zh) 一种便携式办公桌
KR200353785Y1 (ko) 만능 독서대
KR20200144921A (ko) 무릎에 놓고 보기가 가능한 독서대
KR200477169Y1 (ko) 독서대 겸용 노트북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