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066B1 - 염료 승화형 프린터 - Google Patents

염료 승화형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066B1
KR102017066B1 KR1020180143943A KR20180143943A KR102017066B1 KR 102017066 B1 KR102017066 B1 KR 102017066B1 KR 1020180143943 A KR1020180143943 A KR 1020180143943A KR 20180143943 A KR20180143943 A KR 20180143943A KR 102017066 B1 KR102017066 B1 KR 102017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roller
gear
plate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범
Original Assignee
디에스글로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글로벌(주) filed Critical 디에스글로벌(주)
Priority to KR102018014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066B1/ko
Priority to PCT/KR2019/015584 priority patent/WO20201059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3/00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ink ribbons or like character-size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33/1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료 승화형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진퇴에 따라 픽업롤러의 승강과, 플래튼롤러의 승강 및 테이크업 릴 기어의 구동을 동시 제어할 수 있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는 양방향으로 구동하는 픽업 모터; 상기 픽업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며, 일측에 회전돌기가 구비되고, 양축이 프레임에 지지되는 아이들 기어; 상기 아이들 기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픽업레버; 상기 픽업레버의 타측에 연결되어 기록매체의 상부에서 승강하는 픽업롤러; 양축이 프레임에 지지되며, 일측에 피드 기어가 결합되는 피드 롤러; 상기 피드 롤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일측에 스윙돌기가 형성되는 스윙레버; 상기 스윙레버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드 기어와 상시 치합(齒合)하며, 상기 스윙레버의 회전에 따라 테이크업릴 기어와 치합 또는 비치합(非齒合)하는 스윙기어;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을 따라 진퇴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일측벽에 구비되며, 외측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구속되는 가이드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픽업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일체형성되며, 상기 스윙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염료 승화형 프린터{THERMAL SUBLIMATION PRINTER}
본 발명은 염료 승화형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진퇴에 따라 픽업롤러의 승강과, 플래튼롤러의 승강 및 테이크업 릴 기어의 구동을 동시 제어할 수 있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염료 승화형 프린터는 감열기록헤드(이하, '헤드'라고 한다)가 옐로우(Y), 마젠타(M), 사이언(C) 세 가직 색상의 염료가 도포된 잉크리본을 가열하여 기록매체에 고품질의 사진을 인쇄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헤드와 플래튼 롤러 사이에 잉크리본과 기록매체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이들을 이송하여 세가지 색상의 염료를 승화시켜야 하고, 각 단계에 따라 잉크리본의 이송과, 기록매체의 정방향 및 역방향 이송이 제어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염료 승화형 프린터는 리본의 이송과, 기록매체의 정역방향 이송의 제어를 위한 구동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이들의 동시 제어에 어려움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50706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진퇴에 따라 픽업롤러의 승강과, 플래튼롤러의 승강 및 테이크업 릴기어의 구동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는 양방향으로 구동하는 픽업 모터; 상기 픽업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며, 일측에 회전돌기가 구비되고, 양축이 프레임에 지지되는 아이들 기어; 상기 아이들 기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픽업레버; 상기 픽업레버의 타측에 연결되어 기록매체의 상부에서 승강하는 픽업롤러; 양축이 프레임에 지지되며, 일측에 피드 기어가 결합되는 피드 롤러; 상기 피드 롤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일측에 스윙돌기가 형성되는 스윙레버; 상기 스윙레버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드 기어와 상시 치합(齒合)하며, 상기 스윙레버의 회전에 따라 테이크업릴 기어와 치합 또는 비치합(非齒合)하는 스윙기어;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을 따라 진퇴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일측벽에 구비되며, 외측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구속되는 가이드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픽업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일체형성되며, 상기 스윙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픽업레버의 일측에는 픽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픽업 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상기 픽업돌기가 구속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픽업돌기를 하부에 위치시키는 하부레일과, 상기 픽업돌기를 상부에 위치시키는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과 하부레일을 연결하도록 경사면을 갖는 경사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이들기어와 상기 픽업롤러의 타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의 저부에는 상기 스윙돌기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드 롤러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플래튼 플레이트; 및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의 상부에 지지되는 플래튼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의 하부로 진입하여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승시키는 리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단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피드 롤러의 축이 연결되는 지지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래튼 롤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단이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2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진퇴에 따라 픽업롤러의 승강과, 플래튼롤러의 승강 및 테이크업 릴기어의 구동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수가 획기적으로 감소하고 구조가 매우 단순하며, 각 스텝에 따라 픽업롤러, 플래튼롤러 및 테이크업 릴 기어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픽업롤러의 하강 및 상승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플래튼 롤러의 승강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플래튼 롤러의 상승 및 하강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작동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구조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1)는 열을 제공하는 헤드(Thermal Printing Head, 40)와 플래튼롤러(63) 사이에서 잉크리본(R)과 기록매체(P)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잉크리본에 도포된 염료를 승화시켜 기록매체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프린터(1)는 바닥면과 양측벽이 절곡형성되는 프레임(F)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카트리지는 기록매체가 적층되어 수납하는 수납부(10)와, 잉크리본이 권취된 공급릴(11)과, 상기 공급릴에서 이송되는 잉크리본을 권취하는 권취릴(12)과, 상기 권취릴의 일측에 축결합되는 테이크업 릴 기어(1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테이크업 릴 기어(14)를 구동하여 상기 권취릴(12)에 잉크리본을 권취하면서 이송하는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에는 측면에 록킹부재(13)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F)에는 록킹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양방향으로 구동하는 픽업모터(M)가 구비되고, 상기 픽업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아이들 기어(30)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들 기어의 일측에는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회전돌기(30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아이들 기어의 축(31)과 나란한 축(21)을 갖는 픽업롤러(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아이들 기어의 축(31)과 픽업롤러의 축(21)은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아이들 기어의 축(31)과 픽업롤러의 축(21)은 일측이 픽업레버(32)에 의해 연결되고, 타측은 연결부재(33)에 의해 연결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아이들 기어는 양 축(31)이 상기 프레임(F)에 지지되어 고정되지만, 픽업롤러는 양 축(21)이 단지 픽업레버(32)와 연결부재(33)에 의해 연결될 뿐 프레임(F)에 고정되지 않는다(도 4의 확대도 참조).
상기 픽업레버(32)의 일측에는 픽업돌기(32a)가 형성된다. 따라서 픽업돌기(32a)의 위치에 따라 상기 픽업레버(32)가 고정된 아이들 기어의 축(31)을 따라 회전하고,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의 축(21)이 상기 아이들 기어의 축(31)을 중심으로 스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전진 또는 후퇴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50)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50)의 일측벽에는 수직으로 픽업 플레이트(52)가 형성된다.
상기 픽업 플레이트(52)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돌기(30a)가 구속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홈(52a)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픽업돌기(32a)가 안내되는 가이드레일(도 5의 '56'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50)의 일측으로는 가이드 바(53)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 바(53)와 픽업 플레이트(52)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50)의 같은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각각 전측과 후측에 형성되어 상호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가이드 바(53)는 외측에 형성되고, 픽업 플레이트(52)는 내측에 형성되어 이들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바(53)의 저부에는 도피홈(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피드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기록매체를 양방향으로 이송하는 피드 롤러(70)가 구비되는데, 상기 피드 롤러는 양축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피드 롤러의 일측에는 피드 기어(71)가 축결합된다.
상기 피드 기어(71)의 외측에 구비되며, 장착홀(81)에 피드 롤러(70)의 축이 장착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일측에 스윙돌기(8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스윙기어(72)가 축결합되는 기어장착부(83)가 형성되는 스윙레버(80)가 구비된다.
상기 스윙기어(72)는 상기 피드 기어(71)와 상시 치합(齒合)하며, 상기 스윙레버(80)의 회전에 따라 테이크업릴 기어(14)와 치합하기도 하고, 비치합(非齒合)하기도 한다.
상기 스윙돌기(82)는 상기 가이드 바(53)의 저부에 접하는데, 상기 가이드 바의 전진에 의해 스윙돌기(82)가 가이드 바의 도피홈(54)에 위치되면, 상기 스윙레버(80)가 피드 롤러(7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스윙기어(72)가 테이크업릴 기어(14)와 치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윙기어(72)와 테이크업릴 기어(14)가 치합하게 되면, 피드 모터의 구동력은 피드 롤러(70)를 구동함과 동시에, 피드 기어(71)의 회전력을 스윙기어(72)를 통해 테이크업릴 기어(14)에 전달하여 권취릴(12)이 회전하면서 잉크리본을 이송하게 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픽업 플레이트(52)의 내측면에는 픽업돌기(32a)가 안내되는 2단의 가이드레일(56)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레일(56)은 픽업돌기(32a)를 상부에 위치시키는 상부레일(56a)과, 픽업돌기를 하부에 위치시키는 하부레일(56b), 그리고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연결하도록 경사면을 갖는 경사레일(56c)을 포함한다.
픽업플레이트(52)가 후퇴하여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되면 상기 픽업돌기(32a)가 상기 상부레일(56a)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픽업레버(32)의 타단에 축(21)이 연결된 픽업롤러(20)는 다운(DOWN)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픽업롤러(20)가 다운상태일 때 수납부(10)에 수납된 기록매체의 상부에 밀착되어 기록매체를 전방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도 5).
픽업플레이트(52)가 전진하면 상기 픽업돌기(32a)가 상기 상부레일(56a)에서 경사레일(56c)을 통과하여 하부레일(56b)에 위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픽업레버(32)는 아이들 기어의 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픽업레버(32)의 타단이 상승한다. 따라서 픽업레버(32)의 타단에 축(21)이 연결된 픽업롤러(20)는 업(UP)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픽업롤러(20)가 업상태일 때 수납부(10)에 수납된 기록매체의 상부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기록매체를 전방으로 공급할 수 없게 된다(도 6).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피드 롤러(70)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플래튼 플레이트(60)가 구비된다. 즉, 플래튼 플레이트(60)를 피드 롤러(70)의 축에 힌지결합하도록 플래튼 플레이트(60)의 일측에는 상기 피드 롤러(70)의 축이 관통하는 힌지홀(6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플래튼 롤러(63)가 지지된다.
또한 일단은 피드 롤러(70)의 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래튼 롤러(63)의 축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판(도 10의 '73'참조)이 구비된다. 즉, 상기 플래튼 롤러(63)는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60)의 상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한 쌍의 지지판(73)에 의해 피드 롤러(7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동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6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제1스프링(S1)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스프링은 플래튼 롤러(63)의 양축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플래튼 롤러(63)는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60)의 상부에 구비되지만, 제1스프링(S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인쇄시 플래튼 플레이트(60)를 회전하여 헤드(40)의 하부에 플래튼 롤러(63)를 기록매체의 두께보다 작은 갭을 형성하면서 밀착시키고, 기록매체가 상기 갭을 통해 진입할 때 플래튼 플레이트(60)는 고정되지만, 플래튼 롤러(63)가 기록매체의 두께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플래튼 롤러(63)와 헤드(40) 사이에 기록매체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프링(S1)이 플래튼 롤러(63)를 헤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기록매체와 잉크리본을 헤드에 밀착시켜 화상의 품질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50)의 선단에는 플래튼 플레이트(60)의 하부로 진입하여 플래튼 플레이트를 피드 롤러(7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승시키는 리프터(51)가 구비된다. 상기 리프터(51)의 선단은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60)의 하부로 진입하는 것을 용이하도록 경사면(5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60)의 저면에는 상기 리프터(51)가 접하는 돌출부(64)가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64)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라운드 대신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일단이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60)에 연결된 제2스프링(S2)이 구비된다. 상기 제2스프링은 본 실시예에서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며 타단은 프레임에 위치된다.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60)는 상기 제2스프링(S2)에 의해 상시 하방으로 탄성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60)의 하부로 리프터(51)가 진입하면 플래튼 플레이트가 피드 롤러(70)의 축을 중심으로 상승하고, 이 때 제2스프링(S2)은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리프터(51)가 후퇴하면 제2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피드 롤러(70)의 축을 중심으로 플래튼 플레이트(60)가 회전하여 플래튼 롤러(63)가 하강하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플래튼 롤러(63)가 헤드(40)의 아래에서 승강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은 플래튼 플레이트(60)의 하부로 리프터(51)가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50)의 전진으로 리프터(51)가 플래튼 플레이트(60)의 하부로 진입하면 플래튼 플레이트가 피드롤러(7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플래튼 롤러(63)가 상승하게 된다. 이 때, 헤드(40)에 형성된 발열소자(41)와 갭을 형성하면서 밀착되는데, 상기 갭은 기록매체의 두께보다는 작다.
한편, 헤드의 하부에는 잉크리본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상기 헤드(40)와 플래튼 롤러(63) 사이에 기록매체가 진입하면, 플래튼 롤러(63)는 제1스프링(S1)의 작용으로 탄성적으로 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발열소자(41)에 잉크리본(R)과 기록매체(P)가 탄성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화상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50)의 후진으로 리프터(51)가 플래튼 플레이(60)의 하부에서 후퇴하게 되면, 상기 제2스프링(S2)에 의해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60)의 일측은 상기 피드롤러(7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플래튼 롤러(63)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63)와 헤드(40) 사이에 형성된 갭이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작동상태 및 인쇄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인쇄방법은 기록매체의 상부에 픽업롤러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픽업롤러를 정회전하여 기록매체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픽업단계와, 피드롤러를 역회전하여 기록매체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리와인딩단계와, 상기 피드롤러를 정회전하여 기록매체를 전방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리본을 이송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팅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여 픽업단계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모터(M)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픽업모터의 구동력은 감속기어(G)를 거쳐 아이들 기어(30)로 전달된다. 상기 아이들 기어(3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돌기(30a)는 종방향의 가이드 홈(52a)에 구속되어 있는데, 상기 아이들 기어와 회전돌기(30a)가 회전하면서 가이드 홈(52a)을 아이들 기어의 축(31)의 후측으로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픽업 플레이트(52)도 후측으로 후퇴한다.
한편, 픽업 플레이트(52)가 후측으로 후퇴하면 픽업레버의 픽업돌기(32a)는 픽업플레이트(52)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56)의 상부레일(56a)에 위치된다(도 5 참조). 이러한 동작으로 픽업레버(32)는 아이들 기어의 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픽업롤러(20)를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하강된 픽업롤러(20)는 수납부(10)에 적층된 기록매체의 상부에 밀착되며, 픽업모터의 구동력이 아이들 기어(30)와 픽업기어(22)를 통해 전달되어 하강한 픽업롤러(20)가 기록매체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53)도 픽업 플레이트(52)와 함께 후진하므로 스윙돌기(82)는 가이드 바(53)의 저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스윙레버(80)는 피드 롤러(70)의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스윙기어(72)와 테이크업 릴 기어(14)는 치합이 해제된다.
이 때, 상기 픽업 플레이트(52)와 일체 형성된 슬라이드 플레이트(50)도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리프터(51)는 플래튼 플레이트(60)의 하부에서 후퇴하므로 플래튼 롤러(63)는 피드 롤러(7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강한다(도 11 (a)참조).
따라서 픽업단계에서 상기 픽업롤러(20)가 기록매체를 전방으로 공급할 때, 플래튼 롤러(63)는 하강하므로 헤드(40)에 기록매체가 밀착되지 않아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테이크업 릴 기어(14)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잉크리본도 이송되지 않는 상태에서 단지 기록매체만 전방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리와인딩단계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돌기(30a)는 아이들 기어의 축(31)의 전측에 위치하고, 가이드 홈(52a)도 전측으로 이동한다. 즉, 회전돌기(30a)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픽업 플레이트(52)를 전진시키는 것이다. 특히, 상기 회전돌기(30a)는 가이드 홈(52a)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 플레이트(52)의 전진으로 인해 픽업돌기(32a)는 가이드 레일 중 하부레일(56b)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픽업레버(32)는 아이들 기어의 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픽업롤러(20)를 상승시킨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픽업 플레이트(52)와 일체형성된 슬라이드 플레이트(50)가 전진하지만, 리프터(51)가 플래튼 플레이트(60)의 하부로 진입하기 전까지만 전진시킨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63)는 헤드(40)의 아래에서 하강상태를 유지한다(도 11 (a)참조).
또한 상기 가이드 바(53)도 픽업 플레이트(52)와 함께 전진하지만, 스윙돌기(82)가 도피홈(54)으로 도피되기 전 상태이다. 따라서 스윙레버(80)는 피드 롤러(7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스윙기어(72)와 테이크업 릴 기어(14)는 여전히 치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와인딩단계에 의해 피드 롤러(70)가 기록매체를 후방(인쇄시작점)으로 이송할 때, 픽업롤러)20(는 상승하고, 플래튼 롤러(63)도 하강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기록매체가 후방으로 이송될 때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스윙기어(72)와 테이크업 릴 기어(14)가 치합되지 않아 테이크업 릴 기어(14)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잉크리본도 이송되지 않는 상태에서 단지 기록매체만 후방, 즉 인쇄 시작점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인쇄 시작점으로 이송된 기록매체의 전단은 피드 롤러(70)에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프린팅단계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모터를 구동하여 아이들 기어(30)를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상기 회전돌기(30a)를 가이드 홈(52a)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돌기(30a)의 회전은 픽업 플레이트(60)를 더욱 전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픽업 플레이트(52)가 더욱 전전하더라도 픽업돌기(32a)는 여전히 하부레일(56b)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20)의 상승은 유지된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상기 픽업 플레이트(52)가 더욱 전진하면, 이와 일체형성된 슬라이드 플레이트(50)도 더욱 전진하게 되고, 그로 인해 리프터(51)가 플래튼 플레이트(60)의 하부로 진입하여 피드 롤러(70)의 축을 중심으로 플래튼 롤러(63)를 상승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50)의 전진으로 스윙돌기(82)는 가이드 바(53)의 저부에 형성된 도피홈(54)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피드 롤러(70)에 피드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게 되면 피드 기어(72)의 토크에 의해 스윙레버(80)가 피드 롤러(7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윙레버(80)가 회전할 수 있는 것은 스윙돌기(82)가 가이드 바의 도피홈(54)에 위치될 때만 가능하다. 이러한 동작으로 스윙기어(72)가 비로소 테이크업 릴 기어(14)에 치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피드 모터의 구동으로 피드 롤러(70)가 회전하면서 기록매체를 헤드(40)와 플래튼 롤러(63) 사이로 이송하고, 이와 함께 테이크업 릴 기어(14)를 구동하여 잉크리본을 권취릴(12)에 감으면서 이송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플래튼 롤러(63)를 상승시켜 헤드(40)의 하부에 형성된 발열소자(41)에 잉크리본(R)과 기록매체(P)를 밀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기록매체와 잉크리본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면서 잉크리본의 염료를 승화시켜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프린팅 단계에서는 픽업롤러(20)와 플래튼 롤러(63)는 상승상태이고, 스윙기어(72)와 테이크업 릴 기어(14)가 치합된다. 이 상태에서 피드 롤러(70)를 회전하면 기록매체와 잉크리본이 전방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등 세가지 색상의 염료가 도포된 잉크리본을 이송하면서 각 염료를 기록매체에 승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상기 리와인딩단계와 프린팅단계를 세번 반복하여 하나의 화상을 형성한다.
한편, 프레임 또는 기록매체가 수납되는 수납부의 일측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e1~e3)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는 수발광센서나 압접센서 등 공지의 수단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50)에는 상기 센서에 의해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55)가 구비된다.
1: 염료 승화형 프린터
10: 수납부 11: 공급릴
12: 권취릴 13: 록킹부재
14: 테이크업 릴 기어 20: 픽업롤러
30: 아이들 기어 30a: 회전돌기
32: 픽업레버 32a: 픽업돌기
33: 연결부재 40: 헤드
41: 발열소자 50: 슬라이드 플레이트
51: 리프터 52: 픽업 플레이트
52a: 가이드홈 53: 가이드 바
54: 도피홈 55: 감지부
56: 가이드 레일 60: 플래튼 플레이트
61: 힌지홀 63: 플래튼 롤러
64: 돌출부 70: 피드 롤러
71: 피드기어 72: 스윙기어
80: 스윙레버 81: 장착홀
82: 스윙돌기 83: 기어장착부

Claims (11)

  1. 양방향으로 구동하는 픽업 모터;
    상기 픽업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며, 일측에 회전돌기가 구비되고, 양축이 프레임에 지지되는 아이들 기어;
    상기 아이들 기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픽업레버;
    상기 픽업레버의 타측에 연결되어 기록매체의 상부에서 승강하는 픽업롤러;
    양축이 프레임에 지지되며, 일측에 피드 기어가 결합되는 피드 롤러;
    상기 피드 롤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일측에 스윙돌기가 형성되는 스윙레버;
    상기 스윙레버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드 기어와 상시 치합(齒合)하며, 상기 스윙레버의 회전에 따라 테이크업릴 기어와 치합 또는 비치합(非齒合)하는 스윙기어;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을 따라 진퇴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일측벽에 구비되며, 외측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픽업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일체형성되며, 상기 스윙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레버의 일측에는 픽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픽업 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상기 픽업돌기가 안내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픽업돌기를 하부에 위치시키는 하부레일과,
    상기 픽업돌기를 상부에 위치시키는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과 하부레일을 연결하도록 경사면을 갖는 경사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기어와 상기 픽업롤러의 타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의 저부에는 상기 스윙돌기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롤러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플래튼 플레이트; 및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의 상부에 지지되는 플래튼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의 하부로 진입하여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승시키는 리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
  8. 제6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피드 롤러의 축이 연결되는 지지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래튼 롤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
  10. 제8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플래튼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2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0180143943A 2018-11-20 2018-11-20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017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943A KR102017066B1 (ko) 2018-11-20 2018-11-20 염료 승화형 프린터
PCT/KR2019/015584 WO2020105962A1 (ko) 2018-11-20 2019-11-14 염료 승화형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943A KR102017066B1 (ko) 2018-11-20 2018-11-20 염료 승화형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066B1 true KR102017066B1 (ko) 2019-09-09

Family

ID=6795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943A KR102017066B1 (ko) 2018-11-20 2018-11-20 염료 승화형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06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609A1 (ko) * 2019-12-20 2021-06-24 디에스글로벌 (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및 리와인딩 보정방법
KR102270063B1 (ko) * 2019-12-20 2021-06-28 디에스글로벌(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와인딩 보정방법
KR20210079592A (ko) * 2019-12-20 2021-06-30 디에스글로벌 (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20210079594A (ko) * 2019-12-20 2021-06-30 디에스글로벌 (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20210079593A (ko) * 2019-12-20 2021-06-30 디에스글로벌 (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20210079589A (ko) * 2019-12-20 2021-06-30 디에스글로벌 (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20210079591A (ko) * 2019-12-20 2021-06-30 디에스글로벌 (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20210079590A (ko) * 2019-12-20 2021-06-30 디에스글로벌 (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9331A (ja) * 1995-08-03 1997-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タ
JPH11179988A (ja) * 1997-12-25 1999-07-06 Alps Electric Co Ltd 印刷装置
KR100767106B1 (ko) * 2006-04-18 200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486327B1 (ko) * 2013-11-14 2015-02-06 프리닉스(주) 휴대용 승화 프린터의 캠 장치
KR101507064B1 (ko) 2014-01-24 2015-04-07 프리닉스(주) 승화형 포토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EP3118687A1 (en) * 2015-07-15 2017-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KR101942659B1 (ko) * 2017-09-22 2019-01-29 프리닉스(주) 휴대용 승화 프린터의 랙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9331A (ja) * 1995-08-03 1997-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タ
JPH11179988A (ja) * 1997-12-25 1999-07-06 Alps Electric Co Ltd 印刷装置
KR100767106B1 (ko) * 2006-04-18 200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486327B1 (ko) * 2013-11-14 2015-02-06 프리닉스(주) 휴대용 승화 프린터의 캠 장치
KR101507064B1 (ko) 2014-01-24 2015-04-07 프리닉스(주) 승화형 포토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EP3118687A1 (en) * 2015-07-15 2017-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KR101942659B1 (ko) * 2017-09-22 2019-01-29 프리닉스(주) 휴대용 승화 프린터의 랙 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609A1 (ko) * 2019-12-20 2021-06-24 디에스글로벌 (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및 리와인딩 보정방법
KR102270063B1 (ko) * 2019-12-20 2021-06-28 디에스글로벌(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와인딩 보정방법
KR20210079592A (ko) * 2019-12-20 2021-06-30 디에스글로벌 (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20210079594A (ko) * 2019-12-20 2021-06-30 디에스글로벌 (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20210079593A (ko) * 2019-12-20 2021-06-30 디에스글로벌 (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20210079589A (ko) * 2019-12-20 2021-06-30 디에스글로벌 (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20210079591A (ko) * 2019-12-20 2021-06-30 디에스글로벌 (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20210079590A (ko) * 2019-12-20 2021-06-30 디에스글로벌 (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350897B1 (ko) * 2019-12-20 2022-01-14 디에스글로벌(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350894B1 (ko) * 2019-12-20 2022-01-14 디에스글로벌(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352772B1 (ko) * 2019-12-20 2022-01-20 디에스글로벌(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352773B1 (ko) * 2019-12-20 2022-01-20 디에스글로벌(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102352771B1 (ko) * 2019-12-20 2022-01-20 디에스글로벌(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102352774B1 (ko) * 2019-12-20 2022-01-20 디에스글로벌(주) 염료 승화형 프린터
US20230037269A1 (en) * 2019-12-20 2023-02-02 Ds Global Dye-sublimation printer and rewinding corre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066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1942659B1 (ko) 휴대용 승화 프린터의 랙 장치
US4581618A (en) Recorder having paper feed mechanism
KR102283718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및 기록매체
KR102077133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급지장치
US4898484A (en) Thermal transfer printer
KR102077132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102084647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인쇄방법
KR102080678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350897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275516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인쇄방법
KR102283720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US2006019727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283719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0144971B1 (ko) 프린팅 장치
KR102352773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102350894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352771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20200081776A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270063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리와인딩 보정방법
JP3466324B2 (ja) 熱転写記録装置
KR102352774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KR102352772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WO2020105962A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와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JP3259934B2 (ja) 熱転写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