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720B1 -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720B1
KR102283720B1 KR1020190104656A KR20190104656A KR102283720B1 KR 102283720 B1 KR102283720 B1 KR 102283720B1 KR 1020190104656 A KR1020190104656 A KR 1020190104656A KR 20190104656 A KR20190104656 A KR 20190104656A KR 102283720 B1 KR102283720 B1 KR 102283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e
gear
reel
roller
fe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4899A (ko
Inventor
정구범
남동수
이선균
Original Assignee
디에스글로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글로벌(주) filed Critical 디에스글로벌(주)
Priority to KR1020190104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7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3/00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ink ribbons or like character-size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33/1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 B41J33/2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with drive applied directly to ribbon
    • B41J33/26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with drive applied directly to ribbon by rollers engaging the rib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3/00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ink ribbons or like character-size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33/1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 B41J33/3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driven by motors independently of the machine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04Ink-ribbon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료 승화형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크업 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있는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는 권취릴에 축결합되는 테이크업릴 기어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에 있어서, 양축이 프레임에 지지되며, 일측에 피드 기어가 결합되는 피드 롤러; 상기 피드 롤러의 추력에 의해 회전하고, 정회전시 상기 프레임에 접하는 레그가 형성되는 스윙레버; 상기 스윙레버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드 기어와 상시 치합(齒合)하며, 상기 스윙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테이크업릴 기어와 치합 또는 비치합(非齒合)하는 스윙기어; 일측에 상기 피드 롤러의 축이 관통하는 힌지홀이 형성되는 플래튼 플레이트;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의 상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플래튼롤러; 및 양측에 각각 상기 피드 롤러와 플래튼롤러의 축이 관통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TAKE-UP REEL OPERATOR FOR THERMAL SUBLIMATION PRINTER}
본 발명은 염료 승화형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크업 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있는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염료 승화형 프린터는 감열기록헤드(이하, '헤드'라고 한다)가 옐로우(Y), 마젠타(M), 사이언(C) 세 가지 색상의 염료가 도포된 잉크리본을 가열하여 기록매체에 고품질의 사진을 인쇄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헤드와 플래튼 롤러 사이에 잉크리본과 기록매체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이들을 이송하여 세가지 색상의 염료를 승화시켜야 하고, 각 단계에 따라 잉크리본의 이송과, 기록매체의 정방향 및 역방향 이송이 제어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염료 승화형 프린터는 리본의 이송과, 기록매체의 정역방향 이송의 제어를 위한 구동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이들의 동시 제어에 어려움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50706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크업 릴기어의 구동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는 권취릴에 축결합되는 테이크업릴 기어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에 있어서, 양축이 프레임에 지지되며, 일측에 피드 기어가 결합되는 피드 롤러; 상기 피드 롤러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피드 롤러의 추력에 의해 회전하고, 정회전시 상기 프레임에 접하는 레그가 형성되는 스윙레버; 상기 스윙레버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드 기어와 상시 치합(齒合)하며, 상기 스윙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테이크업릴 기어와 치합 또는 비치합(非齒合)하는 스윙기어; 일측에 상기 피드 롤러의 축이 관통하는 힌지홀이 형성되는 플래튼 플레이트;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의 상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플래튼롤러; 및 양측에 각각 상기 피드 롤러와 플래튼롤러의 축이 관통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윙레버의 역회전시 상기 스윙레버의 일측벽이 맞닿는 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레그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1돌출바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윙기어의 정회전시 상기 스윙기어와 테이크업 릴기어 사이의 축간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스윙레버의 타측벽에 맞닿는 제2돌출바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플래튼 플레이트의 사이로 진퇴하는 리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래튼롤러의 승강 및 테이크업 릴기어의 구동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픽업롤러의 하강 및 상승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작동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100)의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의 구조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100)는 열을 제공하는 헤드(Thermal Printing Head, 140)와 플래튼롤러(163) 사이에서 잉크리본(R)과 기록매체(P)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잉크리본에 도포된 염료를 승화시켜 기록매체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프린터(100)는 바닥면과 양측벽이 절곡형성되는 프레임(F)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F)에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카트리지는 기록매체가 적층되어 수납하는 수납부와, 잉크리본이 권취된 공급릴(111)과, 상기 공급릴에서 이송되는 잉크리본을 권취하는 권취릴(112)과, 상기 권취릴의 일측에 축결합되는 테이크업 릴 기어(11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테이크업 릴 기어(114)를 구동하여 상기 권취릴(112)에 잉크리본을 권취하면서 이송하는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에는 측면에 록킹부재(113)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F)에는 록킹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또한 픽업모터와 아이들 기어(130)가 구비된다. 즉, 상기 프레임에는 양방향으로 구동하는 픽업모터(M)가 구비되고, 상기 픽업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아이들 기어(130)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들 기어의 원주면에는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돌기(도 5의 '130a')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아이들 기어(130)의 원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픽업플레이트의 가이드홈(152a)에 결합된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아이들 기어의 축(131)과 나란한 축(121)을 갖는 픽업롤러(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아이들 기어의 축(131)과 픽업롤러의 축(121)은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아이들 기어의 축(131)과 픽업롤러의 축(121)은 일측이 픽업레버(132)에 의해 연결되고, 타측은 연결부재(133)에 의해 연결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도 2 및 도 7 참조).
아이들 기어는 양 축(131)이 상기 프레임(F)에 지지되어 고정되지만, 픽업롤러는 양 축(121)이 단지 픽업레버(132)와 연결부재(133)에 의해 연결될 뿐 프레임(F)에 고정되지 않는다.
상기 픽업레버(132)의 일측에는 픽업돌기(도 8의 '132a' 참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픽업돌기(132a)의 위치에 따라 상기 픽업레버(132)가 고정된 아이들 기어의 축(131)을 따라 회전하고,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의 축(121)이 상기 아이들 기어의 축(131)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전진 또는 후퇴하는 슬라이드플레이트(150)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50)의 일측벽에는 수직으로 픽업 플레이트(152)가 형성된다(도 2 참조).
상기 픽업 플레이트(152)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돌기(130a)가 구속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홈(152a)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픽업돌기(132a)가 안내되는 가이드레일(도 8의 '156')이 형성된다.
또한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피드모터(M2)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기록매체를 양방향으로 이송하는 피드 롤러(170)가 구비되는데, 상기 피드 롤러는 양축이 상기 프레임의 측벽에 지지되고, 상기 피드 롤러(170)의 일측에는 피드 기어(171)가 축결합된다.
상기 피드 기어(171)의 외측에 구비되며, 장착홀(181)에 피드 롤러(170)의 축이 장착되어 피드 롤러(170)를 축 중심으로 회전하고, 일측에 레그(18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윙기어(172)가 축결합되는 기어장착부(183)가 형성되는 스윙레버(180)가 구비된다. 상기 스윙레버(180)는 상기 피드 롤러(170)의 추력에 의해 정역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윙레버(180)의 역회전시(도 10에서 반시계방향) 일측벽(185)이 맞닿는 브라켓(176)이 구비된다. 즉, 상기 스윙레버(180)가 정회전하면 상기 레그(184)가 프레임(F)에 맞닿고, 역회전하면 일측벽(185)이 상기 브라켓(176)에 맞닿기 때문에 그 범위내에서만 회전범위가 정해지는 것이다.
상기 스윙기어(172)는 상기 피드 기어(171)와 상시 치합(齒合)하며, 상기 스윙레버(180)의 회전에 따라 테이크업릴 기어(114)와 치합하기도 하고, 비치합(非齒合)하기도 한다.
상기 브라켓(176)의 하부에는 가압롤러(179)가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즉, 상기 브라켓(176)의 하부에는 양측에 스프링(175)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175)의 하부에는 지지브라켓(174)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브라켓(174)의 양단에 가압롤러(176)의 양축이 끼워지도록 축홀(174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롤러(179)의 하부에 상기 피드 롤러(170)가 프레임(F)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피드 롤러(170)와 가압롤러(179) 사이 공간으로 기록매체가 진입을 하면, 상기 가압롤러(179)가 상승하는데, 이 때 상기 스프링(175)에 의해 상기 가압롤러(179)를 피드 롤러(170)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기록매체를 밀착시킨다.
또한 상기 플래튼롤러(163)는 플래튼 플레이트(160)의 상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160)는 일측에 힌지홀(161)이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홀에 피드 롤러(170)의 축이 관통한다.
따라서 플래튼 플레이트(160)는 상기 피드 롤러(170)의 축을 따라 편심되게 힌지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160)의 하부로는 상기 리프터(151)가 진입하면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160)는 상기 피드 롤러(170)의 축을 따라 회동하면서 상승한다. 반대로 상기 리프터(151)가 후퇴하면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160)가 회동하여 원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160)의 양측에는 스프링(S1)이 구비되고, 상기 플래튼롤러(160)의 양축은 상기 스프링(S1)에 의해 지지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리프터(151)가 플래튼 플레이트(160) 하부로 진입하면, 상기 플래튼롤러(163)가 상승하여 기록매체를 상기 헤드(140)에 밀착시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피드롤러(170)와 플래튼롤러(163)의 양축을 연결하는 링크부재(19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링크부재(190)에는 피드롤러(170)의 축이 관통하는 관통홀(191)과, 플래튼롤러(163)의 축이 관통하는 관통홀(192)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부재(190)는 한 쌍의 돌출바(193a,193b)가 구비되는데, 하부에 형성된 제1돌출바(193a)는 상기 스윙레버(180)의 레그(184)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고, 상부에 형성된 제2돌출바(183b)는 상기 스윙레버의 타측벽에 맞닿아 스윙기어(171)와 테이크업 릴기어(114)의 축간거리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스윙레버(180)는 상기 피드 롤러(170)의 추력에 의해 스윙되는데, 상기 피드 롤러(170)에 의해 상기 스윙레버(180)가 정방향(도 1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스윙기어(171)가 테이크업 릴 기어(114)에 치합되는데, 특히, 인쇄시 상기 피드 롤러(170)는 기록 매체의 이송을 위해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피드 롤러(170)의 추력에 의해 스윙기어(171)가 테이크업 릴 기어(114)에 강하게 밀착된다. 이와 같이 스윙기어(171)가 테이크업 릴 기어(114)에 필요 이상으로 밀착되면 테이크업 릴 기어(114)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그로 인해 잉크리본이 권취릴(112)에 정확하게 권취되지 못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윙기어(171)와 테이크업 릴기어(114)의 치합시,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시 말해 이들 양 기어의 축간거리를 유지하도록 제2돌출바(183b)가 상기 스윙레버의 타측벽에 맞닿아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윙기어(171)와 테이크업 릴 기어(114)가 치합시, 축간거리가 정확하게 유지되어 테이크업 릴 기어(114)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과 도 9는 픽업롤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픽업 플레이트(152)의 내측면에는 픽업돌기(132a)가 안내되는 2단의 가이드레일(156)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레일(156)은 픽업돌기(132a)를 상부에 위치시키는 상부레일(156a)과, 픽업돌기(132a)를 하부에 위치시키는 하부레일(156b), 그리고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연결하도록 경사면을 갖는 경사레일(156c)을 포함한다.
픽업플레이트(152)가 후퇴하여 프레임(F)의 후방에 위치되면 상기 픽업돌기(132a)가 상기 상부레일(156a)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픽업레버(132)의 타단에 축(121)이 연결된 픽업롤러(120)는 다운(DOWN)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픽업롤러(120)가 다운상태일 때 기록매체 수납부에 수납된 기록매체의 상부에 밀착되어 기록매체를 전방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픽업플레이트(152)가 전진하면, 도 9와 같이, 상기 픽업돌기(132a)가 상기 상부레일(156a)에서 경사레일(156c)을 통과하여 하부레일(156b)에 위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픽업레버(132)는 아이들 기어의 축(도 2의 '131'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픽업레버(132)의 타단이 상승한다. 따라서 픽업레버(132)의 타단에 축(121)이 연결된 픽업롤러(120)는 업(UP)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픽업롤러(120)가 업상태일 때 기록매체 수납부에 수납된 기록매체의 상부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기록매체를 전방으로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픽업롤러(120)가 상승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리와인딩단계에서 기록매체가 후측으로 이송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작동상태 및 인쇄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인쇄방법은 픽업롤러(120)를 다운시켜(도 8 참조) 기록매체의 상면에 픽업롤러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픽업롤러를 정회전하여 기록매체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픽업단계와, 피드 롤러(170)를 역회전하여 기록매체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리와인딩단계와, 상기 피드롤러(170)를 정회전하여 기록매체를 전방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리본을 이송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팅단계와, 리본의 길이가 기록매체의 길이보다 길어 이를 보정하는 리와인딩 보정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이하에서 전측은 피드 롤러가 있는 방향이고, 후측은 픽업 롤러가 있는 방향을 일컫는다.
먼저, 픽업단계를 설명한다. 픽업모터(M)를 구동하면 픽업모터의 구동력은 감속기어를 거쳐 아이들 기어(130)로 전달된다. 상기 아이들 기어(13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돌기(130a)는 종방향의 가이드 홈(152a)에 구속되어 있는데, 상기 아이들 기어와 회전돌기(130a)가 회전하면서(도 5에서 시계방향) 가이드 홈(152a)을 아이들 기어의 축(131)의 후측으로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픽업 플레이트(152)도 후측으로 후퇴한다.
한편, 픽업 플레이트(152)가 후측으로 후퇴하면 픽업레버의 픽업돌기(132a)는 픽업플레이트(152)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상부레일에 위치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픽업레버(132)는 아이들 기어의 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픽업롤러(120)를 하강시킨다(도 8 참조). 이와 같이 하강된 픽업롤러(120)는 수납부에 적층된 기록매체의 상부에 밀착되며, 픽업모터의 구동력이 아이들 기어(130)와 픽업기어(122)를 통해 전달되어 하강한 픽업롤러(120)가 기록매체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튼 플레이트(160)는 프레임(F)의 바닥면에 접한 상태이므로 플래튼롤러(163)도 하강한 상태이고, 그에 따라 헤드(140)와 플래튼롤러(163) 사이는 이격되어 있다.
또한 스윙레버의 일측벽(185)이 브라켓(176)에 맞닿아 있고, 레그(184)는 프레임의 바닥면에서 이격되어 있다.
이 때 제1돌출바(193a)는 스윙레버의 레그(184) 상부에 접하고, 제2돌출바(193b)는 스윙레버(180)의 타측벽에 접하지 않는다.
이러한 동작으로 스윙기어(172)와 테이크업 릴 기어(114)는 치합이 해제된 상태이다.
따라서 픽업단계에서 상기 픽업롤러(120)가 기록매체를 전방으로 공급할 때, 플래튼 롤러(163)는 하강하므로 헤드(140)에 기록매체가 밀착되지 않아 인쇄가 되지 않으면서 단지 기록매체가 통과할 수 있고, 또한 테이크업 릴 기어(114)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잉크리본도 이송되지 않는 상태에서 단지 기록매체만 전방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리와인딩단계를 설명한다. 상기 픽업모터(M)를 픽업단계와 반대방향으로 구동하면 아이들기어와 회전돌기(130a)가 도 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돌기(130a)가 아이들 기어의 축(131)의 전측에 위치하게 되며, 가이드 홈(152a)도 전측으로 이동한다. 즉, 회전돌기(130a)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픽업 플레이트(152)를 전진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픽업 플레이트(152)의 전진으로 인해 픽업돌기(132a)는 가이드 레일 중 하부레일(156b)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픽업레버(132)는 아이들 기어의 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픽업롤러(120)를 상승시킨다(도 9 참조).
또한, 상기 픽업 플레이트(152)와 일체형성된 슬라이드 플레이트(150)가 전진하지만, 리프터(151)가 플래튼 플레이트(160)의 하부로 진입하기 전까지만 전진시킨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163)는 헤드(140)의 아래에서 하강상태를 유지한다(도 11 참조).
또한 스윙레버(180)는 피드 롤러(17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스윙기어(172)와 테이크업 릴 기어(114)는 여전히 치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와인딩단계에 의해 피드 롤러(170)가 기록매체를 후방(인쇄시작점)으로 이송할 때, 픽업롤러(120)는 상승하고, 플래튼 롤러(163)도 하강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기록매체가 후측으로 이송될 때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스윙기어(172)와 테이크업 릴 기어(114)가 치합되지 않아 테이크업 릴 기어(114)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잉크리본도 이송되지 않는 상태에서 단지 기록매체만 후방, 즉 인쇄 시작점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인쇄 시작점으로 이송된 기록매체의 전단은 피드 롤러(170)와 가압롤러(179)의 사이에서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프린팅단계를 설명한다. 픽업 모터(M)를 구동하여 아이들 기어(30)를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돌기(130a)의 회전은 픽업 플레이트(160)를 더욱 전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픽업 플레이트(152)가 더욱 전전하더라도 픽업돌기(132a)는 여전히 하부레일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120)의 상승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픽업 플레이트(152)가 더욱 전진하면, 이와 일체형성된 슬라이드 플레이트(150)도 더욱 전진하게 되고, 그로 인해 리프터(151)가 플래튼 플레이트(160)의 하부로 진입하여 피드 롤러(170)의 축을 중심으로 플래튼 롤러(163)를 상승시킨다(도 12 참조). 이 때 헤드(140)와 플래튼 롤러(163)이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피드 롤러(170)에 피드 모터(M2)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게 되면 피드 롤러(170)의 축에 연결된 스윙레버(180)도 피드 롤러(170)의 추력에 의해 피드 롤러(170)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스윙기어(172)가 비로소 테이크업 릴 기어(114)에 치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피드 모터의 구동으로 피드 롤러(170)가 회전하면 피드 롤러(170)와 가압롤러(179)에 맞물려 있는 기록매체를 헤드(140)와 플래튼 롤러(163) 사이로 통과하면서 이송하고, 이와 함께 테이크업 릴 기어(114)가 회전하면서 잉크리본을 권취릴(112)에 감으면서 이송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플래튼 롤러(163)를 상승시켜 헤드(140)의 하부에 형성된 발열소자에 리본과 기록매체(P)를 밀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기록매체와 잉크리본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면서 잉크리본의 염료를 승화시켜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프린팅 단계에서는 픽업롤러(120)와 플래튼 롤러(163)는 상승상태이고, 스윙기어(172)와 테이크업 릴 기어(114)가 치합된다. 이 상태에서 피드 롤러(170)를 회전하면 기록매체와 잉크리본이 전방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등 세가지 색상의 염료가 도포된 잉크리본을 이송하면서 각 염료를 기록매체에 승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상기 리와인딩단계와 프린팅단계를 세번 반복하여 하나의 화상을 형성한다.
특히, 프린팅단계 이후에 리와인딩단계에서는 리와인딩 보정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잉크리본의 길이가 기록매체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리와인딩 보정단계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단계 후에 기록매체를 후측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플래튼롤러(163)와 헤드(14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리프터(151)가 후퇴하여 플래튼 플레이트(160)와 플래튼롤러(163)를 하강하여 헤드(140)와 이격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리프터(151)를 후퇴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후퇴시키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픽업모터(M)를 구동하여 아이들기어(130)를 픽업단계와 같은 방향(도 5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아이들기어의 회전돌기(130a)가 픽업플레이트의 가이드홈(152a)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픽업플레이트(152)를 아이들기어(130)의 축의 후측으로 이동시킨다. 픽업플레이트(152)와 슬라이드플레이트(150) 및 리프터(151)는 일체형성되어 있으므로 픽업플레이트를 후측으로 이동하면 리프터도 후퇴하는 것이다(도 2 참조).
또한 스윙레버(180)가 피드 롤러(170)의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윙기어(171)와 테이크업 릴기어(114)의 치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기록매체를 후측으로 이송할 때 잉크리본은 이송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도 13의 (a) 참조).
이와 같이 기록매체를 인쇄 시작점으로 이송한 다음, 피드모터를 구동하면, 피드롤러(170)의 추력에 의해 스윙레버(18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윙기어(171)와 테이크업 릴기어(114)가 치합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잉크리본을 감아서 기록매체와 잉크리본의 길이가 다른 것을 보정할 수 있다. 이 때, 플래튼롤러(163)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기록매체에 인쇄되지 않는다. 특히, 링크부재의 제2돌출바(193b)가 스윙레버(180)의 타측벽에 접하면서 스윙레버(180)의 오버스윙을 방지한다. 따라서 스윙기어(171)와 테이크업 릴기어(114)의 축간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도 13의 (b) 참조).
100: 염료 승화형 프린터
112: 권취릴
114: 테이크업 릴기어
120: 픽업롤러
130: 아이들 기어
130a: 회전돌기
140: 헤드
150: 슬라이드 플레이트
151: 리프터
152: 픽업플레이트
160: 플래튼 플레이트
163: 플래튼롤러
170: 피드 롤러
171: 피드기어
172: 스윙기어
180: 스윙레버
184: 레그
190: 링크부재
193a: 제1돌출바
193b: 제2돌출바

Claims (4)

  1. 권취릴에 축결합되는 테이크업릴 기어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에 있어서,
    양축이 프레임에 지지되며, 일측에 피드 기어가 결합되는 피드 롤러;
    상기 피드 롤러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피드 롤러의 추력에 의해 회전하고, 정회전시 상기 프레임에 접하여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레그가 형성되어 있는 스윙레버;
    상기 스윙레버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드 기어와 상시 치합(齒合)하며, 상기 스윙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테이크업릴 기어와 치합 또는 비치합(非齒合)하는 스윙기어;
    일측에 상기 피드 롤러의 축이 관통하는 힌지홀이 형성되는 플래튼 플레이트;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의 상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플래튼롤러; 및
    양측에 각각 상기 피드 롤러와 플래튼롤러의 축이 관통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는 상기 피드 롤러의 축을 중심으로 힌지 회동되어, 열을 제공하는 헤드(Thermal Printing Head)를 향해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레버의 역회전시 상기 스윙레버의 일측벽이 맞닿는 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레그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1돌출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플래튼 플레이트의 사이로 진퇴하는 리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1020190104656A 2019-08-26 2019-08-26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102283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656A KR102283720B1 (ko) 2019-08-26 2019-08-26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656A KR102283720B1 (ko) 2019-08-26 2019-08-26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899A KR20210024899A (ko) 2021-03-08
KR102283720B1 true KR102283720B1 (ko) 2021-08-02

Family

ID=7518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656A KR102283720B1 (ko) 2019-08-26 2019-08-26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7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659B1 (ko) * 2017-09-22 2019-01-29 프리닉스(주) 휴대용 승화 프린터의 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2377B2 (ja) * 1991-11-06 2002-06-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用紙搬送ローラの圧力切り替え機構
KR101507064B1 (ko) 2014-01-24 2015-04-07 프리닉스(주) 승화형 포토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659B1 (ko) * 2017-09-22 2019-01-29 프리닉스(주) 휴대용 승화 프린터의 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899A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066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1507064B1 (ko) 승화형 포토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102283718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및 기록매체
KR960010302B1 (ko) 쉬트급송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5082749B2 (ja) プリンタ
US719841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ing double-sided printing
KR102283720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102283719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102350897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275516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인쇄방법
KR102077133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급지장치
US8092105B2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KR102350894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352771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102352773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102352772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352774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270063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와인딩 보정방법
KR102084647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인쇄방법
KR102077132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102080678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US9481183B2 (en) Printer
US20050063754A1 (en) Reel table and recording device wherein the reel table is used
KR20200081776A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US12023918B2 (en) Dye-sublimation printer and rewinding corr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