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253B1 -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253B1
KR102282253B1 KR1020210018328A KR20210018328A KR102282253B1 KR 102282253 B1 KR102282253 B1 KR 102282253B1 KR 1020210018328 A KR1020210018328 A KR 1020210018328A KR 20210018328 A KR20210018328 A KR 20210018328A KR 102282253 B1 KR102282253 B1 KR 102282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component adhesive
battery pack
battery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근
Original Assignee
안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창근 filed Critical 안창근
Priority to KR102021001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5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eans allowing the stock of material to consist of at least two different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03Details of the outlet element
    • B05C17/00506Means for connecting the outlet element to, or for disconnecting it from, the hand tool or its container
    • B05C17/00509Means for connecting the outlet element to, or for disconnecting it from, the hand tool or its container of the bayon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05C17/010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with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제조 공장이 아닌 직영 정비소나 일반 공업사 등에서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을 교환할 때 제조 공장에 시공된 자동화 설비가 아닌 정비소나 공업사의 현장 여건에 맞는 맞춤 설비를 제공하여 배터리모듈 고정용 이액형 접착제를 쉽고 정확하게 도포함으로써, 배터리모듈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는, 전기차용 배터리팩 트레이의 모듈 장착부에 탈착되는 클램핑 수단을 구비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 상부에 구비된 직교 좌표 로봇; 상기 직교 좌표 로봇의 수직행거에 장착되며, 배터리모듈 고정용 이액형 접착제를 상기 모듈 장착부의 바닥면에 도포하는 디스펜스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ADHESIVE COATING APPARATUS FOR BATTERY MODULE REPLACEMENT OF ELECTRIC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제조 공장이 아닌 직영 정비소나 일반 공업사 등에서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을 교환할 때 제조 공장에 시공된 자동화 설비가 아닌 정비소나 공업사의 현장 여건에 맞는 맞춤 설비를 제공하여 배터리모듈 고정용 이액형 접착제를 쉽고 정확하게 도포함으로써, 배터리모듈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에 대한 대처로 탄소 중립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탄소 중립이란, 석유, 석탄 등 탄소 배출이 이루어지는 연료의 사용을 최대한으로 줄이고, 필요 시 탄소 배출을 제로화하는 개념으로써, 이를 위해 내연기관 자동차의 대안으로 전기차의 필요성 및 수요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전기차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바, 장거리, 장시간 주행을 위한 대용량 배터리가 필수적이며, 이에 차체의 하부에 대용량 배터리팩이 장착되어 제작된다.
공개특허 제10-2018-0047791호, 공개특허 제10-2013-0119764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차용 배터리팩은 배터리팩 케이스의 트레이에 수개의 배터리모듈이 장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모듈은 다수개의 배터리셀의 집합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은 상기 트레이에 장착될 때 바닥면에 방진 처리를 한 다음 접착제로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커버를 씌우면서 볼트로 고정되며, 이때 트레이에 대한 접착제 도포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배터리팩 전체의 조립이 가능해진다.
한편 전기차용 배터리팩은 제조사별로 일정 주행기간 내지 주행거리를 사용기한으로 보장해주는데, 보장 기간이나 보장 거리가 만료되기 전이라도 배터리팩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이 경우 배터리팩 전체의 교체보다는 이상이 발생한 배터리모듈 내지 배터리셀을 교환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런데 전기차용 배터리팩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제조 공장에는 상기한 배터리모듈의 장착을 위한 자동화 설비가 완비되어 있어, 작업자의 관리 하에 배터리팩 생산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전기차 제조사의 직영 정비소나 일반 공업사의 경우 전기차용 배터리팩 수리를 위한 전문 설비, 특히 배터리모듈 교환 시 배터리모듈 고정용 이액형 접착제를 도포하는 설비가 전무하여, 배터리팩의 이상 발생 시 일부 배터리모듈의 교환만으로 수리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설비의 미비로 인해 전기차를 배터리팩 제조 공장으로 입고해시킨 후 해당 수리 작업을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전기차 사용자는 물론 수리업자 및 제조업자에게도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배터리모듈 고정용 이액형 접착제는 매우 정밀하게 도포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접착제 도포 작업으로는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바, 상기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정비소나 공업사와 같이 배터리팩 전문 제조 공장이 아닌 곳에서도 배터리모듈의 단순 교환을 가능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 전기차에 대한 관심 내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해당 기술의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 해당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제조 공장이 아닌 직영 정비소나 일반 공업사 등에서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을 교환할 때 제조 공장에 시공된 자동화 설비가 아닌 정비소나 공업사의 현장 여건에 맞는 맞춤 설비를 제공하여 배터리모듈 고정용 이액형 접착제를 쉽고 정확하게 도포함으로써, 배터리모듈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를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는,
전기차용 배터리팩 트레이의 모듈 장착부에 탈착되는 클램핑 수단을 구비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 상부에 구비된 직교 좌표 로봇;
상기 직교 좌표 로봇의 수직행거에 장착되며, 배터리모듈 고정용 이액형 접착제를 상기 모듈 장착부의 바닥면에 도포하는 디스펜스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에서,
상기 디스펜스건은, 이액형 접착제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하단에 연결되며 스테틱믹서가 내장된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 하단에 연결된 노즐부를 포함하되,
상기 노즐부는, 소정 직경을 갖는 접착제 주입구, 상기 주입구 하단에 연결되되 하부로 갈수록 상기 주입구의 직경 대비 전후 폭이 좁아지면서 좌우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에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토출구의 출구측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출구의 전후 폭이 달라지게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에서,
상기 직교 좌표 로봇은, 프레임에 내장된 캠샤프트 및 상기 캠샤프트를 일방향 회전시키는 에어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는,
전기차용 배터리팩 전문 제조 공장에 시공된 고가의 자동화 설비 없이도, 전기차의 직영 정비소나 일반 공업사 등에서 쉽게 배터리모듈의 교환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접착제 도포 작업의 정밀도가 매우 높아 배터리모듈 교환 작업에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라도 배터리모듈의 교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배터리모듈 고정용 이액형 접착제, 특히 이액형 실리콘 접착제를 트레이의 바닥면에 매우 얇은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하여 고정된 배터리모듈의 균형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터리모듈이 안전하게 고정되게 하고,
배터리모듈 고정용 이액형 접착제가 일정 이상의 면적을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게 하여 접착제 도포 작업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가 트레이에 안정적으로 고정 장착되어 작동 중 장치의 틀어짐이나 이탈을 방지하여 접착제 도포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으며,
캠샤프트 및 에어모터를 통해 직교 좌표 로봇의 전후 또는 좌우 주행 이동을 자동화시킴과 동시에, 핸들을 이용한 수동 주행을 동시에 접목함으로써, 접착제 도포작업의 신속도 및 정밀도를 모두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의 요부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수단의 작동 상태별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의 단면도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차용 배터리팩 트레이(T)의 모듈 장착부(Ta)에 탈착되는 클램핑 수단(11)을 구비한 본체프레임(10);
상기 본체프레임(10) 상부에 구비된 직교 좌표 로봇(20);
상기 직교 좌표 로봇(20)의 수직행거(23)에 장착되며, 배터리모듈 고정용 이액형 접착제를 상기 모듈 장착부(Ta)의 바닥면에 도포하는 디스펜스건(30)(에어실린더건);을 포함한다.
먼저 전기차용 배터리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배터리팩 케이스의 저면부를 형성하는 트레이(T)에는 상면이 개구된 형태의 모듈 장착부(Ta)가 측벽부(Tb)로 구획화되어 복수개 마련되어 있으며, 각 모듈 장착부(Ta)에 다수개의 배터리셀로 이루어진 배터리모듈(미도시)이 접착제로 고정된 상태에서 볼팅 결합된 후 배터리팩 케이스의 커버가 씌워져 조립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S는 트레이(T)가 안착되는 받침부이고, 도면부호 H는 상기 받침부(S) 일측에 설치된 호이스트로써, 상기 호이스트(H)를 조작하여 분해된 트레이(T)를 상기 받침부(S)로 이송한 다음, 상기 호이스트(H)로 본체프레임(10)을 배터리모듈이 재장착될 모듈 장착부(Ta) 위로 이송하여 배터리모듈의 고정을 위한 접착제 도포작업이 실시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수직, 수평프레임의 조립체로써, 하측면을 제외한 각 프레임들 사이의 나머지 면에 투명 커버(미도시)가 결합되어 접착제가 도포되는 작업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수단(11)은 상기 본체프레임(10)을 각 모듈 장착부(Ta)의 직상부에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단측 수평프레임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모듈 장착부(Ta)의 측벽부(Tb)에 상기 본체프레임(10)을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램핑 수단(11)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하단 외측면에 결합된 브래킷(111),
상기 브래킷(111)에서 상하 회동하게 결합되는 일측 제1 힌지부(112a)와, 상기 모듈 장착부(Ta)의 측벽부(Tb) 외면을 가압하도록 돌출된 타측 가압부(112b)를 구비한 클램핑바(112),
상기 브래킷(111)에서 상하 회동하게 결합되는 일측 제2 힌지부(113a)와, 타측 파지부(113b)와, 하향 회동 시 상기 클램핑바(112)를 눌러주는 누름부(113c)를 구비한 잠금레버(113)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바(112)는 상기 잠금레버(113)의 가압이 해제되면 상하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여 본체프레임(10)을 측벽부(Tb) 상에서 쉽게 탈거 및 안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잠금레버(113)는 상기 클램핑바(112)가 관통할 수 있는 이중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클램핑바(112)와 잠금레버(113)가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개별 회동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누름부(113c)는 상기 잠금레버(113)의 외측단 소정 위치에 돌출되어 있어, 상기 잠금레버(113)를 상향 회동시켜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바(112)를 하향 회동시켜 상기 가압부(112b)를 상기 측벽부(Tb)의 외측면에 접하게 한 후, 상기 잠금레버(113)를 하향 회동시켜 잠그면, 상기 누름부(113c)가 상기 클램핑바(112)를 내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112b)가 상기 측벽부(Tb)를 강하게 눌러주며, 따라서 상기 측벽부(Tb)의 사면을 따라 구비된 복수개의 클램핑 수단(11)을 모두 잠그면 상기 본체프레임(10)이 상기 모듈 장착부(Ta)의 직상부에 안전하게 장착, 고정된다.
이때 제조사별로 배터리팩을 구성하는 트레이(T)의 모양 등이 달라질 수 있는 바, 상기 클램핑 수단(11)은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설명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에 공지된 각종 클램핑 장치를 본체 프레임(10)에 탈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직교 좌표 로봇(20)은, 전후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21), 좌우 수평방향으로 양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1)에 연결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프레임(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 이동프레임(22),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22) 하단에서 수평 이동프레임(2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행거(23),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22) 및 수직행거(23)의 주행 이동을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1) 또는 수평 이동프레임(22) 또는 이들 모두에 내장된 캠샤프트(22A) 및 상기 캠샤프트(22A)를 일방향 회전시키는 에어모터(24B)를 포함한다.
상기 캠샤프트(22A)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 나선홈이 형성된 것으로 일방향 회전 시 캠샤프트(22A)에 결합된 이동블록이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한다.
따라서 이액형 접착제 도포 시 상기 에어모터(24B)가 상기 캠샤프트(22A)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블록에 연결된 수직행거(23), 즉 디스펜서건(30)이 왕복으로 자동 주행하면서 이액형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는 직영 정비소나 일반 공업사의 현장에는 기본적으로 컴프레서를 이용한 공압 공급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이러한 정비소나 공업사의 현장 여건 및 본체프레임(10)의 이동 설치 특성을 감안해 에어모터(24B)를 이용하여 직교 좌표 로봇(20)의 자동 주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며,
이 경우 에어모터(24B)는 회전축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기 때문에, 프레임에 내장된 캠샤프트(22A)를 통해 직교 좌표 로봇(20)의 자동 왕복 주행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상기 구동수단으로써,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22)을 수동으로 주행시키는 주행핸들(24A)과, 상기 수직행거(23)를 자동으로 주행시키는 에어모터(24B)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주행핸들(24A) 또는 에어모터(24B)만으로 수평 이동프레임(22) 및 수직행거(23)의 구동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직교 좌표 로봇(20)은 수동 조작 및/또는 세팅된 좌표 이동으로 상기 수직행거(23)가 전후좌우 주행 이동을 하며, 이에 상기 수직행거(23)는 일측 후방측에서 타측 전방측을 향해 전후로 지그재그 주행을 하면서 상기 디스펜스건(30)의 노즐부(35)가 상기 모듈 장착부(Ta)의 바닥면에 전체를 지나가게 한다.
특히, 직영 정비소나 일반 공업사의 현장 여건을 감안해, 직교 좌표 로봇(20)이 전후 또는 좌우 왕복 주행을 캠샤프트(22A) 및 에어모터(24B)로 구현함에 따라,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해지고,
에어모터(24B)를 이용한 자동 주행과 함께 주행핸들(23A)을 이용한 수동 주행을 접목함으로써, 접착제 도포 작업의 신속도 및 정밀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다.
상기 디스펜스건(30)은 상부의 공압 실린더(31) 및 상기 공압 실린더(31) 하부에서 탈착 가능한 도포노즐(3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공압 실린더(31)는 이액형 접착제의 동시 주입을 위해, 컴프레서의 공압으로 동시에 승강하여 인출입 작동하는 피스톤(미도시)을 구비하며, 각 피스톤은 후술하는 저장통(331)으로 하강하면서 접착제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이액형 접착제란, 이종의 서로 다른 물질(예를 들어 경화제와 접착용 실리콘)이 각기 저장된 상태에서 토출 중 실린더부(34)의 스테틱믹서(341)를 지나면서 서로 혼합되어 토출 후 실리콘이 경화되면서 접착제로 기능하는 것을 말하며, 실리콘 외에 공지된 다양한 이액형 접착제(에폭시, 아크릴, 우레탄 등)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배터리팩의 특성 상 절연성 등을 위해선 이액형 실리콘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포노즐(32)은 상기 공압 실린더(31) 하부에 연결된 장착부(3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도포노즐(32)은,
이액형 접착제 저장부(33), 상기 저장부(33)의 하단에 연결되며 스테틱믹서(341)가 내장된 실린더부(34), 상기 실린더부(34) 하단에 연결된 노즐부(35)를 포함하되,
상기 노즐부(35)는, 소정 직경을 갖는 접착제 주입구(351), 상기 주입구(351) 하단에 연결되되 하부로 갈수록 상기 주입구(351)의 직경 대비 전후 폭이 좁아지면서 좌우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 토출구(352)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33)는 이액형 접착제를 구성하는 이종(異種)의 접착물이 각각 저장된 한 쌍의 저장통(331)으로 구성되며, 각 저장통(331)의 상단은 개구되어 상기 피스톤으로 밀폐되고, 각 저장통(331)의 하단은 상기 실린더부(34)의 상단으로 통합되어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부(34)는 상기 공압 실린더(31)에 의해 배출되는 이종의 접착제가 서로 혼합되게 하는 것으로, 각 접착제는 실린더부(34)를 지나면서 공지된 스테틱믹서(341)에 의해 혼합이 이루어진 후 상기 노즐부(35)로 배출된다.
상기 노즐부(35)는 혼합된 이액형 접착제를 상기 모듈 장착부(Ta)의 바닥면으로 토출하여 도포하는 것으로, 특히 좌우로 넓게 형성된 토출구(352)를 구비하여, 이액형 접착제가 소정 너비의 면적을 가지면서 도포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구(351)는 상기 실린더부(34)의 배출공과 동일한 사이즈의 구멍으로, 상기 주입구(351)의 하측 끝단부에 상기 토출구(352)의 입구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352)는 이액형 접착제를 좌우로 넓게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측 입구에서부터 하단측 출구까지 전후 폭이 점감되면서 좌우 폭이 넓어지는 형태이며, 이때 상기 토출구(352)의 출구(352a)는 상하 소정 높이로 전후 폭의 변화가 없는 장방형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토출구(352)는 좌우 폭이 넓어지는 너비에 대한 보상으로 전후 폭의 너비가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351)를 통해 공급되는 혼합된 이액형 접착제가 압력이나 유량, 속도 변화 없이 넓게 균일하게 퍼져서 상기 모듈 장착부(Ta)의 바닥면에 토출되게 한다.
나아가 상기 노즐부(35)는, 상기 토출구(352)의 출구(352a)측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출구(352a)의 전후 폭이 달라지게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한다.
상기 그루브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352)의 출구(352a)측 전후 각 내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형으로 연결되는 파형 분산홈(352b),
또는 상기 토출구(352)의 출구(352a)측 전후 각 내면이 좌우 광폭부에서 중앙 협폭부를 향해 내측으로 볼록하게 유선형으로 연결되는 만곡형 분산홈(352c)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그루브는 상기 토출구(352)의 출구(352a)를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폭을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이액형 접착제가 상기 토출구(352)의 출구(352a)를 지날 때 좌우 및 중앙의 압력을 균일하게 조정, 분산시켜, 상기 토출구(352)의 출구(352a)에서 토출되는 이액형 접착제의 유량이 출구의 길이방향으로 모두 동일하게 맞춰진다.
한편 상기 노즐부(35)는 상기 주입구(351)와 토출구(352)를 구비한 바디(353)와, 상기 바디(353)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부(34)의 하측 끝단부가 삽입되는 어댑터(354)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353)는 토출구(352) 및 그루브 가공을 위해 전후 배열된 한 쌍의 분체(353a)(353b)가 볼트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353)와 어댑터(354)는 접면에 개재되는 오링으로 각 접면 틈새에 대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데 반해, 상기 한 쌍의 분체(353a)(353b)는 결합 구조로 인해 오링의 사용이 불가능하며, 이에 분체(353a)(353b)들을 볼트로 조여서 기밀성을 확보하고 있으나, 볼트의 조임이 조금이라도 느슨해지면 분체(353a)(353b)들 사이가 벌어져 기밀성이 상실될 수 있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분체(353a)(353b) 사이, 특히 상기 주입구(351)와 토출구(352)를 기준으로 좌우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접면에 대한 기밀성을 확보하는 고리형 패킹(355)을 더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한 쌍의 분체(353a)(353b) 중 일측 분체(353a)는, 접면의 양 측변 테두리 내측을 따라 형성된 끼움홈(356)과, 상기 끼움홈(35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끼움홈(356)의 바닥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되 바닥면 내측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된 테이퍼홈(356a)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분체(353a)(353b) 중 타측 분체(353b)는, 접면의 양 측변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이퍼홈(356a)들에 대응하게 배열되어 돌출되되 상기 테이퍼홈(356a)에 상응하는 직경의 첨단부(357a)를 갖는 가압돌기(357)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형 패킹(355)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홈(356)에 끼움 결합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자형으로 연결된 탄성기밀부(355a)와, 상기 탄성기밀부(355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돌기(357)에 대응하게 배열되며 상기 테이퍼홈(356a)의 최소직경부(d1)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삽입공(355b)들을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분체(353a)(353b)가 서로 접하여 조림될 때, 상기 가압돌기(357)가 상기 삽입공(355b)을 관통하여 상기 테이퍼홈(356a)에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삽입공(355b)을 확장시켜, 상기 탄성기밀부(355a)가 상기 끼움홈(356) 및 상기 가압돌기(357)들 사이에 밀착되어 기밀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끼움홈(356)은 상기 토출구(352)의 좌우 너비 변화에 맞춰 일측 분체(353a)의 접면 좌우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다.
상기 테이퍼홈(356a)은 내주면의 직경이 점감되게 테이퍼진 형태로써, 도면 기준으로 상광하협의 직경을 갖는 기둥 형상이다.
상기 가압돌기(357)는 상기 테이퍼홈(356a)의 최대직경부(d2)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돌출된 몸체부의 일측 끝단부에 상기 테이퍼홈(356a)의 직경에 상응하는 첨단부(357a)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리형 패킹(355)은 링 형상의 탄성기밀부(355a)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형태로써,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355b)이 상기 테이퍼홈(356a)의 최소직경부(d1)에 상응하는 내경을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고리형 패킹(355)을 상기 끼움홈(356)에 끼운 상태에서 각 가압돌기(357)의 첨단부(357a)를 삽입공(355b)에 맞추어서 한 쌍의 분체(353a)(353b)를 맞댄 후 볼트 결합하면, 볼트의 조임으로 분체(353a)(353b)들이 서로 밀착됨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357)가 상기 삽입공(355b)을 관통하면서 상기 첨단부(357a)가 상기 테이퍼홈(356a)에 끼워져 결합되며, 이때 첨단부(357a)에 끼워졌던 원형의 탄성기밀부(355a)가 가압돌기(357)의 몸체부에 외삽됨에 따라 삽입공(355b)이 확장되며, 이는 납작한 형태의 탄성기밀부(355a)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형태로 압착되면서 상기 끼움홈(356) 및 가압돌기(357)들 사이의 면에 밀착이 이루어져 기밀성을 확보하게 되며, 이러한 고리형 패킹(355)은 가압돌기(357)의 끼움 구조로 인해 끼움홈(356)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 : 트레이 Ta : 모듈 장착부
S : 받침부 H : 호이스트
10 : 본체프레임 11 : 클램핑 수단
20 : 직교 좌표 로봇 21 : 가이드프레임
22 : 수평 이동프레임 22A : 캠샤프트
23 : 수직행거 24A : 주행핸들
24B : 에어모터 30 : 디스펜스건
31 : 공압 실린더 32 : 도포노즐
33 : 이액형 접착제 저장부 34 : 실린더부
35 : 노즐부 341 : 스테틱믹스

Claims (4)

  1. 전기차용 배터리팩 트레이의 모듈 장착부에 탈착되는 클램핑 수단을 구비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 상부에 구비된 직교 좌표 로봇;
    상기 직교 좌표 로봇의 수직행거에 장착되며, 배터리모듈 고정용 이액형 접착제를 상기 모듈 장착부의 바닥면에 도포하는 디스펜스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스건은, 이액형 접착제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하단에 연결되며 스테틱믹서가 내장된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 하단에 연결된 노즐부를 포함하되,
    상기 노즐부는, 소정 직경을 갖는 접착제 주입구, 상기 주입구 하단에 연결되되 하부로 갈수록 상기 주입구의 직경 대비 전후 폭이 좁아지면서 좌우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토출구의 출구측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출구의 전후 폭이 달라지게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을 상기 모듈 장착부의 직상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단측 수평프레임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모듈 장착부의 측벽부에 상기 본체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단 외측면에 결합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서 상하 회동하게 결합되는 일측 제1 힌지부와, 상기 모듈 장착부의 측벽부 외면을 가압하도록 돌출된 타측 가압부를 구비한 클램핑바,
    상기 브래킷에서 상하 회동하게 결합되는 일측 제2 힌지부와, 타측 파지부와, 하향 회동 시 상기 클램핑바를 눌러주는 누름부를 구비한 잠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좌표 로봇은, 프레임에 내장된 캠샤프트 및 상기 캠샤프트를 일방향 회전시키는 에어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
KR1020210018328A 2021-02-09 2021-02-09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 KR102282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328A KR102282253B1 (ko) 2021-02-09 2021-02-09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328A KR102282253B1 (ko) 2021-02-09 2021-02-09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253B1 true KR102282253B1 (ko) 2021-07-27

Family

ID=77125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328A KR102282253B1 (ko) 2021-02-09 2021-02-09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4647B1 (ko) 2023-12-07 2024-06-13 주식회사 일맥나노시스템즈 석션 기능을 포함하는 접착제 도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3086A (ja) * 1997-11-26 1999-08-27 Lucent Technol Inc バッテリーパックとそのハウジング部、およびバッテリーパックの製造方法
JP2000005679A (ja) * 1998-06-24 2000-01-11 Shibaura Mechatronics Corp 塗布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装置
KR200383471Y1 (ko) * 2005-02-14 2005-05-03 동서화학공업 주식회사 도장용 광폭 노즐
KR20150135317A (ko) * 2013-03-27 2015-12-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3086A (ja) * 1997-11-26 1999-08-27 Lucent Technol Inc バッテリーパックとそのハウジング部、およびバッテリーパックの製造方法
JP2000005679A (ja) * 1998-06-24 2000-01-11 Shibaura Mechatronics Corp 塗布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装置
KR200383471Y1 (ko) * 2005-02-14 2005-05-03 동서화학공업 주식회사 도장용 광폭 노즐
KR20150135317A (ko) * 2013-03-27 2015-12-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4647B1 (ko) 2023-12-07 2024-06-13 주식회사 일맥나노시스템즈 석션 기능을 포함하는 접착제 도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253B1 (ko) 전기차용 배터리팩의 배터리모듈 교환용 이액형 접착제 도포장치
CN104159676B (zh) 液体定量吐出装置、其涂布装置及液体定量吐出方法
CN108620246B (zh) 一种内加电静电旋杯自动喷涂农机驾驶舱及其操作方法
EP2865509B1 (en) Self-centering sealant applicator
CN108871702B (zh) 一种气密检测设备中的整体气密和薄膜气密检测设备
CN111054582A (zh) 一种高粘度环氧灌封胶真空点胶装置
CN214186716U (zh) 一种微细孔磨粒流体研磨设备
CN104723097A (zh) 蝶阀装配生产线
EP3616798B1 (en) Cable unit, and liquid material supply device and application device in which said cable unit is used
CN215141614U (zh) 一种狭缝挤出式高精密平板涂布机
CN113210205A (zh) 一种狭缝挤出式高精密平板涂布机及涂布方法
CN215414975U (zh) 一种玻璃涂层附着力测试设备
CN105980066A (zh) 具有集成阀座的喷涂机
JP2023515141A (ja) ロボット補修作業のための低粘度ポリッシュ剤システム
CN117120175A (zh) 用于在外围沟槽内自动施加密封剂的胶珠的系统和方法
CN208295423U (zh) 一种可拆卸和快速定位连接的接触网测量仪安装底座
CN102279489B (zh) 液化材料滴落单元及具有其的液化材料滴落设备
CN207343178U (zh) 一种桌面式双组份点胶机器人
US20210162448A1 (en) Nozzle adapter, nozzle adapter set, application device, and application system
CN216988383U (zh) 密封胶点胶装置
CN218925149U (zh) 一种水剂型涂胶机
CN105627067A (zh) 润滑脂加注装置
CN110153698A (zh) 一种重卡驱动桥轮毂压装自动线
CA2112428A1 (en) Mastic material applicator tool for a robot
CN219898879U (zh) 一种柱状管壳内壁涂胶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