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656B1 - 드론 - Google Patents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656B1
KR102281656B1 KR1020210054165A KR20210054165A KR102281656B1 KR 102281656 B1 KR102281656 B1 KR 102281656B1 KR 1020210054165 A KR1020210054165 A KR 1020210054165A KR 20210054165 A KR20210054165 A KR 20210054165A KR 102281656 B1 KR102281656 B1 KR 102281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landing
rotating
uni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순식
Original Assignee
조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순식 filed Critical 조순식
Priority to KR1020210054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32Rotors
    • B64C27/46Blades
    • B64C27/473Constructional features
    • B64C27/50Blades foldable to facilitate stowage of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암유닛; 상기 암유닛에 마련되어, 회전하며 양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 상기 암유닛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랜딩시 착지하는 랜딩부; 상기 랜딩부에 연결되어, 드론의 비행 방향을 조향하는 조향키; 및 상기 암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랜딩부를 특정 각도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드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론{DRONE}
본 발명은 드론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가리킨다.
처음에는 공군기나 고사포, 미사일의 연습사격에 적기 대신 표적 구실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무선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찰기로 개발되어 적의 내륙 깊숙히 침투하여 정찰, 감시의 용도로도 운용되었다. 근래에 들어 드론에 미사일 등 각종 무기를 장착하여 공격기로도 활용되고 있다.
드론의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대형 비행체의 군사용뿐만 아니라, 초소형 드론도 활발하게 개발 연구되고 있다. 또한, 개인의 취미활동으로 개발되어 상품화된 것도 많이 있다.
정글이나 오지, 화산지역, 자연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드론을 투입하여 운용한다. 최근에는 드론을 활용하여 수송목적에도 활용하는 등 드론의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드론이 개발되던 초기에는 표적 드론, 정찰 드론 및 감시용 드론으로 분류하였지만, 현재는 활용 목적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 분류가 가능하다.
종래의 드론은 본체와, 본체에 연결되는 복수의 암유닛과, 복수의 암유닛에 마련되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드론은 공기 저항에 불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비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114337호(2020.05.1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저항에 유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비행 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으로 랜딩을 유도할 수 있는 드론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암유닛; 상기 암유닛에 마련되어, 회전하며 양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 상기 암유닛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랜딩시 착지하는 랜딩부; 상기 랜딩부에 연결되어, 드론의 비행 방향을 조향하는 조향키; 및 상기 암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랜딩부를 특정 각도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드론를 포함한다.
또한, 비행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속도센서에서 측정된 속도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랜딩부를 특정 각도로 고정하거나, 상기 속도센서에서 측정된 속도데이터가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랜딩부의 특정 각도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딩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중심축선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2개 이상의 로터축; 및 상기 로터축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 이상의 회전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관시, 상기 암유닛과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감싸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키의 후방에 수평하게 마련되는 수평 안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공기 저항에 유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비행 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으로 랜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본체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랜딩부, 조향키 및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회전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회전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회전부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본체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랜딩부, 조향키 및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드론 본체(100), 암유닛(200), 회전부(300), 복수의 랜딩부(400), 조향키(500) 및 액추에이터(600)를 포함한다.
드론 본체(100)는 본 발명의 기본 몸체로서, 본체 하우징(110) 및 본체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드론의 주요 부품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드론의 주요 부품은 드론의 비행 제어를 위한 제어모듈(미도시), 외부 통신믈 위한 통신모듈(미도시) 및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의 전방에는 정찰 및 감시를 위한 카메라(130)가 설치 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30)는 앞서 설명한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의 둘레면에는 암유닛(200)이 연결된다.
본체 커버(120)는 본체 하우징(110)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체 커버(120)는 본체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 커버(120)는 본체 하우징(1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체 커버(120)는 드론의 비행시, 공기 저항을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 커버(120)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암유닛(200)은 드론 본체(100)의 둘레면에 연결되고, 드론 본체(100)와 랜딩부(4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암유닛(200)은 본체 하우징(1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암유닛(200)은 반드시 본체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 커버(120)에 연결될 수 있다.
암유닛(200)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한 쌍의 암유닛(200)은 드론 본체(100)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암유닛(200)은 본체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제1암(210)과, 제1암(210)의 말단에 연결되는 커넥터(220)와, 커넥터(220)에 연결되는 제2암(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암(210)은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고, 제2암(230)은 도면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300)는 구동장치(3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양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랜딩부(400)는 암유닛(20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랜딩시 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랜딩부(400)는 관형태 또는 바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랜딩부(40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한 쌍의 랜딩부(400)는 암유닛(2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랜딩부(400)는 회전부(300)의 회전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드론 본체(100)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론의 비행시, 랜딩부(400)의 주변 공기가 랜딩부(400)의 경사진 형태를 따라 유동됨에 따라, 랜딩부(400)의 공기 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조향키(500)는 랜딩부(400)에 연결되어, 드론의 비행 방향을 조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추에이터(600)에 의해 랜딩부(400)가 회전되면, 랜딩부(400)와 연결된 조향키(500)도 함께 회전되어, 조향키(500)가 드론 본체(100)의 비행 방향을 조향할 수 있다. 즉, 조향키(500)와 랜딩부(400)는 함께 회전된다.
조향키(500)는 에어포일(airfoil)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유선형의 삼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삼각판 형태의 상면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조향키(500)의 후방에는 수평 안정판(510)이 마련될 수 있다.
수평 안정판(510)은 조향키(500)의 후방에 수평하게 마련되며, 드론의 비행시, 피칭(Pitching)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액추에이터(600)는 랜딩부(4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600)는 암유닛(200)에 마련되어, 랜딩부(400)를 특정 각도로 고정 또는 고정 해제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600)는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액추에이터(600)가 죔쇠(240)를 통해 랜딩부(4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죔쇠(240)는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죔쇠(240)는 랜딩부(400)의 말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죔쇠(240)는 랜딩부(400)의 말단을 수용한 상태로, 양단이 조임 볼트(241)에 의해 조여줘서, 랜딩부(400)의 말단을 고정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600)는 속도센서에서 측정된 속도 데이터에 따라, 랜딩부(400)를 특정 각도로 고정 또는 고정 해제 할 수 있다.
속도센서(미도시)는 드론 본체(100)에 마련되어, 드론의 비행 속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속도센서에서 측정된 속도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이면 액추에이터(600)는 랜딩부(400)를 특정 각도로 고정한다. 또한, 속도센서에서 측정된 속도데이터가 기준값 미만이면 액추에이터(600)는 랜딩부(400)의 특정 각도의 고정을 해제한다. 여기서, 기준값은 70km/h 내지 80km/h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드론의 하중 및 구조에 따라, 적절한 수치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속도센서에서 측정된 속도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이면 액추에이터(600)가 랜딩부(400)를 특정 각도로 고정하는 이유는 랜딩부(400)를 특정 각도로 고정하지 않을 경우, 랜딩부(400)가 주변 공기 저항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음에 따라, 랜딩부(400)가 상대적으로 크게 흔들려서, 드론의 비행 안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속도센서에서 측정된 속도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이면 액추에이터(600)는 랜딩부(400)를 특정 각도로 고정하여, 드론의 비행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š, 액추에이터(600)는 랜딩부(400)의 각도를 드론의 전방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속도센서에서 측정된 속도 데이터가 기준값 이하이면 액추에이터(600)가 랜딩부(400)의 특정 각도 고정을 해제하는 이유는 랜딩부(400)가 주변 공기 저항에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을 받음에 따라, 랜딩부(400)가 상대적으로 작게 흔들려서, 드론의 비행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때, 랜딩부(400)는 주변 공기 흐름에 따라 자유 회전되면서, 주변 공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드론의 비행 방향의 변동이 필요할 경우, 제어모듈은 드론의 비행 방향의 변동을 위하여 랜딩부(400)와 조향키(500)를 회전시키는 제어 신호를 액추에이터(600)로 발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랜딩부(40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드론이 비행을 시작하고, 속도센서가 드론의 비행 속도를 측정한다.
이 때, 속도센서에서 측정된 속도데이터가 기준값 미만, 즉, 드론의 비행속도가 상대적으로 저속이면, 액추에이터(600)는 랜딩부(400)의 특정 각도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때, 랜딩부(400)는 주변 공기 흐름에 따라 자유 회전되면서, 주변 공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속도센서에서 측정된 속도데이터가 기준값 미만, 즉, 드론의 비행속도가 상대적으로 고속이면, 액추에이터(600)는 랜딩부(400)를 특정 각도로 고정한다. 이때, 랜딩부(400)는 흔들림이 최소화됨에 따라, 드론의 비행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드론이 비행하는 동안, 드론 본체(100)의 유선형 형태가 주변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회전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회전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회전부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00)는 회전 프레임(310), 2개 이상의 로터축(320), 2개 이상의 회전 블레이드(330) 및 구동장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프레임(310)은 암유닛(200)에 마련되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 프레임(310)은 회전 형태가 유지되도록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로터축(320)은 회전 프레임(310)에 마련되어, 회전 프레임(310)의 중심축선에 대해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장치에 의한 회전 프레임(310)의 회전시, 로터축(320)은 회전 프레임(310)의 중심축선에 대해 편심 회전한다.
2개 이상의 회전 블레이드(330)는 2개 이상의 로터축(320)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회전 블레이드(330)는 로터축(320)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드론 보관시, 2개 이상의 회전 블레이드(330)를 일방향으로 모아서 보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회전 블레이드(330)의 수용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일방향으로 모아진 2개 이상의 회전 블레이드(330)는 후술할 고정부재로서 탄성밴드(7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동장치(340)는 회전 프레임(310)의 내측에 마련되며, 회전부(3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면, 구동장치는 구동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밴드(700)는 암유닛(200)과 2개 이상의 회전 블레이드(330)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밴드(70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고무밴드, 고무스트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회전 프레임(310)은, 케이싱(312), 하부커버(314) 및 상부커버(316)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312)은 암유닛(200)에 마련되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312)에는 후술할 로터축(320)의 나사부(326)가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는 나사산 형태의 케이싱홀(312a)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커버(314)는 케이싱(3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커버(314)에는 후술할 로터축(320)의 관통부(324)가 관통하는 하부커버홀(31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커버(316)는 회전 블레이드(330)를 사이에 두고 하부커버(314)와 대향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커버(316)에는 후술할 로터축(320)의 관통부(324)가 관통하는 상부커버홀(316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 블레이드(330)에는 후술할 로터축(320)의 관통부(324)가 관통하는 블레이드홀(332)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축(320)은 상부커버(316), 회전 블레이드(330) 및 하부커버(314)를 관통하여, 케이싱(3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로터축(320)은 헤드부(322), 관통부(324) 및 나사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322)는 로터축(320)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관통부(324)는 로터축(320)의 일단부 및 타단부 사이에 마련되고, 나사부(326)는 로터축(320)의 타단부에 마련된다.
헤드부(322)는 상부커버(316)에 걸림고정된다. 이러한 헤드부(322)는 상부커버홀(316a)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짐에 따라, 상부커버홀(316a)을 관통하지 못하고, 상부커버(316)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관통부(324)는 회전 블레이드(330) 및 하부커버(314)에 관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통부(324)는 블레이드홀(332)과 하부커버홀(314a)을 관통할 수 있다.
나사부(326)는 케이싱(312)에 나사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사부(326)는 케이싱홀(312a)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블레이드(330)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로터축(320)의 나사부(326) 및 케이싱(312)의 케이싱홀(312a) 간에 나사 결합을 해제한 후, 로터축(320)으로부터 회전 블레이드(330)를 분리한 후, 로터축(320)을 새로운 블레이드에 관통시킨 후, 로터축(320)의 나사부(326) 및 케이싱(312)의 케이싱홀(312a)을 나사결합 시키는 과정을 통해, 회전 블레이드(33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공기 저항에 유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비행 성능을 향상시키며, 안정적으로 랜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드론 본체
110: 본체 하우징
120: 본체 커버
130: 카메라
200: 암유닛
210: 제1암
220: 커넥터
230: 제2암
240: 죔쇠
300: 회전부
310: 회전 프레임
312: 케이싱
312a: 케이싱홀
314: 하부커버
314a: 하부커버홀
316: 상부커버
316a: 상부커버홀
320: 로터축
322: 헤드부
324: 관통부
326: 나사부
330: 회전 블레이드
332: 블레이드홀
340: 구동장치
400: 랜딩부
500: 조향키
510: 수평 안정판
600: 액추에이터
700: 탄성밴드

Claims (6)

  1.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암유닛;
    상기 암유닛에 마련되어, 회전하며 양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
    상기 암유닛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랜딩시 착지하는 랜딩부;
    상기 랜딩부에 연결되어, 드론의 비행 방향을 조향하는 조향키;
    상기 암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랜딩부를 특정 각도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액추에이터; 및
    비행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속도센서에서 측정된 속도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랜딩부를 특정 각도로 고정하거나, 상기 속도센서에서 측정된 속도데이터가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랜딩부의 특정 각도의 고정을 해제하는, 드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드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중심축선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2개 이상의 로터축; 및
    상기 로터축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 이상의 회전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드론.
  5.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암유닛;
    상기 암유닛에 마련되어, 회전하며 양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
    상기 암유닛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랜딩시 착지하는 랜딩부;
    상기 랜딩부에 연결되어, 드론의 비행 방향을 조향하는 조향키; 및
    상기 암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랜딩부를 특정 각도로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중심축선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2개 이상의 로터축; 및
    상기 로터축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 이상의 회전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보관시, 상기 암유닛과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감싸서 고정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는, 드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키의 후방에 수평하게 마련되는 수평 안정판을 더 포함하는, 드론.
KR1020210054165A 2021-04-27 2021-04-27 드론 KR102281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165A KR102281656B1 (ko) 2021-04-27 2021-04-27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165A KR102281656B1 (ko) 2021-04-27 2021-04-27 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656B1 true KR102281656B1 (ko) 2021-07-23

Family

ID=7715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165A KR102281656B1 (ko) 2021-04-27 2021-04-27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264B1 (ko) * 2021-09-24 2022-02-14 주식회사 순돌이드론 유무선 복합 드론
KR102405606B1 (ko) 2021-11-30 2022-06-07 베셀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분리형 테더링 드론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39629A1 (en) * 2018-08-03 2020-02-06 Aurora Flight Sciences Corporation Combination flight and ground apparatus for a vehicle
US20200062384A1 (en) * 2016-07-01 2020-02-27 Bell Textron Inc. Logistics Support Aircraft having a Minimal Drag Configuration
KR20200032997A (ko)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티지에스코리아 접이식 무인비행체
KR102114337B1 (ko) 2018-10-15 2020-05-22 박찬 드론 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62384A1 (en) * 2016-07-01 2020-02-27 Bell Textron Inc. Logistics Support Aircraft having a Minimal Drag Configuration
US20200039629A1 (en) * 2018-08-03 2020-02-06 Aurora Flight Sciences Corporation Combination flight and ground apparatus for a vehicle
KR20200032997A (ko)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티지에스코리아 접이식 무인비행체
KR102114337B1 (ko) 2018-10-15 2020-05-22 박찬 드론 포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264B1 (ko) * 2021-09-24 2022-02-14 주식회사 순돌이드론 유무선 복합 드론
KR102405606B1 (ko) 2021-11-30 2022-06-07 베셀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분리형 테더링 드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656B1 (ko) 드론
CA2962276C (en) Weight-shifting coaxial helicopter
US10814968B2 (en) Hinge mechanism for a weight-shifting coaxial helicopter
Lyu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quadrotor tail-sitter VTOL UAV
CN106516147A (zh) 机动发射式自转旋翼机及其控制方法
EP3369653A1 (en) Hinge mechanism for a weight-shifting coaxial helicopter
JP5840781B2 (ja) 受動的に制御される補助翼を備えたつばを有する、ロールするビークル
JPWO2015049798A1 (ja) 軽量小型飛行体
CN207450247U (zh) 一种可折叠可滚动的球形无人机
ZA201003789B (en) Unmanned airial vehicle
WO2017020097A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вышения стабилизации и маневренности беспилотных летательных аппаратов (бла) с применением гироскопического эффекта
WO2019091419A1 (zh) 一种无人机增稳控制方法、装置以及无人机
CN207540428U (zh) 一种无人机拦截装置
CN106828910A (zh) 一种涵道式垂直起降无人机的姿态控制机构
CN208931628U (zh) 一种小型无人机起落架舱门机构
CN210526846U (zh) 油电混合六旋翼无人机
JP4702882B2 (ja) 小型回転翼機
CN214002035U (zh) 一种具有防干扰的探照侦查无人机
US11180251B2 (en) Compact unmanned aerial system
CN205239894U (zh) 一种小型折叠翼超近程无人机系统
CN204586397U (zh) 一种水陆两用飞行器
KR101244490B1 (ko) 제트베인 분리식 발사체의 방향 조종 장치
KR101827759B1 (ko) 고기동 자세제어수단을 갖는 무인비행체
RU174959U1 (ru) Беспилотный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CN219956302U (zh) 一种可折叠式的巡飞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