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791B1 -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791B1
KR102282791B1 KR1020210025436A KR20210025436A KR102282791B1 KR 102282791 B1 KR102282791 B1 KR 102282791B1 KR 1020210025436 A KR1020210025436 A KR 1020210025436A KR 20210025436 A KR20210025436 A KR 20210025436A KR 102282791 B1 KR102282791 B1 KR 102282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crete structure
drilling
inclined surfac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권
Original Assignee
양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권 filed Critical 양희권
Priority to KR1020210025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천공 및 건식 천공 방법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천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감싼 상태로 고속 회전하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절단 또는 천공하는 와이어쏘, 상기 와이어쏘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와이어쏘의 절단 또는 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수하기 위한 집진 장치로 이루어지는 건식 천공부; 및 냉각수 또는 분진제거용 압축공기를 주입하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하는 습식 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CONCRETE STRUCTURE DRILLING SYSTEM}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습식 천공 및 건식 천공 방법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천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어드릴은 모터나 엔진, 유압 등으로 다이아몬드 비트를 회전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을 연속 천공하여 절단하거나 작업용 단순천공 등이 있고 또는 강도시험용 시험체를 발치하는 공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건식과 습식. 건식 겸용 습식형이 있다.
코어드릴로 콘크리트를 천공하는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분진이 발생하며, 그 분진이 주변으로 비산되어 대기오염시키고 코어비트를 냉각시키기 위해 공급된 냉각수는 콘크리트분진과 결합되어 슬러지 및 폐수를 발생시켜 토양 및 수질을 오염시키거니와 작업자의 시야를 흐트러뜨려서 작업을 방해하고 건강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7-0012382호 한국공개특허 제10-1996-001707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습식 천공 및 건식 천공 방법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천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감싼 상태로 고속 회전하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절단 또는 천공하는 와이어쏘, 상기 와이어쏘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와이어쏘의 절단 또는 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수하기 위한 집진 장치로 이루어지는 건식 천공부; 및 냉각수 또는 분진제거용 압축공기를 주입하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하는 습식 천공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습식 천공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하는 코어드릴; 냉각수 또는 분진제거용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중공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드릴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드릴을 회전시켜 주는 동시에 주입되는 냉각수 또는 분진제거용 압축공기를 상기 코어드릴로 전달하는 드릴축; 상기 드릴축의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 설치되는 스위벨; 상기 스위벨에 설치되며, 거품호스를 연결하여 거품발생기에서 생성되는 거품을 전달받아 상기 드릴축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거품니플; 및 상기 스위벨에 설치되며, 공기호스를 연결하여 압축공기공급장치에서 생성되는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드릴축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니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습식 천공부는, 냉각수를 이용한 상기 코어드릴의 천공 과정에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발생되는 콘크리트 슬러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코어드릴에 의해 천공이 수행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측 및 하측을 덮고 설치되어 콘크리트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유출방지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출방지 덮개부는, 상기 코어드릴에 의해 천공이 수행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되, 상기 드릴축이 삽입되기 위한 상부 관통홀을 형성하는 상부 덮개; 상기 상부 덮개와 대향하면서 상기 코어드릴에 의해 천공이 수행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측을 덮고 설치되는 하부 덮개; 상기 상부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측으로 유출되어 상기 상부 덮개의 내측에 수용되는 콘크리트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부 배출 라인; 및 상기 하부 덮개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측으로 유출되어 상기 하부 덮개의 내측에 수용되는 콘크리트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부 배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출방지 덮개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측에 설치되는 작업 비계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측 마다 설치되며 상기 하부 덮개의 테두리 하측을 따라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덮개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측에 밀착시켜 주는 다수 개의 밀착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덮개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습식 천공부는, 상기 스위벨에 체결되며, 상기 코어드릴의 천공 공정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벨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위벨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켜 주는 진동 완충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 완충 장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벨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관통홀에 상기 스위벨이 안착된 뒤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위벨과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후단에 배치되는 체결 블록; 상기 체결 블록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드릴의 천공 공정에 대응하여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체결 블록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가이드 프레임; 후단이 상기 체결 블록의 전단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체결 바아; 후단이 상기 체결 블록의 전단 일측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체결 바아; 후단이 상기 체결 블록의 전단 다른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체결 바아; 후단이 상기 체결 블록의 전단 다른 일측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체결 바아;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체결 바아, 상기 제2 체결 바아, 상기 제3 체결 바아, 및 상기 제4 체결 바아 사이의 각 이격 간격 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어 상기 스위벨로부터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켜 주는 제1 완충부, 제2 완충부, 제3 완충부 및 제4 완충부로 이루어지는 진동 완충부; 상기 제1 체결 바아와 상기 제2 체결 바아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1 체결 바아, 상기 제2 체결 바아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을 차례로 관통하고 삽입 체결하되,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체결 볼트; 및 상기 제3 체결 바아와 상기 제4 체결 바아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3 체결 바아, 상기 제4 체결 바아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을 차례로 관통하고 삽입 체결하되,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체결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 바아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 절곡 프레임;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2 상부 경사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바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바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홈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상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스프링; 상기 하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3 스프링;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렉기어;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렉기어; 및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렉기어 및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기 제1 렉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프레임 바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절곡 프레임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수직 지지 바아; 및 상기 하부 지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 지지 바아의 상측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지지 기어는,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기어 본체;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본체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어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과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도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는 제1 가이드 휠; 및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본체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어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도홈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 상기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는 제2 가이드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습식 천공 및 건식 천공 방법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천공을 수행함으로써, 천공 공정 중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천공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습식 천공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습식 천공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습식 천공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제1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10)은, 건식 천공부(100) 및 습식 천공부(200)를 포함한다.
건식 천공부(100)는, 콘크리트 구조물(P)을 감싼 상태로 고속 회전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P)을 절단 또는 천공하는 와이어쏘(110), 와이어쏘(110)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 구동부(120), 및 와이어쏘(110)의 절단 또는 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수하기 위한 집진 장치(130)로 이루어진다.
습식 천공부(200)는, 냉각수 또는 분진제거용 압축공기를 주입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P)을 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10)은, 습식 천공부(200)를 이용한 습식 천공 및 건식 천공부(100)를 이용한 건식 천공 방법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천공을 수행함으로써, 천공 공정 중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천공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습식 천공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천공부(200)는, 코어드릴(210), 드릴축(220), 스위벨(230), 거품니플(240) 및 공기니플(250)을 포함한다.
코어드릴(210)은, 드릴축(220)의 하측에 설치되어 드릴축(22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P)을 천공한다.
드릴축(220)은, 거품니플(240)을 통해 전달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니플(250)을 통해 전달되는 분진제거용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중공축으로 이루어지며, 코어드릴(2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코어드릴(210)을 회전시켜 주는 동시에 주입되는 냉각수 또는 분진제거용 압축공기를 코어드릴(210)로 전달한다.
스위벨(230)은, 드릴축(220)의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관(22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 설치되며, 외측에 거품니플(240) 및 공기니플(250)이 설치된다.
거품니플(240)은, 스위벨(230)에 설치되며, 거품호스(H1)를 연결하여 거품발생기에서 생성되는 거품을 전달받아 드릴축(22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공기니플(250)은, 스위벨(230)에 설치되며, 공기호스(H2)를 연결하여 압축공기공급장치에서 생성되는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드릴축(22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천공부(200)는, 콘크리트 구조물(P)에서 거품 및 고압공기를 이용하여 코어드릴(210) 천공 시 고압공기는 코어비트날에 영향을 주어 절삭성을 저하시키는 절삭분진을 비산케 하여 비트날의 절삭성을 향상시키며 공급된 거품은 비트날의 냉각을 돕고 비산된 분진을 덩어리지게 하여 포집을 도울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습식 천공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천공부(200a)는, 코어드릴(210), 드릴축(220), 스위벨(230), 거품니플(240), 공기니플(250) 및 유출방지 덮개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코어드릴(210), 드릴축(220), 스위벨(230), 거품니플(240) 및 공기니플(250)은,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유출방지 덮개부(500)는, 냉각수를 이용한 코어드릴(210)의 천공 과정에서 콘크리트 구조물(P)로부터 발생되는 콘크리트 슬러지(S)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코어드릴(210)에 의해 천공이 수행되는 콘크리트 구조물(P)의 상측 및 하측을 덮고 설치되어 콘크리트 슬러지(S)를 외부로 배출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유출방지 덮개부(500)는, 상부 덮개(510), 하부 덮개(520), 상부 배출 라인(530) 및 하부 배출 라인(540)을 포함한다.
상부 덮개(510)는, 하부 덮개(520)와 대향하면서 코어드릴(210)에 의해 천공이 수행되는 콘크리트 구조물(P)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되, 드릴축(220)이 삽입되기 위한 상부 관통홀(511)을 형성하며, 내측에 수용되는 콘크리트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상부 배출 라인(530)이 설치된다.
하부 덮개(520)는, 상부 덮개(510)와 대향하면서 코어드릴(210)에 의해 천공이 수행되는 콘크리트 구조물(P)의 하측을 덮고 설치되며, 내측에 수용되는 콘크리트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측에 하부 배출 라인(540)이 설치된다.
상부 배출 라인(530)은, 상부 덮개(5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P)의 상측으로 유출되어 상부 덮개(510)의 내측에 수용되는 콘크리트 슬러지(S)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하부 배출 라인(540)은, 하부 덮개(5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P)의 하측으로 유출되어 하부 덮개(520)의 내측에 수용되는 콘크리트 슬러지(S)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배출 라인(530) 및 하부 배출 라인(540)은, 외부에 설치되는 흡입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 설치되어 상부 덮개(510) 및 하부 덮개(520)로부터 흡입되는 콘크리트 슬러지(S)를 빨아들인 뒤 별도로 구비된 슬러지 탱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배출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출방지 덮개부(500)는, 덮개 지지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 지지대(55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P)의 하측에 설치되는 작업 비계(B)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수직 지지대(551)와, 수직 지지대의 상측 마다 설치되며 하부 덮개(520)의 테두리 하측을 따라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하부 덮개(520)를 콘크리트 구조물(P)의 하측에 밀착시켜 주는 다수 개의 밀착 스프링(552)으로 이루어진다.
즉, 하부 덮개(520)는, 콘크리트 구조물(P)의 하측에 앙카 볼트 등에 의한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으나, 콘크리트 구조물(P)에 천공 작업 등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교량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P), 즉 슬래부의 하측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작업 비계(B)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덮개 지지대(55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P)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천공부(200a)는, 코어드릴(210)에 의한 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슬러지(S)를 외부로의 유출 없이 별도로 구비된 장소로 배출시킴으로써, 콘크리트 슬러지(S) 하천 등으로 흘러들어가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습식 천공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천공부(200b)는, 코어드릴(210), 드릴축(220), 스위벨(230), 거품니플(240), 공기니플(250) 및 진동 완충 장치(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코어드릴(210), 드릴축(220), 스위벨(230), 거품니플(240) 및 공기니플(250)은,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진동 완충 장치(300)는, 스위벨(230)에 체결되며, 코어드릴(210)의 천공 공정에 대응하여 스위벨(2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위벨(230)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완충 장치(300)는, 고정 플레이트(310), 체결 블록(320), 가이드 프레임(330), 제1 체결 바아(340), 제2 체결 바아(350), 제3 체결 바아(360), 제4 체결 바아(370), 진동 완충부(380), 제1 체결 볼트(390-1, 390-2) 및 제2 체결 볼트(395-1, 395-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31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스위벨(230)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관통홀에 스위벨(230)이 안착된 뒤 고정 설치되어 스위벨(230)과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며, 일측 상부 및 하부, 다른 일측 상부 및 하부에 안착되는 제1 완충부(381), 제2 완충부(382), 제3 완충부(383) 및 제4 완충부(384)에 의해 지지된다.
체결 블록(320)은, 고정 플레이트(310)의 후단에 배치되며, 전단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제1 체결 바아(340), 제2 체결 바아(350), 제3 체결 바아(360) 및 제4 체결 바아(37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가이드 프레임(330)은, 체결 블록(320)의 후단에 설치되며, 코어드릴(210)의 천공 공정에 대응하여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체결 블록(320)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프레임(330)은, 별도로 구비된 렉기어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 설치되어 코어드릴(210)의 천공 공정에 대응하여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체결 블록(320)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줄 수 있다.
제1 체결 바아(340)는, 후단이 체결 블록(320)의 전단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고정 플레이트(310)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체결 바아(350)는, 후단이 체결 블록(320)의 전단 일측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고정 플레이트(310)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3 체결 바아(360)는, 후단이 체결 블록(320)의 전단 다른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고정 플레이트(3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4 체결 바아(370)는, 후단이 체결 블록(320)의 전단 다른 일측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고정 플레이트(3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진동 완충부(380)는, 고정 플레이트(310)와 제1 체결 바아(340), 제2 체결 바아(350), 제3 체결 바아(360), 및 제4 체결 바아(370) 사이의 각 이격 간격 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어 스위벨(230)로부터 고정 플레이트(310)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켜 주는 제1 완충부(381), 제2 완충부(382), 제3 완충부(383) 및 제4 완충부(384)로 이루어진다.
제1 체결 볼트(390-1, 390-2)는, 제1 체결 바아(340)와 제2 체결 바아(350)가 고정 플레이트(310)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제1 체결 바아(340), 제2 체결 바아(350) 및 고정 플레이트(310)의 일측을 차례로 관통하고 삽입 체결하되, 고정 플레이트(310)가 제1 완충부(381)와 제2 완충부(382)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 플레이트(310)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 체결 볼트(395-1, 395-2)는, 제3 체결 바아(360)와 제4 체결 바아(370)가 고정 플레이트(310)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제3 체결 바아(360), 제4 체결 바아(370) 및 고정 플레이트(310)의 다른 일측을 차례로 관통하고 삽입 체결하되, 고정 플레이트(310)가 제3 완충부(383)와 제4 완충부(384)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 플레이트(310)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천공부(200a)는, 코어드릴(210)의 천공 공정에 대응하여 스위벨(2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진동 완충 장치(300)를 이용하여 스위벨(230)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제1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완충부(400)는, 제1 지지 플레이트(410), 제1 측면 절곡 프레임(420), 제2 측면 절곡 프레임(430), 제2 지지 플레이트(440), 제1 측면 지지 프레임(4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4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완충부(482), 제3 완충부(483) 및 제4 완충부(484)는, 후술하는 제1 완충부(400)와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410), 제1 측면 절곡 프레임(420), 제2 측면 절곡 프레임(430), 제2 지지 플레이트(440), 제1 측면 지지 프레임(4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46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41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체결 바아(340)의 하측을 지지하며, 일측에 제1 측면 절곡 프레임(420)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제2 측면 절곡 프레임(430)이 형성되며, 1 측면 지지 프레임(4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460)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44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지지된다.
제1 측면 절곡 프레임(420)은, 제1 지지 플레이트(410)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420a)을 형성하며, 제1 상부 경사면(420a)이 제1 측면 지지 프레임(450)의 제1 하부 경사면(450a)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측면 지지 프레임(45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
여기서, 제2 측면 절곡 프레임(430)은, 후술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420)과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420)의 절곡 프레임 바디(421), 수직 지지 바아(422) 및 수직 완충 스프링(42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절곡 프레임(420)은, 절곡 프레임 바디(421), 수직 지지 바아(422) 및 수직 완충 스프링(423)을 포함한다.
절곡 프레임 바디(421)는, 제1 지지 플레이트(410)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제1 렉기어(456)가 형성되는 제1 상부 경사면(420a)으로 이루어지며, 수직 지지 바아(422)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다.
수직 지지 바아(422)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지지 플레이트(44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절곡 프레임 바디(42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홈(421a)에 삽입 설치되어 상측이 수직 완충 스프링(423)에 의해 지지된다.
수직 완충 스프링(423)은, 하부 지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직 지지 바아(422)의 상측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여 절곡 프레임 바디(421)에 발생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측면 절곡 프레임(430)은, 제1 측면 절곡 프레임(42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4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430a)을 형성하며, 제2 상부 경사면(430a)이 제2 측면 지지 프레임(460)의 제2 하부 경사면(460a)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측면 지지 프레임(46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
제2 지지 플레이트(44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4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고정 플레이트(310)의 상측을 지지하며, 상측에 제1 측면 지지 프레임(4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460)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측면 지지 프레임(450)은, 제2 측면 지지 프레임(46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410)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440)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4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440)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제1 상부 경사면(420a)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450a)을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4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4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제1 하부 경사면(450a)이 제1 상부 경사면(420a)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된다.
여기서, 제2 측면 지지 프레임(460)은, 후술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450)과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지지 프레임 바디(451), 바디 상부 지지대(452), 제1 스프링(453), 제2 스프링(454), 제3 스프링(455), 제1 렉기어(456), 제2 렉기어(457),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458)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지지 프레임(450)은, 지지 프레임 바디(451), 바디 상부 지지대(452), 제1 스프링(453), 제2 스프링(454), 제3 스프링(455), 제1 렉기어(456), 제2 렉기어(457),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45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 바디(451)는, 제2 지지 플레이트(440)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441)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제1 하부 경사면(450a)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 바디(451)는, 상부 슬라이딩홈(441)의 이동 중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상부 슬라이딩홈(44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K2)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 상부 지지대(452)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410)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411)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지지 프레임 바디(45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4511)에 삽입 설치되어 제1 스프링(453)에 의해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 상부 지지대(452)는, 하부 슬라이딩홈(411)의 이동 중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하부 슬라이딩홈(41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K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프링(453)은, 상부 지지홈(4511)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바디 상부 지지대(452)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바디 상부 지지대(452)를 통해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스프링(454)은, 상부 슬라이딩홈(441)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 바디(451)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
제3 스프링(455)은, 하부 슬라이딩홈(411)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바디 상부 지지대(452)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
즉, 제2 스프링(454)과 제3 스프링(455)은, 지지 프레임 바디(451)과 바디 상부 지지대(452)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일측 방향, 즉 제2 상부 경사면(430a) 방향으로 밀착시켜 줌으로써 제1 측면 절곡 프레임(420)이 상측으로부터 가압되는 외력을 극복하여 하강되는 것을 저지함은 물론, 제1 측면 절곡 프레임(420)을 통해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역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제1 렉기어(456)는, 간격 지지 기어(458)를 사이에 두고 제2 렉기어(457)와 대향하며 설치되며, 제1 상부 경사면(420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간격 지지 기어(458)가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2 렉기어(457)는, 간격 지지 기어(458)를 사이에 두고 제1 렉기어(456)와 대향하며 설치되며, 제1 하부 경사면(450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간격 지지 기어(458)가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간격 지지 기어(458)는, 제1 렉기어(456)와 제2 렉기어(457)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4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렉기어(456) 및 제2 렉기어(457)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지지 프레임 바디(45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 지지 기어(458)는, 기어 본체(4581), 제1 가이드 휠(4582) 및 제2 가이드 휠(4583)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본체(4581)는, 제1 렉기어(456)와 제2 렉기어(457)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전단에 제1 가이드 휠(4582)이 연결 설치되고, 후단에 제2 가이드 휠(4583)이 연결 설치된다.
제1 가이드 휠(4582)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기어 본체(4581)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기어 본체(458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렉기어(45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과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과 대향하면서 제2 렉기어(457)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L1)에 안착된다.
제2 가이드 휠(4583)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기어 본체(4581)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기어 본체(458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제1 렉기어(45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L3) 제3 슬라이딩 유도홈(L3)과 대향하면서 제2 렉기어(457)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슬라이딩 유도홈(L4)에 안착된다.
즉, 간격 지지 기어(458)는, 절곡 프레임 바디(421)가 하강함에 따라 제1 렉기어(456)와 제2 렉기어(457)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지지 프레임 바디(451)를 이동시키거나, 지지 프레임 바디(451)가 각 스프링(454, 455)들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착됨에 따라 절곡 프레임 바디(421)를 승강시켜 줄 수 있다.
제2 측면 지지 프레임(460)은, 제1 측면 지지 프레임(45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410)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440)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4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440)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제2 상부 경사면(430a)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460a)을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4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4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제2 하부 경사면(460a)이 제2 상부 경사면(430a)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완충부(400)는, 제1 체결 바아(340)와 고정 플레이트(310) 사이의 간격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천공 공정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310)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100: 건식 천공부
200: 습식 천공부
300: 진동 완충 장치
400: 제1 완충부
500: 유출방지 덮개부

Claims (10)

  1. 콘크리트 구조물을 감싼 상태로 고속 회전하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절단 또는 천공하는 와이어쏘, 상기 와이어쏘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와이어쏘의 절단 또는 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수하기 위한 집진 장치로 이루어지는 건식 천공부; 및
    냉각수 또는 분진제거용 압축공기를 주입하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하는 습식 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습식 천공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하는 코어드릴;
    냉각수 또는 분진제거용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중공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드릴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드릴을 회전시켜 주는 동시에 주입되는 냉각수 또는 분진제거용 압축공기를 상기 코어드릴로 전달하는 드릴축;
    상기 드릴축의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 설치되는 스위벨;
    상기 스위벨에 설치되며, 거품호스를 연결하여 거품발생기에서 생성되는 거품을 전달받아 상기 드릴축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거품니플; 및
    상기 스위벨에 설치되며, 공기호스를 연결하여 압축공기공급장치에서 생성되는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드릴축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니플;을 포함하고,
    상기 습식 천공부는,
    상기 스위벨에 체결되며, 상기 코어드릴의 천공 공정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벨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위벨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켜 주는 진동 완충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완충 장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벨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관통홀에 상기 스위벨이 안착된 뒤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위벨과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후단에 배치되는 체결 블록;
    상기 체결 블록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드릴의 천공 공정에 대응하여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체결 블록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가이드 프레임;
    후단이 상기 체결 블록의 전단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체결 바아;
    후단이 상기 체결 블록의 전단 일측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체결 바아;
    후단이 상기 체결 블록의 전단 다른 일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체결 바아;
    후단이 상기 체결 블록의 전단 다른 일측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체결 바아;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체결 바아, 상기 제2 체결 바아, 상기 제3 체결 바아, 및 상기 제4 체결 바아 사이의 각 이격 간격 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어 상기 스위벨로부터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켜 주는 제1 완충부, 제2 완충부, 제3 완충부 및 제4 완충부로 이루어지는 진동 완충부;
    상기 제1 체결 바아와 상기 제2 체결 바아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1 체결 바아, 상기 제2 체결 바아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을 차례로 관통하고 삽입 체결하되,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체결 볼트; 및
    상기 제3 체결 바아와 상기 제4 체결 바아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3 체결 바아, 상기 제4 체결 바아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을 차례로 관통하고 삽입 체결하되,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체결 볼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천공부는,
    냉각수를 이용한 상기 코어드릴의 천공 과정에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발생되는 콘크리트 슬러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코어드릴에 의해 천공이 수행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측 및 하측을 덮고 설치되어 콘크리트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유출방지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방지 덮개부는,
    상기 코어드릴에 의해 천공이 수행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되, 상기 드릴축이 삽입되기 위한 상부 관통홀을 형성하는 상부 덮개;
    상기 상부 덮개와 대향하면서 상기 코어드릴에 의해 천공이 수행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측을 덮고 설치되는 하부 덮개;
    상기 상부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측으로 유출되어 상기 상부 덮개의 내측에 수용되는 콘크리트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부 배출 라인; 및
    상기 하부 덮개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측으로 유출되어 상기 하부 덮개의 내측에 수용되는 콘크리트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부 배출 라인;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방지 덮개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측에 설치되는 작업 비계에 안착되는 다수 개의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측 마다 설치되며 상기 하부 덮개의 테두리 하측을 따라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덮개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측에 밀착시켜 주는 다수 개의 밀착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덮개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체결 바아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 절곡 프레임;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2 상부 경사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바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바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홈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상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스프링;
    상기 하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3 스프링;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렉기어;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렉기어; 및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렉기어 및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기 제1 렉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프레임 바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절곡 프레임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수직 지지 바아; 및
    상기 하부 지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 지지 바아의 상측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KR1020210025436A 2021-02-25 2021-02-25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KR102282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436A KR102282791B1 (ko) 2021-02-25 2021-02-25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436A KR102282791B1 (ko) 2021-02-25 2021-02-25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791B1 true KR102282791B1 (ko) 2021-07-27

Family

ID=77125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436A KR102282791B1 (ko) 2021-02-25 2021-02-25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7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3064A (zh) * 2022-04-29 2022-06-28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基于高压面气流的混凝土铺面板拆除装备及方法
KR102535731B1 (ko) 2023-01-06 2023-05-26 한국스틸 주식회사 수중구조물용 와이어쏘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62699B1 (ko) 2023-03-15 2023-08-02 주식회사 디엠 슬러지 가용화를 위한 수중구조물용 와이어쏘 절단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075A (ko) 1994-11-18 1996-06-17 이종수 콘크리트 관의 구멍 천공기
KR970012382U (ko) 1995-09-21 1997-04-25 김동용 콘크리트관의 천공 및 절단장치
KR101074257B1 (ko) * 2011-03-28 2011-10-14 최태철 잉곳 가공용 코어드릴링 머신의 완충장치
KR101531173B1 (ko) * 2014-04-10 2015-06-25 박종협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 해체 장치
KR102115559B1 (ko) * 2019-12-24 2020-05-26 인영건설 주식회사 거품과 고압공기가 적용된 코어드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075A (ko) 1994-11-18 1996-06-17 이종수 콘크리트 관의 구멍 천공기
KR970012382U (ko) 1995-09-21 1997-04-25 김동용 콘크리트관의 천공 및 절단장치
KR101074257B1 (ko) * 2011-03-28 2011-10-14 최태철 잉곳 가공용 코어드릴링 머신의 완충장치
KR101531173B1 (ko) * 2014-04-10 2015-06-25 박종협 다이아몬드 와이어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 해체 장치
KR102115559B1 (ko) * 2019-12-24 2020-05-26 인영건설 주식회사 거품과 고압공기가 적용된 코어드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3064A (zh) * 2022-04-29 2022-06-28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基于高压面气流的混凝土铺面板拆除装备及方法
CN114673064B (zh) * 2022-04-29 2023-12-01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基于高压面气流的混凝土铺面板拆除装备及方法
KR102535731B1 (ko) 2023-01-06 2023-05-26 한국스틸 주식회사 수중구조물용 와이어쏘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62699B1 (ko) 2023-03-15 2023-08-02 주식회사 디엠 슬러지 가용화를 위한 수중구조물용 와이어쏘 절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79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 시스템
CN110076387B (zh) 一种建筑钢管切割装置
CN112338234A (zh) 一种带有定位导向功能的深孔钻床
CN108890499A (zh) 一种机械同步除屑的双头切割装置
JP6961687B2 (ja) タンピングユニット及び軌道の枕木を突き固める方法
CN107553579A (zh) 降噪型板材切割机
CN106944869A (zh) 一种模具加工用低噪音镗床
CN212249831U (zh) 一种新型降尘道路工程用钻孔机
CN217819444U (zh) 一种市政道桥混凝土质量检测用取样钻孔装置
CN115787763A (zh) 铣槽装置和双轮铣槽机
CN212296259U (zh) 一种钻孔机用减震型钻头夹具
CN112098140B (zh) 一种地质勘测设备及其勘测方法
CN212743879U (zh) 一种桥梁施工用灌注桩钻孔机
CN211009701U (zh) 一种桩机安装用减震基座
KR102077745B1 (ko) 폐열 회수를 위한 열교환기가 마련된 발전기의 면진장치
CN220014499U (zh) 一种建筑砂浆振捣棒
CN207982451U (zh) 一种消音减震切割机底座
CN212743867U (zh) 一种勘探用的打孔装置
CN213671907U (zh) 一种汽车支架多头打孔机
CN217403859U (zh) 新型公路工程质量检验装置
CN217123583U (zh) 一种移动式顶部打孔辅助支架
CN212804037U (zh) 一种机械式减震阻尼器
CN104289915B (zh) 注塑件过线孔超声模具钻铣线
CN213087918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道路钻机平台
CN211825112U (zh) 一种市政道路检测用取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