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916B1 - 무인 택배함 - Google Patents

무인 택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916B1
KR102283916B1 KR1020190172789A KR20190172789A KR102283916B1 KR 102283916 B1 KR102283916 B1 KR 102283916B1 KR 1020190172789 A KR1020190172789 A KR 1020190172789A KR 20190172789 A KR20190172789 A KR 20190172789A KR 102283916 B1 KR102283916 B1 KR 102283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pport member
opening
central axis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0810A (ko
Inventor
김영록
Original Assignee
김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록 filed Critical 김영록
Priority to KR1020190172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916B1/ko
Publication of KR2021008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택배함은 상부 또는 하부가 개폐되는 제1 도어, 상부가 개폐되는 제2 도어, 상기 제1 도어를 상부 또는 하부에서 열기 위해 상기 제1 도어와 결합된 절첩부재와 스프링, 상기 제2 도어와 결합된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와 결합된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 택배함{UNMANNED DELIVERY BOX}
본 발명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택배물을 수취 또는 반송할 수 있는 무인 택배함에 관한 것이다.
현재 택배를 수취하거나 반송하는 방법은 주소지에 거주자가 있다면 직접 수취하거나 반송할 수 있으나, 거주자가 없다면 수취 또는 반송할 택배를 이웃 또는 경비원에게 부탁하거나 문 앞에 두게 된다. 택배를 문 앞에 두게 되는 경우 택배는 범죄의 대상이 되거나 손실 및 손상이 우려되기도 한다.
택배를 수취하거나 반송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택배함의 설치가 될 수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76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부를 가지고 있어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무인 택배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무인 택배함의 경우, 택배가 보관되면 무인 택배함이 설치된 곳 즉, 벽이나 문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어 보행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무인 택배함에 의해 택배의 크기나 무게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주소지에 거주자가 없는 경우에도 택배를 수취하거나 반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무인 택배함은 출입문에 설치되고 택배 물건이 통과할 수 있도록 출입구가 구비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출입구 내측을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제1 도어로서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도어의 상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와 결합된 제1 도어 상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도어의 아래쪽이 개폐되거나 상기 제1 도어의 하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와 결합된 제1 도어 하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도어의 위쪽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제1 도어와, 상기 바디부의 출입구 외측을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제2 도어로서 상기 제2 도어의 중하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하부와 결합된 제2 도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 도어의 위쪽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제2 도어와, 상기 제2 도어의 하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도어의 안쪽 면을 타고 내려온 택배 물건을 받쳐줄 수 있게 상기 제2 도어에 대하여 일정 각을 이루도록 접혀지거나 택배 물건이 상기 출입구를 지나 빠져나갈 수 있게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면서 특정 각도에 도달하기 전까지 회동되는 동안에는 상기 받침부재가 일정 각을 이루도록 졉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특정 각도에 도달하고 나서 닫힐 때까지는 상기 받침부재가 펼쳐지도록 하는 받침부재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 조절수단은,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된 받침부재 개폐턱과, 상기 받침부재의 힌지 결합 부위에 구비된 받침부재 스프링과, 상기 바디부의 측면부 안쪽에 형성되며 제1 경로 홈과 제2 경로 홈의 두 가지 궤도의 홈을 가지는 개폐캠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도어 하부의 측면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볼플런저가 상기 개폐캠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개폐 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캠은 상기 제2 도어가 열리는 것과 함께 상기 볼플런저가 상기 개폐캠 가이드 홈의 제1 경로 홈에 삽입된 채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개폐캠이 상기 받침부재 개폐턱에 걸린 상태로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볼플런저가 상기 개폐캠 가이드 홈의 특정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제2 경로 홈에 삽입되어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개폐캠과 상기 받침부재 개폐턱의 접촉이 해소되면서 상기 받침부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받침부재가 펼쳐지며, 상기 제2 도어가 닫히면 상기 볼플런저가 다시 상기 제1 경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부재가 일정 각을 이루도록 접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도어의 양 측단부에 구비되어 돌출 형성되는 고정봉 및 상기 받침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도어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열리면 상기 고정봉과 상기 제1 도어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제1 도어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도어의 상부에는 제1 도어 상부 손잡이 및 상기 제1 도어 상부 손잡이의 좌측 말단 및 우측 말단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도어의 측면부에 구비된 고정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도어 상부 걸림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도어의 하부에는 제1 도어 하부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도어 상부 걸림후크에는 상부후크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도어 상부 중심축이 상기 상부후크 고정홀에 삽입되어 걸리거나 상기 상부후크 고정홀로부터 빠질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 하부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상기 제1 도어의 상단부가 상기 제1 도어 상부 중심축에 걸린 상태로 상기 제1 도어 상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 상부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상기 제1 도어 상부 손잡이가 상기 제1 도어 상부 중심축으로부터 빠지면서 상기 제1 도어의 하단부가 상기 제1 도어 하부 중심축과 맞물리게 되고 그 상태로 상기 제1 도어 하부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도어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설치되는 접거나 펴지도록 구성된 절첩부재와, 상기 절첩부재에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접철부재 스프링 및 상기 제2 도어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어가 안정적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깥에서 실내로 택배물을 반입할 때는 제1 도어가 아래쪽에서 열리게 되어 있고, 택배물 반송 등을 위해 실내에서 바깥으로 택배물을 반출할 때는 제1 도어가 위쪽에서 열리게 되어 있어서 택배물의 반입 뿐만 아니라 반출할 때도 출입문을 열지 않고도 쉽게 할 수 있으며, 부재중에도 택배를 수취하거나 반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받침부재와 받침부재 조절수단의 역할에 의하여 택배물이 통과할 때 외에는 자동으로 출입구가 폐쇄됨으로써 방범 기능을 담당하고 이와 아울러 택배물이 반입되거나 반출되는 과정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함이 문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함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함을 이용하여 택배를 수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함을 이용하여 택배를 반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함(100)이 출입문(D1)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서는 무인 택배함의 제2 도어(110)가 외부로 노출된 모습이며, 도 1b에서는 무인 택배함의 제1 도어(210)가 외부로 노출된 모습이다. 무인 택배함(100)의 위치는 수용가능한 택배의 크기를 고려해 정해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무인 택배함으로 설명하였지만 보안을 유지하며 양측면으로 열어햐 하는 수납함이 필요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함(100)은 상부와 하부 중 선택적으로 열릴 수 있는 제1 도어(210), 상부에서만 열릴 수 있는 제2 도어(110), 상기 제1 도어(210)와 상기 제2 도어(110)가 설치되는 바디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도어(210)는 제1 도어 상부 중심축(213)을 중심으로 하부에서 열릴 수 있으며 제1 도어 하부 손잡이(218)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도어(210)의 하부에서 열리는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제1 도어(210)와 상기 바디부(300)를 결합하는 절첩부재(215)와 절첩부재 스프링(S5)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어(210)는 제1 도어 하부 중심축(214)을 중심으로 상부에서 열릴 수 있으며 제1 도어 상부 손잡이(212)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절첩부재(215)와 상기 절첩부재 스프링(S5)에 의해 상기 제1 도어(210)의 상부에서 열리는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210)는 후크 형태로 상부 또는 하부에서 닫힐 수 있다. 제1 도어(210)의 하부 바깥면에 돌출 형성된 제1 도어 하부 손잡이(218)를 이용하여 잡아당기거나 제1 도어(210)의 하부를 밀어줄 때는 제1 도어 상부 중심축(213)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1 도어 상부 중심축(213)은 상부후크 고정홀(211a)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거나 상부후크 고정홀(211a)로부터 빠져나와 분리된다. 상부후크 고정홀(211a)은 제1 도어 상부 걸림후크(211)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원호 형태를 이루도록 둥글게 패인 홈 형태를 가진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도어 상부 손잡이(212)를 잡고 당기면 제1 도어 상부 걸림후크(211)가 고정홀 회전축(211b)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원형 봉 형태의 제1 도어 상부 중심축(213)과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미끄러져나와 제1 도어 상부 중심축(213)으로 부터 빠진다. 제1 도어 상부 걸림후크(211)가 제1 도어 상부 중심축(213)에서 빠지는 즉시, 제1 도어(21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며, 이때 제1 도어의 하단부에 구비된 원호 형태로 패인 홈인 제1 도어 하부후크(211c)가 제1 도어 하부 중심축(214)에 끼워져서 제1 도어(210)는 제1 도어 하부 중심축(21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1 도어 하부 중심축(214)을 중심으로 회전하던 제1 도어(210)가 닫힐 때는 제1 도어 상부 걸림후크(211)가 제1 도어 상부 중심축(213)에 닿은 상태에서 제1 도어 상부 손잡이(212)를 밀어주면 제1 도어 상부 걸림후크(211)의 원호 형태의 가장자리 부분이 제1 도어 상부 중심축(213)과 맞닿아서 미끄러지면서 제1 도어(210)가 상승되는 것과 함께 제1 도어 상부 중심축(213)이 상부후크 고정홀(211a)에 끼워져 제1 도어(210)가 완전히 닫히게 된다.
상기 제2 도어(110)는 양측면이 절곡되고 제2 도어(110)의 중하부에 형성된 돌출리브(111c)가 바디부(300)의 양측 중하부에 구비된 제2 도어 힌지(111d)에 결합하여 제2 도어 힌지(111d)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상기 제2 도어(110)는 택배물(DM)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제1 도어(210)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부재(120) 및 걸림부재(121)와 결합된다. 상기 받침부재(120)와 제2 도어(110)의 하단부는 힌지 결합되며 힌지 결합 부위에는 탄성력이 있는 비틀림 스프링인 받침부재 스프링(S1)이 구비되어 받침부재 걸림턱(120b)이 받침부재 고정턱(111b)에 닿을 때까지 받침부재 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펼쳐짐으로써 받침부재(120)가 제2 도어(110)와 일직선을 이룰 수도 있고, 받침부재 개폐턱(120a)이 받침부재 개폐캠(130)에 걸려있는 상태에서는 받침부재(120)와 제2 도어(110)가 직각에 가깝도록 서로에 대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때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받침부재(120)의 한쪽 말단은 제1 도어(210)의 안쪽 면에 닿고 걸림부재(121)는 고정봉(217)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받침부재(120)가 상기 제1 도어(210)와 상기 제2 도어(110) 사이를 막고 있게 되어 방범 및 보안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21)는 제2 도어(110)에 의해 눌리면 받침부재(120)에 대하여 접혀지고, 상기 걸림부재(121)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도어(210)와 고정봉(217) 사이에 끼워져 고정봉(217)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 도어(210)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120)와 상기 걸림부재(121)는 힌지 결합되며 힌지 결합 부위에는 탄성력이 있는 비틀림 스프링인 걸림부재 스프링(S3)이 구비되어 걸림부재(121)가 제1 도어(210)에 의해 눌리지 않을 때는 걸림부재(121)의 걸림부재 정지턱(121a)이 받침부재(120)의 걸림부재 정지부(120c)와 닿을 때까지 걸림부재 스프링(S3)의 탄성력에 의해 펼쳐짐으로써 걸림부재(121)가 받침부재(120)와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도어(110)는 받침부재 개폐캠(130)과 결합되고 제2 도어(110)와 받침부재 개폐캠(130)가 힌지 결합된 부위의 둘레에는 비틀림 스프링인 개폐캠 스프링(S2)이 구비되어 받침부재 개폐캠(130)에 탄성력을 가한다. 상기 받침부재 개폐캠(130)에 구비된 볼플런저(131)는 상기 바디부(300)의 제1 경로홈(30aa) 및 제2 경로홈(30bb)으로 이루어지는 개폐캠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있어서 제2 도어(110)가 힌지 운동을 할 때 받침부재 개폐캠(130)에 구비된 볼플런저(131)는 바디부(300)의 개폐캠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한다. 제1 경로홈(30aa)과 제2 경로홈(30bb)은 바디부(300)의 내측면에 패여서 형성되고, 곡선을 그리면서 위 아래로 한 쌍이 가지런하게 되도록 형성되며, 이때 제2 경로홈(30bb)이 제1 경로홈(30aa)의 바로 아래에 형성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도어(210)가 열리는 과정에서는 볼플런저(131)가 제1 경로홈(30aa)을 타고 이동하는데 이 과정에서는 개폐캠 작동부(130a)가 받침부재 개폐턱(120a)에 걸려있어서 받침부재(120)가 제2 도어(110)와 직각에 가까운 둔각 정도를 이루도록 접혀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볼플런저(131)가 제1 경로홈(30aa)을 타고 이동할 때 제1 경로홈(30aa)의 깊이가 점점 얕야지는데 제1 경로홈 단차선(30a)을 지나는 순간 갑자기 단차가 생기면서 제1 경로홈(30aa)의 깊이가 깊어져서 볼플런저(131)가 순간적으로 돌출되며, 이로써 다시 제1 경로홈 단차선(30a)을 지나서 돌아가지는 못하게 된다. 대신 제1 경로홈(30aa)의 한쪽 말단이 제2 경로홈(30bb)의 한쪽 말단과 통하도록 터져 있고 단차도 없어서 개폐캠 스프링(S2)의 작용에 따라 볼플런저(131)가 제2 경로홈(30bb) 쪽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받침부재 개폐캠(130)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개폐캠 작동부(130a)와 받침부재 개폐턱(120a)의 접촉이 해소됨으로써 받침부재(120)가 받침부재 스프링(S1)의 작용에 의해 도 5d 내지 도 5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도어(110)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쭉 펴져서 택배물(DM)이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볼플런저(131)가 제2 경로홈(30bb)을 타고 이동하면 이번에는 제2 경로홈(30bb)의 깊이가 점점 얕아지다가 제2 경로홈 단차선(30b)을 지나면 볼플런저(131)가 돌출하여 다시 제2 경로홈(30bb)으로는 돌아갈 수가 없고 제1 경로홈(30aa)을 통해서만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며, 제2 도어(110)가 닫히면서 받침부재(120)가 바디부(300)에 의해 접혀지다가 도 5g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플런저(131)가 제1 경로홈(30aa)으로 경로를 바꾸면서 받침부재 개폐캠(130)의 개폐캠 작동부(130a)가 받침부재 개폐턱(120a)에 걸려서 받침부재(120)가 제2 도어(110)에 대해 접힌 상태가 유지된다. 부가적으로, 무거운 택배물(DM)도 안정적으로 수취하기 위해 상기 제2 도어(110)와 상기 바디부(300)가 실린더(11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도어(110)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으로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열 수 있다. 즉, 택배기사가 거주자에게 연락하면 거주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제2 도어(110)의 락(lock)을 해지할 수 있다. 이 후 택배기사가 상기 제2 도어(110)를 잠그게 되면 센서를 이용해 판단된 상기 제2 도어(110)의 상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센서에는 카메라, 접촉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300)의 내측면에는 제1 경로홈(30aa) 및 제2 경로홈(30bb)으로 이루어지는 개폐캠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도어(110)의 상단부에 구비된 후크 형태의 제2 도어 잠금턱(111a)은 상기 바디부(300)의 제2 도어 잠금 키봉(407)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바디부(300)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출입문(D1)을 바디부(300)로 간주하여 상기 제1 도어(210), 상기 제2 도어(11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함을 이용하여 택배를 수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택배기사가 제2 도어(110)를 연 것이고, 도 5b는 택배물(DM)을 상기 제2 도어(110)에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제1 도어(210)는 제2 도어(110)를 활짝 열면 받침부재(120)에 의해 밀려서 하부에서 열리며, 택배물(DM)을 올려놓고 제2 도어(110)를 닫으면 택배물(DM)이 제1 도어(210)를 밀어줌으로써 제1 도어(210)가 더 활짝 열리게 된다. 도 5c와 같이, 택배물(DM)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제2 도어(110)를 닫으면 제1 도어(210)가 받침부재 개폐캠(130)의 작용에 의해 받침부재(120)가 잠금 상태에서 풀리고 볼플랜저(131)는 제1 경로홈(30aa)에서 제2 경로홈(30bb)으로 유도되어 받침부재(120)가 회동됨으로써 택배물(DM)이 출입구를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도 5d 내지 도 5f와 같이 택배물이 실내로 반입이 완료될 수 있다. 택배물(DM) 반입 완료 후 제2 도어(110)가 완전히 닫히면 받침부재(120)와 걸림부재(121)도 초기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무인 택배함(100)의 상부에 설치된 키봉 구동로드(405) 및 구동로드 작동캠(406) 이 제2 도어 잠금 키봉(407)을 열어 상기 제2 도어(110)가 열릴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키봉 구동로드(405)는 상기 무인 택배함과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120)에 연결된 걸림부재(121)가 있어 상기 제1 도어(210)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재(121)가 상기 제1 도어(210)의 고정봉(217)에 걸리게 되면 상기 제1 도어(210)는 상기 제2 도어(110)와 연동하여 열릴 수 있다.
도 5c는 택배기사가 상기 제2 도어(110)를 닫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 도어(110)가 수직으로 세워짐에 따라 상기 택배물(DM)은 아래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121)는 상기 고정봉(217)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도 5d도 택배기사가 상기 제2 도어(110)를 닫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 도어(110)가 수직으로 세워짐에 따라 상기 받침부재(120)는 받침부재 개폐캠(130)의 작동에 의해 펴지게 된다.
도 5f는 상기 택배물(DM)이 바닥에 놓이고 상기 제1 도어(210) 및 상기 제2 도어(110)가 닫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g는 상기 택배물이 수취되고 난 후 무인 택배함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걸림부재(121)은 제2 도어(110)에 의해 접혀져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 후 상기 무인 택배함의 상부에 설치된 키봉 구동로드(405)가 제2 도어 잠금 키봉(407)을 고정시켜 상기 제2 도어(110)는 잠길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봉 구동로드(405)는 상기 무인 택배함과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함을 이용하여 택배를 반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택배를 반송하기 위해 제1 도어(210)를 상부에서 열고 반송물(BM)을 상기 제1 도어(210) 위에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택배기사가 상기 반송물(BM)를 수거하기 위해 무인 택배함(100)의 제2 도어(110)를 상부에서 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절첩부재(215)와 절첩부재 스프링(S5)에 의해 상기 제1 도어(210)의 개방 정도가 제한된다.
도 6c는 택배기사가 반송물(BM)을 수거하기 위해 무인 택배함(100)의 제2 도어(110)가 충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린더(112)에 의해 상기 제2 도어(110)는 안정적으로 열릴 수 있다.
100: 무인 택배함 110: 제2 도어
111: 제2 도어 절곡리브 111a: 제2 도어 잠금턱
111b: 받침부재 고정턱 111c: 돌출리브
111d: 제2 도어 힌지 112: 실린더
120: 받침부재 120a: 받침부재 개폐턱
120b: 받침부재 걸림턱 120c: 걸림부재 정지부
121: 걸림부재 121a: 걸림부재 정지턱
130: 받침부재 개폐캠 130a: 개폐캠 작동부
131: 볼플런저 210: 제1 도어
211: 제1 도어 상부 걸림후크 211a: 상부후크 고정홀
211b: 고정홀 회전축 211c: 제1 도어 하부후크
212: 제1 도어 상부 손잡이 213: 제1 도어 상부 중심축
214: 제1 도어 하부 중심축 215: 절첩부재
215a: 절첩레버 스프링 가이드 216: 절첩레버 슬러스트와샤
217: 고정봉 218: 제1 도어 하부 손잡이
300: 바디부 301: 바디부 조립 리브
302: 바디부 조립 외측몰드 30aa: 제1 경로홈
30a: 제1 경로홈 단차선 30bb: 제2 경로홈
30b: 제2 경로홈 단차선 400: 무인택배 IoT 시스템 작동부
401: 무인택배 IoT앱 수신 및 송신부
401a: 무인택배 IoT시스템 전원 케이블
402: 무인택배 IoT작동 액츄에이터 403: 작동 솔레노이드
404: 솔레노이드 작동로드 405: 키봉 구동로드
406: 구동로드 작동캠 407: 제2 도어 잠금 키봉
407a: 제2 도어 키봉 잠금턱 408: 스피커
S1: 받침부재 스프링 S2: 개폐캠 스프링
S3: 걸림부재 스프링 S4: 후크작동 스프링
S5: 절첩부재 스프링 S6: 잠금 키봉 작동 스프링
D1: 출입문 D2: 출입문틀
DM: 택배물 BM: 반송물

Claims (5)

  1. 출입문에 설치되고 택배 물건이 통과할 수 있도록 출입구가 구비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면부 안쪽에 형성되며, 제1 경로 홈과 제2 경로 홈의 두 가지 궤도의 홈을 가지는 개폐캠 가이드 홈;
    상기 바디부의 출입구 내측을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제1 도어로서,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1 도어의 상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와 결합된 제1 도어 상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도어의 아래쪽이 개폐되거나, 상기 제1 도어의 하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와 결합된 제1 도어 하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도어의 위쪽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제1 도어;
    상기 바디부의 출입구 외측을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제2 도어로서, 상기 제2 도어의 중하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하부와 결합된 제2 도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 도어의 위쪽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제2 도어;
    상기 제2 도어의 하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도어의 안쪽 면을 타고 내려온 택배 물건을 받쳐줄 수 있게 상기 제2 도어에 대하여 일정 각을 이루도록 접혀지거나, 택배 물건이 상기 출입구를 지나 빠져나갈 수 있게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된 받침부재 개폐턱;
    상기 받침부재의 힌지 결합 부위에 구비된 받침부재 스프링;
    상기 제2 도어 하부의 측면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볼플런저가 상기 개폐 캠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받침부재 개폐 캠;
    상기 제1 도어의 양 측단부에 구비되어 돌출 형성되는 고정봉;
    상기 받침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도어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열리면 상기 고정봉과 상기 제1 도어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제1 도어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재;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설치되는 접거나 펴지도록 구성된 절첩부재; 및
    상기 절첩부재에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접철부재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재 개폐캠은 상기 제2 도어가 열리는 것과 함께 상기 볼플런저가 상기 개폐캠 가이드 홈의 제1 경로 홈에 삽입된 채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받침부재 개폐캠이 상기 받침부재 개폐턱에 걸린 상태로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볼플런저가 상기 개폐캠 가이드 홈의 특정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제2 경로 홈에 삽입되어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받침부재 개폐캠과 상기 받침부재 개폐턱의 접촉이 해소되면서 상기 받침부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받침부재가 펼쳐지며, 상기 제2 도어가 닫히면 상기 볼플런저가 다시 상기 제1 경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부재가 일정 각을 이루도록 접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의 상부에는 제1 도어 상부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도어의 하부에는 제1 도어 하부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도어 상부 손잡이는 상단부가 후크 방식으로 상기 제1 도어 상부 중심축에 걸리거나 빠질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 하부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상기 제1 도어의 상단부가 상기 제1 도어 상부 중심축에 걸린 상태로 상기 제1 도어 상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 상부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상기 제1 도어 상부 손잡이가 상기 제1 도어 상부 중심축으로부터 빠지면서 상기 제1 도어의 하단부가 상기 제1 도어 하부 중심축과 맞물리게 되고 그 상태로 상기 제1 도어 하부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도어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함.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어가 안정적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함.
KR1020190172789A 2019-12-23 2019-12-23 무인 택배함 KR102283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789A KR102283916B1 (ko) 2019-12-23 2019-12-23 무인 택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789A KR102283916B1 (ko) 2019-12-23 2019-12-23 무인 택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810A KR20210080810A (ko) 2021-07-01
KR102283916B1 true KR102283916B1 (ko) 2021-08-02

Family

ID=7686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789A KR102283916B1 (ko) 2019-12-23 2019-12-23 무인 택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9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841A (ko) * 2017-12-19 2019-06-27 김영록 무인 택배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810A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1608B9 (en) A furniture door with an opening mechanism and a touch latch device
US7658220B2 (en) Barrier means
JP2022020643A (ja) 止めラッチを有するラッチ構成
KR101947919B1 (ko) 반자동 클로저 및 스토퍼 기능을 갖는 도어힌지
US20060266088A1 (en) Mortise lock having double locking function
JP7351486B2 (ja) 格納式ドアハンドルのモータ駆動制御装置及び操作方法
KR101086277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자동잠금장치
CN112218998B (zh) 多重铰接合页装置
RU2447250C2 (ru) Защелка для дверного замка
KR10082882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크구조
KR102283916B1 (ko) 무인 택배함
JPH05338496A (ja) 蓋開閉装置
KR101091801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KR200394043Y1 (ko) 차량용 개폐장치
KR20160029943A (ko) 트럭용 윙도어 잠금장치
KR101119924B1 (ko) 볼 조인트를 이용한 도어 보조 잠금장치
KR100393016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FR2843606A1 (fr) Porte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1195925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EP1293368A2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roto-translating door for motor vehicles
KR20024100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293480Y1 (ko) 창문 개폐장치
KR10238570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댐핑장치
KR102478085B1 (ko) 차량용 도어의 숏드롭 작동기구
JP2005153554A (ja) 車両の後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