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957B1 -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957B1
KR102281957B1 KR1020210038366A KR20210038366A KR102281957B1 KR 102281957 B1 KR102281957 B1 KR 102281957B1 KR 1020210038366 A KR1020210038366 A KR 1020210038366A KR 20210038366 A KR20210038366 A KR 20210038366A KR 102281957 B1 KR102281957 B1 KR 102281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emergency
switch
parking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957B9 (ko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큐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큐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큐앤비
Priority to KR1020210038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957B1/ko
Publication of KR10228195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95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2Bags or wallets for holding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서, 주차스위치, 소유자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출력하는 스크린 및 비상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Unified control system for apartment complex using a rfid smartkey}
본 발명은 건물 내 주요 출입구나 출입통제가 필요한 문이나 구간을 원격으로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는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키를 활용해 비상시 호출 시스템과 주차장에서의 차량 위치를 인식하여 저장하는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아파트 주차장의 경우 여러 층의 지하 주차장으로 되어있어 출차 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시간을 낭비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주차 위치확인 시스템을 설치하여 주차 시 등록된 정보를 각 세대 wall-pad로 전송하는 시스템이 설치되지만, 사전 확인을 하지 않고 주차장에 들어온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차량의 위치를 찾는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아파트 지하 주차장은 범죄 발생률이 높은 장소로 일부 아파트는 경관을 해친다거나 공간을 차지한다는 이유로 옥외 주차장을 없애고 지하 주차장을 넓게 지었지만, 사용자들에게는 범죄에 대한 불안감을 높이고 있는 실정이다.
범죄자 3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감시가 소홀한 곳' 은 32.8%,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 은 31.5%, '도망가기 쉬운 곳' 은 20.2%, '목표물의 가치' 5.6%로 범행 장소를 물색한다고 답한 결과도 존재한다.
지하 공간에서 위급상황이 발생 시 여러 위험인자로 인하여 통신이 두절 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사용자의 통신과 연락이 중요한 만큼 비상시 사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단지의 주차장에서 위험이나 위급상황에서 직면하였을 때에 비상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이를 경비업체 등의 관제센터에서 인식하고 상황에 맞게 적절한 대처하는 비상통보 방법이나 인식기술이 많이 알려져 있다.
최근 아동 대상의 범죄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바, 어린이 안전 대책으로 위성항법 장치(GPS) 기술을 비상호출 키에 접목한 비상호출 처리방법도 소개되고 있으며, 자녀의 등하교 여부를 부모의 휴대전화기로 알려주는 자녀 위치 알림 기술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중적인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단지 내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위와 같이 경비업체 등의 관제센터에서 비상호출을 인식하고 출동하는 것은 신속한 조치가 되기에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출입통제 시스템은 단순한 출입만을 위한 시스템이며 출입을 통제할 수 없고 누가 언제 출입을 했는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관리되지 않는다.
출입자의 통제는 CCTV로 녹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전 통제가 어렵고 차후 출입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어렵다.
이러한 출입 관리를 위해 RFID를 통해 수집한 출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 주차장 등 주거환경 보안에 취약한 공간에서의 사고 발생 시 비상벨 시스템을 통해 단지 내 통제시스템과 연계하여 즉시 보고되며 위급상황에 대한 대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홈네트워크와의 연계하여 출입 보안 및 경비구역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하고, 차량 출입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주차 위치확인 기능 및 비상시 호출기능을 겸비한 보안시스템 개발은 주거환경의 질적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는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은, 주차스위치, 소유자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출력하는 스크린 및 비상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키를 등록 또는 삭제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관리하고, 등록된 상기 스마트키의 출입을 관리하고, 상기 스마트키의 상기 비상스위치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확인하는 통합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키는, 각 고유번호가 존재하여 상기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고, BLE 또는 RFID를 기반으로 하여 원 패스(ONE PASS) 출입 가능하고, 상기 주차스위치가 입력되는 경우, 주차 위치 요청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비상스위치가 입력되는 경우, 비상호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통합서버로 송신하고, 사이렌 소리와 함께 음성으로 비상 상황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합서버는,
BLE 또는 RFID를 기반으로 한 상기 스마트키가 기 설정된 일정 거리 내에 인식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의 고유번호를 통해 해당 스마트키가 등록되어 있는지 인증을 시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후 공동 출입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출입관리부; 상기 스마트키와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주차 위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의 고유번호를 통해 해당 스마트키가 등록되어 있는지 인증을 시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후 삼각측량의 방법을 통해 상기 스마트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스마트키가 위치한 곳을 주차 위치로 등록하고, 등록한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스마트키로 송신하는 주차관리부; 및 상기 스마트키와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의 고유번호를 통해 해당 스마트키가 등록되어 있는지 인증을 시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후 비상 경보음을 방재실 내부에 발생하고, 상기 스마트키와 음성통화를 시행하며 상기 스마트키가 위치한 곳을 모니터링하는 비상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상관리부는,
상기 방재실의 내부에 구비된 마이크와 연동되어 있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와 양방향 음성통화를 수행하고, 상기 양방향 음성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통화저장부; 및 GUI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비상신호가 발생한 위치의 폐쇄회로와 연동하여 해당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키는 키케이스에 보관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케이스는, 내부가 상기 스마트키를 수용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스마트키의 외측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에 맞추어 형성되는 상단형성부; 내부가 상기 스마트키를 수용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스마트키의 외측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에 맞추어 형성되는 하단형성부; 상기 상단형성부 및 상기 하단형성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단형성부 및 상기 하단형성부가 회전하여 개폐 가능한 힌지 역할을 하는 회전연결부; 상기 스마트키의 상기 주차스위치와 상기 비상스위치의 외측면 크기에 맞추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키의 상기 주차스위치와 상기 비상스위치가 가압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외력에 의해 그 외주연이 상부를 향해 뒤집어 지도록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위치커버부; 상기 상단형성부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형성부 및 상기 하단형성부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고, 각 하부 양측에 형성된 고정삽입부를 포함하고, 각 하단 중앙에 형성된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잠금부; 상기 하단형성부의 전면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고정잠금부를 각각 내측으로 삽입시켜 상기 제1 고정잠금부 하부 양측에 구비된 상기 고정삽입부를 삽입 고정시키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제2 고정잠금부; 상기 상단형성부 및 상기 하단형성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단고리부; 상기 상단고리부에는 상기 스마트키를 고정시키도록 일단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고정밴드; 및 상기 하단형성부의 내벽면 및 바닥면에는 상기 스마트키의 외곽사이즈에 맞도록 절취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수납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은 지하 주차장 등 주거환경 보안에 취약한 공간에서의 사고 발생 시 비상벨 시스템을 통해 단지 내 통제시스템과 연계하여 즉시 보고되며 위급상황에 대한 대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은, 홈네트워크와의 연계하여 출입 보안 및 경비구역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하고, 차량 출입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주차 위치확인 기능 및 비상시 호출기능을 겸비한 보안시스템 개발은 주거환경의 질적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통합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스마트키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키케이스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10)은 소유자 차량(700)이 주차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10)은 스마트키(100)를 이용하여 공동 출입 도어(300)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키(100)의 상기 비상스위치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통합서버(9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통합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10)의 통합서버(900)는 출입관리부(910), 주차관리부(950) 및 비상관리부(99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관리부(910)는 BLE 또는 RFID를 기반으로 한 상기 스마트키(100)가 기 설정된 일정 거리 내에 인식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100)의 고유번호를 통해 해당 스마트키(100)가 등록되어 있는지 인증을 시행할 수 있다.
출입관리부(910)는 스마트키(100)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후 공동 출입 도어(300)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고, 공동 출입 도어(300)를 출입한 스마트키(100)의 고유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주차관리부(950)는 스마트키(100)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키(100)로부터 주차 위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100)의 고유번호를 통해 해당 스마트키가 등록되어 있는지 인증을 시행할 수 있다.
주차관리부(950)는 스마트키(100)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후 삼각측량의 방법을 통해 상기 스마트키(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키(100)가 위치한 곳을 주차 위치로 등록할 수 있고, 등록한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스마트키(100)로 송신할 수 있다.
비상관리부(990)는 스마트키(100)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키(100)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100)의 고유번호를 통해 해당 스마트키(100)가 등록되어 있는지 인증을 시행할 수 있다.
비상관리부(990)는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후 비상 경보음을 방재실(902) 내부에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키(100)와 음성통화를 시행하며 상기 스마트키(100)가 위치한 곳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비상관리부(990)는 스마트키(100)에 등록된 고유번호와 연결되는 세대 내의 월 패드(901)로 비상 상황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비상관리부(990)는 통화저장부(991) 및 모니터링부(999)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저장부(991)는 방재실(902)의 내부에 구비된 마이크와 연동되어 있을 수 있어 상기 스마트키(100)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100)와 양방향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양방향 음성통화 내용을 녹음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999)는 GUI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키(100)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비상신호가 발생한 위치의 폐쇄회로(cctv)와 연동하여 해당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통합서버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통합서버는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스마트키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10)의 스마트키(100)는 스마트키(100)의 소유자가 지하주차장에 소유한 차량(700)의 주차가 완료된 경우 주차 위치를 저장하기 위하여 온(on)하는 주차스위치(19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키(100)는 소유자의 차량이 지하주차장에 주차된 위치를 구역 별로 기 설정되어 있는 문자 또는 숫자로 출력하는 스크린(110)이 상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100)의 하단에는 지하주차장에 위치한 소유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가압하여 비상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비상스위치(15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100)는 스마트키(100) 별로 고유번호가 존재할 수 있고, 상기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서버(900)로부터 소유자로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100)는 BLE 또는 RFID를 기반으로 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 패스(ONE PASS) 출입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스마트키(100)는 소유자에 의하여 주차스위치(190)가 입력되는 경우, 주차 위치 요청 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소유자에 의하여 비상스위치(150)가 입력되는 경우, 비상호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스마트키(100)에서 발생하는 비상호출 신호는 상기 통합서버(900)로 송신될 수 있고, 동시에 스마트키(100)에서는 사이렌 소리와 함께 음성으로 비상 상황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키케이스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케이스(400)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내부에 수납되는 키를 보호하기 위해 연질의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키 케이스(400)는 상단형성부(410), 하단형성부(420), 회전연결부(430), 스위치커버부(440), 제1 고정잠금부(450), 제2 고정잠금부(460), 상단고리부(470), 고정밴드(480) 및 지지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형성부(410) 및 하단형성부(420)는 힌지 역할을 하는 회전연결부(43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단형성부(410)의 상면에는 스마트키(100)의 주차스위치 및 비상스위치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스위치 형성부(4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위치 형성부(412)에는 커버연결부(442)에 의해 스위치커버부(440)가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스위치커버부(440)는 눌렀을 때 외력에 의해 그 외주연이 상부를 향해 뒤집어 지도록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스위치커버부(440)와 커버연결부(442)에는 스위치커버부(440)를 눌렀을 때 상단형성부(410) 및 하단형성부(4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순환홈(4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단형성부(410)와 하단형성부(42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 상단형성부(410)의 전면 양측에는 각각 고정삽입부(452)가 하부 양측에 형성될 수 있고, 그립부(454)가 하단 중앙에 형성되는 제1 고정잠금부(450)가 형성될 수 있다.
하단형성부(420)의 전면 양측에는 각각의 제1 고정잠금부(450)를 내측으로 삽입시켜 제1 고정잠금부(450) 하부 양측의 고정삽입부(452)를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462)을 갖는 제2 고정잠금부(4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단형성부(410) 및 하단형성부(420)의 일단에는 상단고리부(470)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하단형성부(420)의 상단고리부(470)에는 내부에 위치한 스마트키(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밴드(480)의 일단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밴드(480)에는 고정밴드(480)의 신축성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탄력볼(482)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밴드(480)의 타단에는 밴드돌출부(48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밴드(480)의 타단 양측에는 스마트키(1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단형성부(410) 및 하단형성부(420)의 상단고리부(470)의 외주면을 감은 후 상단형성부(410)의 상단고리부(470)에 형성된 끼움홈(472)에 삽입하여 고정밴드(480)를 고정시키기 위한 끼움부(48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단형성부(420)의 내벽면 및 바닥면에는 각각 높이와 폭이 다른 스마트키(100)의 외곽사이즈에 맞도록 절취하여 스마트키(100)를 수납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지지부(490)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연질의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보호하기 위한 키 케이스(400)의 내부에 스마트키(100)를 수납하고자 할 때는 먼저, 키 케이스(400)의 상단형성부(410) 및 하단형성부(420)를 펼친 상태에서 하단형성부(420)의 내부에 스마트키(100)의 하부를 안착 시킨 후, 상단형성부(410)를 회전연결부(430)를 중심으로 회동 시켜 스마트키(100)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단형성부(410) 전면 양측의 제1 고정잠금부(450) 하단 중앙에 형성된 그립부(454)를 파지하여 하단형성부(420)에 대응하는 제2 고정잠금부(460)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면서 제1 고정잠금부(450) 하부 양측의 고정삽입부(452)를 제2 고정잠금부(460) 내측의 고정홈(462)에 삽입 고정시킴에 따라 상단형성부(410)와 하단형성부(420)를 용이하게 결합 시킬 수 있게 될 수 있다.
그 후, 상단형성부(410) 및 하단형성부(4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단형성부(420)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상단고리부(470)에 일단이 연결 형성된 고정밴드(480) 타단의 밴드돌출부(484)를 파지하여 상단형성부(410) 및 하단형성부(420)의 상단고리부(470)의 외주면을 감은 다음, 상단형성부(410)의 상단고리부(470)에 형성된 끼움홈(472)에 고정밴드(480) 타단 양측의 끼움부(486)을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밴드(480)에 의해 스마트키(100)를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분리시에는 전술한 역순으로 행하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 케이스(400)의 내부에 스마트키(100)가 수납된 상태에서 스마트키(100)의 주차스위치 또는 비상스위치를 가압할 경우에는 상단형성부(410) 상면의 각각의 스위치 형성부(412)에 커버연결부(442)를 가압하여 주차스위치 또는 비상스위치를 온(ON)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커버연결부(44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돔 형상으로 형성된 해당 스위치커버부(440)를 눌러 그 외력에 의해 스위치커버부(440)의 외주연이 상부를 향해 뒤집어짐에 따라 손쉽게 스위치커버부(4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부로 들어올려 스마트키(100)의 주차스위치 또는 비상스위치를 온(ON)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스위치커버부(440)과 커버연결부(442)에는 공기순환홈(44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위치커버부(440)을 눌렀을 때 상단형성부(410) 및 하단형성부(420) 내부의 공기를 공기순환홈(444)을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서 스위치커버부(440)을 눌러주게 되면 그 외주연이 상부를 향해 용이하게 뒤집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커버부(440)를 푸쉬 방식에 의해 개방하지 않고 주차스위치 또는 비상스위치를 온(ON)할 수도 있으며, 개방하여 주차스위치 또는 비상스위치를 온(ON)할 수도 있어서 스위치커버부(440)의 손잡이 부분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시의 재료비 절감에 따른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될 수 있다.
또한, 상단형성부(410)와 하단형성부(42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 상단형성부(410) 전면 양측의 제1 고정잠금부(450)의 하부 양측에 고정삽입부(452)가 형성될 수 있다.
그 하단 중앙에는 그립부(45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형성부(420) 전면 양측의 제2 고정잠금부(460)의 내측에는 제1 고정잠금부(450)의 고정삽입부(452)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462)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단형성부(410)의 제1 고정잠금부(450)를 하단형성부(420)의 제2 고정잠금부(46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거나, 필요에 따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서 겨울철과 같은 동절기에도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하단형성부(420)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상단고리부(470)에는 신축성이 있는 고정밴드(480)의 일단이 연결 형성될 수 있고, 상단형성부(410)의 상단고리부(470)에는 끼움홈(47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단고리부(470)를 고정밴드(480)로 감아 고정시킴에 따라 키 케이스(400)의 단부가 덜렁거리지 않도록 보다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밴드(480)에는 복수 개의 탄력볼(48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밴드(480)를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신축시에도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신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하단형성부(420)의 내벽면 및 바닥면에는 각각 복수 개의 지지부(490)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높이와 폭이 다른 스마트키(100)의 외곽사이즈에 맞도록 복수 개의 지지부(490)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부분 절취하거나, 전체를 절취함으로써 스마트키(100)가 내부에서 흔들리는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편리한 상태에서 수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체결부(600)는 중앙의 중앙홈(6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반원형의 제1 반원부(620a) 및 제2 반원부(620b)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반원부(620a) 및 제2 반원부(620b)의 양단부에는 중앙부에 제1 체결홈(640)을 갖는 고정돌출부(63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리체결부(600)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홈(610)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절곡하여 제1 반원부(620a) 및 제2 반원부(620b)를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고리부(470)에 결합한 후, 제1 반원부(620a) 및 제2 반원부(620b) 양단부의 고정돌출부(630)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홈(640)과 제1 결합지지부(670)에 형성되는 제2 체결공(미도시)와 제2 결합지지부(675)에 형성되는 제3 체결공(미도시)을 서로 일치시킬 수 있고, 제1 체결홈(640)에 제1 나사(650) 및 제2 나사(660)를 통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나사(650) 및 제2 나사(660)는 제1 체결홈(640), 제2 체결홈(미도시) 및 제3 체결홈(미도시)를 관통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되, 제1 나사(650)는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나사(660)는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나사(650)가 제2 나사(660)의 내측면으로 삽입하여 회전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나사(650) 및 제2 나사(660)를 통해 결합되는 고리체결부(600)의 고정돌출부(630) 사이에는 견고한 결합을 위해 제1 결합지지부(670) 및 제2 결합지지부(675)를 설치할 수 있다.
제1 결합지지부(670) 및 제2 결합지지부(675)는 고정돌출부(630)의 길이 및 너비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체결홈(미도시) 및 제3 체결홈(미도시) 또한 제1 체결홈(640)의 위치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나사(650) 및 제2 나사(660)를 통해 고리체결부(600)를 결합시킬 수 있으나, 나사 등의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맞닿아 결합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나사(650) 및 제2 나사(660)은 자성을 띄는 장치로 구비될 수 있되, 제1 체결홈(640), 제2 체결홈(미도시) 및 제3 체결홈(미도시)를 관통 가능한 크기를 갖는 원기둥으로 형성된 자석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극으로 구비되어 1 체결홈(640), 제2 체결홈(미도시) 및 제3 체결홈(미도시)을 관통하여 맞닿아 결합됨으로 고리체결부(600)의 고정돌출부(63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100: 스마트키
900: 통합서버

Claims (2)

  1. 주차스위치, 소유자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출력하는 스크린 및 비상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를 등록 또는 삭제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관리하고, 등록된 상기 스마트키의 출입을 관리하고, 상기 스마트키의 상기 비상스위치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확인하는 통합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키는,
    각 고유번호가 존재하여 상기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고,
    BLE 또는 RFID를 기반으로 하여 원 패스(ONE PASS) 출입 가능하고,
    상기 주차스위치가 입력되는 경우, 주차 위치 요청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비상스위치가 입력되는 경우, 비상호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통합서버로 송신하고, 사이렌 소리와 함께 음성으로 비상 상황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통합서버는,
    BLE 또는 RFID를 기반으로 한 상기 스마트키가 기 설정된 일정 거리 내에 인식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의 고유번호를 통해 해당 스마트키가 등록되어 있는지 인증을 시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후 공동 출입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출입관리부;
    상기 스마트키와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주차 위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의 고유번호를 통해 해당 스마트키가 등록되어 있는지 인증을 시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후 삼각측량의 방법을 통해 상기 스마트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스마트키가 위치한 곳을 주차 위치로 등록하고, 등록한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스마트키로 송신하는 주차관리부; 및
    상기 스마트키와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의 고유번호를 통해 해당 스마트키가 등록되어 있는지 인증을 시행하고, 인증이 완료된 후 비상 경보음을 방재실 내부에 발생하고, 상기 스마트키와 음성통화를 시행하며 상기 스마트키가 위치한 곳을 모니터링하는 비상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관리부는,
    상기 방재실의 내부에 구비된 마이크와 연동되어 있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와 양방향 음성통화를 수행하고, 상기 양방향 음성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통화저장부; 및
    GUI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비상신호가 발생한 위치의 폐쇄회로와 연동하여 해당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키는 키케이스에 보관 가능하고,
    상기 키케이스는,
    내부가 상기 스마트키를 수용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스마트키의 외측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에 맞추어 형성되는 상단형성부;
    내부가 상기 스마트키를 수용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스마트키의 외측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에 맞추어 형성되는 하단형성부;
    상기 상단형성부 및 상기 하단형성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단형성부 및 상기 하단형성부가 회전하여 개폐 가능한 힌지 역할을 하는 회전연결부;
    상기 스마트키의 상기 주차스위치와 상기 비상스위치의 외측면 크기에 맞추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키의 상기 주차스위치와 상기 비상스위치가 가압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외력에 의해 그 외주연이 상부를 향해 뒤집어 지도록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위치커버부;
    상기 상단형성부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형성부 및 상기 하단형성부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고, 각 하부 양측에 형성된 고정삽입부를 포함하고, 각 하단 중앙에 형성된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잠금부;
    상기 하단형성부의 전면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고정잠금부를 각각 내측으로 삽입시켜 상기 제1 고정잠금부 하부 양측에 구비된 상기 고정삽입부를 삽입 고정시키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제2 고정잠금부;
    상기 상단형성부 및 상기 하단형성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단고리부;
    상기 상단고리부에는 상기 스마트키를 고정시키도록 일단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고정밴드; 및
    상기 하단형성부의 내벽면 및 바닥면에는 상기 스마트키의 외곽사이즈에 맞도록 절취하여 상기 스마트키를 수납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2. 삭제
KR1020210038366A 2021-03-24 2021-03-24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28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366A KR102281957B1 (ko) 2021-03-24 2021-03-24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366A KR102281957B1 (ko) 2021-03-24 2021-03-24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957B1 true KR102281957B1 (ko) 2021-07-26
KR102281957B9 KR102281957B9 (ko) 2022-04-11

Family

ID=7712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366A KR102281957B1 (ko) 2021-03-24 2021-03-24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990B1 (ko) * 2022-12-07 2023-08-17 주식회사 씨큐앤비 원패스키 기능을 탑재한 그립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721B1 (ko) * 2012-06-26 2013-10-0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통신형 위치인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721B1 (ko) * 2012-06-26 2013-10-0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통신형 위치인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990B1 (ko) * 2022-12-07 2023-08-17 주식회사 씨큐앤비 원패스키 기능을 탑재한 그립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957B9 (ko)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19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k systems with redundant access control
US96726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k systems with redundant access control
JP5809386B2 (ja) 制御可能なデータ転送能力を有する金庫
KR100809044B1 (ko) 비접촉식 얼굴인증 도어락 시스템
CN107889536B (zh) 用于冗余接入控制的锁和方法
US721211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TW201706895A (zh) 基於行動裝置之備援門禁管制系統的系統與方法
KR101676104B1 (ko) 비밀번호 도어락을 구비한 보안시스템
JP4320781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2281957B1 (ko)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거단지 통합 관제 시스템
JP5268012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105672779A (zh) 智能锁
JP200305622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方法
US20220319261A1 (en) Automatic Door Opening Systems and Methodolgies
US20130169438A1 (en) Device having alarm system based on infrared detection and method for installing alarm system to a device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20100009883U (ko) 원격 출입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도어록
KR101492506B1 (ko) 가정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
JP2010527091A (ja)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保安サービス提供方法
JP2006079236A (ja) 集合住宅における通行人管理システム
WO2005045779A1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キーユニット
RU2723306C1 (ru) Система активной защиты двери с функцией нейролингвистическ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злоумышленника и электронный модуль для этой системы
KR20230026341A (ko) 연결 잠금 시스템
KR2018006358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384465A (zh) 家庭防盗报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