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325B1 -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 - Google Patents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325B1
KR102471325B1 KR1020220029777A KR20220029777A KR102471325B1 KR 102471325 B1 KR102471325 B1 KR 102471325B1 KR 1020220029777 A KR1020220029777 A KR 1020220029777A KR 20220029777 A KR20220029777 A KR 20220029777A KR 102471325 B1 KR102471325 B1 KR 102471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upport
plate
insertion groov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철
Original Assignee
이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철 filed Critical 이지철
Priority to KR102022002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에는 상부면이 일정 폭과 깊이로서 하향 요입되도록 하여 삽입홈을 형성하고, 삽입홈의 바닥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는 일정 간격마다 일정 폭과 깊이로서 하향 요입되도록 복수의 지지대 걸림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정 폭과 두께가 축소되도록 한 선단의 양측에서 외측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여 수평 회전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며, 상부면에는 일정 깊이가 다양한 형상으로 하향 요입되도록 하여 필기용품이나 컵 및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필요용품이 적재 및 거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트레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선단 상부에 하단부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대 걸림홈에 하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대의 상단부가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연결되는 받침 플레이트;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부에 매설되어 하단부를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지되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동일선상에 삽입되어 접혀져 있다 회전에 의해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거치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Multi-purpose functional reading stand}
본 발명은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독서대의 양측으로부터 축회전에 의해 출몰되는 휴대폰 거치부와 컵 홀더 및 필기구 트레이가 구비되도록 하는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사용자가 독서 또는 학습(이하 독서라 함)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자세나 시야를 고려하여 가장 편한 자세에서 독서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기구이다.
책상에서 한 자세로 장시간동안 독서를 하게 되면 눈도 침침해지고 온몸이 피곤하여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독서대는 사용자의 신장이나 자세를 고려하여 제조하게 되며, 독자의 시야에서 눈의 높이에 맞게 책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면 덜 피곤한 것으로 알려져 다양한 형태의 독서대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독서대는 받침대와 지지대로 나누어지고, 지지대를 조절하여 받침대의 경사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사용자의 시야 또는 자세에 알맞은 경사를 지지대를 이용한 조절에 의해서 사용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21-0024858호(2021.03.08.)의 다용도 독서대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부에 마련되어 책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책 지지대가 구비되도록 베이스 바디를 형성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접힘 지지대로서 이루어지며, 접힘 지지대는 복수의 단으로 접혀져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펼침시 베이스 플레이트를 경사지게 하여 책의 일측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경사진 베이스 플레이트를 뒤집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 대상물의 바닥에 지지시 모바일 기기의 거치대로 이용되도록 함으로써 독서대와 북마크용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모바일 기기 및 서류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독서대는 모바일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기능만 추가적으로 수행하게 될 뿐 기능이 매우 제한적이므로 사용이 매우 단순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난해하고,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공개특허 제2021-0024858호(2021.03.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평판이 적재되도록 하여 각 평판이 일정 높이로 상향 경사지도록 하면서 상호 대응되는 측방향으로 수평 회전에 의해 접힘과 펼침에 의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는, 중앙에는 상부면이 일정 폭과 깊이로서 하향 요입되도록 하여 삽입홈을 형성하고, 삽입홈의 바닥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는 일정 간격마다 일정 폭과 깊이로서 하향 요입되도록 복수의 지지대 걸림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정 폭과 두께가 축소되도록 한 선단의 양측에서 외측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여 수평 회전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며, 상부면에는 일정 깊이가 다양한 형상으로 하향 요입되도록 하여 필기용품이나 컵 및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필요용품이 적재 및 거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트레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선단 상부에 하단부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대 걸림홈에 하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대의 상단부가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연결되는 받침 플레이트;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부에 매설되어 하단부를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지되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동일선상에 삽입되어 접혀져 있다 회전에 의해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거치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 또는 T자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선단부는 후방의 일정 폭 높이가 일정 두께 더 낮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선단부에는 양측의 트레이 선단이 적층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삽입홈은 상기 지지대의 두께와 같거나 더 깊은 깊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거치판은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대해서 직각의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거치판에는 일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편이 구비되도록 하여 타단에 의해서 받침 플레이트에 받쳐지도록 한 서책의 지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에 의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보조 거치부가 펼쳐지거나 접혀지고, 상부에서는 받침 플레이트가 다양한 각도로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하여 사용 시에는 최대한 펼쳐지도록 하여 책받침 외에도 컵이나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필기도구와 같은 간단한 도구를 적재하여 독서나 서책을 읽는 중에도 최소의 공간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를 전개시킨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의 측단면도
도 3은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의 평면 예시도
도 4는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에서 양측의 트레이를 전개시킨 형상을 예시한 평면도
도 5는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를 접은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에서 받침 플레이트를 세워지게 한 측단면도
도 7은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에서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거치판을 전개시킨 상태의 사용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를 전개시킨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를 전개시킨 상태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의 평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에서 양측의 트레이를 전개시킨 형상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트레이(20)와 받침 플레이트(30)와 거치판(4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는 바닥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 또는 T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에는 상부면 중앙 또는 중앙의 상부면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서 하향 요입되도록 하여 삽입홈(11)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11)에는 바닥면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간격마다 일정 폭과 깊이로서 하향 요입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대 걸림홈(1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거나 도면에서와 같이 T자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다만,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형상에서는 중앙의 일정 폭을 기준으로 양측의 두께가 보다 얇게 형성되도록 하며, T자형의 형상에서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선단부의 일정 두께가 보다 얇게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삽입홈(11)을 형성하는 중앙 부위를 제외하고 선단부의 양측이 일정 폭의 후방을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10)에는 양측으로 한 쌍의 트레이(20)가 구비되도록 한다.
즉, 트레이(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양측에서 각각의 선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한 선단의 후방에 일정 폭이 겹쳐지도록 하면서 각 트레이(20)의 외측 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양측의 트레이(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삽입홈(11)을 형성하는 중간 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게 함으로써 수평 회전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한다.
이런 양측 트레이(20)의 상부면에는 일정 깊이가 다양한 형상으로 하향 요입되도록 하여 적재홈(21)과 거치홈(2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들 적재홈(21)과 거치홈(22)에는 필기용품이나 컵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필요용품들이 적재 또는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면과 양측 트레이(20)의 상부면은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양측 트레이(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이들 결합 구성의 상부에는 받침 플레이트(30)가 적층되도록 한다.
즉, 받침 플레이트(3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양측 트레이(20)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평판의 구성으로서, 받침 플레이트(30)의 선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도록 하며, 받침 플레이트(3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양측 트레이(20)에 면접촉되도록 하는 일측면에는 일정 높이의 지지대(31)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의 지지대(31)는 상단이 받침 플레이트(3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형성되는 지지대 걸림홈(12)에 걸려지도록 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형성되는 삽입홈(11)은 지지대(31)의 두께와 동일 내지는 보다 두꺼운 깊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받침 플레이트(30)에 지지대(31)가 밀착되도록 하면 삽입홈(11)에 지지대(31)가 삽입되도록 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받침 플레이트(30)가 면밀착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받침 플레이트(30)에는 출몰 가능하게 거치판(40)이 연결된다.
거치판(40)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받침 플레이트(30)에 의해 서책의 지면이 받쳐지도록 하는 서책이 낙하하지 못하도록 하단부를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거치판(40)은 받침 플레이트(30)의 하부에서 동일 평면선상에 삽입되어 있다가 하단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거치판(40)의 상단은 받침 플레이트(3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다만, 거치판(40)은 받침 플레이트(30)에 대해서 직각의 각도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며, 받침 플레이트(30)의 선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선단보다는 일정 폭 짧게 형성되도록 하여 받침 플레이트(3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적층되게 한 상태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선단부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거치판(40)에는 단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편(41)이 구비되도록 하여 받침 플레이트(30)에 받쳐지도록 한 서책의 지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독서대는 서책을 일정 각도로 세워서 좀더 편안하게 독서를 한다거나 서책이나 서류의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독서대는 도 5에서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30)와 트레이(20)를 펼치기 전에는 접혀진 상태이므로 전체적으로는 정방형 또는 직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독서대를 사용하기 위해서 우선 가장 상측에 형성되는 받침 플레이트(30)를 도 6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0)로부터 들어올려 받침 플레이트(30)에 연결된 지지대(31)를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지지대 걸림홈(12)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인출시킨 지지대(31)의 하단부를 지지대 걸림홈(12)의 적절한 위치에 걸려지도록 하여 받침 플레이트(30)를 적절한 각도로 세워지도록 한다.
일정한 각도로 세워진 받침 플레이트(30)에서는 하부에 형성한 거치판(40)을 도 7에서와 같이 상부를 전방으로 밀어 하단부를 축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상부가 받침 플레이트(30)로부터 일정 폭이 돌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받침 플레이트(30)로부터 회전 조작에 의해 거치판(40)의 일정 폭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돌출된 부위에 서책의 하단부가 얹혀지도록 하며, 거치판(40)의 돌출 단면에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탄성을 갖는 고정편(41)이 연결되도록 하고 있어 고정편(41)의 회전에 의해 거치된 서책의 지면에 위치되도록 한 고정편(41)의 타단에 의해 서책의 지면이 고정되도록 한다.
서책이 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트레이(20)를 도 4에서와 같이 수평 회전시켜 양측으로 벌리게 되면 필기구 등과 같은 다양한 소품들을 적재시킬 수가 있는 동시에 물 또는 커피를 마시기 위한 컵을 받칠 수가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을 세워서 거치시킬 수가 있어 즉각적으로 통화 또는 메세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독서대는 단순히 서책을 읽기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지 않아도 양측으로 트레이(20)를 이용하여 다양한 소품들 외에 컵과 함께 스마트폰이 거치되게 함으로써 최소한의 공간에서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삽입홈 12 : 지지대 걸림홈
20 : 트레이
21 : 적재홈 22 : 거치홈
30 : 받침 플레이트
31 : 지지대
40 : 거치판
41 : 고정편

Claims (6)

  1. 중앙에는 상부면이 일정 폭과 깊이로서 하향 요입되도록 하여 삽입홈을 형성하고, 삽입홈의 바닥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는 일정 간격마다 일정 폭과 깊이로서 하향 요입되도록 복수의 지지대 걸림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정 폭과 두께가 축소되도록 한 선단의 양측에서 외측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여 수평 회전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며, 상부면에는 일정 깊이가 다양한 형상으로 하향 요입되도록 하여 필기용품이나 컵 및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필요용품이 적재 및 거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트레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선단 상부에 하단부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대 걸림홈에 하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대의 상단부가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연결되는 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부에 매설되어 하단부를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지되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동일선상에 삽입되어 접혀져 있다 회전에 의해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거치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트레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각각의 선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한 선단의 후방에 일정 폭이 겹쳐지도록 하면서 외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삽입홈을 형성하는 중간 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게 함으로써 수평 회전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상기 한쌍의 트레이의 상부면에는 일정 깊이가 다양한 형상으로 하향 요입되도록 하여 적재홈과 거치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 또는 T자형으로 형성하는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삽입홈은 상기 지지대의 두께와 같거나 더 깊은 깊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은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대해서 직각의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에는 일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편이 구비되도록 하여 타단에 의해서 받침 플레이트에 받쳐지도록 한 서책의 지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하는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
KR1020220029777A 2022-03-10 2022-03-10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 KR102471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777A KR102471325B1 (ko) 2022-03-10 2022-03-10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777A KR102471325B1 (ko) 2022-03-10 2022-03-10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325B1 true KR102471325B1 (ko) 2022-11-28

Family

ID=8423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777A KR102471325B1 (ko) 2022-03-10 2022-03-10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3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5237A (ja) * 1997-12-10 2001-12-11 ペッチ,ファブリジオ 調整可能な書見台に転換可能なフォルダー
US20070221811A1 (en) * 2006-03-23 2007-09-27 Hauser Stephen G Deployable support unit for reading material
US20110056412A1 (en) * 2009-01-08 2011-03-10 Phifer Incorporated Devices For Providing A Worksta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120109770A (ko) * 2011-03-28 2012-10-09 이상화 휴대용 독서대
KR20210024858A (ko) 2019-08-26 2021-03-08 이구호 다용도 독서대
JP2021522981A (ja) * 2019-03-13 2021-09-02 ジョン,ボイン 携帯用書見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5237A (ja) * 1997-12-10 2001-12-11 ペッチ,ファブリジオ 調整可能な書見台に転換可能なフォルダー
US20070221811A1 (en) * 2006-03-23 2007-09-27 Hauser Stephen G Deployable support unit for reading material
US20110056412A1 (en) * 2009-01-08 2011-03-10 Phifer Incorporated Devices For Providing A Worksta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120109770A (ko) * 2011-03-28 2012-10-09 이상화 휴대용 독서대
JP2021522981A (ja) * 2019-03-13 2021-09-02 ジョン,ボイン 携帯用書見台
KR20210024858A (ko) 2019-08-26 2021-03-08 이구호 다용도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8452B2 (en) Multi-holder for learning
US20130314861A1 (en) Multi-position support for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CN214839841U (zh) 一种笔记本电脑支架
US20150115123A1 (en) Foldable and portable music stand
KR101268863B1 (ko) 접철식 독서대
US9603447B2 (en) Reading material carrier and stand
KR200470742Y1 (ko) 카드식 스마트폰 거치대
JP5549368B2 (ja) 車両用シートのカップホルダ装置
KR20160124455A (ko) 접이식 다용도 거치대
KR102471325B1 (ko) 다용도의 기능성 독서대
KR20210024858A (ko) 다용도 독서대
KR20140058852A (ko) 다기능 받침대로 활용 가능한 독서대
US20230048692A1 (en) Collapsible Workstation
KR101760562B1 (ko) 접이식 독서대
KR20090045777A (ko) 책과 신문 독서대
KR101203668B1 (ko) 스마트폰 받침대
KR101933531B1 (ko) 독서대가 구비된 책 케이스
US20190021488A1 (en) Reading Stand
CN217917721U (zh) 车辆桌板
KR20170034091A (ko)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한 독서대
KR200316841Y1 (ko) 클램프를 채용한 절첩식 독서대
KR20210071773A (ko) 다용도 거치대 책상
CN220859660U (zh) 一种多功能便携学习桌
US11844427B2 (en) Self-sustained portable music stand extender
KR20170039934A (ko) 다용도 접이식 경사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