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262B1 - 음식물 보온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보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262B1
KR102281262B1 KR1020200018543A KR20200018543A KR102281262B1 KR 102281262 B1 KR102281262 B1 KR 102281262B1 KR 1020200018543 A KR1020200018543 A KR 1020200018543A KR 20200018543 A KR20200018543 A KR 20200018543A KR 102281262 B1 KR102281262 B1 KR 102281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heating element
food
plat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충도
Original Assignee
홍충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충도 filed Critical 홍충도
Priority to KR1020200018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 A47J39/025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for warming dishes without food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7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는: 조리된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상부에 놓이도록 구비된 유리 플레이트; 상기 유리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전기저항 방식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유리 플레이트의 상부에 놓인 용기가 데워지도록 하는 발열체; 상기 유리 플레이트와 상기 발열체의 사이에서 이들과 면 접촉되게 구비되며, 상기 유리 플레이트의 형상과 면적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 되는 열이 상기 유리 플레이트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도 플레이트; 및, 상기 유리 플레이트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유리 플레이트는 상측으로 전면이 노출되게 하고 상기 발열체와 전도 플레이트는 내부에 수용 보호되도록 슬림한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조리된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이는 음식물 배식대에 슬림하고 미려한 외관으로 간편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손쉽게 데워 음식물이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음식물이 쉽게 식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의 맛과 식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보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보온장치 {food warmth kee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보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당 등에서 조리된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이는 음식물 배식대에 설치되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데워 음식물이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음식물이 쉽게 식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의 맛과 식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보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식당 또는 회사나 학교 등과 같은 곳에서는 단체 급식을 행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곳에서 공급되는 음식물 중 밥이나 국 등은 따뜻한 상태로 배식 되어야 음식의 제 맛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그러나,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에게 배식을 행하거나 겨울철에 배식을 행할 경우에는 미리 준비한 밥이나 국 등의 음식물이 쉽게 식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경비가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다.
이렇게 음식물이 쉽게 식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인덕션 또는 챠핑디쉬 등을 사용하거나 전기를 이용해 돌을 데워서 음식물을 보온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608526호(2016년03월29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는 반드시 전용 용기를 사용해야 하고, 가열 효율이 높지 않으며, 청소하기가 불편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덕션 방식으로 음식물을 보온할 경우에는 손님들이 실수로 인덕션 조작버튼을 누르게 되어 과열에 의해 음식물 보온이 아니라 아예 음식물을 태워버리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608526호(2016년03월29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된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이는 음식물 배식대에 슬림하고 미려한 외관으로 간편하게 설치되도록 하므로,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손쉽게 데워 음식물이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음식물이 쉽게 식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의 맛과 식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보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인덕션이나 습식 워머처럼 전용 용기를 사용할 필요가 전혀 없고 지정된 위치에 용기를 두지 않더라도 용기를 용이하게 습식이 아닌 건식으로 가열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가열 효율이 개선되며 청소도 용이 해지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보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발열체의 소비전력이 절감되도록 하여,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보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는: 조리된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상부에 놓이도록 구비된 유리 플레이트; 상기 유리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전기저항 방식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유리 플레이트의 상부에 놓인 용기가 데워지도록 하는 발열체; 상기 유리 플레이트와 상기 발열체의 사이에서 이들과 면 접촉되게 구비되며, 상기 유리 플레이트의 형상과 면적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 되는 열이 상기 유리 플레이트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도 플레이트; 및, 상기 유리 플레이트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유리 플레이트는 상측으로 전면이 노출되게 하고 상기 발열체와 전도 플레이트는 내부에 수용 보호되도록 슬림한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리 플레이트는 내열 강화 유리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는 상기 유리 플레이트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유리 플레이트와 전도 플레이트의 테두리 부분을 함께 보호하며 상기 패널 케이싱의 상부로 결합 되도록 구비된 장착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된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이는 음식물 배식대에 슬림하고 미려한 외관으로 간편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손쉽게 데워 음식물이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음식물이 쉽게 식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의 맛과 식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보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덕션이나 습식 워머처럼 전용 용기를 사용할 필요가 전혀 없고 지정된 위치에 용기를 두지 않더라도 용기를 용이하게 습식이 아닌 건식으로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가열 효율이 개선되며 청소도 용이 해지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보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발열체의 소비전력이 절감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보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플레이트 및 장착 프레임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 플레이트 및 전도판 브래킷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케이싱과 발열체 브래킷의 사이에 방진 댐퍼가 구비된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가 배식대에 설치 적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된 음식물이 담긴 용기(10)가 상부에 놓이도록 구비된 유리 플레이트(110)와, 유리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전기저항 방식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유리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놓인 용기(10)가 데워지도록 하는 발열체(120)와, 유리 플레이트(110) 및 발열체(120)의 사이에서 이들과 면 접촉되게 구비되며 유리 플레이트(110)의 형상과 면적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발열체(120)에서 발생 되는 열이 유리 플레이트(110)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도 플레이트(130)와, 유리 플레이트(110)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유리 플레이트(110)는 상측으로 전면이 노출되게 하고 발열체(120) 및 전도 플레이트(130)는 내부에 수용 보호되도록 슬림한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케이싱(14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된 음식물이 담긴 용기(10)가 놓이는 음식물 배식대(20)에 슬림하고 미려한 외관으로 간편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담긴 용기(10)를 손쉽게 데워 음식물이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음식물이 쉽게 식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의 맛과 식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건식 워머(warmer) 타입의 음식물 보온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유리 플레이트(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얇은 판상의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100)의 상부가 유리로 깔끔히 마감되도록 함으로써, 고급스러운 외관이 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유리 플레이트(110)는 50 ~ 100 ℃ 또는 그 이상의 내열 강화 유리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리 플레이트(110)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유리 플레이트(11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발열체(120)는 전기 저항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핫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발열체(120)는 400 W ~ 2.6 kW로 출력이 변경 가능하게 이뤄지지만, 400 W 이하의 저전력으로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1 kW 이상의 비교적 높은 전력 사용으로 인하여 전력 소모가 컸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저전력으로 음식물의 보온 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게 되어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고 내구성이 증대되며 사용수명도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전도 플레이트(130)는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전도 플레이트(130)의 두께는 6 ~ 12 mm 중 다양하게 시험해 본 결과, 400 W 이하의 전력으로 원하는 유리 플레이트(110)의 온도 70 ~ 130 ℃를 맞추기 위해서는 6 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는 전도 플레이트(130)의 가공성도 고려한 것으로서, 180 W ~ 400 W의 전력을 사용할 때에 유리 플레이트(110)의 온도는 70 ~ 130 ℃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시험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도 플레이트(130)의 두께를 각각 6 mm, 8 mm, 10 mm, 12 mm로 다르게 하고 나머지 부품들의 규격은 동일하게 했을 경우, 전도 플레이트(130)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열이 전달되는 속도와 최고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 등은 점차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180 W의 전력을 사용할 때에 유리 플레이트(110)의 온도는 75 ℃로 최종 온도에 도달하기까지는 대략 2시간 정도가 걸리며, 240 W의 전력을 사용할 때에 유리 플레이트(110)의 온도는 90 ℃로 최종 온도에 도달하기까지는 대략 1시간 30분 정도가 걸리고, 300 W의 전력을 사용할 때에 유리 플레이트(110)의 온도는 110 ℃로 최종 온도에 도달하기까지는 대략 1시간 30분 정도가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널 케이싱(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전체적으로는 슬림한 외관을 이루도록 마련되며, 하부면에는 내부의 가열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방열 공(141)들이 천공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플레이트(110)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유리 플레이트(110)와 전도 플레이트(130)의 테두리 부분을 함께 보호하며 패널 케이싱(140)의 상부로 결합 되도록 구비된 장착 프레임(15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장착 프레임(150)에 의해 유리 플레이트(110)와 전도 플레이트(130)가 고정된 상태로 보호되며 패널 케이싱(140)의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통해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유리 플레이트(110)는 장착 프레임(150)의 상부에 테두리 부분이 대응되게 부착되되, 장착 프레임(150)의 상부에 먼저 실리콘이 도포 되도록 한 후 실리콘 접착에 의해 장착 프레임(150)의 상부에 유리 플레이트(110)가 테두리 부분을 따라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실리콘 도포에 의해 유리 플레이트(110)와 장착 프레임(150)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뤄지고 외부로부터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도포는 실리콘 재질의 테이프 접착 부재(151)를 통해서 이뤄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 플레이트(130)의 하부에는 둘레 부분을 따라 다수의 전도판 브래킷(131)들이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전도 플레이트(130)가 유리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면 접촉되도록 한 다음 장착 프레임(150)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어 장착 프레임(150)에 의해 감싸지는 전도판 브래킷(131)들을 장착 프레임(150)의 외측에서 피스와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되게 결합하여 유리 플레이트(110)와 전도 플레이트(130)가 장착 프레임(150)에 의해 손쉽고 간편하게 결합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20)는 하부에 결합 되는 발열체 브래킷(160)에 의해 전도 플레이트(130)의 중심 하부에 면 접촉되게 고정 결합 되고, 이렇게 발열체 브래킷(160)에 의해 전도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발열체(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리 플레이트(110), 전도 플레이트(130), 장착 프레임(150) 및 발열체(120)가 모두 패널 케이싱(140)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패널 케이싱(140)의 내부로 끼워지는 장착 프레임(150)은 패널 케이싱(140)의 외측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패널 케이싱(140)에 고정되게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열체 브래킷(160)은 양측에서 전도 플레이트(130)에 면 접촉되게 전도 체결부(160a)가 절곡 형성되어 전도 체결부(160a)에 의해 발열체(120)와 함께 전도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결합 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 브래킷(160)은 측면 상 ‘ㄷ’자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90 ° 뒤집은 상태에서 양단부에 전도 체결부(160a)가 각각 날개의 형태로 절곡 연장된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케이싱(140)과 발열체 브래킷(160)의 사이에는 탄성 완충 기능을 갖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방진 댐퍼(161)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방진 댐퍼(161)는 발열체 브래킷(160)의 전도 체결부(160a)의 하부에서 패널 케이싱(140)과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이나 외부로부터 충격 전달시 방진 댐퍼(161)에 의해 진동 전달이 감쇄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100)의 손상이나 고장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100)는 발열체(12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열체(120)의 작동을 소비전력의 40% 이하만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100)의 조작이 편리해지고 발열체(120)의 작동이 정확하게 제어되도록 하며 발열체(120)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발열체(120)의 과열이 방지되도록 하는 바이메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덕션이나 습식 워머처럼 전용 용기를 사용할 필요가 전혀 없고 지정된 위치에 용기를 두지 않더라도 용기를 용이하게 습식이 아닌 건식으로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가열 효율이 개선되며 청소도 용이 해지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보온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열체(120)의 소비전력이 절감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보온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유리 플레이트 120 : 발열체
130 : 전도 플레이트 140 : 패널 케이싱
150 : 장착 프레임

Claims (3)

  1. 조리된 음식물이 담긴 용기(10)가 상부에 놓이도록 구비된 유리 플레이트(110);
    상기 유리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전기저항 방식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유리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놓인 용기(10)가 데워지도록 하는 발열체(120);
    상기 유리 플레이트(110)와 상기 발열체(120)의 사이에서 이들과 면 접촉되게 구비되며, 상기 유리 플레이트(110)의 형상과 면적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발열체(120)에서 발생 되는 열이 상기 유리 플레이트(110)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도 플레이트(130); 및
    상기 유리 플레이트(110)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유리 플레이트(110)는 상측으로 전면이 노출되게 하고 상기 발열체(120)와 전도 플레이트(130)는 내부에 수용 보호되도록 슬림한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케이싱(140);
    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플레이트(110)는 내열 강화 유리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유리 플레이트(110)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유리 플레이트(110)와 전도 플레이트(130)의 테두리 부분을 함께 보호하며 상기 패널 케이싱(140)의 상부로 결합 되도록 구비된 장착 프레임(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120)는 하부에 결합 되는 발열체 브래킷(160)에 의해 상기 전도 플레이트(130)의 중심 하부에 면 접촉되게 고정 결합 되며, 상기 발열체 브래킷(160)에 의해 상기 전도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상기 발열체(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유리 플레이트(110), 전도 플레이트(130), 장착 프레임(150) 및 발열체(120)가 모두 상기 패널 케이싱(140)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발열체 브래킷(160)은 양측에서 상기 전도 플레이트(130)에 면 접촉되게 전도 체결부(160a)가 절곡 형성되어 전도 체결부(160a)에 의해 상기 발열체(120)와 함께 상기 전도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결합 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발열체 브래킷(160)은 측면 상 ‘ㄷ’자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90 ° 뒤집은 상태에서 양단부에 상기 전도 체결부(160a)가 각각 날개의 형태로 절곡 연장된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며,
    상기 발열체 브래킷(160)의 상기 전도 체결부(160a)의 하부에서 상기 패널 케이싱(140)과의 사이에는 탄성 완충 기능을 갖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방진 댐퍼(161)가 구비되고,
    상기 유리 플레이트(110)는 상기 장착 프레임(150)의 상부에 테두리 부분이 대응되게 부착되되, 상기 장착 프레임(150)의 상부에 먼저 실리콘이 도포 되도록 한 후 실리콘 접착에 의해 상기 장착 프레임(150)의 상부에 상기 유리 플레이트(110)가 테두리 부분을 따라 부착되도록 하며,
    상기 전도 플레이트(130)의 하부에는 둘레 부분을 따라 다수의 전도판 브래킷(131)들이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전도 플레이트(130)가 상기 유리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면 접촉되도록 한 다음 상기 장착 프레임(150)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어 상기 장착 프레임(150)에 의해 감싸지는 전도판 브래킷(131)들을 상기 장착 프레임(150)의 외측에서 체결부재로 고정되게 결합하며,
    상기 발열체(12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발열체(120)의 작동을 소비전력의 40% 이하까지만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온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018543A 2020-02-14 2020-02-14 음식물 보온장치 KR102281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43A KR102281262B1 (ko) 2020-02-14 2020-02-14 음식물 보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43A KR102281262B1 (ko) 2020-02-14 2020-02-14 음식물 보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262B1 true KR102281262B1 (ko) 2021-07-22

Family

ID=7715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543A KR102281262B1 (ko) 2020-02-14 2020-02-14 음식물 보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2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3486A (ja) * 1989-07-19 1991-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発熱体
KR20090088024A (ko) * 2008-02-14 2009-08-19 아프로시스템 주식회사 원적외선 글라스 히터를 구비한 그릴
KR20090102776A (ko) * 2006-03-02 2009-09-30 강 구 성 단열판 및 이를 이용한 발열 패널
KR101608526B1 (ko) 2014-11-07 2016-04-05 이경호 음식물 보온판
KR20180012413A (ko) * 2016-07-27 2018-02-06 주식회사 티앤비나노일렉 분리형 전기레인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3486A (ja) * 1989-07-19 1991-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発熱体
KR20090102776A (ko) * 2006-03-02 2009-09-30 강 구 성 단열판 및 이를 이용한 발열 패널
KR20090088024A (ko) * 2008-02-14 2009-08-19 아프로시스템 주식회사 원적외선 글라스 히터를 구비한 그릴
KR101608526B1 (ko) 2014-11-07 2016-04-05 이경호 음식물 보온판
KR20180012413A (ko) * 2016-07-27 2018-02-06 주식회사 티앤비나노일렉 분리형 전기레인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0892B1 (en) Cooktop having a flat glass ceramic cooking surface
JPH05256460A (ja) ヒーターを有する料理焼網
US6735958B2 (en) System for holding food in a ready-to-serve state
TWI227771B (en) Grate
KR102281262B1 (ko) 음식물 보온장치
US7057139B2 (en) Electric heating assembly
US2563875A (en) Warming tray
GB0206738D0 (en) Electrical heating assembly
JPH10238787A (ja) 急速調理環を持つガラスセラミック台を備えた調理器
KR20120135607A (ko)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
CN207815414U (zh) 一种具有防烫伤结构的电陶炉
KR100767694B1 (ko) 전기 레인지
KR20180119043A (ko) 보온겸용 전기식 조리장치
CN220327324U (zh) 一种防冷凝水装置的烹饪器具
CN205866646U (zh) 电热烹饪器具
CN216256779U (zh) 一种多线圈电磁加热暖菜盘
CN201365817Y (zh) 一种新型电饭煲
JP2979850B2 (ja) グリル扉装置
CN210241729U (zh) 一种鸟笼电取暖器
CN213429613U (zh) 一种加热盘及应用该加热盘的烹饪电器
CN218064998U (zh) 一种无风扇电陶炉
CN210951417U (zh) 具有立体加热功能的电磁炉
JP3304738B2 (ja) 調理器
CN210762231U (zh) 打饭机的保温结构和打饭机
CN210609775U (zh) 一种用于烹饪设备的恒温转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