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956B1 -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956B1
KR102283956B1 KR1020140193984A KR20140193984A KR102283956B1 KR 102283956 B1 KR102283956 B1 KR 102283956B1 KR 1020140193984 A KR1020140193984 A KR 1020140193984A KR 20140193984 A KR20140193984 A KR 20140193984A KR 102283956 B1 KR102283956 B1 KR 102283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otor
unit
linear driving
current valu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2061A (ko
Inventor
박정호
김모세
장호철
허재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3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9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17Selector apparatus with electric switches or sensors not for gear or range selection, e.g. for controlling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는, 변속 레버; 상기 변속 레버의 조작 시 반력을 제공하는 리니어 구동 모터;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출력 전류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 값과 차이를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의 공급 전류 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원부가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하는 전류의 기준 전류 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가 구동할 때, 상기 전류 감지부가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출력 전류 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여,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automotiv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변속기(Transmission)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기어비를 달리하도록 한 것으로서, 운전자는 변속기의 기어비를 바꾸기 위하여 변속기에 있는 변속 레버(Shift lever)를 조작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는 운전석 옆에 위치하는 변속 레버를 조작하여 변속단을 선택함으로써 기어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변속기는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로 크게 구분된다.
수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속도에 맞추어 1단, 2단, 3단, 4단 등의 변속단을 직접 선택하는 변속기고, 자동 변속기는 차량의 주행 속도, 엔진 부하, 스로틀 밸브의 개방량 등에 따라 차량의 ECU가 변속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이다.
자동 변속기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정차 시에 사용되는 P단, 차량의 전진에 사용되는 D단, 차량의 후진에 사용되는 R단 및 엔진의 출력이 구동륜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N단을 포함하는 변속단으로 구성된다.
운전자는 변속 레버를 이용하여 각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는데, 변속 레버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레버 타입과 다이얼 타입이 있다. 그 외에 각 변속단이 버튼 형식으로 구성된 차종도 있다.
일반적인 레버 타입은 P-R-N-D의 순서로 변속단이 일렬 배치되고 레버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레버 타입으로서, P-R-N-D의 변속단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레버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제자리에서 틸팅 후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레버의 틸팅 방향에 따라 P-R-N-D가 차례대로 변하는 방식으로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는 변속기가 제공되고 있다.
한편, 다이얼 타입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다이얼의 주변으로 P-R-N-D의 변속단이 위치하고 다이얼의 특정 포인트를 P-R-N-D의 각 변속단에 위치시킴으로써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레버 타입 또는 다이얼 타입의 변속 레버가 장착된 변속기는, 운전자가 P-R-N-D의 변속단을 선택하는 때에 변속단의 변화 및 변속 레버가 각 변속단에 위치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절도감을 촉각적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절도감을 구현하기 위해 변속기 내에는 디던트(Detent) 장치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디턴트 장치는 기구적 구성을 이용해 절도감을 구현하므로 복잡한 구조가 요구되었다.
또한,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을 위해, D단에서 P단 또는 R단으로 변속단을 변경하는 경우 또는 반대로 P단 또는 R단에서 D단으로 변경하는 것은 차량이 거의 정지된 상태에서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변속기는 일정한 조건이 갖추어졌을 때만 위와 같은 변속단 변경을 허용하고 그 외에는 위와 같은 변속이 불가능하도록 변속 레버의 움직임을 막는 별도의 블로킹 장치가 구비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108555호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변속 레버의 추력(推力)을 일정하게 하여 변속 시 운전자가 향상된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는, 변속 레버; 상기 변속 레버의 조작 시 반력을 제공하는 리니어 구동 모터;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출력 전류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 값과 차이를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의 공급 전류 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펄스 폭 변조(PWM)를 제어하여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의 듀티(Duty) 비를 증감시킴에 따라 상기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이 기준 전류 값 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의 듀티 비를 감소시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줄이고,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이 기준 전류 값 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의 듀티 비를 증가시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늘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방법은, 변속 레버, 리니어 구동 모터, 전원부, 전류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가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하는 전류의 기준 전류 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가 구동할 때, 상기 전류 감지부가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출력 전류 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여,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의 듀티 비를 증감시킴에 따라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이 상기 기준 전류 값 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의 듀티 비를 감소시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줄이고,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이 상기 기준 전류 값 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의 듀티 비를 증가시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늘리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제어 방법에 의하면, 변속 레버의 추력(推力)이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변속 시 운전자에게 향상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리니어 구동 모터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기에서, 리니어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변속 레버가 유효 거리 내에서 추력이 변화되는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의하여, 변속 레버의 추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 제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에 따라 전원부의 펄스 폭이 변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리니어 구동 모터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기(1)는, 변속 레버(10), 변속 레버(10)의 하부에 위치하여 변속 레버(10)를 둘러싸는 상부 하우징(21), 상부 하우징(21)의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측부 하우징(22) 및 제2측부 하우징(23)을 포함할 수 있다.
변속 레버(10) 및 하우징(21,22,23)은 차량 실내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와 센터콘솔박스 (Center console box)사이에서 실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제1측부 하우징(22) 및 제2측부 하우징(23)은 차량의 실내에 노출되지 않고 센터페시아로부터 센터콘솔박스로 이어지는 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변속 레버(10)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P-R-N-D의 순서로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수동 변속 모드를 지원하는 변속기(1)의 경우에는 변속 레버(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1단, 2단, 3단 4단 등의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1)에는 파킹 버튼(P)이 형성될 수 있다. 파킹 버튼은 EPB(Electric Parking Brake)의 작동 버튼일 수 있고, 또는 P단 변속단을 설정하는 버튼일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변속 레버(10)에 의해 선택되는 변속단이 R-N-D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측부 하우징(22)과 제2측부 하우징(23) 사이에는 변속기(1)의 후방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24)이 위치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24)은 그 내부에 위치하는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보빈(85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내부 하우징(24)은 스크류(S5, S6)에 의해 보빈(850)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기(1)의 내부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하우징의 내부에는 변속 레버(10)를 지지하는 변속 레버 샤프트(40), 변속 레버 샤프트(4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홀더(30), 변속 레버 샤프트(4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부재(70), 링크 부재(70) 및 내부 하우징(24)에 각각 결합되는 리니어 구동 모터(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 홀더(30)는 하우징(21,22,23)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어, 변속 레버 샤프트(40)가 샤프트 회동축(421)을 중심으로 회동 동작만 가능하도록 규제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기(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 샤프트(40)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부재(70)와, 링크 부재(70)에 일부가 결합되고 내부 하우징(24)에 다른 일부가 결합되는 리니어 구동 모터(80)를 포함한다.
여기서, 리니어 구동 모터(80) 중, 링크 부재(70)와 결합되는 부분을 가변 유닛이라 하고, 내부 하우징(24)에 결합되는 부분을 고정 유닛이라 하기로 한다.
링크 부재(70)는 플랜지(71)와 플랜지(71)의 일면으로부터 변속 레버 샤프트(40)의 관통홀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조(7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71)의 이면에는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가변 유닛이 설치되고, 가변 유닛과 플랜지(71)는 스크류(S3, S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고정 유닛은 고정 설치되는 내부 하우징(24)에 결합되고, 가변 유닛은 내부 하우징(24)과 함께 고정되는 고정 유닛으로부터 직선 방향(도 3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변속 레버(10)를 조작하면, 변속 레버 샤프트(40)는 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링크 부재(70) 및 가변 유닛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가변 유닛이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링크 부재(70)는 가변 유닛과 함께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변속 레버 샤프트(40) 및 변속 레버(10)가 회동하게 된다.
한편, 가변 유닛이 고정 유닛에 대하여 왕복 운동으로 이동이 이루어질 때, 고정 유닛의 코일(미도시됨)과, 가변 유닛의 마그넷(미도시됨)의 중첩되는 양은 달라지게 된다.
즉, 가변 유닛이 고정 유닛에 대하여 바깥 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코일과 마그넷의 중첩 부위가 적어지게 되고, 반대로 가변 유닛이 고정 유닛에 대하여 안 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코일과 마그넷의 중첩 부위가 많아지게 된다.
코일과 마그넷의 중첩되는 양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10)의 추력은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코일과 마그넷의 중첩되는 양이 적은 경우, G1, G3와 같이 작동 레버(10)의 추력은 상대적으로 작아지고, 코일과 마그넷의 중첩되는 양이 많은 경우, G2와 같이 추력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변속단을 바꾸고자 운전자가 변속 레버(10)를 조작할 때, 변속 레버(10)의 유효 거리 내에서 추력이 상이하게 됨으로써, 운전자는 불편한 조작감을 느낄 수 있다.
즉, 변속 레버(10)의 조작 시작 점에서는 추력이 상대적으로 약하다가 중간 점에서 추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다시 끝 점에서 추력이 다시 상대적으로 약해지게 됨으로써, 운전자는 불편한 조작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변속 레버(10)가 조작되는 유효 거리 내에서 일정한 추력을 나타내도록 하여 운전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이 요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는,변속 레버(10)의 조작에 의해 왕복 이동하여 반력을 제공하는 리니어 구동 모터(80)와, 리니어 구동 모터(80)에 작동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110)와, 전원부(110)로부터 리니어 구동 모터(80)로 공급되는 전류 량에 따라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출력 전류 값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120) 및 전류 감지부(120)로부터 감지된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출력 전류 값에 따라 전원부(110)의 공급 전류 량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전류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출력 전류 값에 따라 전원부(110)의 펄스 폭 변조(PWM : Pulse Width Modulation)를 제어하여 리니어 구동 모터(80)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전류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출력 전류 값에 따라 전원부(110)의 듀티(Duty) 비를 증감시킴에 따라 전원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니어 구동 모터(80)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듀티(Duty)는 전체 신호에서 하이(High)가 되는 구간을 퍼센트(%)로 표현한 것이다.(도 8 참조)
변속 레버(10)의 조작에 의해 리니어 구동 모터(80)가 구동하는 경우,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출력 전류 값(130)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 값 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추력이 큰 구간에서는, 제어부(100)가 전원부(110)의 펄스 폭 변조(140)를 제어하여 리니어 구동 모터(80)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줄일 수 있다.
즉, 전원부(110)의 듀티 비를 감소시켜서 리니어 구동 모터(80)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줄일 수 있다.
반대로,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출력 전류 값(130)이 기준 전류 값 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서 추력이 작은 구간에서는, 제어부(100)가 전원부(110)의 펄스 폭 변조(140)를 제어하여 리니어 구동 모터(80)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늘릴 수 있다.
즉, 전원부(110)의 듀티 비를 증가시켜서 리니어 구동 모터(80)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늘릴 수 있다.(도 6 및 도 8 참조)
이 경우, 변속 레버(10)의 유효 거리 내에서 일정한 추력의 기준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추력의 기준 범위는 제어부(100)에 미리 입력되고, 제어부(100)는 설정된 추력의 기준 범위에 따라 전원부(110)의 듀티 비를 증감시킴에 따라 펄스 폭 변조(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용 변속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의하여, 변속 레버의 추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 제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전원부(110)는 리니어 구동 모터(80)로 공급하는 전류의 기준 전류 값을 설정하고, 운전자가 변속 레버(10)를 조작하여 리니어 구동 모터(80)를 구동시키는 경우, 전원부(110)는 설정된 기준 전류 값에 따라 전류를 리니어 구동 모터(80)로 공급한다.
설정된 기준 전류 값에 따른 전류의 공급으로, 리니어 구동 모터(80)가 구동할 때, 코일과 마그넷의 중첩 양에 따라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출력 전류 값은 달라짐으로써, 변속 레버(10)의 추력 또한 달라질 수 있다.(도 4 참조)
이때, 전류 감지부(120)는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출력 전류 값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출력 전류 값(130)은 제어부(100)로 송신한다.
한편, 제어부(10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의 유효 거리 내에서 일정한 추력의 기준 범위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00)는 전류 감지부(120)로부터 송신된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출력 전류 값(130)과, 기준 범위의 추력을 비교 판단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00)는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출력 전류 값(130)과, 기준 범위의 추력을 비교 판단하고, 추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구간에서는 전원부(110)의 듀티 비를 증가시킴에 따라 펄스 폭 변조(140)를 제어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가 리니어 구동 모터(80)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추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구간에서는 전원부(110)의 듀티 비를 감소시킴에 따라 펄스 폭 변조(140)를 제어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가 리니어 구동 모터(80)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리니어 구동 모터(80)는 코일과 마그넷의 중첩 양이 적은 부위에서는 전원부(110)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를 공급받고, 반대로 코일과 마그넷의 중첩 양이 많은 부위에서는 전원부(110)로부터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를 공급받아 구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는 유효 거리 내에서 일정한 크기의 추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전자는 변속단을 바꾸고자 변속 레버(10)를 조작할 때, 변속 레버(10)의 유효 거리 내에서 일정한 추력을 부여 받게 됨으로써, 보다 부드럽고 향상된 조작감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차량용 변속기 10: 변속 레버
80 : 리니어 구동 모터 100 : 제어부
110 : 전원부 120 : 전류 감지부
130 : 출력 전류 값 140 : 펄스 폭 변조(PWM)

Claims (9)

  1. 변속 레버;
    고정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에 대하여 직선 이동되는 가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유닛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변속 레버의 조작 시 반력을 제공되도록 하는 리니어 구동 모터;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출력 전류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 값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의 공급 전류 량을 제어하여 상기 고정 유닛에 대하여 상기 가변 유닛의 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일정한 반력이 제공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펄스 폭 변조(PWM)를 제어하여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조절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의 듀티(Duty) 비를 증감시킴에 따라 상기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이 기준 전류 값 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의 듀티 비를 감소시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줄이는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이 기준 전류 값 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의 듀티 비를 증가시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늘리는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6. 변속 레버, 리니어 구동 모터, 전원부, 전류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원부가 고정 유닛과 상기 고정 유닛에 대하여 직선 이동되는 가변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하는 전류의 기준 전류 값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가변 유닛이 이동될 때, 상기 전류 감지부가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을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출력 전류 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여, 상기 고정 유닛에 대하여 상기 가변 유닛이 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의 듀티 비를 증감시킴에 따라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이 상기 기준 전류 값 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의 듀티 비를 감소시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의 출력 전류 값이 상기 기준 전류 값 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의 듀티 비를 증가시켜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늘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방법.
KR1020140193984A 2014-12-30 2014-12-30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283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984A KR102283956B1 (ko) 2014-12-30 2014-12-30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984A KR102283956B1 (ko) 2014-12-30 2014-12-30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061A KR20160082061A (ko) 2016-07-08
KR102283956B1 true KR102283956B1 (ko) 2021-07-30

Family

ID=5650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984A KR102283956B1 (ko) 2014-12-30 2014-12-30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9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5687A (ja) * 2009-04-22 2010-11-11 Mitsubishi Electric Corp 変速機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2355509B2 (en) 2011-12-19 2016-06-09 Allison Transmission Inc. Automatic transmission with improved gear arrangement
KR101422219B1 (ko) * 2012-11-02 2014-07-24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변속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5687A (ja) * 2009-04-22 2010-11-11 Mitsubishi Electric Corp 変速機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061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0931B2 (en) Shift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having steering wheel paddle shifters and a console shifter
US5984828A (en) Control methods for a shift by wire vehicle transmission
KR101755854B1 (ko) 전자식 변속시스템
SE0103629L (sv) Styrning av växling i motorfordon
US7926374B2 (en) Voice recognition shift control
JP3446460B2 (ja)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CN104847880A (zh) 单稳态旋转式变速器选择器
WO200507360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unteracting inappropriate manual gearshifts in predetermined vehicle conditions
KR102283956B1 (ko) 차량용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5330353B2 (ja) 作業車両
KR20140067374A (ko) 차량의 변속 장치 및 방법
AU8790498A (en) Torque dithering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transmission
CN103620193A (zh) 车辆的驱动控制装置
KR101968091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332822B1 (ko) 유압클러치장치의 압력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6323918B2 (ja) 作業車両
WO2014061602A1 (ja) 作業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18127214A (ja) 作業車両
KR101682191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0524294B1 (ko) 농업용 트랙터의 주행변속 제어장치
KR102238729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5997242B2 (ja) 作業車両
KR102289737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2019011766A (ja) 作業車両
JP5762482B2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