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225B1 - 차량용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225B1
KR102282225B1 KR1020190137999A KR20190137999A KR102282225B1 KR 102282225 B1 KR102282225 B1 KR 102282225B1 KR 1020190137999 A KR1020190137999 A KR 1020190137999A KR 20190137999 A KR20190137999 A KR 20190137999A KR 102282225 B1 KR102282225 B1 KR 102282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using
bracket
storage devic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000A (ko
Inventor
전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37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2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2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용 수납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장치는 차체에 마련되며,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박스부; 상기 박스부의 내부에 구비된 마운팅부; 상기 마운팅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수납장치{RECEIV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개시 수납공간이 개방되고 수납시 수납공간이 폐쇄되는 차량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탑승자를 운송하거나 또는 물건을 운반하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차량에는 탑승자가 착좌할 수 있는 시트부가 제공되거나 또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종래의 차량용 수납장치는 수납부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구조체로 마련되었다. 그리고 별도의 구조체로 마련된 수납장치는 차량의 내부공간을 점유함으로써 차량의 내부공간의 공간 활용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건을 수납한다고 하더라도 수납부가 지속적으로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물건의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용 수납장치라고 하더라도 차량의 내부공간을 점유하지 않으며, 수납된 물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차량용 수납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30698호(2001년 05월 04일, 공개)
본 실시 예는 전개시 수납공간이 개방되고 수납시 수납공간이 폐쇄되는 차량용 수납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실시 예는 수납장치가 차량의 내부공간을 점유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내부공간의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차체에 마련되며,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박스부; 상기 박스부의 내부에 구비된 마운팅부; 상기 마운팅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전개시 상기 수납공간이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해 개방되며, 수납시 상기 박스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체는 차량의 내부측에 배치되는 이너패널 및 상기 이너패널과 이격되어 차량의 외부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부는 함몰 형성되는 홈 형상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을 둘러싸며 상기 이너패널과 결합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는 제1 회전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회전축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지지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C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이 상기 마운팅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반경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이 상기 마운팅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반경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제2 회전축이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회전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지지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C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패널과, 상기 플로어패널을 둘러싸는 복수의 사이드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플로어패널은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로어패널 중 차량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브라켓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반경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받침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로어패널 중 차량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브라켓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반경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받침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을 잡아당겨서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수납장치는 전개시 수납공간이 개방되며 수납시 수납공간이 폐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수납장치는 수납시 차량의 내부공간을 점유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내부공간 활용이 증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수납장치는 수납시 수납공간이 폐쇄되므로 수납된 물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수납장치는 수납된 물건의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부, 마운팅부 및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박스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마운팅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브라켓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수납공간이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부, 마운팅부 및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박스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마운팅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브라켓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수납공간이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장치는 차체(10)에 마련되며,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박스부(100)와, 박스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마운팅부(200), 마운팅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300) 및 브라켓(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납공간(410)이 형성된 하우징(400)을 포함하고, 하우징(400)은 전개시 수납공간(410)이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해 개방되며, 수납시 박스부(100)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박스부(100)는 차체(10)에 마련될 수 있다. 박스부(100)는 함몰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홈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면(110)과 바닥면(110)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면(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120)은 일측은 바닥면(110)과 결합되며, 타측은 차체(10)와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박스부(100)는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면이 개방될 수 있다.
차량의 내부공간은 탑승자가 탑승하는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차량의 트렁크 룸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장치는 필러부 또는 도어부에 마련되는 경우 하우징(400)의 수납공간(410)이 차량의 실내공간(CABIN)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장치는 트렁크 룸에 마련되는 경우 하우징(400)의 수납공간(410)이 차량의 트렁크 룸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박스부(100)는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면이 개방됨으로써 후술하는 하우징(400)이 박스부(100)에 수납될 수 있다. 한편, 박스부(100)는 차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차체(10)와는 별도 부품으로 성형되어 차량의 차체(1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마운팅부(200)는 박스부(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마운팅부(200)는 박스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박스부(100)와 별도 부품으로 성형되어 박스부(10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마운팅부(200)가 박스부(10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용접, 볼팅 또는 핀 결합 등 다양한 결합수단을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마운팅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또는 체결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일측이 브라켓(300)이 마운팅부(20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타측이 후술하는 하우징(400)이 브라켓(30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브라켓(300)의 제1 회전축(311)이 마운팅부(200)의 제1 회전지지부(210)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함으로써 브라켓(300)이 차량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0)의 제2 회전지지부(421)가 브라켓(300)의 제2 회전축(321)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함으로써 하우징(400)이 차량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회전될 수 있다.
하우징(400)은 브라켓(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또는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0)은 내부에 수납공간(410)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410)에는 물건 등이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0)은 전개시 브라켓(300)을 기준으로 차량의 실내측을 향해 회전되어 수납공간(410)이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00)은 수납시 브라켓(300)을 기준으로 차량의 외부측을 향해 회전되며, 이 경우 하우징(400)의 수납공간(410)이 차량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하우징(400)의 수납공간이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장치는 물건을 보관하거나 또는 수납된 물건을 빼야 하는 경우 하우징(400)을 전개시켜 수납공간(410)이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0)의 수납공간(410)에 물건을 두고 하우징(400)을 수납하는 경우, 하우징(400)의 수납공간(410)이 폐쇄됨으로써 물건이 노출되지 않으며 수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차체(10)는 이너패널(10) 및 아우터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너패널(10)은 차량의 내부측에 배치되며, 아우터패널(미도시)은 이너패널(10)과 이격되어 차량의 외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박스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함몰 형성되는 홈 형상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면(110) 및 바닥면(110)을 둘러싸는 복수의 측면(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박스부(100)의 측면(120) 중 내측단부는 이너패널(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외측단부는 바닥면(11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닥면(110)은 이너패널(10)과 아우터패널(미도시)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박스부(100)의 바닥면(110) 및 측면(120)이 이너패널(10)과 아우터패널(미도시)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공간활용이 증대된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장치는 수납시 차체(10)의 이너패널(10)과 아우터패널(미도시) 사이에 배치되므로, 차량의 내부공간을 점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의 내부공간의 공간 활용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마운팅부(200)는 제1 회전지지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300)은 제1 회전지지부(211)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회전축(311)이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회전지지부(211)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1 회전축(3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C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회전축(3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00)의 일측에 마련되며, 마운팅부(200)의 제1 회전지지부(211)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지지부(211)는 일측이 개방된 C형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제1 회전지지부(21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제1 회전축(311)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지지부(211)의 개방된 부분의 이격거리는 제1 회전축(311)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축(311)이 제1 회전지지부(211)에 삽입되는 경우 제1 회전지지부(211)가 탄성 변형되어 벌어짐으로써 제1 회전축(311)이 삽입되며, 제1 회전축(311)이 제1 회전축(311)에 삽입된 후에는 제1 회전지지부(211)가 탄성 변형되어 제1 회전축(311)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마운팅부(200)에 브라켓(300)이 끼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300)이 마운팅부(200)에 끼움 결합되면 브라켓(3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300)의 제1 회전축(311)은 마운팅부(200)의 제1 회전지지부(211) 상에서 회전됨으로써 브라켓(300)이 차량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300)은 전면부에 형성되어 브라켓(300)이 마운팅부(20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반경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걸림부(34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브라켓(300)의 전면부(차량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제1 걸림부(340)가 마련되며, 브라켓(300)이 차량의 내측을 향해 회전되더라도 제1 걸림부(340)가 마운팅부(200) 또는 박스부(1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브라켓(300)의 회전 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제1 걸림부(340)는 브라켓(300)의 전면부에서 마련된 패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300)은 후면부에 형성되어 브라켓(300)이 마운팅부(20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반경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걸림부(35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브라켓(300)의 후면부(차량의 외측을 향하는 면)에 제2 걸림부(350)가 마련되며, 브라켓(300)이 차량의 외측을 향해 회전되더라도 제2 걸림부(350)가 마운팅부(200) 또는 박스부(1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브라켓(300)의 회전 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제2 걸림부(350)는 브라켓(300)의 후면부에서 마련된 패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300)은 제2 회전축(32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0)은 제2 회전축(321)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회전지지부(4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회전지지부(421)는 하우징(400)이 박스부(100)에 수납되는 경우 하우징(400)의 측면(120) 중 마운팅부(200)와 대향하는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회전지지부(421)는 일측이 개방되어 제2 회전축(3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C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회전축(3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00)의 일측에 마련되며, 하우징(400)의 제2 회전지지부(421)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지지부(421)는 일측이 개방된 C형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제2 회전지지부(42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제1 회전축(311)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2 회전지지부(421)의 개방된 부분의 이격거리는 제2 회전축(321)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전축(321)이 제2 회전지지부(421)에 삽입되는 경우 제2 회전지지부(421)가 탄성 변형되어 벌어짐으로써 제2 회전축(321)이 삽입되며, 제2 회전축(321)이 제2 회전축(321)에 삽입된 후에는 제2 회전지지부(421)가 탄성 변형되어 제2 회전축(321)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400)에 브라켓(300)이 끼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300)이 하우징(400)에 끼움 결합되면 하우징(4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400)의 제2 회전지지부(421)는 브라켓(300)의 제2 회전축(321) 상에서 회전됨으로써 하우징(400)이 차량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400)은 수납공간(410)의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패널(420)과, 플로어패널(420)을 둘러싸는 복수의 사이드패널(430)로 구성되며, 플로어패널(420)은 브라켓(30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플로어패널(420)은 수납공간(410)의 바닥을 이룬다. 그리고 복수의 사이드패널(430)은 플로어패널(420)을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수납공간(410)은 플로어패널(420) 및 복수의 사이드패널(430)에 의해 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사이드패널(430)은 일측이 플로어패널(420)에 결합되며, 타측은 별도의 패널로 연결되지 않음으로써 수납공간(410)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공간(41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물건을 수납하거나 또는 물건을 뺄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0)은 플로어패널(420) 중 차량의 내측에 형성되어 하우징(400)이 브라켓(30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반경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받침부(422)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하우징(400)의 플로어패널(420) 중 전방부(차량의 내측에 가까운 부분)에 제1 받침부(422)가 마련되며, 하우징(400)이 차량의 내측을 향해 회전되더라도 제1 받침부(422)가 마운팅부(200), 박스부(100) 또는 차체(10) 중 이너패널(1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하우징(400)의 회전 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제1 받침부(422)는 하우징(400)의 플로어패널(420) 중 차량의 내측에 마련된 패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0)은 플로어패널(420) 중 차량의 외측에 형성되어 하우징(400)이 브라켓(30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반경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받침부(423)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하우징(400)의 플로어패널(420) 중 후방부(차량의 외측에 가까운 부분)에 제2 받침부(423)가 마련되며, 하우징(400)이 차량의 외측을 향해 회전되더라도 제2 받침부(423)가 마운팅부(200) 또는 박스부(1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하우징(400)의 회전 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제2 받침부(423)는 하우징(400)의 플로어패널(420) 중 차량의 외측에 마련된 패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0)은 손잡이부(431)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431)는 하우징(400)의 복수의 사이드패널(430) 중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431)는 하우징(400)부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손잡이부(431)를 당김으로써 하우징(400)이 회전되며, 수납공간(410)이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우징(400)의 손잡이부(431)를 당김으로써 하우징(400)이 견인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400)과 연결된 브라켓(300)이 마운팅부(20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하며 차량의 내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300)이 차량의 내측으로 회전을 하면, 브라켓(300)은 제1 걸림부(340)가 마운팅부(200) 또는 박스부(100) 등에 접촉됨으로써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하우징(400)이 브라켓(300)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하며 차량의 내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0)이 차량의 내측으로 회전을 하면, 하우징(400)은 제1 받침부(422)가 마운팅부(200) 등에 접촉됨으로써 더 이상 회전을 할 수 없게 된다. 결론적으로, 하우징(400)의 손잡이부(431)를 잡아당기면 박스부(100)에 수납된 하우징(400)이 1차적으로 어느 정도 수평 방향으로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해 이동되며, 브라켓(300)의 회전이 멈춘 뒤에는 하우징(400)이 브라켓(300)을 기준으로 회전됨으로써 하우징(400)의 수납공간(410)이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해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브라켓(300)은 1차적으로 마운팅부(200)에 대해 약 60도 정도 회전될 수 있으며, 브라켓(300)의 회전이 멈춘 뒤에 하우징(400)이 브라켓(300)에 대해 약 26.5도 정도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브라켓(300)과 하우징(400)의 회전 각도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각도로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차체 100 : 박스부
110 : 바닥면 120 : 측면
200 : 마운팅부 211 : 제1 회전지지부
240 : 제1 걸림부 250 : 제2 걸림부
300 : 브라켓 311 : 제1 회전축
321 : 제2 회전축 400 : 하우징
410 : 수납공간 420 : 플로어패널
421 : 제2 회전지지부 422 : 제1 받침부
423 : 제2 받침부 430 : 사이드패널
431 : 손잡이부

Claims (12)

  1. 차체에 마련되며,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박스부;
    상기 박스부의 내부에 구비된 마운팅부;
    상기 마운팅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전개시 상기 수납공간이 차량의 내부공간을 향해 개방되며, 수납시 상기 박스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차체는
    차량의 내부측에 배치되는 이너패널 및 상기 이너패널과 이격되어 차량의 외부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부는
    함몰 형성되는 홈 형상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을 둘러싸며 상기 이너패널과 결합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부는
    제1 회전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회전축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은
    제2 회전축이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회전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패널과, 상기 플로어패널을 둘러싸는 복수의 사이드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플로어패널은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하우징이 전개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1 회전지지부 상에서의 상대 회전과 함께 상기 제2 회전지지부 상에서의 상대 회전되어 1차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차량의 내부 공간을 향해 이동되는 차량용 수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지지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C형 형상으로 마련된 차량용 수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이 상기 마운팅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반경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걸림부가 마련된 차량용 수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이 상기 마운팅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반경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걸림부가 마련된 차량용 수납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지지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C형 형상으로 마련된 차량용 수납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로어패널 중 차량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브라켓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반경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받침부가 마련된 차량용 수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로어패널 중 차량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브라켓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반경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받침부가 마련된 차량용 수납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을 잡아당겨서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마련된 차량용 수납장치.
KR1020190137999A 2019-10-31 2019-10-31 차량용 수납장치 KR102282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999A KR102282225B1 (ko) 2019-10-31 2019-10-31 차량용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999A KR102282225B1 (ko) 2019-10-31 2019-10-31 차량용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000A KR20210052000A (ko) 2021-05-10
KR102282225B1 true KR102282225B1 (ko) 2021-07-28

Family

ID=7591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999A KR102282225B1 (ko) 2019-10-31 2019-10-31 차량용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2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6706A (ja) * 2014-07-07 2016-02-01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リッド開閉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719U (ko) * 1994-09-02 1996-04-12 자동차 트렁크용 공구 박스
KR200230698Y1 (ko) 2001-02-06 2001-07-19 백문현 자동차 트렁크의 다용도 수납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6706A (ja) * 2014-07-07 2016-02-01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リッド開閉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000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0820B1 (en) Vehicle cargo retention system
US8602467B2 (en)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JP5993136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2647350B1 (ko) 차량용 러기지박스 장치
JP5760645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KR102282225B1 (ko) 차량용 수납장치
EP3072745B1 (en) Vehicle storage assembly
US9573447B2 (en) Vehicle back door device with damper stay storage structure
JP4285525B2 (ja) 車両用フロアコンソール構造
US8894224B2 (en) Overhead console of vehicle
JP2010179784A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構造
KR101918122B1 (ko) 홀더
JP2015529594A (ja) 車両ドアの収納コンパートメント
KR20150022096A (ko)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KR20190027483A (ko) 윙바디 화물차용 윙도어 잠금장치
US8960481B2 (en) Adaptable bin with moveable shelf
JP5241290B2 (ja) 車両における物入れ装置
JP4202341B2 (ja) タイヤリッド構造
JP6594709B2 (ja) 車両用フック装置
US20220340084A1 (en) Storage device for vehicle
US7513554B2 (en) Cup holder
KR101193625B1 (ko) 글로브 박스의 셀프 로킹 장치
KR20190050542A (ko)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KR20240061472A (ko) 차량의 히든박스
KR101936128B1 (ko) 차량용 러기지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