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522U - 독서대 - Google Patents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522U
KR20150003522U KR2020140002089U KR20140002089U KR20150003522U KR 20150003522 U KR20150003522 U KR 20150003522U KR 2020140002089 U KR2020140002089 U KR 2020140002089U KR 20140002089 U KR20140002089 U KR 20140002089U KR 20150003522 U KR20150003522 U KR 201500035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ixing
mounting
rotat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윤
Original Assignee
최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윤 filed Critical 최지윤
Priority to KR2020140002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522U/ko
Publication of KR201500035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5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사용 시에는 책과 같은 물품을 거치하기 위해 새워 놓고 사용하며, 보관 시에는 접어 보관할 수 있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저면 후미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저면지지부; 상기 제1 저면지지부의 정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제2 저면지지부; 상기 거치부와 상기 제1 저면지지부 사이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형성되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1 저면지지부와 상기 제2 저면지지부 사이 각각을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형성되는 두 개의 제2 회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독서대 {A reading desk}
본 고안은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사용 시에는 책과 같은 물품을 거치하기 위해 새워 놓고 사용하며, 보관 시에는 접어 보관할 수 있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바람직한 여가나 문화생활로 독서를 하거나, 사무활동으로 업무를 할 때 책상에 책을 올려놓고 보게 되면 허리와 척추에 무리한 부담이 증가한다. 그리하여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독서대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책을 올려놓고 읽을 수 있는 받침대로 요통, 두통, 피로의 발생을 예방하고 이에 따른 업무 또는 문화생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0955호(2003. 04. 07)는 상단독서대와 하단독서대로 구성되는 2단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단독서대를 설치하는 장치인 상단독서대 삽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단독서대와 하단독서대로 구성되는 2단독서대에서 하단독서대 원판의 배면 좌 ㅇ우에 상단독서대 좌측용 삽착장치와 상단독서대 우측용 삽착장치를 각각 설치하고 상단독서대를 이들에 삽착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하단독서대 원판의 배면 하단에는 각도조절판을 경첩으로 체결하여 회동해서 절첩할 수 있도록 하고 하단독서대 원판의 배면 중상부 좌 ㅇ우에는 나비깡으로 지지철선을 장착해서 이 지지철선이 각도조절판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홈을 옮겨 가면서 각도를 변경해서 2단독서대를 지지토록 함으로 해서 각도조절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2단독서대가 제공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8215호(2010. 08. 19)는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책상에 고정했을 때 높이와 각도를 자유롭게 하는 것이 가능한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고정된 독서대와, 상기 독서대와 제1 지지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에 고정 볼트와 조임 너트로 결합되고, 제1 지지부의 반대쪽에 연결되는 받침부로 구성되며, 상기의 제1 지지부의 접힘과 펼침은 연결부의 고정 볼트와 조임 너트의 조임으로 알맞은 각도조절과 높이를 사용자가 알맞게 조절한 후에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받침부는 집게 방식, 볼트체결 방식, 접착제 접착방식, 나사 조임 방식으로 고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독서대에 결합된 제1 지지부가 고정 볼트와 조임 너트로 결합되어 조임 너트의 조임으로 알맞은 각도조절과 높이를 자유롭게 한 후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편안한 자세와 눈높이를 맞추게 되어, 독서에 따른 목과 눈의 피로를 최소화함으로서 최적의 독서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독서대는 접이가 불가능하여 자리를 많이 차지한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책과 같은 물품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를 지지하는 부분이 하나로 되어 있어 무게감이 있는 물품을 거치할 때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0955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8215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한 점 내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사용 시에는 책과 같은 물품을 거치하기 위해 새워 놓고 사용하며, 보관 시에는 접어 보관할 수 있는 독서대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물품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저면 후미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저면지지부; 상기 제1 저면지지부의 정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제2 저면지지부; 상기 거치부와 상기 제1 저면지지부 사이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형성되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1 저면지지부와 상기 제2 저면지지부 사이 각각을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형성되는 두 개의 제2 회동부를 포함하는 독서대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회동부는, 상기 제1 저면지지부의 상단 양쪽에 고정형성되는 두 개의 제1 고정대; 상기 거치부의 저면 상부에 고정형성되는 제1 회전대; 및 상기 제1 회전대와 상기 제1 고정대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와 상기 제1 저면지지부 사이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1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1 고정대의 내측으로 형성된 제1 회전홈; 및 상기 제1 회전대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홈에 삽입되는 제1 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회전바는, 상기 제1 회전대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1 홈; 상기 제1 홈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갖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1 스프링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회전홈에 삽입하기 위한 제1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회동부는, 상기 제1 저면지지부의 하부 양쪽에 각각 고정형성되는 두 개의 제2 고정대; 상기 제2 저면지지부의 배면부분에 고정형성되는 제2 회전대; 및 상기 제1 고정대와 상기 제2 회전대의 일측 부분 사이 및 상기 제2 고정대와 상기 제2 회전대의 다른 일측 부분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저면지지부와 상기 제2 저면지지부 사이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2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고정대의 내측으로 형성된 제2 회전홈; 상기 제2 고정대의 내측으로 형성된 제3 회전홈; 및 상기 제2 회전대에 연결설치되어, 일측 말단부분이 상기 제2 회전홈 및 상기 제3 회전홈에 각각 삽입되는 제2 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회전바는, 상기 제2 회전대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2 홈; 상기 제2 홈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갖는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회전홈 및 상기 제3 회전홈에 삽입하기 위한 제2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저면지지부는, 상기 제1 고정대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저면지지부의 평면에 형성되어,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거치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2 저면지지부의 평면에 형성된 수용홈;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후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거치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바; 및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바의 높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거치부의 평면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부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거치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와 상기 거치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거치대의 저면 후미와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무게감이 있는 물품을 거치할 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접이가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있는 제1 회동부 및 제2 회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독서대(10)는 나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거치부(100), 제1 저면지지부(200), 제2 저면지지부(300), 제1 회동부(400) 및 제2 회동부(500)를 포함한다.
거치부(100)는 책, 학용품, 종이, 전자부품과 같은 물품을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100)는 물품을 거치하도록 하측에 'ㄴ'자 형상의 받침대(102)를 형성할 수 있다. 받침대(102)가 'ㄴ'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책과 같은 물품을 거치하였을 때 물품이 떨어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제1 저면지지부(200)는 거치부(100)의 저면 후미를 지지하도록 하며, 일정 길이의 높이를 갖게 된다. 제1 저면지지부(200)의 길이는 독서대(10)를 책상과 같은 곳에 올려놓고 사용할 때 10cm 내지 50cm가 적당하며, 강단과 같은 장소의 바닥에 놓고 사용할 때는 50cm 내지 150cm가 적당하다.
제2 저면지지부(300)는 두 개 구비되며, 두 개의 제2 저면지지부(300)가 제1 저면지지부(200)의 정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거치부(100)의 저면을 각각 지지한다. 제2 저면지지부(300)는 사용자 눈의 피로를 덜어주기 위해 정면 상단부분에 경사면(302)을 형성하며, 이 경사면(302)은 거치부(100)의 저면 일부분과 접하여 지지된다.
제1 회동부(400)는 거치부(100)와 제1 저면지지부(200) 사이에 연결형성되며, 거치부(100)와 제1 저면지지부(200) 사이를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거치부(100)와 제1 저면지지부(200)는 독서대(1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그 사이를 회동시켜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회동부(500)는 제1 저면지지부(200)와 두 개의 제2 저면지지부(300) 사이에 각각 연결형성되며, 제1 저면지지부(200)와 두 개의 제2 저면지지부(300) 사이를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제1 저면지지부(200)와 두 개의 제2 저면지지부(300)는 독서대(1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그 사이를 회동시켜 접은 뒤 위에서 설명한 거치부(100)를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있는 제1 회동부 및 제2 회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설명의 편의상으로 도 1에 있는 독서대(10)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또한 도 3은 제1 회동부(400) 및 제2 회동부(500)의 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임을 이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회동부(400)는 제1 고정대(410), 제1 회전대(420) 및 제1 회전축(430)을 포함한다.
제1 고정대(410)는 두 개 구비되며, 제1 저면지지부(200)의 상단 양쪽에 각각 고정형성된다. 제1 고정대(410)는 제1 저면지지부(2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접착 또는 부착결합하여 고정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대(420)는 거치부(100)의 저면 상부에 고정형성되며, 두 개의 제1 고정대(41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회전대(420)의 가로길이는 두 개의 제1 고정대(410) 사이보다 작도록 형성하여, 거치부(100)를 원활하게 회동가능하게 한다.
제1 회전대(420)는 거치부(100)와 제1 저면지지부(200) 사이를 원활하게 회동시켜주기 위해 제1 저면지지부(200)와 맞닿는 부분을 라운드형상(422)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저면지지부(200)와 맞닿는 부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부드럽게 회동하기 위함이다.
제1 회전축(430)은 제1 회전대(420)와 두 개의 제1 고정대(410)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거치부(100)와 제1 저면지지부(200) 사이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회전축(430)은 제1 회전홈(432) 및 제1 회전바(4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축(430)은 제1 고정대(410)의 내측으로 형성되며, 제1 회전바(434)는 제1 회전대(420)에 연결설치되어 제1 회전홈(432)에 삽입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회전축(430)은 제1 회전홈(432) 및 제1 회전바(4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홈(432)은 제1 회전대(420)의 측면 각각에 내측으로 제1 고정홈(432)이 형성되며, 제1 회전바(434)는 제1 고정대(410)에 연결설치되어 제1 고정홈(432)에 삽입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회전축(430)은 제1 회전대(420)의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체로 길게 형성하여 일측 말단부분은 제1 고정대(410)의 하나와 결합되고, 다른 일측 말단부분은 제1 고정대(410)의 다른 하나와 결합하도록 형성하여, 거치부(100)와 제1 저면지지부(200) 사이를 회전시켜 줄 수 있다.
제1 회전바(434)는 제1 홈(435), 제1 스프링(436), 제1 삽입돌기(4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435)은 제1 회전대(420)의 내측으로 형성되며, 제1 회전바(434)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다.
제1 스프링(436)은 제1 홈(435)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갖는다. 제1 스프링(436)의 일측 말단부분은 제1 홈(435)과 고정 결합되어 제1 회전대(420)의 외측방향으로 탄성되며, 제1 홈(435)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제1 삽입돌기(437)는 제1 스프링(436)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제1 스프링(436)의 탄성에 의해 제1 회전홈(432)에 삽입하도록 한다.
거치대(100)와 제1 저면지지부(200)를 서로 결합할 경우, 제1 회전바(434)는 제1 스프링(436)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삽입돌기(437)를 제1 홈(435)으로 삽입되게 한 후 거치대(100)와 제1 저면지지부(200)를 서로 끼워조립하여 제1 회전바(434)가 제1 회전홈(432)에 안착되도록 한다.
제2 회동부(500)는 제2 고정대(510), 제2 회전대(520) 및 제2 회전축(530)을 포함한다.
제2 고정대(510)는 두 개 구비되며, 제1 저면지지부(200)의 하부 양쪽에 각각 고정형성된다. 제2 고정대(510)는 제1 저면지지부(2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접착 또는 부착결합하여 고정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대(520)는 제2 저면지지부(300)의 배면부분에 각각 고정형성되며, 이는 제2 저면지지부(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대(520)는 제1 저면지지부(200)와 제2 저면지지부(300) 사이를 원활하게 회동시켜주기 위해 제2 저면지지부(300)와 맞닿는 부분을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저면지지부(300)와 맞닿는 부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부드럽게 회동하기 위함이다.
제2 회전축(530)은 제1 고정대(410)와 제2 회전대(520)의 일측 부분 사이 및 제2 고정대(510)와 제2 회전대(520)의 다른 일측 부분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제1 저면지지부(200)와 제2 저면지지부(300) 사이를 회전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회전축(530)은 제2 회전홈(531), 제3 회전홈(532) 및 제2 회전바(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홈(531)은 제1 고정대(410)의 내측으로 형성되며, 이는 제1 회전홈(432)과는 다른방향에 형성된다. 제1 회전홈(432)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측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되었다면 제2 회전홈(531)은 아랫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회전홈(532)는 제2 고정대(51)의 내측으로 형성된다. 제2 회전바(533)는 제2 회전대(520)에 연결설치되어, 일측 말단부분이 제2 회전홈(531) 및 제3 회전홈(532)에 각각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회전축(530)은 제2 회전홈(531), 제3 회전홈(532) 및 제2 회전바(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축(530)은 제2 회전대(52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 내측으로 제4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제1 회전바(434) 및 제2 회전바(533)와 같은 형상의 제3 회전바(미도시)는 제1 고정대(410) 및 제2 고정대(510)에 연결설치되어 제3 고정홈(미도시)에 삽입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회전축(530)은 제2 회전대(520)의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체로 길게 형성하여 일측 말단부분은 제1 고정대(410)와 결합되고, 다른 일측 말단부분은 제2 고정대(510)와 결합하도록 형성하여, 제1 저면지지부(200)와 제2 저면지지부(300) 사이를 회전시켜 줄 수 있다.
제2 회전바(533)는 제2 홈(534), 제2 스프링(535), 제2 삽입돌기(5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534)은 제2 회전대(520)의 내측으로 형성되며, 제2 회전바(533)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다.
제2 스프링(535)은 제2 홈(534)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갖는다. 제2 스프링(534)의 일측 말단부분은 제2 홈(534)과 고정 결합되어 제2 회전대(520)의 외측방향으로 탄성되며, 제2 홈(534)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제2 삽입돌기(536)는 제2 스프링(535)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제2 스프링(535)의 탄성에 의해 제2 회전홈(531) 및 제3 회전홈(532)에 각각 삽입하도록 한다.
제1 저면지지부(200)와 제2 저면지지부(300)를 서로 결합할 경우, 제2 회전바(533)는 제2 스프링(535)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삽입돌기(536)를 제2 홈(534)으로 삽입되게 한 후 제1 저면지지부(200)와 제2 저면지지부(300)를 서로 끼워조립하여 제2 회전바(533)가 제2 회전홈(531) 및 제3 회전홈(532)에 안착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저면지지부(300)는 제1 고정대(410)의 두께가 같거나 작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께가 서로 같거나 작으면, 제1 저면지지부(200)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연결된 제2 저면지지부(300)를 각각 중심부분으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 후 거치부(100)를 제2 저면지지부(300)의 상면에 위치시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독서대(10)는 나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거치부(100), 제1 저면지지부(200), 제2 저면지지부(300), 제1 회동부(400), 제2 회동부(500) 및 각도조절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100), 제1 저면지지부(200), 제2 저면지지부(300), 제1 회동부(400), 제2 회동부(500)에 대한 내용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도 4에 대한 설명은 각도조절부(600)에 대해 하기로 한다.
각도조절부(600)는 제2 저면지지부(300)의 평면에 형성되며, 높이를 조절하여 거치부(100)의 각도를 조절한다. 각도조절부(600)는 사용자가 독서대(10)를 사용하는 위치나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와 같은 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시야에 편리하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독서대(1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의 각도는 제2 저면지지부(300)의 경사면(302)과 거치대(100)의 저면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각도조절부(600)는 수용홈(610), 조절바(620) 및 고정핀(630)을 포함한다.
수용홈(610)은 제2 저면지지부(100)의 평면에 형성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경사면(302)의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다. 수용홈(610)의 둘레면에는 다수 개의 고정홈(61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고정핀(630)이 고정홈(612)에 걸려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조절바(620)는 수용홈(610)에 수용된 후 외부로 노출되어 거치부(1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조절바(620)는 거치부(100)의 저면에 연결설치될 수 있으며, 더욱 자세히는 경사면(302)에서 거치부(100)의 저면 후미를 접하도록 지지하는 경우는 조절바(620)가 수용홈(610)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 있다가, 거치부(100)의 높이를 상측으로 변경할 때는 조절바(6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있게 된다.
고정핀(630)은 수용홈(6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절바(620)의 높이를 고정하도록 한다. 조절바(6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때 고정핀(630)은 고정홈(61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핀(630)은 탄성부재(6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63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고정홈(612)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632)의 자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회전바(434, 533)의 구조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핀(630)은 조절바(620)를 외부로 노출시킨 후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끼움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재(미도시)는 노출된 부분에 맞게 그 부분을 고정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슬라이드이동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각도조절부(600)는 조절바(620)의 상단부분과 그 조절바(620)와 접하는 거치부(100)의 영역에 서로 다른 극의 자석부재(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높이를 조절하여 거치부(100)의 각도를 조절하고 거치부(100)가 견고하게 각도조절부(600)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독서대(10)는 나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거치부(100), 제1 저면지지부(200), 제2 저면지지부(300), 제1 회동부(400), 제2 회동부(500) 및 슬라이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100), 제1 저면지지부(200), 제2 저면지지부(300), 제1 회동부(400), 제2 회동부(500)에 대한 내용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도 5에 대한 설명은 슬라이드부(700)에 대해 하기로 한다.
슬라이드부(700)는 거치부(100)의 평면에 배치되어, 거치부(100)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사용자의 시야에 맞도록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서 요통, 두통, 피로의 발생을 예방하고 이에 따른 업무 또는 문화생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슬라이드부(700)는 고정부재(710)를 포함하며, 고정부재(710)는 거치부(100) 사이에 마련되어 슬라이드부(700)와 거치부(100) 사이를 고정한다. 거치부(100)는 다수 개의 슬라이드홈(720)을 마련하며, 고정부재(710)가 슬라이드홈(720)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정부재(710)는 슬라이드홈(720)에 안착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고정부재(710)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회전바(434, 533)의 구조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슬라이드부(700)는 다수 개의 슬라이드홈(720)을 마련하고, 거치부(100)는 하나의 고정부재(710)를 포함하여 슬라이드홈(720)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서로 바뀌어도 무관하다.
일 실시 예에서, 독서대(10)는 거치부(100), 제1 저면지지부(200), 제2 저면지지부(300), 제1 회동부(400), 제2 회동부(500), 각도조절부(600) 및 슬라이드부(7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거치부(100), 제1 저면지지부(200), 제2 저면지지부(300), 제1 회동부(400), 제2 회동부(500), 각도조절부(600) 및 슬라이드부(700)에 대한 내용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거치부
200 : 제1 저면지지부
300 : 제2 저면지지부
302 : 경사면
400 : 제1 회동부
410 : 제1 고정대
420 : 제1 회전대
430 : 제1 회전축
432 : 제1 회전홈
434 : 제1 회전바
435 : 제1 홈
436 : 제1 스프링
437 : 제1 삽입돌기
500 : 제2 회동부
510 : 제2 고정대
520 : 제2 회전대
530 : 제2 회전축
531 : 제2 회전홈
532 : 제3 회전홈
533 : 제2 회전바
534 : 제2 수용홈
535 : 제2 스프링
536 : 제2 삽입돌기
600 : 각도조절부
610 : 수용홈
620 : 조절바
630 : 고정핀
700 : 슬라이드부
710 : 고정부재
720 : 슬라이드홈

Claims (12)

  1. 물품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100);
    상기 거치부(100)의 저면 후미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저면지지부(200);
    상기 제1 저면지지부(100)의 정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100)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제2 저면지지부(300);
    상기 거치부(100)와 상기 제1 저면지지부(200) 사이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형성되는 제1 회동부(400); 및
    상기 제1 저면지지부(200)와 상기 제2 저면지지부(300) 사이 각각을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형성되는 두 개의 제2 회동부(500)를 포함하는 독서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부(400)는,
    상기 제1 저면지지부(200)의 상단 양쪽에 고정형성되는 두 개의 제1 고정대(410);
    상기 거치부(100)의 저면 상부에 고정형성되는 제1 회전대(420); 및
    상기 제1 회전대(420)와 상기 제1 고정대(410)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100)와 상기 제1 저면지지부(200) 사이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1 회전축(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430)은,
    상기 제1 고정대(410)의 내측으로 형성된 제1 회전홈(432); 및
    상기 제1 회전대(42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홈(432)에 삽입되는 제1 회전바(4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바(434)는,
    상기 제1 회전대(42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1 홈(435);
    상기 제1 홈(435)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갖는 제1 스프링(436); 및
    상기 제1 스프링(436)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프링(436)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회전홈(432)에 삽입하기 위한 제1 삽입돌기(4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부(500)는,
    상기 제1 저면지지부(200)의 하부 양쪽에 각각 고정형성되는 두 개의 제2 고정대(510);
    상기 제2 저면지지부(300)의 배면부분에 고정형성되는 제2 회전대(520); 및
    상기 제1 고정대(410)와 상기 제2 회전대(520)의 일측 부분 사이 및 상기 제2 고정대(510)와 상기 제2 회전대(520)의 다른 일측 부분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저면지지부(200)와 상기 제2 저면지지부(300) 사이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2 회전축(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530)은,
    상기 제1 고정대(410)의 내측으로 형성된 제2 회전홈(531);
    상기 제2 고정대(510)의 내측으로 형성된 제3 회전홈(532); 및
    상기 제2 회전대(520)에 연결설치되어, 일측 말단부분이 상기 제2 회전홈(531) 및 상기 제3 회전홈(532)에 각각 삽입되는 제2 회전바(5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바(533)는,
    상기 제2 회전대(52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2 홈(534);
    상기 제2 홈(534)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갖는 제2 스프링(535); 및
    상기 제2 스프링(535)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프링(535)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회전홈(531) 및 상기 제3 회전홈(532)에 삽입하기 위한 제2 삽입돌기(5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면지지부(300)는,
    상기 제1 고정대(410)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면지지부(300)의 평면에 형성되어,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거치부(1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600)는,
    상기 제2 저면지지부(300)의 평면에 형성된 수용홈(610);
    상기 수용홈(610)에 수용된 후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거치부(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바(620); 및
    상기 수용홈(6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바(620)의 높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6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의 평면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부(100)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700)는,
    상기 거치부(10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부(700)와 상기 거치부(100)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KR2020140002089U 2014-03-17 2014-03-17 독서대 KR201500035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089U KR20150003522U (ko) 2014-03-17 2014-03-17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089U KR20150003522U (ko) 2014-03-17 2014-03-17 독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22U true KR20150003522U (ko) 2015-09-25

Family

ID=5434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089U KR20150003522U (ko) 2014-03-17 2014-03-17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52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548A1 (ko) * 2018-11-04 2020-05-07 김성원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548A1 (ko) * 2018-11-04 2020-05-07 김성원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18956A1 (en) Portable Adjustable Desk System
US9573686B2 (en) Adjustable clamping mount for cell phones, tablets and other mobile devices
KR101265050B1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US10098452B2 (en) Multi-holder for learning
KR102411776B1 (ko) 휴대용 독서대
CA2853855A1 (en) Stackable chair with cupholder and folding table
KR20120026429A (ko) 독서대
KR20120094245A (ko) 접철식 독서대
KR20130003288U (ko) 모니터받침대
KR200436158Y1 (ko) 독서대
KR20150003522U (ko) 독서대
KR101767917B1 (ko)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KR101791360B1 (ko) 접이식 독서대
KR101783631B1 (ko)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한 독서대
KR20210001472U (ko) 휴대용 독서대
KR200476126Y1 (ko) 접이식 일체 독서대
CN105599533B (zh) 折叠画架
KR20190127189A (ko) 다과상 등의 다기능으로 사용가능한 독서대
CN218355196U (zh) 可收缩座椅填单台
CN217827095U (zh) 一种可折叠收纳的桌子
KR100552005B1 (ko) 독서대가 부설된 상
CN216046265U (zh) 一种支架
CN217610053U (zh) 折叠书架
KR20180087087A (ko) 독서대상
KR102493375B1 (ko)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