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612B1 -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612B1
KR102281612B1 KR1020210001920A KR20210001920A KR102281612B1 KR 102281612 B1 KR102281612 B1 KR 102281612B1 KR 1020210001920 A KR1020210001920 A KR 1020210001920A KR 20210001920 A KR20210001920 A KR 20210001920A KR 102281612 B1 KR102281612 B1 KR 10228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etection switch
microcomputer
case
winding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광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광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광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210001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상태의 가공배전선 유지보수를 위해 송전탑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감전 등과 같은 위험지역에 진입시에 이를 신속하게 경고하여 안전사고를 방지시킬 수 있는 안전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속이 빈 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 결합가능한 두 분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제어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외면에는 작업복과 연결되는 와이어가 권취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시에 서로 다른 감지스위치와 전기적으로 면접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와이어의 권취길이가 판단되어 작업자에게 위험지역 진입 여부를 알려줄 수 있게 구비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되, 감지스위치는 정방향 감지스위치 및 역방향 감지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정방향 감지스위치는 상기 와이어의 권취길이가 늘어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역방향 감지스위치는 상기 와이어의 권취길이가 줄어드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The safety auxiliary device for the live line work of the aerial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선상태의 가공배전선 유지보수를 위해 송전탑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감전 등과 같은 위험지역에 진입시에 이를 신속하게 경고하여 안전사고를 방지시킬 수 있는 안전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은 현대사회에 필수적인 요소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력은 하용지역에 필요전원을 인가하거나 지하철 등과 같은 교통수단 등에 호라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발전소 등에서 인가되는 고압의 전압이 주택가 등과 같은 허용지역에 인가되기 위해서는 송전탑과 같은 구조물 상부에 구비되는 송전선로(또는 가공배전선이라고 함)를 연결을 통해 해당 허용지역으로 필요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물에는 송전선로 이외에 전원의 끊김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고압의 전류가 항시 흐르고 있는 점퍼선 등이 존재하고 있으며, 송전선로나 구조물 등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해당 구조물에 직접 올라서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작업자는 송전선로를 휴전 상태로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실적으로 휴전상태에서 작업을 위한 장비나 장치들이 고가로 취급되고 있어 현실적으로 휴전 상태의 송전선로 작업이 실행되지 못하는 실정이며, 일일이 작업자가 활선상태의 송전선로에 주의하며 작업해야 하기에 감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이러한 안전사고의 방지를 위해 작업자는 활선 상태에 있는 송전선로 등에 깃발 등으로 표시하여 안전사고 예방에 노력하고 있으나, 이러한 표시물은 해당 작업자가 작업에 집중하는 경우에 별도의 알림신호를 제공하지 못하여 그 효율은 극히 미약한 수준이기에 고압의 전선 작업을 실행시에 작업자가 해당 고압의 전선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는 장치의 공급이 시급한 상황이다.
국내등록실용 제20-0230281호(공고일:2001.07.19.) 국내등록실용 제20-0255356호(공고일:2007.11.13.)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송전탑과 같은 구조물 상에서 작업자가 유지보수 작업을 실행시에 활선상태에 있는 고압의 송전선로에 근접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해당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는 속이 빈 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 결합가능한 두 분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제어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외면에는 작업복과 연결되는 와이어가 권취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시에 서로 다른 감지스위치와 전기적으로 면접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와이어의 권취길이가 판단되어 작업자에게 위험지역 진입 여부를 알려줄 수 있게 구비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되, 감지스위치는 정방향 감지스위치 및 역방향 감지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정방향 감지스위치는 상기 와이어의 권취길이가 늘어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역방향 감지스위치는 상기 와이어의 권취길이가 줄어드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활선상태의 가공배전선 작업을 작업자가 실행시에 가상의 경계라인을 지나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경고하여 해당 작업자가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에 대한 롤러 외면에 형성된 감지봉의 다른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에 대한 박스 형태의 마이컴 외면에 구비된 한 쌍의 감지스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이하, 간략하게 '안전보조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보조장치(1)는 크게 케이스(100), 롤러부재(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후술하는 롤러부재(200) 및 제어부(300)가 외부 영향(예를 들어, 습기나 이물질의 유입방지는 물론, 충격 등에 의한 파손 방지 등)으로 부터 보호하되 송전탑 등의 구조물에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보조장치(1)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케이스(10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 즉, 절연의 성질을 갖는 재료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함체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되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 결합할 수 있게 두 분체로 구성되어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케이스(100) 외면에는 후술하는 롤러(210)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211)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거나 제어부(300)에 구비된 엘이디(323)가 상기 케이스(100) 외부에서 발광할 수 있게 관통 삽입되는 것은 물론,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230)가 관통하는 용도의 관통공(110)이 다수 천공 형성된다.
아울러, 케이스(100)는 관통공(110) 이외에 두 분체 간에 서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다수의 체결공(120)이 천공형성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케이스(100) 외면에는 철재로 이루어진 송전탑(미도시)의 구조물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기 위한 자석체(130) 또는 해당 송전탑의 설치를 위해 사용된 체결수단 등에 걸어 사용할 수 있는 걸이공(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착수단이 형성된다.
하여, 작업자는 제어부(300)와 롤러부재(200)가 구비된 케이스(100)가 부착수단을 통해 송전탑에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걸거나 자력에 의해 부착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인출되되 연결고리(240)가 형성된 와이어(230)를 작업자와 연결하여 해당 작업자가 이동시에 상기 와이어(230)가 풀리거나 줄어드는 권취가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재(200)는 작업자가 활선상태에 있는 가공배전선의 작업을 위해 이동시에 그 이동거리가 제어부(300)를 통해 판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롤러(210), 감지봉(220) 및 와이어(230)를 포함한다.
예컨대 롤러(210)는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되 양측이 상기 케이스(100)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다수의 분체로 이루어진 회전축(211)의 관통을 통해 상기 케이스(100) 내에서 정방향(시계방향)이나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때, 롤러(210)는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와이어(230)가 풀리도록 권취되어 정방향으로 회전시, 탄성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외력이 항시 존재할 수 있게 흡사 줄자와 유사한 탄성체(미도시)가 구비되어 해당 작업자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230)가 자유로이 풀리거나 줄어들 수 있게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210) 외면 즉, 제어부(300)와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감지봉(220)이 삽입 설치되는 삽입홈(213)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와이어(230)가 권취가능하게 감겨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일측이 삽입홈(213)에 삽입된 감지봉(2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봉(22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롤러(210) 외면에 고정 설치되되 그 타측은 상기 롤러(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정방향 감지스위치(340)와 역방향 감지스위치(350)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그 접촉을 통해 제어부(300)에서 롤러(210) 회전방향은 물론, 와이어(230)의 인출길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감지봉(2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등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감지봉(220)과 접촉하는 감지스위치에 감지정보에 따라 제어부(300)에서 와이어(230)의 인출길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와이어(230)는 탄성력이 없는 절연이 가능한 재질의 것이 사용되되 일단에 작업자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고리(240)가 구비되어 해당 작업자의 이동을 통해 롤러(210)가 회전은 물론, 상기 와이어(230)의 권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술한 롤러부재(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230)의 권취길이 및 롤러(210)의 회전방향을 동시에 감지하되 그 감지정보와 기 저장된 설정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그 결과에 따른 위험 여부를 작업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주기 위한 구성으로 컨트롤러(310), 알림수단(320), 한 쌍의 감지스위치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는 마이컴(340)을 포함한다.
예컨대 컨트롤러(310)는 마이컴(340)과 근거리 전기회선통신망에 의해 연결되되 그 외면에는 작업자에 의해 설정정보의 입력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스위치 및 상기 마이컴(340)의 제어를 통해 와이어(230)의 권출길이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313)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알림수단(320)은 케이스(100)에 구비되되 인가된 전원에 의해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321) 또는 조명신호인 엘이디(3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알림수단(320)은 컨트롤러(310)를 통해 마이컴(340)에 저장된 설정정보와 와이어(230)의 권취길이에 따른 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마이컴(340)의 제어를 통해 동작 여부가 결정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본 발명에 따른 작용관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정방향 감지스위치(340)와 역방향 감지스위치(350)를 포함하는 한 쌍의 감지스위치는 각각 마이컴(340)과 전기적으로 개별 연결된 상태를 갖게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Box) 형상을 갖는 상기 마이컴(340) 외면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되 와이어(230)의 권취를 통해 회전하는 롤러(210) 외면에 구비된 감지봉(220)과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그 전기신호를 통해 상기 롤러(210)의 회전방향 및 상기 와이어(230)의 권취길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감지스위치는 감지봉(220)과 서로 마주보는 박스 형태의 마이컴(340) 외면에 호(弧)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삽입공(361) 내에 서로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어 롤러(2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감지봉(220)이 상기 회전삽입공(36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 또는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삽입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 감지스위치(340,350)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여 그 전기신호를 상기 마이컴(34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롤러(210)의 회전방향은 물론, 와이어(230)의 권취길이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한 쌍의 감지스위치는 회전삽입공(361)에 삽입된 감지봉(220)의 외력에 의해 스위칭되는 방식은 물론, 상기 감지봉(220)이 전도체의 재질로 형성되어 그 외면과 해당 감지스위치가 접촉시에 전기적으로 온(ON) 상태를 가질 수 있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보조장치(1)에 대한 작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롤러(210) 외면에 구비된 감지봉(220)이 360도 회전시에 상기 롤러(210) 외면에서 권취되는 와이어(230)의 권취길이는 1m(미터)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활선상태의 가공배전선의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작업자는 부착수단을 이용하여 송전탑에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보조장치(1)가 고정될 수 있게 장착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안전보조장치(1)는 고전압이 흐르는 위험구역 근처에 장착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연결고리(240)를 작업복 등과 연결하여 와이어(230)가 권취될 수 있게 체결 후, 컨트롤러(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작업장소 방향으로 위험지역(Dangerous Area:D/A)에서 벗어난 안전지역(Safe Area:S/A)이라 판단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이동 이후에 컨트롤러(310)의 입력부(311)를 통해 설정정보를 입력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부연하면, 임의의 경계라인(L) 즉, 작업자가 안전하다고 판단하여 이동한 위치를 위미하는 경계라인(L)의 거리를 1미터라 가정 후, 해당 경계라인(L)에서 입력부(311)를 통해 본 발명인 안전보조장치(1)를 온(ON) 상태로 활성화시키면 그 활성화신호는 컨트롤러(310)에 의해 마이컴(340)에 송신되며, 해당 활성화신호를 수신한 상기 마이컴(340)은 케이스(100) 외부로 인출된 와이어(230)의 인출길이와 상관 없이 현재 인출된 상기 와이어(230)의 인출길이를 '0'으로 인식하는 설정정보를 갖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전/후진으로 이동하게 되면 롤러(21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230)가 권취되고 이 과정에서 마이컴(340)은 감지봉(220)과 전기적으로 면접하는 어느 하나의 감지스위치를 통해 상기 와이어(2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권취되고 있는지 판단하게 되며, 상기 감지봉(220)의 접촉 회수에 따라 상기 와이어(230)의 권취길이 역시, 판단하게 된다.
즉, 정방향 감지스위치(340)와 감지봉(220)이 먼저 접촉하면 마이컴(340)은 와이어(230)가 풀리고 있는 것으로 간주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230)의 인출길이를 카운팅('+'카운팅)하고 상기 감지봉(220)이 역방향 감지스위치(350)와 우선적으로 면접하면 상기 와이어(230)가 감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230)의 인출길이를 카운팅('-' 카운팅)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마이컴(340)은 작업자가 저장된 설정정보 미만이 되게 이동 즉, 경계라인을 넘어 위험지역(D/A)에 진입하면 알림수단(320)을 동작시켜 해당 작업자에게 경고를 의미하는 음향신호나 조명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시켜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작업다가 안전지역(S/A)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신호를 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보조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활선상태의 가공배전선 작업을 작업자가 실행시에 가상의 경계라인(L)을 지나 위험지역(D/A)에 진입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경고하여 해당 작업자가 안전지역(S/A)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케이스 110: 관통공
120: 체결공 130: 자석체
200: 롤러부재 210: 롤러
211: 회전축 213: 삽입홈
220: 감지봉 230: 와이어
240: 연결고리 300: 제어부
310: 컨트롤러 311: 입력부
313: 디스플레이 320: 알림수단
321: 스피커 323: 엘이디
340: 정방향 감지스위치 350: 역방향 감지스위치
360: 마이컴 361: 회전삽입공

Claims (1)

  1. 속이 빈 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 결합가능한 두 분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제어부(300)가 구비되는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외면에는 작업복과 연결되는 와이어(230)가 권취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시에 서로 다른 감지스위치와 전기적으로 면접하여 상기 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와이어(230)의 권취길이가 판단되어 작업자에게 위험지역(D/A) 진입 여부를 알려줄 수 있게 구비되는 롤러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300)는 컨트롤러(310), 알림수단(320), 한 쌍의 감지스위치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는 마이컴(340)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310)는 설정정보의 입력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스위치와 상기 마이컴(34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와이어(230)의 권출길이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313)를 포함하며,
    상기 알림수단(320)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321) 또는 조명신호인 엘이디(3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알림수단(320)은 상티 컨트롤러(310)를 통해 상기 마이컴(340)에 저장된 설정정보와 상기 와이어(230)의 권취길이에 따른 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마이컴(340)의 제어를 통해 동작 여부가 결정되며,
    상기 감지스위치는 정방향 감지스위치(340) 및 역방향 감지스위치(350)를 포함하며, 상기 정방향 감지스위치(340)는 상기 와이어(230)의 권취길이가 늘어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역방향 감지스위치(350)는 상기 와이어(230)의 권취길이가 줄어드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마이컴(340)에 의한 설정정보는 상기 케이스(100)가 송전탑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지역(S/A)까지 이동한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와이어(230)의 인출길이를 의미하되 상기 마이컴(340)은 작업중인 작업자의 이동을 통해 상기 마이컴(340)에 저장된 설정정보 미만인 거리인 위험지역(D/A)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알림수단(320)이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
KR1020210001920A 2021-01-07 2021-01-07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 KR102281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920A KR102281612B1 (ko) 2021-01-07 2021-01-07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920A KR102281612B1 (ko) 2021-01-07 2021-01-07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612B1 true KR102281612B1 (ko) 2021-07-29

Family

ID=7712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920A KR102281612B1 (ko) 2021-01-07 2021-01-07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90055A (zh) * 2022-08-10 2022-11-25 南京远能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配网不停电作业毫米波距离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281Y1 (ko) 2001-02-10 2001-07-19 권현옥 감지 장치를 구비한 지하철 안전선
KR200255356Y1 (ko) 2001-05-30 2001-12-13 이기환 활선감지용 경보 센서가 부착된 중장비
KR20180001176U (ko) * 2016-10-19 2018-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소 작업용 안전대
KR102097377B1 (ko) * 2019-09-03 2020-05-26 주식회사 거창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수 작업자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281Y1 (ko) 2001-02-10 2001-07-19 권현옥 감지 장치를 구비한 지하철 안전선
KR200255356Y1 (ko) 2001-05-30 2001-12-13 이기환 활선감지용 경보 센서가 부착된 중장비
KR20180001176U (ko) * 2016-10-19 2018-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소 작업용 안전대
KR102097377B1 (ko) * 2019-09-03 2020-05-26 주식회사 거창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수 작업자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90055A (zh) * 2022-08-10 2022-11-25 南京远能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配网不停电作业毫米波距离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612B1 (ko) 가공배전선의 활선작업을 위한 안전보조장치
WO2016122184A1 (ko) 감전을 경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와 연동된 수배전반이 포함된 감전 경보 수배전반 시스템
CN105870816B (zh) 安全性好的继电保护及自动装置屏柜检修防误装置
CN101480672B (zh) 线材直度检测报警装置
CN205029290U (zh) 一种输电线路安全防护装置
CN105069942A (zh) 一种电线杆塔预警装置和系统
CN106115528A (zh) 凿井绞车钢丝绳过负荷断绳保护系统
CN205621875U (zh) 一种新型接地线装置
CN203205749U (zh) 一种变电站继电保护及自动装置屏柜的检修防误装置
KR101043964B1 (ko) 안전 경보장치 및 측정수단이 구비된 배전반
KR20210042723A (ko)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US10937604B2 (en) Switching device for a MV electric power distribution network
KR102489089B1 (ko) 활선 경보 장치
CN203889934U (zh) 一种起重设备用智能限位和语音报警装置
CN203877805U (zh) 塔式起重机防碰撞自动控制装置
CN114114069A (zh) 用于确定电缆发生接地故障的装置及系统
CN206525275U (zh) 喷灌机塔架调直塔盒以及喷灌机塔架
CN204282923U (zh) 电线杆组件
CN204517164U (zh) 一种用于电控柜上的可拆卸出线架
CN206452109U (zh) 一种电涌保护器用遥信报警装置
CN205429645U (zh) 一种空气型母线槽
CN104330725A (zh) 一种变电站的断路器故障跳闸的声光报警装置
KR102585619B1 (ko)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
CN212433366U (zh) 用于确定电缆发生接地故障的装置及系统
CN207432244U (zh) 一种挂线组件及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