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923B1 - 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iot 기반의 케이블 - Google Patents

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iot 기반의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923B1
KR102278923B1 KR1020200084400A KR20200084400A KR102278923B1 KR 102278923 B1 KR102278923 B1 KR 102278923B1 KR 1020200084400 A KR1020200084400 A KR 1020200084400A KR 20200084400 A KR20200084400 A KR 20200084400A KR 102278923 B1 KR102278923 B1 KR 102278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inary code
pattern corresponding
informatio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885A (ko
Inventor
권중지
김영호
김정년
남석현
김원영
방선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089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06647A1/ko
Priority to US17/625,536 priority patent/US11816520B2/en
Publication of KR20210007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06K9/7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케이블은 케이블 코어 및 상기 케이블 코어의 외부에 형성되는 케이블 외피층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외피층 외부 표면에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구비한다. 케이블에 인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폭을 조절하여 인식율이 개선되고, 케이블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에 인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복수개로 구비하여, 케이블이 지면에 매설되거나 시설물에 접촉하여, 일부 이진수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이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도 다른 이진수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이 노출되어 인식이 불가능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IOT 기반의 케이블{CABLE BASED ON IOT FOR USED IN CABL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IOT 기반의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상태 및 수명 관리가 용이한 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IOT 기반의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됨에 따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테슬라, 소프트 뱅크 등의 대표적인 IT 기업들도 4차 산업혁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IT 기업들은 전력 시장에도 산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아날로그 기술이 주를 이루던 전력 시장에도 디지털 기술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발전, 송변전 및 배전 등에도 디지털 기술이 적용되어 터빈 및 발전기의 상태 진단, 부품관리 솔루션 개발, 케이블 시스템 고장 판단, 교체 등급 산정, 센서 내장형 접속함 개발, 변압기 유중 가스 패턴 분석 및 인공지능 기반 변전소 최적 복구시스템 등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케이블의 운전 및 상태 정보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의 품질, 상태 진단 및 교체 주기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케이블 내부에 RF-ID 칩과 등의 센서나 인식 가능한 소자를 부착 또는 삽입하거나 QR코드와 같은 인식 가능한 패턴이 인쇄된 스티커를 케이블 외부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중 케이블 내부에 센서나 인식 가능한 소자를 부착하는 방식은 케이블 제조 비용이 비싸고 케이블 구조 및 전기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티커 부착 방식은 유통/시공/관리 과정에서 스크래치 등으로 스티커가 쉽게 훼손되어 인식율이 저하되고 케이블 길이단위 마다 각각 다른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스티커 부착이 불가능해 유통/시공 과정에서 한 개의 드럼에 감긴 케이블을 길이 단위로 잘라서 각기 다른 곳에 판매 또는 포설하는 경우 다른 정보의 입력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6446호(2015.02.17)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서 케이블의 상태 등을 확인하여 케이블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IOT 기반의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은 케이블 코어 및 상기 케이블 코어의 외부에 형성되는 케이블 외피층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외피층 외부 표면에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코어는 도체층 및 상기 도체층을 감싸는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단면도 상에서 구비된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들이 이루는 중심각들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의 세로 방향 길이는 단면도 상에서 원의 호의 길이로 표현되며, 상기 호의 길이에 대응되는 중심각의 크기는 5도 이상 15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의 세로 방향 길이는 단면도 상에서 원의 호의 길이로 표현되며, 상기 호의 길이는 4mm이상이고, 아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는 길이 이하일 수 있다.
h = 2πr x 15/360
(여기서 h는 호의 길이, r은 단면도 상에서 케이블의 반지름을 나타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의 세로방향의 폭과 가로방향의 폭의 비는 1:2 내지 1:4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에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을 인쇄하고, 제조 단계, 유통/시공 단계 및 현장 사용 단계에서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 인식 장치 및 플랫폼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에 관련된 정보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변경된 정보를 추가로 입력하거나 입력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어 케이블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의 관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입력되어 정보의 누락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현장에서의 케이블 오결선 및 활선 여부 등을 파악하지 못해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에 인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폭을 조절하여 인식율이 개선되고, 케이블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에 인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복수개로 구비하여, 케이블이 지면에 매설되거나 시설물에 접촉하여, 일부 이진수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이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도 다른 이진수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이 노출되어 인식이 불가능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제조사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유통/시공사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의 외피층에 구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의 외피층에 구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의 외피층에 구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의 외피층에 구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은 제조사 제어부(100), 유통/시공사 제어부(200), 사용자 제어부(300), 케이블(400) 및 데이터베이스(5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사 제어부(100)는 케이블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조사 제어부(100)는 생산된 케이블의 제품 스펙(구조, 전압, 용량 등), 제조일자, 로트(LOT) 번호, 제품의 성적서, 담당 영업사원 연락처, 제품 사용시 유의 사항 및 알림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조사 제어부(100)에서 입력한 정보들은 이를 표현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재구성되며, 이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들이 상기 케이블(400)의 표면에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들이 포함하는 데이터들은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조사 제어부(100)는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들이 포함하는 데이터들에 변경이 있는 경우 데이터를 수정할 수도 있다.
상기 유통/시공사 제어부(200)는 케이블의 유통 과정 및 케이블의 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유통/시공사 제어부(200)에서는 운송 정보, 제품의 이상 유무, 계통도(케이블의 길이 등), 준공 검사 결과 및 포설 상의 특이사항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유통/시공사 제어부(200)에서 입력한 정보들은 그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재구성되며, 이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들이 상기 케이블(400)의 표면에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들이 포함하는 데이터들은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유통/시공사 제어부(200)는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들이 포함하는 데이터들에 변경이 있는 경우 데이터를 수정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제어부(300)는 시공이 완료된 상태의 케이블을 현장에서 관리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제어부(300)에서는 케이블의 관리 및 유지보수를 위해 활선/결선 여부, 계통도, 케이블 관리자들의 긴급 연락망, 케이블의 관리 이력 및 선로 사고 및 복구 이력과 같은 시공된 케이블의 운전 중 특이사항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제어부(300)에서 입력한 정보들은 그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따라 도트 패턴(Dot pattern)으로 재구성되며, 이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들이 상기 케이블(400)의 표면에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들이 포함하는 데이터들은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제어부(300)는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들이 포함하는 데이터들에` 변경이 있는 경우 데이터를 수정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블(400)은 생산 과정에서 표면에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생산과정에서 제조사 제어부(100)가 입력한 정보들이 그에 해당하는 이진수 코드에 따라 도트 패턴으로 재구성되어 상기 케이블(400)의 표면에 인쇄되며, 이후, 유통 및 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들을 상기 유통/시공사 제어부(200)가 입력하고, 시공 후 현장에서 사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제어부(300)에서 입력한 정보들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는 상기 제조사 제어부(100), 상기 유통/시공사 제어부(200) 및 상기 사용자 제어부(300)에서 입력되고 갱신된 정보들을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 정보들은 빅데이터화 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빅데이터화 된 데이터들은 케이블의 상태 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제조사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의 제조사 제어부(100)는 제1 데이터 입력부(110), 제1 데이터 갱신부(120), 제1 ID 관리부(130) 및 제조사 단말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입력부(110)는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 과정에서 최초 발생되는 정보들은 생산된 케이블의 제품 스펙(구조, 전압, 용량 등), 제조일자, 로트(LOT) 번호, 제품의 성적서, 담당 영업사원 연락처, 제품 사용시 유의 사항 및 알림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후, 유통/시공사 제어부(200) 및 사용자 제어부(300)에서 입력한 정보에 의해 정보 변경이 필요한 경우 또는 제조 과정에서 제품 또는 인력에 대해 정보 변경이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갱신부(120)는 최초 정보 입력 후 변경된 정보들이 있는 경우 이에 관련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 과정에서 제품의 스펙 또는 담당 인력 등의 변동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변동된 정보를 입력 받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유통 정보 및 시공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유통/시공사 제어부(200)가 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500)로 전달되며, 상기 제1 데이터 갱신부(120)가 새로 입력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전달받아 이에 따라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시공 후 사용 단계에서 케이블의 활선/결선 여부, 선로 사고 및 복구 이력 등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제어부(300)가 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500)로 전달되며, 상기 제1 데이터 갱신부(120)가 새로 입력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전달받아 이에 따라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ID 관리부(130)는 상기 제조사 제어부(100)의 ID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ID 관리부(130)는 상기 제조사 제어부(100)의 ID를 등록, 삭제 및 변경 등의 관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제1 ID 관리부(130)는 상기 제조사 제어부(100)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담당 직원의 ID를 관리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부(100)에서 입력한 정보와 다른 영역 즉, 유통/시공사 제어부(200) 및 사용자 제어부(300)에서 입력한 정보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된 정보의 영역별 관리가 가능하다.
상기 제조사 단말기(140)는 상기 케이블(400)의 표면에 인쇄된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에 포함된 정보들을 읽을 수 있다. 상기 제조사 단말기(140)는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와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에 포함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사 단말기(140)는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에 입력된 정보 및 갱신된 정보들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5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유통/시공사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의 유통/시공사 제어부(200)는 제2 데이터 입력부(210), 제2 데이터 갱신부(220), 제2 ID 관리부(230) 및 유통/시공사 단말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 입력부(210)는 케이블의 유통 과정 및 케이블의 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의 유통 과정 및 케이블의 시공 과정에서 최초 발생되는 정보들은 운송 정보, 제품의 이상 유무, 계통도(케이블의 길이 등), 준공 검사 결과 및 포설 상의 특이사항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후, 제조사 제어부(100) 및 사용자 제어부(300)에서 입력한 정보에 의해 정보 변경이 필요한 경우 또는 유통 및 시공 과정에서 유통, 시공 또는 인력에 대해 정보 변경이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 갱신부(220)는 최초 정보 입력 후 변경된 정보들이 있는 경우 이에 관련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통 및 시공 과정에서 유통 경로, 시공 방법, 시공 장소 또는 담당 인력 등의 변동이 있는 경우 변동된 정보를 입력 받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스펙 또는 제조 담당 인력의 변경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조사 제어부(100)가 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로 전달되며, 상기 제2 데이터 갱신부(220)가 새로 입력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전달받아 이에 따라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시공 후 사용 단계에서 케이블의 활선/결선 여부, 선로 사고 및 복구 이력 등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제어부(300)가 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로 전달되며, 상기 제2 데이터 갱신부(220)가 새로 입력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전달받아 이에 따라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ID 관리부(230)는 상기 유통/시공사 제어부(200)의 ID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2 ID 관리부(230)는 상기 유통/시공사 제어부(200)의 ID를 등록, 삭제 및 변경 등의 관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제2 ID 관리부(230)는 상기 유통/시공사 제어부(200)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담당 직원의 ID를 관리하여 상기 유통/시공사 제어부(200)에서 입력한 정보와 다른 영역 즉, 제조사 제어부(100) 및 사용자 제어부(300)에서 입력한 정보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된 정보의 영역별 관리가 가능하다.
상기 유통/시공사 단말기(240)는 상기 케이블(400)의 표면에 인쇄된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에 포함된 정보들을 읽을 수 있다. 상기 유통/시공사 단말기(240)는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와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에 포함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통/시공사 단말기(240)는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에 입력된 정보 및 갱신된 정보들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5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의 사용자 제어부(300)는 제3 데이터 입력부(310), 제3 데이터 갱신부(320), 제3 ID 관리부(330) 및 사용자 단말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데이터 입력부(310)는 시공이 완료된 케이블의 사용 중 현장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이 완료된 케이블의 사용 중 현장에서 최초 발생되는 정보들은 활선/결선 여부, 계통도, 케이블의 스펙, 케이블 관리자들의 긴급 연락망, 케이블의 관리 이력 및 선로 사고 및 복구 이력과 같은 시공된 케이블의 운전 중 특이사항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후, 제조사 제어부(100) 및 유통/시공사 제어부(200)에서 입력한 정보에 의해 정보 변경이 필요한 경우 또는 현장에서 새롭게 발생되는 상황에 대한 정보 또는 인력에 대해 정보 변경이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3 데이터 갱신부(320)는 최초 정보 입력 후 변경된 정보들이 있는 경우 이에 관련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통 및 시공 과정에서 유통 경로, 시공 방법, 시공 장소 또는 담당 인력 등의 변동이 있는 경우 변동된 정보를 입력 받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스펙 또는 제조 담당 인력의 변경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조사 제어부(100)가 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로 전달되며, 상기 제3 데이터 갱신부(320)가 새로 입력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전달받아 이에 따라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유통 정보 및 시공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유통/시공사 제어부(200)가 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로 전달되며, 상기 제3 데이터 갱신부(320)가 새로 입력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전달받아 이에 따라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제3 ID 관리부(330)는 상기 사용자 제어부(300)의 ID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3 ID 관리부(330)는 상기 사용자 제어부(300)의 ID를 등록, 삭제 및 변경 등의 관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제3 ID 관리부(330)는 상기 사용자 제어부(300)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담당 직원의 ID를 관리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부(300)에서 입력한 정보와 다른 영역 즉, 제조사 제어부(100) 및 유통/시공사 제어부(200)에서 입력한 정보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된 정보의 영역별 관리가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40)는 상기 케이블(400)의 표면에 인쇄된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에 포함된 정보들을 읽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40)는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와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에 포함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340)는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에 입력된 정보 및 갱신된 정보들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5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의 외피층에 구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의 외피층에 구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의 외피층에 구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의 외피층에 구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의 외피층에 구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은 도트 패턴, QR 코드 또는 데이터 매트릭스일 수 있다.
상기 케이블(400)의 외피층에 구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은 케이블의 제조 과정에서 인쇄될 수 있다. 케이블의 제조 과정은 케이블이 생산된 후 드럼에 감기는 연속제조공정 방식으로 진행되며, 케이블 외피층이 구비되는 공정 이후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D3) 케이블의 표면에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은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D3) 인 가로방향(D1)의 폭 및 상기 가로 방향(D1)과 수직인 세로방향(D2)의 폭을 가지도록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속제조공정상 케이블 길이방향(D3) 인 가로방향(D1)의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의 인쇄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상기 가로방향(D1)과 수직인 세로 방향(D2)의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의 경우 케이블의 외경에 영향을 받거나 케이블의 연속제조공정 과정에서 진행되는 선속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연속 제조 공정 상 선속 증가에 의한 케이블 길이방향인 가로방향(D1) 도트간 간격이 20% 이상으로 늘어날 때(단, 가로방향의 수직방향인 세로방향 도트의 간격은 일정)는 인식율이 25%이하로 떨어지며, 15% ~ 19% 늘어날 때(단, 가로방향(D1) 수직방향인 세로방향(D2) 도트의 간격은 일정)는 인식율이 50%이하로 떨어진다. 따라서, 이를 제어하기 위해 케이블 연속제조공정에서 케이블이 지나가는 속도와 도트 패턴의 인쇄 속도를 적절하게 설계해야 한다.
도트 패턴이라 함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모양의 개별 도트로 구성된 도트 집단을 의미한다.
상기 인식율은 상기 제조사 단말기, 유통/시공사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플랫폼을 실행해 상기 케이블 표면에 인쇄된 도트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도트 패턴에 포함된 정보를 읽어 상기 제조사 제어부, 유통/시공사 제어부 또는 사용자 제어부로 연결되는 백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400)의 표면에 인쇄되는 도트 패턴은 케이블 직경과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도트의 개수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하며, 가로 방향의 도트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인쇄 속도에 따른 케이블 진행 속도의 제어가 필요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400)은 도체층(410), 절연층(420), 외피층(430) 및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4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400)은 단면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케이블(400)의 외피층(430)에 구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440)의 세로방향(D2)의 길이는 단면도 상에서 호의 길이(h)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440)이 차지하는 세로방향(D2)의 길이는 케이블(400)의 단면도 상에서 중심각(θ)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440)의 세로방향(D2)의 길이는 케이블의 반지름(r) 및 중심각(θ)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세로방향(D2)의 폭을 너무 넓게 인쇄하면 연속 공정인 케이블 제조 공정에서 공정 선속이 느려져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곡면형태인 케이블 표면 때문에 스캔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로방향(D2)의 폭을 너무 짧게 인쇄할 경우 인식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중심각(θ)이 5도 미만인 경우에는 스캔 인식이 불가능하며, 중심각이 15도를 초과하는 경우 케이블의 연속 제조 공정상 선속의 감소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440)의 세로방향(D2) 길이는 케이블(400)의 단면도 상에서 중심각이 5도 이상 15도 이하의 중심각을 갖는 호의 길이(h)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이 케이블의 단면도 상에서 차지하는 중심각의 크기와 케이블의 연속 제조 공정상에서의 선속은 아래의 표 1과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케이블(400) 단면도 상에서의 중심각 케이블 연속 제조 공정상 선속
5 ~ 15 도 20 ~ 50 mpm
16 ~ 32 도 1 ~ 19 mpm
또한, 상기 호의 길이(h)는 케이블(400)의 반지름(r)과 관계없이 4mm미만인 경우 단말기에 의한 스캔 인식이 불가능하다. 즉,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의 세로방향(D2)의 길이가 최소 4mm 이상이 되어야 단말기가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440)이 케이블의 단면도 상에서 표현하는 호의 길이(h)는 4 mm 이상이고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되는 길이 이하인 값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1
h = 2πr x 15/360
(여기서 h는 호의 길이, r은 단면도 상에서 케이블의 반지름을 나타냄.)
이때, 호의 길이 및 케이블의 반지름의 단위는 mm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블의 사이즈에 따라 mm보다 작거나 큰 다른 단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440)은 가로방향으로 제1 서브 패턴(440-1), 제2 서브 패턴(440-2) 및 제3 서브 패턴(44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패턴(440-1), 상기 제2 서브 패턴(440-2) 및 상기 제3 서브 패턴(440-3)은 모두 동일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되며,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서브 패턴(440-1), 상기 제2 서브 패턴(440-2) 및 상기 제3 서브 패턴(440-3)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동일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은 케이블의 외피층에 인쇄되며, 케이블 유통 또는 시공 과정에서 인쇄된 패턴이 손상되거나 일부가 지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인식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패턴을 도 8과 같이 여러 개 인쇄하여 패턴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인식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들(440-1, 440-2, 440-3)은 각각 세로방향(D2)의 폭과 가로방향(D1)의 폭의 비가 1:2 내지 1:4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의 외피층에 구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이 시공되는 경우 케이블의 일부는 지면에 매설되거나 벽 등의 시설물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이 인쇄된 부분이 지면에 매설되거나 시설물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이 노출되지 않아 인식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이 노출되지 않아 인식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케이블의 외피층에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복수 개 인쇄할 수 있다. 이 때, 단면도 상에서 구비된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들이 이루는 중심각들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440a) 및 제2 패턴(440b)들이 단면도 상에서 형성하는 중심각들(θ1, θ2)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 상기 제1 패턴(440a) 및 제2 패턴(440b)들이 단면도 상에서 형성하는 중심각들(θ1, θ2)은 180도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케이블의 외피층에 구비되는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이 시공되는 경우 케이블의 일부는 지면에 매설되거나 벽 등의 시설물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이 인쇄된 부분이 지면에 매설되거나 시설물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이 노출되지 않아 인식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이 노출되지 않아 인식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케이블의 외피층에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복수 개 인쇄할 수 있다. 이 때, 단면도 상에서 구비된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들이 이루는 중심각들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440a), 제2 패턴(440b) 및 제3 패턴(440c)들이 단면도 상에서 형성하는 중심각들(θ1, θ2, θ3)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서 상기 제1 패턴(440a), 제2 패턴(440b) 및 제3 패턴(440c)들이 단면도 상에서 형성하는 중심각들(θ1, θ2, θ3)은 120도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케이블 관리 시스템
100: 제조사 제어부
200: 유통/시공사 제어부
300: 사용자 제어부
400: 케이블
410: 도체층
420: 절연층
430: 외피층
440: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
500: 데이터베이스

Claims (6)

  1. 케이블의 상태 및 수명 관리를 하는 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케이블에 있어서,
    케이블 코어; 및
    상기 케이블 코어의 외부에 형성되는 케이블 외피층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외피층 외부 표면에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코어는 도체층 및 상기 도체층을 감싸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의 세로 방향 길이는 단면도 상에서 원의 호의 길이로 표현되며, 상기 호의 길이는 4mm이상이고, 아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는 길이 이하이고,
    h = 2πr x 15/360
    (여기서 h는 호의 길이, r은 단면도 상에서 케이블의 반지름을 나타냄.)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의 세로방향의 폭과 가로방향의 폭의 비는 1:2 내지 1:4로 구비되고,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은 복수개의 도트로 구성되며, 가로방향으로 연속으로 인쇄되는 도트들 사이의 간격은 세로방향으로 연속으로 인쇄되는 도트 사이의 간격의 100% 이상 115% 미만이고,
    상기 도트들은 상기 케이블이 드럼에 감기는 연속제조공정에서 인쇄되며, 상기 케이블의 연속제조 공정 상 선속은 20mpm 이상 50m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단면도 상에서 구비된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들이 이루는 중심각들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수 코드에 대응되는 패턴의 세로 방향 길이는 단면도 상에서 원의 호의 길이로 표현되며, 상기 호의 길이에 대응되는 중심각의 크기는 5도 이상 1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5. 삭제
  6. 삭제
KR1020200084400A 2019-07-10 2020-07-09 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iot 기반의 케이블 KR102278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8977 WO2021006647A1 (ko) 2019-07-10 2020-07-09 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iot 기반의 케이블
US17/625,536 US11816520B2 (en) 2019-07-10 2020-07-09 IoT-based cable used in cable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83405 2019-07-10
KR1020190083405 2019-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885A KR20210007885A (ko) 2021-01-20
KR102278923B1 true KR102278923B1 (ko) 2021-07-19

Family

ID=7430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400A KR102278923B1 (ko) 2019-07-10 2020-07-09 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iot 기반의 케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8923B1 (ko)
CN (1) CN1140970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846B1 (ko) * 2023-05-17 2024-03-08 서림정보통신 주식회사 이미지 코드 기반으로 케이블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 및 리더기와,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5720A1 (ja) * 2002-08-09 2004-02-19 Yazaki Corporation 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932U (ja) * 1992-11-19 1994-06-10 株式会社フジクラ 識別コード付き電線および結束電線
CA2190815A1 (en) * 1995-12-21 1997-06-22 John R. Keesee Cable containing easily identifiable optical ribbons
JP3624560B2 (ja) * 1996-07-15 2005-03-0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のマーキング装置
JP3450737B2 (ja) * 1999-03-17 2003-09-29 株式会社フジクラ 通信線の識別タグ
US6726104B2 (en) * 2000-12-18 2004-04-27 Symbol Technologies, Inc. Scaling techniques for printing bar code symbols
JP4323338B2 (ja) * 2003-02-13 2009-09-02 株式会社フジクラ ケーブル
US7843325B2 (en) * 2007-01-10 2010-11-30 Halo Monitoring, Inc. Wireless sensor network context data delivery system and method
FR3000833A1 (fr) * 2013-01-07 2014-07-11 Nexans Cable dote d'un moyen d'identification ameliore
KR101496446B1 (ko) 2014-06-20 2015-03-02 (주) 이우티이씨 무선주파수 인식 방식을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207116073U (zh) * 2017-09-07 2018-03-16 蓝红梅 一种内嵌有电子标识的线缆及其识别系统
CN109786023A (zh) * 2019-03-19 2019-05-21 深圳供电局有限公司 线缆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5720A1 (ja) * 2002-08-09 2004-02-19 Yazaki Corporation 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97043A (zh) 2022-02-25
KR20210007885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923B1 (ko) 케이블 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iot 기반의 케이블
WO2021075842A1 (ko) 분포도를 통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CN101399272A (zh) 薄膜晶体管阵列基板
CN111027163A (zh) 一种轨道交通信号系统自动化辅助设计的实现方法及系统
CN103971294A (zh) 一种基于输变电设备状态评估信息展现系统
CN112562276A (zh) 一种设备故障报警方法及系统
CN111654323A (zh) 智能光链路运维管理方法和装置
CN111311133A (zh) 一种应用于电网生产设备的监测系统
CN115018291A (zh) 一种大型桥梁工程风险评估方法
US11816520B2 (en) IoT-based cable used in cable management system
DE102005042257B4 (de) WLAN-Zugangsgerät für den Einsatz in gasgefährdeten Grubengebäuden
Huang et al. A method of transmission conductor-loosened detect based on image sensors
CN217110958U (zh) 一种动态管缆线型监测系统
CN116823213A (zh) 一种基于多层级、多状态配电网画像技术的风险智能诊断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3148872B (zh) 一种起重机臂架组装顺序识别装置和识别方法
CN110212585A (zh) 基于统计分析的风电机组运行可靠性预测方法、装置及风电机组
JP6256977B2 (ja) 太陽光発電装置
CN112651391A (zh) 一种采用视觉识别条形码的导线接线检查方法
JP2003528374A (ja) 工業設備の運転方法及び監視装置
CN105574772A (zh) 一种炼油设备缺陷失效数据的资源化利用方法
CN116304839A (zh) 一种变电站监控信息验证效率优化方法及系统
DE112018005489T5 (de) Luftreifen
CN117950381B (zh) 一种数字化生产制造管理系统
CN115329725A (zh) 一种cim数据转换与流程管理方法
CN112613831A (zh) 一种物料信息管理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