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464B1 -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기반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기반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464B1
KR102283464B1 KR1020190077870A KR20190077870A KR102283464B1 KR 102283464 B1 KR102283464 B1 KR 102283464B1 KR 1020190077870 A KR1020190077870 A KR 1020190077870A KR 20190077870 A KR20190077870 A KR 20190077870A KR 102283464 B1 KR102283464 B1 KR 102283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ing material
wound covering
hydrogel
vegf peptide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255A (ko
Inventor
임정옥
서장수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이노리젠
경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이노리젠, 경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77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4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F13/000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01012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made of natural material, e.g. cellulose-, protein-, collagen-ba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58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 A61K38/1866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3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or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collagen, fibrin,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7Particle radiation, e.g. electron-beam, alpha or beta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48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hydrocolloids or super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61L2300/414Growth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기반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젤라틴, 히알루론산, 글리세롤,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 및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로 제조되고, 기공 및 채널 패턴을 가지는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공 및 채널 패턴을 가지는 창상 피복재는 패치의 인장강도, 점착력, 흡수력, 투습도, 수분함량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동물 및 대동물의 창상 치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창상 치료를 위한 창상피복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기반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Wound Dressing Based on Hydrogel Comprising VEGF Peptid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기반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젤라틴, 히알루론산, 글리세롤,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 및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로 제조되고, 기공 및 채널 패턴을 가지는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상 치유(wound healing)는 매우 복합적이고, 단계별로 시간에 따라 조금씩 이루어진다. 지혈 및 염증 단계, 증식성 단계, 성숙단계로 3단계가 중첩되면서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이 재형성된다.
상처가 생기는 즉시, 염증과 기저층의 반응으로 상처의 초기 단계에 응혈이 형성된다. 기저물질은 진피의 결합 섬유 사이를 채우고 있는 물질로 점액성 뮤코다당체로 존재하며 다량의 수분을 보유하고 히알루론산, 콘트로이친 황산 등의 글리코스아미노 글리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프로테오글리칸은 친수성 탄수화물 단백질 복합체이며 젤리와 같은 물질로 구성된다 (M P Czubryt, Fibrogenesis Tissue Repair, 5, 19, 2012).
창상 드레싱(피복재)은 상처부위의 습기 유지에 따라 건조드레싱과 습윤(보습)드레싱으로 분류된다. 건조드레싱은 수십년 간 상처치료제로 밴드류(대일밴드 또는 기타 밴드류)와 연고(후시딘, 마데카솔 등)가 포함된다. 밴드류는 특별한 치료효과 없이 상처를 감싸주는 역할을 하며, 연고류는 항생제나 스테로이드 등 치료성분을 넣어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고 추가 감염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건조드레싱의 단점으로 피나 진물 등 분비물이 말라 없어지면서 상처치유 세포까지 없어져 흉터를 남기며 밴드를 제거할 때 딱지가 함께 떨어져 2차 손상의 위험을 가진다. 연고류에 들어 있는 항생제 역시 상처치유 세포까지 영향을 받아 자가 치료효과가 떨어진다(T Reynolds, and AC Dweck, J Ethnopharmacol, 68, 3, 1999; M Y Park, H J Kwon, and M K Sung, Biosci Biotechnol Biochem, 73, 828, 2009).
이러한 건조드레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알지네이트(alginate), 폼(foam)과 하이드로겔(hydrogel)을 이용한 습윤 드레싱재가 개발었다. 습윤드레싱 성분 중 젤라틴은 천연고분자로써 뛰어난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 높은 흡습성을 지녀 상처 발생 시 피부에 습윤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창상피복재의 연구 및 개발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하이드로겔(hydrogel)은 물을 분산 매체로 하는 삼차원 친수성 고분자 망상 구조를 가진 물질로서 다량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고, 천연 조직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창상 피복재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하이드로겔 패치의 경우 물성이 약하며, 특히 콜라겐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든 하이드로겔의 경우 인장강도가 0.01 ~ 0.05 MPa로 매우 낮은 기계적 성질을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창상 피복재(습윤 드레싱)에 적합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며, 상처 회복 효과가 우수한 창상 피복재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젤라틴, 히알루론산, 글리세롤,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 및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젤을 3D 프린팅하여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창상 피복재의 인장강도 및 인장신도를 포함하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소동물 및 대동물의 창상 치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기반 창상 피복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기반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젤라틴 0.1 ~ 10 w/v%, 히알루론산 0.01 ~ 1 w/v%, 글리세롤 1 ~ 30 v/v%,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 0.1 ~ 10 w/v% 및 VEGF 펩타이드 0.02 ~ 0.08 w/v%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로 제조되고, 기공(pores) 및 채널(channel) 패턴(pattern) 구조를 가지는 창상 피복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창상 피복재는 1 ~ 6N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및 40 ~ 50 % 신장율(elongation at break)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기공 및 채널 패턴 구조를 가지는 창상 피복재을 제조하기 위해, 젤라틴 0.1 ~ 10 w/v%, 히알루론산 0.01 ~ 1 w/v%, 글리세롤 1 ~ 30 v/v%,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 0.1 ~ 10 w/v% 및 VEGF 펩타이드 0.02 ~ 0.08 w/v%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3D 프린터에 충전하는 단계;
(b) 하이드로겔을 3D 프린팅 하는 단계; 및
(c) 3D 프린팅된 하이드로겔을 가교결합 시켜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공 및 채널 패턴 구조를 가지는 창상 피복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d) 전자빔 조사를 수행하여 창상 피복재를 멸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e) UV 조사를 수행하여 창상 피복재를 추가로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빔 조사는 5 ~ 25 kGy 조건으로 수행할수 있다.
본 발명의 기공 및 채널 패턴 구조를 가지는 창상 피복재는 패치의 인장강도, 점착력, 흡수력, 투습도, 수분함량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동물 및 대동물의 창상 치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창상 치료를 위한 창상피복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젤라틴, 히알루론산, 글리세롤 및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조성물(Gel4Cell) 및 VEGF 펩타이드 결합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Gel4Cell-VEGF 하이드로겔을 3D 프린팅하여 제조한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FTIR을 이용하여 (a) UV 가교 전 Gel4Cell, (b) UV 가교 후 Gel4Cell 및 (c) UV 가교 후 Gel4Cell-VEGF(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화학적 구조를 분석한 데이터이다.
도 4는 Gel4Cell-VEGF의 전단 속도에 따른 (a) 복합 점도, (b) 저장 탄성률(G´) 및 손실 탄성률(G˝)을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5는 부피 변화에 따른 Gel4Cell-VEGF의 형태 안정성(n=5)을 평가한 데이터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인장강도 및 인장신도를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흡수도 및 공극률을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혈관생성능을 평가한 데이터이다.
도 9는 VEGF 펩타이드 농도에 따른 창상 피복재의 혈관생성능을 평가한 데이터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에서 VEGF 펩타이드의 방출 거동을 확인한 데이터로, (a)는 VEGF 펩타이드 농도에 따른 표준 곡선, (b) 및 (c)는 VEGF 펩타이드 농도에 따른 방출 정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창상 치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소동물(SD rat) 실험 계획을 타낸 모식도이다.
도 12는 VEGF 펩타이드 농도에 따른 창상 피복재의 소동물 창상 치유 효과를 육안으로 관찰한 데이터이다.
도 13은 VEGF 펩타이드 농도에 따른 창상 피복재의 소동물 창상 치유 효과를 H&E 염색으로 관찰한 데이터이다.
도 14는 VEGF 펩타이드 농도에 따른 창상 피복재의 소동물 창상 치유 효과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한 데이터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창상 치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대동물(yucatan pig) 실험 계획을 타낸 모식도이다.
도 16은 대동물 실험에서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적용방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7은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대동물 창상 치유 효과를 육안으로 관찰한 데이터이다.
도 18은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대동물 창상 치유 효과를 대동물 상처부위 정량(a)을 통해 확인한 데이터 및 대동물의 몸무게 변화(b)를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생체 흡습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실험 계획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0은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생체 흡습성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한 데이터이다.
도 21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본 발명의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를 나타낸 사진(a) 및 포장방법(b)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젤라틴 0.1 ~ 10 w/v%, 히알루론산 0.01 ~ 1 w/v%, 글리세롤 1 ~ 30 v/v%,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 0.1 ~ 10 w/v% 및 VEGF 펩타이드 0.02 ~ 0.08 w/v%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로 제조되고, 기공(pores) 및 채널(channel) 패턴(pattern) 구조를 가지는 창상 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창상 피복재는 1 ~ 6N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및 40 ~ 50% 신장율(elongation at break)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은 친수성 고분자가 공유 또는 비공유 결합으로 가교되어 만들어진 3차원 망상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구성 물질의 친수성으로 인해 수용액 내 및 수성 환경 하에서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하며 팽윤하지만 가교 구조에 의해 용해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구성성분과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성질을 가진 하이드로겔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액체와 고체의 중간성질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은 3차원(3D) 프린터를 이용한 바이오 프린팅에 사용되는 하이드로겔으로 "바이오 잉크(bioinks)"를 의미하기도 한다.
상기 "젤라틴"은 동물의 뼈, 연골, 가죽 등 결합조직의 주요 단백질 성분인 콜라겐의 부분적인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단백질을 의미할 수 있다. 젤라틴과 관련하여, 그의 종류 (원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포유류, 어류, 예를 들면, 소 뼈, 소 피부, 돼지 뼈, 돼지 피부 등으로부터 유래된 다양한 젤라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젤라틴은 분자량이 40,000 내지 100,000, 40,000 내지80,000, 또는 60,000 내지 80,0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젤라틴은 바람직하게 2 ~ 5 w/v%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콜라겐, 알기네이트, 아가(agar), 아가로스, 플루로닉(pluronic) 및 폴리비닐알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대체 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점성 증강제로, 약 03MDa 내지 약 60MDa, 예를 들면, 약 15MDa 내지 약 60MDa, 약 25MDa 내지 약 60MDa, 약 35MDa 내지 약 60MDa, 약 03MDa 내지 약 50MDa,약 03MDa 내지 약 40MDa, 또는 약 03MDa 내지 약 30MDa의 분자량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히알루론산은 바람직하게 0.1 ~ 0.8 w/v%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우수한 3D 프린팅 경향성 및 바이오 잉크의 초기 강성(strength)을 유지하는데 적합한 점성 증강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롤은 윤활제로 바람직하게 1 ~ 15 v/v%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전단률(shear rate)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분배 속도(dispensing speed)를 개선할 수 있는 물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는 구조물질로 바람직하게 1 ~ 5 w/v%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빠른 가교결합의 형성 및 기계적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물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조물질의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피브리노겐, 화학적으로 가교할 수 있도록 변형된 히알루론산 (예, 메타아크릴레이티드 히알루론산, 사이올레이티드 히알루론산, 등), 화학적으로 가교할 수있도록 변형된 젤라틴 (예, 젤라틴 메타아크릴레이티드, 사이올레이티드 젤라틴, 등), 콜라겐, 알기네이트, 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키틴, 합성펩타이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초의 하이드로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 제작을 위한 하이드로겔은 보다 효과적으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해, VEGF 펩타이드 이외에 다른 성장인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성장인자는 인슐린,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GF), 신경 성장인자(NGF), 케라티노사이트 성장인자(KGF), 기본 FGF(bFGF)를 포함하는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 PDGFAA 및 PDGF-AB를 포함하는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PDGF), BMP-2 및 BMP-7등을 포함하는 뼈형성단백질(BMP), 간세포 성장인자(HGF), 형질전환 성장인자 알파(TGF-α), TGFβ1 및 TGFβ3을 포함하는 형질전환 성장인자 베타(TGF-β), 표피 성장인자(EGF),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자극인자 (GM-CSF), 과립구 콜로니-자극인자(G-CSF), 인터류킨-6(IL-6) 및 인터류킨-8(IL-8)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 제작을 위한 하이드로겔은 보다 효과적으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해 세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세포는 줄기세포, 조골세포(osteoblast), 근아세포(myoblast), 건세포(tenocyte), 신경아세포(neuroblast), 섬유아세포(fibroblast), 신경교아세포(glioblast), 배세포(germ cell), 간세포(hepatocyte), 신장세포(renal cell), 지대세포(Sertoli cell), 연골세포(chondrocyte), 상피세포(epithelial cell), 심혈관세포, 각질세포(keratinocyte), 평활근세포(smooth muscle cell), 심장근세포(cardiomyocyte), 신경교세포(glial cell), 내피세포(endothelial cell), 호르몬 분비세포, 면역세포, 췌장섬 세포(pancreatic islet cell) 및 신경세포(neuro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 제작을 위한 하이드로겔은 보다 효과적으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해 조직유래 성분 또는 분화조절 물질을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기공 및 채널 패턴 구조를 가지는 창상 피복재을 제조하기 위해, 젤라틴 0.1 ~ 10 w/v%, 히알루론산 0.01 ~ 1 w/v%, 글리세롤 1 ~ 30 v/v%,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 0.1 ~ 10 w/v% 및 VEGF 펩타이드 0.02 ~ 0.08 w/v%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3D 프린터에 충전하는 단계;
(b) 하이드로겔을 3D 프린팅 하는 단계; 및
(c) 3D 프린팅된 하이드로겔을 가교결합 시켜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공 및 채널 패턴 구조를 가지는 창상 피복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는 젤라틴, 히알루론산, 글리세롤,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 및 VEGF 펩타이드를 혼합하여 가교 결합시켜 제조한 하이드로겔을 이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구현예에서는 기공 및 채널 패턴 구조를 가지는 창상 피복재 제작을 위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기 위해, 젤라틴, 히알루론산, 글리세롤 및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조성물(Gel4cell)과 VEGF 펩타이드(서열번호 1: KLTWQELYQLKYKGI-SH, 0.02 w/v%)를 혼합한 다음, 하이드로겔 상태로 제조하였다.
도 1은 젤라틴, 히알루론산, 글리세롤 및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Gel4cell과 VEGF 펩타이드 결합을 나타낸 모식도로, Gel4Cell는 VEGF 펩타이드와 가교가 일어나게 된다. 분자 내 가교는 패치의 기계적 성질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 가교 된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물성이 증가하고 감소함에 따라 물성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VEGF 펩타이드를 Gel4Cell과 혼합 할 때 기존 Gel4Cell의 기계적 성질을 유지하기 위해 교차결합(Cross-linking)된 정도가 더 높은 GelMA(Methacrylated gelat)를 사용하였다.
상기 "Gel4cell"는 본 발명의 출원인들이 판매하고 있는 제품으로, 젤라틴, 히알루론산, 글리세롤 및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 제작을 위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기 위해 Gel4cell를 사용하거나 젤라틴, 히알루론산, 글리세롤 및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를 각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하이드로겔은 광학개시제(photoinitiato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3D 프린팅은 바이오 프린팅으로, "바이오 프린팅"이란 자동화된, 컴퓨터 보조의, 삼차원 시제품화 장치(예, 바이오프린터)와 상용되는 방법론을 통해 삼차원의 정확한 세포 침착(예, 세포 용액, 세포 함유 겔, 세포 현탁액, 세포 농축물, 다세포 응집체, 다세포체 등)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바이오 프린팅 방법은 연속 및/또는 실질적으로 연속이다. 연속 바이오 프린팅 방법의 비제한적 예는 바이오 잉크의 저장소에 연결되는 분사 팁(dispense tip) (예, 주사기, 모세관 등)을 통해 바이오 프린터로부터 바이오 잉크를 분사하는 것이다. 연속 바이오 프린팅 방법은 기능 단위의 반복 패턴에서 바이오 잉크를 분사하는 것이다. 상기 반복 기능 단위는 예를 들어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및 불규칙 기하구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당한 기하구조를 갖는다. 추가 구체예에서, 바이오 프린팅된 기능 단위의 반복 패턴은 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층이 조작된 조직 또는 장기를 형성하기 위해 인접하게 바이오 프린팅된다(예를 들면, 적층된다) 구체적으로,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이상의 층이 창상 피복재를 형성하기 위해 인접하게 바이오 프린팅 된다
바이오 프린팅된 기능 단위는 격자무늬(tessellated) 패턴 또는 채널구조 패턴으로 반복된다. "격자무늬 패턴"은 중첩되지 않고 갭이 없는 평면을 충전하는 평면 도형이다. 연속 및/또는 격자무늬 바이오프린팅의 이점은 이전에 침착된 바이오 잉크의 요소와 바이오 프린터를 정렬할 필요를 없앨 수 있다는 것이다.
바이오 프린트로부터 적당한 및/또는 최적의 분사 거리는 재료 편평화 또는 분사 바늘에의 부착화를 생성하지않는다. 바이오 프린터 분사 팁은 약, 5, 10, 2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550,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1000 ㎛ 이상 및 이 범위 내의 증분의 내경을 갖는다. 또한, 바이오프린터의 바이오 잉크 저장소는 약 5, 1, 2, 3, 4, 5, 6, 7, 8, 9,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입방 센티미터 이상 및 이 범위 내의 증분의 용적을 갖는다. 펌프 속도는 시스템에서의 잔류 압력 상승이 낮을 경우 적당하고/하거나 최적일 수 있다. 양호한 펌프 속도는 저장소의 단면적과 분사 바늘 사이의 비율에 의존할 수 있고, 보다 높은 비율은 보다 낮은 펌프 속도를 필요로 한다.
바이오 잉크 조성물이 삼차원 바이오 프린터에 의해 분사되어 적층된 이후에는 이를 자외선에 노출시키거나 또는 가교 결합용액을 첨가함으로써 바이오 잉크 조성물의 가교결합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결합은 적층된 바이오 잉크 조성물이 보다 단단한 구조물로 완성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상기 자외선은 적층된 바이오 잉크 조성물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와트(watt) 자외선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365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의 적층된 바이오 잉크 조성물로부터 1~20 cm 거리에서 1초 내지는 1000초간 노출이 될 수 있고, 또는 20초 내지 500초, 또는 40초 내지 240초간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노출 거리 및 시간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짧은 거리 및 강한 파장이라면 짧은 시간 동안의 노출로도 충분한 가교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가교결합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가교결합을 촉진하기 위해서 광학개시제(photoinitiator)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광학개시제는 빛에 노출됨에 따라 신속한 가교결합을 유발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적절한 광학개시제의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아세토페논, 벤조인 메틸 에티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조일 포스핀 옥사이드 및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첨가되는 광학개시제의 양은 노출되는 빛의 파장 및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교결합을 위한 바람직한 자외선의 파장은 300 nm 내지 400 nm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nm 내지 400 nm, 350 nm 내지 390 nm, 355 nm 내지 380 nm, 360 nm 내지 370 nm, 가장 바람직하게는 365 n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d) 전자빔 조사 또는 UV 조사를 수행하여 창상 피복재를 멸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자빔 조사는 5 ~ 25 kGy, 바람직하게는 5 kGy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e) UV 조사를 수행하여 창상 피복재를 추가로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구현예에서, 창상 피복재 제작을 위한 하이드로겔을 3D 프린팅한 후, UV에서 가교 결합시켜 도 2와 같이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이하 "Gel4Cell-VEGF" 또는 "VEGF 펩타이드 함유 하이드로겔 패치"로 혼용 표기함)를 제조하였으며,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 제작을 위한 하이드로겔은 우수한 프린트 능력 및 성형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은 분자내 화학적 결합을 좀 더 자세하게 확인하기 위해 (a) UV 가교 전 Gel4Cell, (b) UV 가교 후 Gel4Cell 및 (c) UV 가교 후 Gel4Cell-VEGF의 화학적 구조를 FTIR로 측정한 데이터로, FTIR은 물질의 이화학적 성질을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화합물이 갖는 고유의 진동에너지와 일치하는 적외선을 받을 때, 화합물이 적외선을 흡수하면서 진동이 활성화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다른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가 기존의 다른 하이드로겔 기반 패치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하기 위해, 유동학적 특징(도 4), 형태안정성(도 5), 인장강도 및 인장신도를 포함하는 기계적 물성(도 6), 흡수도 및 공극률(도 7)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와 같다.
1) 유동학적 특징: 전단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단 점도가 감소하는 의가소성 유체(pseudo-plastic fluid) 거동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2) 형태 안정성: 초반에 창상 피복재의 무게는 감소하지만 프린트된 창상 피복재의 형태는 계속 유지됨을 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피부 위에 창상 피복재를 접착 시켜도 형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 기계적 물성: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의 인장강도 값은 0.17 ~ 0.18Mpa으로 이전에 보고된 값들 보다 약 10배 정도 높은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는 활동성이 큰 부위에 생긴 상처에도 적합함을 의미한다.
4) 흡수도 및 공극률: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를 45%의 채움밀도를 갖는 원형의 패치로 제조한 경우 약 55%의 물을 흡수하는 높은 흡수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공극률은 약 100%로 우수한 공극률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 제작을 위한 하이드로겔을 이용하여 제조한 창상 피복재는 기존의 다른 하이드로겔 기반 패치에 비해 적합한 물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또 다른 일구현예에서, 창상 피복재에 포함된 VEGF 펩타이드에 의한 혈관 신생 촉진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 조성물에 HUVEC(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인간 탯줄 정맥 내피 세포)을 추가하여 3D 프린팅을 통해 HUVEC 세포가 포함된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VEGF 펩타이트 첨가에 따라 혈관 재생 능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VEGF 펩타이트 농도에 따른 혈관 형성능을 비교한 결과, 농도에 따른 차이점을 발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또 다른 일구현예에서, 창상 피복재에 포함된 VEGF 펩타이드의 방출 거동을 확인한 결과,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VEGF 펩타이드가 점차적으로 방출된 후, 5일 동안 동일한 양의 VEGF 펩타이드가 방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방출 거동은 창상 치유 및 혈관 재생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또 다른 일구현예에서,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를 멸균하기 위해 5 kGy 전자빔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멸균된 창상 피복재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에 의뢰하여 무균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창상 피복재의 생물학적 안정성 및 유효성 평가를 위한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한 창상 피복재의 창상 치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소동물(SD rat)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최적 VEGF 펩타이드 농도를 확립하기 위해 VEGF 펩타이드 농도를 다르게 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육안관찰 결과 염증이나 이상증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도 12),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위해 H&E 염색(도 13) 및 α-SMA(α-smooth muscle Act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관찰(도 14)을 수행한 결과, VEGF 펩타이드가 포함된 창상 피복재가 피부 창상 치유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창상 피복재의 창상 치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대동물 실험은 돼지(yucatan pig)를 이용하여 도 15에 나타난 모식도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도 16과 같이 창상 피복재를 돼지에 적용하였다. 육안관찰 결과 염증이나 이상증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도 17),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를 적용한 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창상 크기가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창상 부의의 크기를 정량화한 결과, 도 18a에 나타난 바와 같이, 14 일 이후,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를 적용한 그룹이 상처 크기가 가장 작고 손상된 피부가 재생되어 본 발명의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가 피부 창상 치유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8b에 나타난 바와같이, 실험 진행 기간 동안 돼지의 몸무게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또 다른 일구현예에서, 생체 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하이드로젤 패치)의 생채 흡수성 평가를 위해, 도 19에 나타난 모식도에 따라 3D 프린터로 제작된 창상 피복재를 쥐의 피하에 이식하였다.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패치를 이식한 부분에 조직 캡슐화(tissue incapsulation)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패치는 대부분 처음 이식한 위치에서 가장자리부터 녹아 중앙부분이 남아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VEGF 펩타이드가 포함되지 않은 창상 피복재는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에 비해 많이 녹아 없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창상 피복재는 도 2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창상 피복재로 제조할 수 있으며, 도 21b와 같이 포장할 수 있으나, 창상 피복재의 형태, 기계적 물성 및 습윤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포장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창상 피복재 제작을 위한 하이드로겔 제조
본 발명에서는 창상 피복재 제작을 위한 하이드로겔(바이오 잉크)를 제조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젤라틴, 히알루론산, 글리세롤 및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조성물(Gel4cell)과 VEGF 펩타이드를 가교 결합 시켰다.
구체적으로 상기 Gel4cell 조성물은 젤라틴(35 mg/mL,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프린팅시 바이오 잉크의 점도를 강화하고 패턴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히알루론산(3 mg/mL, Sigma-Aldrich), 노즐 막힘 현상을 줄여주기 위한 윤활제로 글리세롤(10 v/v%, Sigma-Aldrich) 및 프린팅 후 가교에 의해 구조 안정성을 제공하는 화학적으로 변형된 젤라틴(20 mg/mL methacrylated gelatin)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본 출원인이 판매하고 있는 Gel4cell(Gel4Cell®, cat.No. BIS-101; Bioinksolution, 한국)를 이용하였다.
액체상태의 Gel4cell 및 VEGF 펩타이드(서열번호 1: KLTWQELYQLKYKGI-SH, 0.02% (w/v))를 클린벤치안에서 잘 섞어준 후 10 mL 주사기에 넣어준 다음, 하이드로겔 상태로 만들어 주기 위해 4℃에서 약 1시간 정도 반응시켜 최종적으로, 창상 피복재 제작을 위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3D 프린터를 이용한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 제작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하이드로겔을 3D 프린팅하여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3D 프린터는 INVIVO (ROKIT, 한국)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하이드로겔이 충진된 10 mL 주사기는 22G(내경 = 0.3 mm, 외경 = 0.5 mm) 테프론 니들에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디스펜서(dispenser)의 온도는 20℃, 베드(bed)의 온도는 15℃로 하여 진행하였다. 창상 피복재 제조 시 채움 밀도 45%, 출력 속도는 10 mm/s 그리고 재료의 압출량은 250%로 프린트 하였다. 프린트 후의 창상 피복재는 UV (365nm, 4W)에 1분 동안(Optimize함) 노출시켜 가교 시킨 후 안정화(stabilizing)를 위해 4 ℃에서 이틀 동안 건조하였다.
도 2와 같이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였으며,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 제작을 위한 하이드로겔은 우수한 프린트 능력 및 성형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물리화학적 특성 확인
3-1: 화학적 구조 특성 확인
본 발명에서는 분자 내 화학적 결합을 좀 더 자세하게 확인하기 위해, FTIR(fourier tranformation infra red; Nicolet 380, Thermo Fisher Scientific, 미국)를 이용하여 화학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FTIR은 물질의 이화학적 성질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화합물이 갖는 고유의 진동에너지와 일치하는 적외선을 받을 때, 화합물이 적외선을 흡수하면서 진동이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3D 프린팅한 UV 가교 전 Gel4Cell(VEGF 펩타이드 미함유), UV 가교 후 Gel4Cell 및 Gel4Cell-VEGF(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화학적 구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투과율(transmittance)이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3-2: 유동학적 특성 확인
하이드로겔의 유동학적 성질은 3D 프린트를 위한 조건 성립 및 프린트 후의 샘플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오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팅 기술의 경우, 바이오잉크를 압출하기 위하여 노즐의 뒤에서 압을 가해 주게 되는데 이때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노즐에 의해 토출 저항이 생기므로 노즐 벽면에서 강한 저항이 생긴다. 이에 따라 3D 바이오프린팅을 위한 우수한 재료는 전단 감소(shear thinning) 현상을 가지는 의가소성 유체(pseudo-plastic fluid)라 볼 수 있다.
유동학적 성질은 공지된 방법(Jang MJ, et al., European Polymer Journal, 2017;93:761-774)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rheometer(MARS Ⅲ, Thermo Fisher Scientific, Germany)를 이용하여 35mm 플레이트, 35 ℃ 에서 측정하였다.
하드로겔의 복합 점도(complex viscosity), 저장 탄성율(storage modulus; G´) 및 손실 탄성률(loss modulus; G˝)를 측정하기 위해 진동 주파수 스웹 시험(oscillation frequency sweep test)을 수행하였으며, 각 주파수는 0.1 내지 100 rad / s로 조절하였고 변형률은 0.01%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하이드로겔(Gel4Cell-VEGF)의 전단 속도에 따른 (a) 복합 점도, (b) 저장 탄성률(G´) 및 손실 탄성률(G˝)을 확인한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 제작을 위한 하이드로겔 역시 전단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단 점도가 감소하는 의가소성 유체 (pseudo-plastic fluid) 거동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3-3: 형태 안정성 확인
패치의 형태안정성은 피부 위에서 패치의 지속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이다. 3D 프린트된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형태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경 10 mm, 높이 2 mm 원형의 패치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패치는 PBS에 담근 후 37℃의 인큐베이터 안에 보관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형태 변화를 측정하였다.
1, 4, 7, 10, 14 그리고 21일 후에 패치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보관 1일 후부터 약 50% 정도의 급격한 무게감소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창상 피복재의 주재료인 글리세롤(glycerol)이 PBS로 녹아 나옴에 따른 것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이상의 무게 감소는 일어나지 않고 약 50%의 무게 손실이 일어난 상태로 14일까지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 형태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피부 위에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를 접착시켜도 형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4: 기계적 물성 확인
창상 피복재의 경우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선 적당한 강도 및 신도 등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하이드로겔 패치의 경우 물성이 약하다고 알려져 있고 특히, 콜라겐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든 하이드로겔 및 3D 프린트된 물질의 경우 약 0.01 ~ 0.05 MPa로 매우 낮은 기계적 성질을 보임이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는,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만능 재료 시험기(OTT-003, Oriental TM, 한국)을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길이 50 mm, 폭 10 mm의 창상 피복재를 제작하였다. 인장강도 및 인장신도 측정 시 양쪽 게이지 길이(gauge length) 30 mm로 하여, 10 mm/s의 인장속도로 인장하면서 측정하였으며, 이때 사용한 만능 재료 시험기의 로드셀(Load cell)은 3 kgf이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인장강도는 0.175 MPa로 이전에 보고된 값들보다 약 10배 정도 높은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는 활동성이 큰 부위에 생긴 상처에도 적합함을 의미한다.
3-5: 흡수도(water Absorption) 및 공극률(porosity) 확인
하이드로겔 패치의 경우 상처의 삼출물을 흡수하여 습윤상태를 유지해 줌으로 피부재생을 돕는다. 이에 따라 패치의 물 흡수성은 이를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구체적으로, 3D 프린트된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흡수도 및 공극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경 10 mm, 높이 2 mm, 45%의 채움밀도를 가지는 원형의 패치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패치는 증류수에 담근 후 37℃의 인큐베이터 안에서 보관하였다. 증류수 침지 전 및 침지 후 무게/부피 변화를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흡수도 및 공극률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9066518741-pa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19066518741-pat00002
W1 : 증류수 침지 전 패치의 무게 / W2 : 증류수 침지 후 패치의 무게
V1 : 증류수 침지 전 패치의 부피 / V2 : 증류수 침지 후 패치의 부피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45%의 채움밀도를 갖는 원형의 패치의 경우 약 55%의 물을 흡수함을 확인 활 수 있었다. 또한, 패치의 공극률은 패치 내 세포의 이동 등과 연관 있는 인자로 약 90% 이상의 공극률을 가져야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공극률은 약 100%로 우수한 공극률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혈관 생성 성능 평가
본 발명의 창상 피복제에 포함된 VEGF 펩타이드는 혈관 내피 생성 인자로 혈관 내피 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세포 증식이나 혈관 신생을 촉진하는 성장인자이다.
본 발명에서는 창상 피복재에 포함된 VEGF 펩타이드에 의한 혈관 신생 촉진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 조성물에 HUVEC(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인간 탯줄 정맥 내피 세포)을 추가하여 3D 프린팅을 통해 HUVEC 세포가 포함된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액체 상태의 Gel4Cell 및 실시예 1의 Gel4Cell-VEGF에 HUVEC(Passage 6, 8 X 106 cell/mL)를 각각 혼합한 다음, 하이드로겔 상태로 만들어 주기 위해 4℃에서 약 30분 동안 반응 시켰다. 그 다음, 내직경이 0.3 mm인 테프론 니들을 사용하여 3D 프린팅하였으며 30초 동안 UV(48W)를 조사하여 가교시킨 후 세포 배양을 위한 배지를 첨가한 다음, 37℃, CO2 인큐베이터에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 및 혈관 형성(tubular formation) 정도를 관찰하기 위해, 배양 1, 2 및 4일 후에 LIVE/DEAD 어세이(Molecular Probes™ LIVE/DEAD™, L3224, Invitrogen Life Technologies, 미국)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VEGF 펩타이드 함유 하이드로겔 패치의 경우 1일 차부터 혈관 형성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2일 차에는 Gel4Cell 하이드로겔 패치와의 차이가 분명하게 관찰되었다. 즉, VEGF 펩타이트 첨가에 따라 혈관 재생 능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VEGF 펩타이트 농도에 따른 혈관 형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0.02%, 0.04% 및 0.08% 농도로 VEGF 펩타이드가 포함되도록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VEGF 펩타이드 함유 하이드로겔 패치를 제조한 다음, 혈관 재생 능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VEGF 펩타이트 농도에 따른 혈관 형성능 차이점을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후의 소동물 실험은 0.02% 및 0.04% 농도로만 실험을 수행하였다.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VEGF 펩타이드 방출 거동 확인
본 발명에서는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VEGF 펩타이드 방출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HPLC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증류수에 1000 ppm이 되도록 VEGF 펩타이드를 용해한 다음 증류수를 추가 첨가하여 최종 6.25, 12.5, 25, 50, 100, 200 ppm 농도의 VEGF 펩타이드 표준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표준액은 0.2 um 필터로 필터링한 다음, HPLC를 이용하여 표준 곡선을 도출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2에서 제조한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를 10 mL 증류수에 담근 후 37℃ 항온기(water bath)에서 80 rpm으로 교반시키면서 VEGF 펩타이드를 용출하였다.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1일, 3일 및 5일 간격으로 1 mL씩 샘플링하였으며, 동량을 유지시키기 위해 증류수 1mL씩 추가로 첨가해 주었다. 용출액 50%와 이동상(증류수) 50%를 혼합한 다음, 0.2 um 필터로 필터링하여 HPLC를 수행하였으며, VEGF 펩타이드 총량을 달리하여 2가지 조건(VEGF 펩타이드 1, 2)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VEGF 펩타이드 1(0.02 w/v%) 시간별 용출 농도
시간 30min 1hr 2hr 4hr 8hr 1day 3day 5day
ppm 233 502 755 765 761 771 795 799
VEGF 펩타이드 2(0.04 w/v%) 시간별 용출 농도
시간 30min 1hr 2hr 4hr 8hr 1day 3day 5day
ppm 315 759 1081 1148 1175 1148 1108 1149
그 결과, 도 10,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VEGF 펩타이드가 점차적으로 방출된 후, 5일 동안 동일한 양의 VEGF 펩타이드가 방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방출 거동은 창상 치유 및 혈관 재생에 효과적이다.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멸균
본 발명에서는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를 멸균하기 위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메디칼 생산기술센터(경상북도 영천소재)에 의뢰하여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창상 피복재에 25, 20, 15, 10, 5 kGy의 조건으로 전자빔을 조사하여 멸균을 수행하였다. 기본 선량을 5 kGy로 설정한 후 횟수를 달리하여 조사한 결과, 창상 피복재 멸균을 위해 5 kGy 전자빔 조사 조건을 최종 확립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또 다른 일구현예에서, VEGF 펩타이드가 포함된 창상 피복재를 멸균하기 위해 5 kGy 전자빔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멸균된 창상 피복재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에 의뢰하여 무균 상태임(성적서번호: MSK-2018-000612)을 확인하였다.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생물학적 안정성 및 유효성 평가 - 소동물 실험
본 발명에서 제조한 창상 피복재의 생물학적 안정성 및 유효성 평가를 위한 소동물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 60마리의 8주령 SD랫트(SD rat)을 이용하여 하이드로젤 패치(창상 피복재)를 지름 8mm의 창상에 드레싱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VEGF 펩타이드 농도에 따른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0.02, 0.04%(w/v) 두 가지의 조건으로 진행하였으며, 자세한 실험방법은 도 11에 나타내었다.
그룹 1(G1) : 대조군(Control)
그룹 2(G2) : VEGF 펩타이드가 포함되지 않은 하이드로겔 패치 적용군(Gel4Cell)
그룹 3(G3) : 0.02% VEGF 펩타이드 함유 하이드로젤 패치 적용군(Gel4Cell-VEGF 0.02%
그룹 4(G4) : 0.04% VEGF 펩타이드 함유 하이드로젤 패치 적용군(Gel4Cell-VEGF 0.04%
하이드로젤 패치를 적용한 랫트는 1, 3, 7, 14 및 28일째에 육안 관찰한 결과,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증이나 이상증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VEGF 펩타이드 함유 하이드로젤 패치가 피부 창상 치유에 더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 3, 7, 14 및 28일에 채취한 피부 조직의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피부 창상 치유 및 재생 평가를 위해 공지된 방법으로 H&E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VEGF 펩타이드 함유 하이드로젤 패치의 경우 3일 경과 후부터 피부 창상 치유가 효과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α-SMA(α-smooth muscle Act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7일 이후 부터 VEGF 펩타이드 함유 하이드로젤 패치를 적용한 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α-SMA이 창상 부위에 넓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VEGF 펩타이드 함유 하이드로젤 패치가 피부 재생에 효과적인 것을 의미한다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생물학적 안정성 및 유효성 평가 - 대동물 실험
본 발명에서 제조한 창상 피복재의 생물학적 안정성 및 유효성 평가를 위한 대동물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 1마리의 돼지(yucatan pig)를 이용하여 하이드로젤 패치(창상 피복재)를 지름 1.2cm의 창상에 드레싱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대조군은 거즈(gauze)를 적용하였다. 소동물 실험의 결과 VEGF 펩타이드 농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낮은 낮은 농도인 0.02%(w/v) VEGF 펩타이드 조건에서만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실험은 도 15에 나타난 모식도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도 16과 같이 창상 피복재를 돼지에 적용하였다.
그룹 1(G1) : 대조군(Control)
그룹 2(G2) : VEGF 펩타이드가 포함되지 않은 하이드로겔 패치 적용군(Gel4Cell)
그룹 3(G3) : 0.02% VEGF 펩타이드 함유 하이드로젤 패치 적용군(Gel4Cell-VEGF)
하이드로젤 패치를 적용한 돼지를 1, 3, 7, 14 및 28일째에 육안 관찰한 결과,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증이나 이상증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VEGF 펩타이드 함유 하이드로젤 패치 적용군이 다른 그룹에 비해 창상 크기가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창상 부의의 크기를 정량화한 결과, 도 18a에 나타난 바와 같이, 14일 이후, VEGF 펩타이드 함유 하이드로젤 패치 적용군이 상처 크기가 가장 작고 손상된 피부가 재생되어 본 발명의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가 피부 창상 치유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 진행 기간 동안 돼지의 몸무게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생체 흡습성 평가
본 발명에서는 생체 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하이드로젤 패치)의 생채 흡수성 평가를 위해, 도 19에 나타난 모식도에 따라 실시예 2에서 제작한 창상 피복재를 쥐의 피하에 이식하였다.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패치를 이식한 부분에 조직 캡슐화(tissue incapsulation)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패치는 대부분 처음 이식한 위치에서 가장자리부터 녹아 중앙부분이 남아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VEGF 펩타이드가 포함되지 않은 패치는 VEGF 펩타이드가 포함된 패치에 비해 많이 녹아 없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VEGF 펩타이드 함유 창상 피복재의 포장 방법 확인
본 발명의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3D 프린팅하여 도 21a와 같이 다양한 형대와 크기를 가지는 VEGF 펩타이드 함유 하이드로겔 패치로 제작하였다.
또한, 하이드로겔 패치의 형태, 기계적 물성 및 습윤정도가 유지 되도록 도 21b와 같이 포장을 수행하였다.
<110>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BioinkSolution Inc.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20> Wound Dressing Based on Hydrogel Comprising VEGF Peptid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130> 1065987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EGF Peptide <400> 1 Lys Leu Thr Trp Gln Glu Leu Tyr Gln Leu Lys Tyr Lys Gly Ile 1 5 10 15

Claims (6)

  1. 젤라틴 0.1 ~ 10 w/v%, 히알루론산 0.01 ~ 1 w/v%, 글리세롤 1 ~ 30 v/v%,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 0.1 ~ 10 w/v% 및 VEGF 펩타이드 0.02 ~ 0.04 w/v%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로 제조되고, 기공(pores) 및 채널(channel) 패턴(pattern) 구조를 가지면서, 0.17 ~ 0.18 MPa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및 40 ~ 50% 신장율(elongation at break)을 가지는 창상 피복재.
  2. 삭제
  3. (a) 젤라틴 0.1 ~ 10 w/v%, 히알루론산 0.01 ~ 1 w/v%, 글리세롤 1 ~ 30 v/v%,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 0.1 ~ 10 w/v% 및 VEGF 펩타이드 0.02 ~ 0.04 w/v%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3D 프린터에 충전하는 단계;
    (b) 하이드로겔을 3D 프린팅하는 단계; 및
    (c) 3D 프린팅된 하이드로겔을 가교결합시켜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공 및 채널 패턴 구조를 가지면서, 0.17 ~ 0.18 MPa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및 40 ~ 50% 신장율(elongation at break)을 가지는 창상 피복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d) 전자빔 조사를 수행하여 창상 피복재를 멸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피복재 제조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 조사는 5 ~ 25 kGy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피복재 제조방법.
KR1020190077870A 2019-06-28 2019-06-28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기반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3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870A KR102283464B1 (ko) 2019-06-28 2019-06-28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기반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870A KR102283464B1 (ko) 2019-06-28 2019-06-28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기반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55A KR20210002255A (ko) 2021-01-07
KR102283464B1 true KR102283464B1 (ko) 2021-08-02

Family

ID=7412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870A KR102283464B1 (ko) 2019-06-28 2019-06-28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기반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4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5770A1 (de) * 2021-12-30 2023-07-05 Paul Hartmann AG In-line strahlensterilisation für wundauflagen
KR20240028210A (ko)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단백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기반의 국소 창상 피복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7202A (ja)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Nbcメッシュテック 創傷部感染防止用部材
JP2017531462A (ja) * 2014-10-13 2017-10-26 フェッローサン メディカル ディバイス エー/エス 止血および創傷治癒に使用するための乾燥組成物
JP2018058789A (ja) 2016-10-05 2018-04-12 マルハニチロ株式会社 抗菌性及び創傷治癒促進性を有する創傷治癒剤
KR101913374B1 (ko) * 2015-07-21 2018-10-30 주식회사 바이오잉크솔루션 물리적 및 생물학적 특성이 개선된 바이오 잉크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315A (ko) * 2015-04-23 2017-12-20 유니버시티 오브 플로리다 리서치 파운데이션, 아이엔씨. 향상된 치유를 위한 이층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7202A (ja)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Nbcメッシュテック 創傷部感染防止用部材
JP2017531462A (ja) * 2014-10-13 2017-10-26 フェッローサン メディカル ディバイス エー/エス 止血および創傷治癒に使用するための乾燥組成物
KR101913374B1 (ko) * 2015-07-21 2018-10-30 주식회사 바이오잉크솔루션 물리적 및 생물학적 특성이 개선된 바이오 잉크 조성물
JP2018058789A (ja) 2016-10-05 2018-04-12 マルハニチロ株式会社 抗菌性及び創傷治癒促進性を有する創傷治癒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5770A1 (de) * 2021-12-30 2023-07-05 Paul Hartmann AG In-line strahlensterilisation für wundauflagen
WO2023126293A1 (de) * 2021-12-30 2023-07-06 Paul Hartmann Ag In-line strahlensterilisation für wundauflagen
KR20240028210A (ko)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단백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기반의 국소 창상 피복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55A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uhan et al. Silk biomaterials in wound healing and skin regeneration therapeutics: From bench to bedside
JP7188779B2 (ja) 生物医学的応用のための制御可能な自己アニーリング型ミクロゲル粒子
Singh et al. Biomimetic photocurable three-dimensional printed nerve guidance channels with aligned cryomatrix lumen for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Negrini et al. Tissue-mimicking gelatin scaffolds by alginate sacrificial templates for adipose tissue engineering
Jang et al. Enhanced wound healing using a 3D printed VEGF-mimicking peptide incorporated hydrogel patch in a pig model
Zhang et al. Silk fibroin microfibers and chitosan modified poly (glycerol sebacate) composite scaffolds for skin tissue engineering
DE69731959T2 (de) Implantierbares acrylamidcopolymer-hydrogel für therapeutische anwendungen
KR20180089474A (ko) 하이드로겔의 광-활성화 제조
Zhang et al. Injectable, self-healing and pH responsive stem cell factor loaded collagen hydrogel as a dynamic bioadhesive dressing for diabetic wound repair
Xu et al. Bioprinting a skin patch with dual-crosslinked gelatin (GelMA) and silk fibroin (SilMA): An approach to accelerating cutaneous wound healing
KR102283464B1 (ko) Vegf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기반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Claudio-Rizo et al. Decellularized ECM-derived hydrogels: modification and properties
Wu et al. Novel digital light processing printing strategy using a collagen-based bioink with prospective cross-linker procyanidins
Sohutskay et al. Design and biofabrication of dermal regeneration scaffolds: role of oligomeric collagen fibril density and architecture
CN109431971A (zh) 一种可注射载药水凝胶及其制备方法
Boni et al. In vivo performance of microstructured bacterial cellulose-silk sericin wound dressing: effects on fibrosis and scar formation
Ding et al. Photopolymerizable, immunomodulatory hydrogels of gelatin methacryloyl and carboxymethyl chitosan as all-in-one strategic dressing for wound healing
Ramakrishnan et al. Silk fibroin-based bioengineered scaffold for enabling hemostasis and skin regeneration of critical-size full-thickness heat-induced burn wounds
Cakmak et al. A 3D in vitro co-culture model for evaluating biomaterial-mediated modulation of foreign-body responses
Hao et al. Stepwise multi-cross-linking bioink for 3D embedded bioprinting to promote full-thickness wound healing
CN112870451B (zh) 一种神经鞘管及其制备方法和应用
Hong et al. Hydrogel/Nanofiber composite wound dressing optimized for skin layer regeneration through the mechanotransduction-Based microcellular environment
Tavakoli et al. Keratin-and VEGF-Incorporated Honey-Based Sponge–Nanofiber Dressing: An Ideal Construct for Wound Healing
Wen et al. Biodegradable cell‐laden starch foams for the rapid fabrication of 3D tissue constructs and the application in neural tissue engineering
CN105056279A (zh) 一种复合胶原的聚氨酯基双层敷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