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669B1 - 다이어리 - Google Patents

다이어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669B1
KR102278669B1 KR1020190153022A KR20190153022A KR102278669B1 KR 102278669 B1 KR102278669 B1 KR 102278669B1 KR 1020190153022 A KR1020190153022 A KR 1020190153022A KR 20190153022 A KR20190153022 A KR 20190153022A KR 102278669 B1 KR102278669 B1 KR 102278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ecord
diary
labe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608A (ko
Inventor
이호열
Original Assignee
이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열 filed Critical 이호열
Priority to KR102019015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6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2Book covers made of speci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8Ornament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0Book covers with lock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7Calendar blocks in which the calendar sheet or sheets are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편의성과 미감을 향상시킨 다이어리를 제공한다. 다이어리는 i) 하나 이상의 선형 에지부를 포함하는 레코드판, ii) 레코드판이 부착된 제1 커버, 및 iii) 제1 커버와 이격되어 제1 커버와 마주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한다. 제1 커버의 두께는 레코드판의 최대 두께보다 크다.

Description

다이어리 {DIARY}
본 발명은 다이어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미감을 향상시킨 다이어리에 관한 것이다.
비즈니스 등을 위해 다양한 다이어리들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다이어리는 판촉물 및 회사 지급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각 개인이 가진 개성을 살리기보다는 천편 일률적으로 제조되어 사용된다.
그 결과, 다이어리의 디자인과 기능이 단조로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각 개인의 개성을 살릴 수 없다. 또한, 다이어리를 오래 사용하는 경우, 그 천편 일률적인 디자인으로 인해 식상함을 느낄 뿐만 아니라 커버에 갈라짐 등이 발생하여 내지만 갈아끼면서 오래 사용할 수 없다.
한국공개실용 제2019-01001803호
사용자의 편의성과 미감을 향상시킨 다이어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리는, i) 다이어리는 i) 하나 이상의 선형 에지부를 포함하는 레코드판, ii) 레코드판이 부착된 제1 커버, 및 iii) 제1 커버와 이격되어 제1 커버와 마주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한다. 제1 커버의 두께는 레코드판의 최대 두께보다 크다.
레코드판은, i) 원형 라벨부, 및 ii) 라벨부를 둘러싸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고, 라벨부를 둘러싸는 고리형 트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벨 스티커는 원형 라벨부를 덮어서 부착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라벨 스티커의 중심에는 원형 개구부가 형성되어 레코드판의 중심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라벨부의 직경에 대한 라벨 스티커의 직경의 비는 1 내지 2.5일 수 있다.
제1 커버는, i) 한 쌍의 단변들, 및 ii) 한 쌍의 단변들과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장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부는 한 쌍의 장변들에 접할 수 있다. 트랙부에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홈들은, i) 라벨부에 최인접한 제1 홈부, ii) 레코드판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홈부와 이웃한 제2 홈부, 및 iii) 방향으로 제2 홈부와 이웃한 제3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부는 제1 홈부와 제2 홈부 사이에 형성되어 라벨 스티커와 면접촉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와 제2 홈부의 이격 거리는 5mm 내지 20mm일 수 있다. 밴드(50)는 i) 길게 뻗은 주 바디부, ii) 주 바디부와 연결되고, 한 쌍의 장변들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이격되어 제2 커버의 제1면에 부착된 한 쌍의 단부들, 및 iii) 레코드판와 접하도록 적용되고, 주 바디부의 일면에 대응하여 부착된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는 제1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1 커버의 제2면과 레코드판을 덮어서 제1 커버와 제2 커버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적용되며, 보강부의 탄성은 주 바디부의 탄성보다 낮을 수 있다.
밴드(50)는 길게 뻗은 탄성형 바디부, 및 탄성형 바디부와 연결되고 한 쌍의 장변들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이격되어 제2 커버의 제1면에 부착된 한 쌍의 단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홈들은 한 쌍의 장변들과 나란한 방향으로 선형으로 형성되고 레코드판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3 홈부와 이격된 제4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밴드(50)는 제4 홈부와 마주하여 제4 홈부에 놓여서 제1 커버와 제2 커버의 이격 거리가 최소가 될 수 있다. 제4 홈부의 폭은 제3 홈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라벨 스티커는, i) 라운드형 에지부, 및 ii) 라운드형 에지부와 연결된 선형 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 에지부는 한 쌍의 장변들 중 하나 이상의 장변에 접할 수 있다.
다이어리의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다이어리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래되어 사용할 수 없는 LP 레코드를 다이어리에 재활용할 수 있어서 자원 절감 효과가 있다. 그리고 LP 레코드에 부착하는 라벨 스티커를 교체하여 다이어리에 대한 식상함을 느끼지 않으면서 다이어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다이어리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라 다이어리를 자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리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적용된”의 의미는 해당 구성요소의 실시가 실제로 이루어졌거나 실제로 이루어지지 않아도 그 목적으로 실시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리(100)를 개략적을 나타낸다. 도 1의 다이어리(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이어리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어리(100)는 레코드판(10), 제1 커버(20), 제2 커버(22), 및 내지들(30)을 포함한다. 이외에, 다이어리(100)는 라벨 스티커(40)와 밴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지들(30)과 밴드(50)는 생략할 수도 있다. 다이어리(100)의 판매시 내지들(30)은 따로 판매될 수 있으므로, 내지들(30)은 생략이 가능하다.
레코드판(10)으로는 LP(long play) 레코드판 또는 컴팩트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LP 레코드판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들이 유니크하면서 레트로한 감성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자원 재활용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이어리(100)의 매출 신장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LP 레코드판은 다이어리(100)의 크기에 따라 5인치, 10인치 12인치 중 다양한 사이즈들을 골라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어리(100)의 폭이 90mm 정도로 소형인 경우, 이보다 약간 큰 5인치 LP 레코드판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쓰레기로 버려지는 LP 레코드판을 사용하지 않고 이를 모사한 플라스틱 소재의 모형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레코드판(10)은 라벨부(101) 및 트랙부(103)를 포함한다. 라벨부(101)는 레코드판의 음악 정보가 주로 기재된 라벨을 의미한다. 라벨부(101)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트랙부(103)는 원형의 라벨부(101)를 둘러싸서 고리형으로 형성된다. 트랙부(103)에는 라벨부(101)를 둘러싸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된다. 이들 홈들은 레코드판(10)의 음악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20)에는 레코드판(10)이 부착된다. 레코드판(10)은 접착제 등에 의해 제1 커버(20)에 부착되므로 그 내구성이 우수하다. 제1 커버(20)는 그 내부에 두꺼운 보드지를 구비하고, 이를 가죽으로 덮어서 제조할 수 있다. 레코드판(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가죽으로 되어 있어서 다이어리(100)가 고급스러운 느낌이 나도록 할 수 있다.
제2 커버(22)는 제1 커버(20)와 z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다. 제2 커버(22)는 제1 커버(20)와 마주한다. 제2 커버(22)는 제1 커버(20)와 동일한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내지들(30)은 제1 커버(20) 및 제2 커버(22) 사이에 위치한다. 내지들(30)은 사철 제본하여 풀칠해 각각 제1 커버(20) 및 제2 커버(22)의 사이에 부착할 수 있다. 내지들(30)은 사철 제본되므로, 특정 페이지가 떨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커버(20) 및 제2 커버(22)를 상호 연결하고 내지들(30)이 부착되는 측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밴드(50)는 다이어리(100)를 휴대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즉, 밴드(50)로 제1 커버(20)와 제2 커버(22)를 감아서 양자간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한다. 밴드(50)는 전면(209)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z축 방향을 향하는 후면(229)에 부착되어 있고, 내지들(30)을 타이트하면서 압축시키면서 +z축 방향을 향하는 전면(209)과 레코드판(10)을 덮어서 위치한다. 그 결과, 내지들(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면서 다이어리(100)를 컴팩트하게 만들어 휴대하기 편리하다. 한편, 다이어리(100)를 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밴드(50)를 풀어서 사용하면 된다. 밴드(50)는 다이어리(100)를 감아서 제1 커버(20)와 제2 커버(22)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므로, 탄성이 있는 고무줄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밴드(50)는 이외에 직물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라벨 스티커(40)는 레코드판(10) 위에 부착된다. 라벨 스티커(40)는 라벨부(101)를 덮어서 부착된다. 라벨 스티커(40)는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고를 수 있게 다양한 형태로 옵션으로 다이어리(100)와 별도 판매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라벨 스티커(40)를 골라서 레코드판(10) 위에 부착해 사용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라벨 스티커(40)에는 성명을 쓸 수 있는 공란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이름을 기재할 수 있다. 라벨 스티커(40)의 중심에는 원형 개구부(401)가 형성된다. 그 결과, 레코드판(10)의 중심(10C)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형 개구부(401)를 통하여 레코드판(10)의 중심(10C)을 보면서 라벨 스티커(40)의 중심이 여기에 일치되도록 하여 레코드판(10) 위에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라벨 스티커(40)를 레코드판(10) 위에 잘 정렬시켜 붙일 수 있다.
라벨부(101)는 라벨 스티커(40)에 의해 덮여서 외부 노출되지 않는다. 다이어리(100)의 디자인을 고려시 좀더 나은 심미감을 주기 위해서는 그 크기가 좀더 큰 라벨 스티커(40)를 라벨부(101) 위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도 2를 통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다이어리(100)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즉, 도 2는 도 1의 다이어리(100)를 +z축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다.
라벨부(101)의 직경(D101)에 대한 라벨 스티커(40)의 직경(D40)의 비는 1 내지 2.5일 수 있다. 라벨 스티커(40)는 라벨부(10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이어리(100)에 원래부터 있었던 라벨부(101)를 라벨 스티커(40)로 대체한 느낌을 준다. 이 비가 1 미만인 경우, 라벨부(101)가 외부로 약간만 노출되므로, 그 심미감이 덜하다. 따라서 라벨부(101)의 직경(D101)에 대한 라벨 스티커(40)의 직경(D40)의 비를 1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라벨부(101)의 직경(D101)에 대한 라벨 스티커(40)의 직경(D40)의 비는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가 너무 큰 경우, 라벨 스티커(40)가 레코드판(10)의 트랙부(103)의 상당 부분까지 덮게 된다. 이 경우, 트랙부(103)에 형성된 홈부들(1033)의 공간으로 인해 라벨 스티커(40)가 제대로 붙지 않는다. 따라서 다이어리(100)를 추후 사용시 라벨 스티커(40)가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라벨부(101)의 직경(D101)에 대한 라벨 스티커(40)의 직경(D40)의 비를 전술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벨 스티커(40)는 라운드형 에지부(403) 및 선형 에지부(405)를 포함한다. 선형 에지부(405)는 라운드형 에지부(403)와 연결된다. 도 2에는 선형 에지부(405)가 한 쌍의 장변들(203), 즉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한 장변(203)에 모두 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좌측에 위치한 장변(203)에만 접할 수도 있다. 이는 레코드판(10)의 크기 및 라벨부(101)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라벨 스티커(40)가 이러한 형상을 가지므로, 라벨 스티커(40)가 레코드판(10)에 일체화된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버(20)는 한 쌍의 단변들(201) 및 한 쌍의 장변들(203)을 포함한다. 한 쌍의 단변들(201)과 한 쌍의 장변들(203)은 상호 연결된다. 한 쌍의 단변들(201)은 x축 방향을 따라 뻗어서 형성된다. 한 쌍의 단변들(201)은 y축 방향으로 상호 마주한다. 또한, 한 쌍의 장변들(203)은 y축 방향을 따라 뻗어서 형성된다. 한 쌍의 장변들(203)은 x축 방향으로 상호 마주한다.
레코드판(10)의 에지부(105)는 선형으로 형성된다. 에지부(105)는 커팅되어 선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에지부(105)는 y축 방향을 따라 커팅된다. 도 2에는 좌측 및 우측이 모두 커팅되어 각각 양측에 에지부(105)가 형성된 레코드판(10)을 예시한다. 에지부(105)는 한 쌍의 장변들(203)에 접한다. 그 결과, 레코드판(10)은 제1 커버(20)와 일체화되어 형이상학적인 느낌을 준다. 이는 단순히 레코드판(10)를 노트 등에 부착한 것과는 전혀 다르다. 한편, 에지부(105)는 하나일 수도 있고, 3개 또는 4개일 수도 있다. 이는 레코드판(10)의 크기와 그 중심(10C)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밴드(50)는 줄 형태로 형성된다. 밴드(50)는 y축 방향으로 길게 뻗어서 제1 커버(20)를 덮는다. 그 결과, 다이어리(100)를 휴대하는 경우, 제1 커버(20)가 벌어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해 준다. 밴드(50)의 구조는 도 3을 통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다이어리(100)의 배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즉, 도 3은 도 2의 다이어리(100)를 반대 방향, 즉 -z축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의 다이어리(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이어리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50)는 주 바디부(501) 및 한 쌍의 단부들(503)을 포함한다. 주 바디부(501)는 길게 뻗어 있다. 한 쌍의 단부들(503)은 한 쌍의 장변들(203)과 나란한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이격되어 제2 커버(22) 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다이어리(100)를 사용하는 동안 밴드(50)를 여러 번 풀었다가 감아도 손상없이 밴드(50)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라 다이어리(100)를 자른 부분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의 다이어리(100)의 단면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이어리(100)의 단면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한편, 레코드판(10)은 제1 커버(20)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지만 그 접착체층이 두껍지 않고 부분적으로 도포될 수 있어서 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도 3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제1 커버(20)의 아래에 위치하는 내지들(30) 및 제2 커버(22)는 편의상 도 4에서 그 도시를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부(103)에는 홈들(1033)이 형성된다. 레코드판(10)을 재활용 LP 레코드판으로 형성하는 경우, 음악이 계속 연주되도록 하기 위해 홈들(1033)은 상호 연결되어 있다. 반대로, 레코드판(10)을 LP 레코드판을 모사한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경우, 홈들(1033)은 동심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홈들(1033)은 제1 홈부(1033a), 제2 홈부(1033b) 및 제3 홈부(1033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홈부(1033a)는 라벨부(101)에 최인접하여 위치한다. 도 4에는 제1 홈부(1033a)가 라벨부(101)와 바로 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어느 정도 이격 거리를 둘 수도 있다. 한편, 제2 홈부(1033b)는 레코드판(10)의 중심(10C)(도 1에 도시)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제1 홈부(1033a)와 이웃한다. 한편, 제3 홈부(1033c)는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 홈부(1033b)와 이웃한다. 제1 홈부(1033a)와 제2 홈부(1033b) 사이에는 안착부(1031)가 형성된다. 안착부(1031)는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라벨 스티커(40)와 면접촉하여 라벨 스티커(40)의 접착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그 결과, 다이어리(100)를 오래 사용하더라도 라벨 스티커(40)가 잘 떨어지지 않는다. 만약, 홈들(1033) 위에 라벨 스티커가 부착되는 경우, 양자간에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이 이루어지므로, 라벨 스티커가 쉽게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1031)를 형성하여 그 위에 라벨 스티커(40)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홈부(1033a)와 제2 홈부(1033b)의 이격 거리(d1)는 및 제2 홈부(1033b)와 제3 홈부(1033c)의 이격 거리(d2)보다 크다. 여기서의 이격 거리들(d1, d2)은 홈부들(1033)에서 가장 깊이 위치하는 골들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격 거리(d1)가 크기 때문에 제1 홈부(1033a)와 제2 홈부(1033b) 사이에는 안착부(1031)가 위치하여 라벨 스티커(40)와의 접착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격 거리(d1)는 5mm 내지 20mm일 수 있다. 이격 거리(d1)가 너무 작은 경우, 라벨 스티커(40)와의 접착력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이격 거리(d1)가 너무 큰 경우, 라벨 스티커(40) 외부로 안착부가 노출될 수 있어서 디자인적으로 좋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격 거리(d1)를 전술한 범위로 유지한다.
한편, 제1 커버(20)의 두께(t20)는 레코드판(10)의 최대 두께(t10)보다 크다. 예를 들면, 두께(t20)는 2mm 내지 4mm이고, 최대 두께(t10)는 0.5mm 내지 1mm일 수 있다. 여기서 최대 두께(t10)는 홈부들(1033)이 상호 만나서 이루어지는 산에 대응하거나 안착부(1031) 또는 라벨부(101)의 두께를 의미한다. 즉, 제1 커버(20) 및 제2 커버(22)(도 3에 도시)는 다이어리(100)의 내구성을 확보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 커버(20) 및 제2 커버(22)가 적절한 두께를 가질 필요가 있다. 만약, 제1 커버(20)의 두께(t20)가 레코드판(10)의 최대 두께(t10) 이하인 경우, 레코드판(10)에 의해 다이어리(100)의 내구성이 좌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보다는 제1 커버(20)의 두께(t20)를 레코드판(10)의 최대 두께(t10)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1 커버(20)는 보드부(205) 및 가죽 커버부(207)를 포함한다. 가죽 커버부(207)는 보드부(205)를 둘러싸서 제조된다. 따라서 가죽 커버부(207)에 의해 사용자들이 다이어리(100)에 대해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면서 보드부(205)에 의해 다이어리(100)의 내구성을 유지시킨다. 즉, 보드부(205)가 어느 정도의 두께, 예를 들면, 1mm 내지 3mm의 두께로 형성되면서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다이어리(100)를 견고하게 만든다. 보드부(205)는 두꺼운 종이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밴드(50)는 주 바디부(501)의 일면(5011)에 대응하여 부착된 보강부(505)를 포함한다. 밴드(50)는 레코드판(10)에 접하도록 위치하므로, 복수의 홈들과 지속적으로 접한다. 그 결과, 복수의 홈들을 상호 연결하는 산들이 뾰족하여 다이어리(100)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이들에 의해 해어지거나 끊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강부(505)를 주 바디부(501)의 아래에 형성하여 레코드판(10)과 접하도록 한다. 보강부(505)는 밴드(50)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덧댄 구성요소로서 그 탄성이 주 바디부(501)의 탄성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보강부(505)를 밴드(50)보다 그 경직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하거나 양자가 모두 직물인 경우, 좀더 촘촘하게 형성하여 그 탄성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내구성을 고려시 보강부(505)에 의해 밴드(50)가 잘 끊어지지 않는 상태로 다이어리(100)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리(200)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의 다이어리(200)의 단면 구조는 도 4의 다이어리(100)의 단면 구조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어리(200)에서는 트랙부(123)에 제4홈부(1033d)가 형성된다. 밴드(50)는 제4홈부(1033d)와 마주하여 제4홈부(1033d) 위에 안정적으로 놓인다. 이를 위해 제4홈부(1033d)는 한 쌍의 장변들(203)(도 2에 도시)과 나란한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길게 뻗어서 선형으로 형성된다. 제4 홈부(1033d)의 폭(w1033d)은 밴드(5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 결과, 밴드(50)를 제4 홈부(1033d) 위에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그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커버(20)와 제2 커버(22)의 이격 거리를 최소로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밴드(50)가 이탈하여 돌아다니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홈부(1033d)은 레코드판(1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제3 홈부(1033c)와 이격된다. 제4 홈부(1033d)의 폭(w1033d)은 제3 홈부(1033c)의 폭(w1033c)보다 크다. 여기서, 제3 홈부(1033c)의 폭(w1033c)은 양단의 산과 산을 연결하는 최대 폭을 의미한다. 제4 홈부(1033d)의 폭(w1033d)은 밴드(50)를 수납할 정도의 충분한 크기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험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가로 90mm 및 세로 140mm의 크기를 가지는 다이어리를 제조하였다. 레코드판으로는 5인치 크기의 LP 레코드판의 좌우를 커팅하여 사용하였다. LP 레코드판에 포함된 라벨부의 직경은 30mm이었다. 내지는 사철 제본 및 풀칠하여 180도로 펼쳐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다이어리의 장변으로부터 15mm 이격되도록 밴드를 형성하였다. 다양한 크기의 라벨 스티커를 다이어리의 레코드판 위에 붙여서 그 내구성과 디자인을 테스트하였다. 이러한 실험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나머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험예 1
전술한 실험예에 따라 제조한 다이어리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20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다이어리와의 정합을 위해 라벨 스티커의 일부를 커팅하여 선형 에지부를 만들었다. 이와 같이 제조한 다이어리의 전면 커버의 오픈 테스트를 500회 실시하여 라벨 스티커의 부착 상태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2
25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3
30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4
35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5
40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6
45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7
50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8
55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9
60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0
65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1
70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2
75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3
80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4
85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5
90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라벨 스티커를 레코드판과 정렬되도록 그 중심들을 일치시켜 레코드판 위에 부착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결과
전술한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15에 따른 실험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낸다. 아래의 표 1에서 직경비는 라벨부의 직경에 대한 라벨 스티커의 직경의 비율을 의미한다.
실험예 라벨 스티커 직경 직경비 내구성 디자인
실험예 1 20mm 0.67 양호 부적합
실험예 2 25mm 0.83 양호 부적합
실험예 3 30mm 1.00 양호 적합
실험예 4 35mm 1.17 양호 적합
실험예 5 40mm 1.33 양호 적합
실험예 6 45mm 1.50 양호 적합
실험예 7 50mm 1.67 양호 적합
실험예 8 55mm 1.83 양호 적합
실험예 9 60mm 2.00 양호 적합
실험예 10 65mm 2.17 양호 적합
실험예 11 70mm 2.33 양호 적합
실험예 12 75mm 2.50 양호 적합
실험예 13 80mm 2.67 들뜸 현상 적합
실험예 14 85mm 2.83 들뜸 현상 적합
실험예 15 90mm 3.00 들뜸 현상 적합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12에서는 라벨 스티커의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라벨 스티커가 레코드판에 잘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실험예 13 내지 실험예 15에서는 라벨 스티커가 홈부들이 형성된 레코드판의 트랙부까지 부착됨에 따라 들뜸 현상이 발생하였다. 한편, 실험예 3 내지 실험예 15에서는 레코드판의 디자인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서는 라벨부가 외부 노출됨에 따라 그 경계가 너무 뚜렷하여 디자인 측면에서 좋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실험예 3 내지 실험예 12에서 라벨 스티커의 내구성 및 디자인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실험예 6 내지 실험예 9에서 내구성 및 디자인이 가장 우수한 라벨 스티커를 확인할 수 있었다.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12. 레코드판
10C. 중심
101. 라벨부
103, 123. 트랙부
105. 에지부
1031. 안착부
1033, 1233, 1033a, 1033b, 1033c, 1033d. 홈부
105. 에지부
20, 22. 커버
201. 단변
203. 장변
205. 보드부
207. 가죽 커버부
209, 229. 면
30. 내지들
40. 라벨 스티커
401. 개구부
403. 라운드형 에지부
405. 선형 에지부
50. 밴드
501. 바디부
5011. 일면
503. 단부
505. 보강부
100, 200. 다이어리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선형 에지부를 포함하는 레코드판,
    상기 레코드판이 부착된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커버와 마주하는 제2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의 두께는 상기 레코드판의 최대 두께보다 크며,
    상기 레코드판 위에 상기 레코드판의 중심과 그 중심이 일치하면서 부착되도록 적용된 라벨 스티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코드판은,
    원형 라벨부, 및
    상기 라벨부를 둘러싸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라벨부를 둘러싸는 고리형 트랙부
    를 포함하며,
    상기 라벨 스티커는 상기 원형 라벨부를 덮어서 부착되도록 적용된 다이어리.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라벨 스티커의 중심에는 원형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레코드판의 중심이 외부로 노출되는 다이어리.
  4. 제3항에서,
    상기 라벨부의 직경에 대한 상기 라벨 스티커의 직경의 비는 1 내지 2.5인 다이어리.
  5. 제1항에서,
    상기 제1 커버는,
    한 쌍의 단변들, 및
    상기 한 쌍의 단변들과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장변들
    을 포함하고,
    상기 에지부는 상기 한 쌍의 장변들에 접하는 다이어리.
  6. 제5항에서,
    상기 트랙부에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들은,
    상기 라벨부에 최인접한 제1 홈부,
    상기 레코드판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홈부와 이웃한 제2 홈부, 및
    상기 방향으로 상기 제2 홈부와 이웃한 제3 홈부
    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부는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라벨 스티커와 면접촉하는 안착부가 형성된 다이어리.
  7. 제6항에서,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의 이격 거리는 5mm 내지 20mm인 다이어리.
  8. 제6항에서,
    길게 뻗은 주 바디부,
    상기 주 바디부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장변들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이격되어 상기 제2 커버의 제1면에 부착된 한 쌍의 단부들, 및
    상기 레코드판와 접하도록 적용되고, 상기 주 바디부의 일면에 대응하여 부착된 보강부
    를 포함하는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밴드는 상기 제1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커버의 제2면과 상기 레코드판을 덮어서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적용되며,
    상기 보강부의 탄성은 상기 주 바디부의 탄성보다 낮은 다이어리.
  9. 제6항에서,
    길게 뻗은 탄성형 바디부, 및
    상기 탄성형 바디부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장변들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이격되어 상기 제2 커버의 제1면에 부착된 한 쌍의 단부들
    를 포함하는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홈들은 상기 한 쌍의 장변들과 나란한 방향으로 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코드판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3 홈부와 이격된 제4 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밴드는 상기 제4 홈부와 마주하여 상기 제4 홈부에 놓여서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의 이격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적용되며,
    상기 제4 홈부의 폭은 상기 제3 홈부의 폭보다 큰 다이어리.
  10. 제5항에서,
    상기 라벨 스티커는,
    라운드형 에지부, 및
    상기 라운드형 에지부와 연결된 선형 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에지부는 상기 한 쌍의 장변들 중 하나 이상의 장변에 접하는 다이어리.
KR1020190153022A 2019-11-26 2019-11-26 다이어리 KR102278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022A KR102278669B1 (ko) 2019-11-26 2019-11-26 다이어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022A KR102278669B1 (ko) 2019-11-26 2019-11-26 다이어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608A KR20210064608A (ko) 2021-06-03
KR102278669B1 true KR102278669B1 (ko) 2021-07-16

Family

ID=7639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022A KR102278669B1 (ko) 2019-11-26 2019-11-26 다이어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6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476Y1 (ko) * 2005-06-14 2005-09-15 이철묵 문양부착식 표지를 가진 앨범
KR102048197B1 (ko) 2018-06-28 2019-11-25 주식회사 클로버 다이어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870U (ja) * 1991-02-11 1993-03-09 操 吉武 円形各種磁気カード
JPH11349002A (ja) * 1998-04-09 1999-12-21 Yoshinori Aizawa 8cmCD−ROM郵送用ケース
KR19990022261U (ko) * 1999-03-27 1999-06-25 황대일 다양한모양을이루는컴팩트디스크구조
KR102060383B1 (ko) 2018-02-23 2019-12-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족-5족 화합물 반도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476Y1 (ko) * 2005-06-14 2005-09-15 이철묵 문양부착식 표지를 가진 앨범
KR102048197B1 (ko) 2018-06-28 2019-11-25 주식회사 클로버 다이어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608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0989B2 (en) Floor hockey puck
DE60333197D1 (de) Anheftbare polster für kleidungsstücke
DE69723003D1 (de) Verfahren zur datenverschachtelung für die kontinuierliche wiedergabe von mehreren programmversionen mit demselben material
KR102278669B1 (ko) 다이어리
USD537876S1 (en) Children's activity set and lap desk
USD300658S (en) Panty pad
ES2044513T3 (es) Ficha para mesa de juegos.
CN207182892U (zh) 弹奏和弦的辅助工具
WO2001049371A3 (en) Nose filter
ATE343075T1 (de) Elastischer bremskörper
JPH0387350U (ko)
KR200494806Y1 (ko) 장구용 받침대
KR200371180Y1 (ko) 스프링 고정부재를 구비한 노트
ATE237467T1 (de) Verbundplatte
JPS61148612A (ja) ボタン型フロツピ−ヘツド
JPS60163093A (ja) 管楽器のキ−カツプ用パツドおよび該パツド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パツドの前記キ−カツプへの取付方法
ES1035483U (es) Pieza con palito impulsador.
KR200260509Y1 (ko) 앨범지의 테두리 보호용 테이프
Cunningham Robert Morton." Collected Works", ed. by A. Atlas.(Masters and Monuments of the Renaissance, 2)
JPH0160866U (ko)
USD448357S1 (en) Digital audio disk player
KR20180010497A (ko) 접철부의 형상유지 구조를 갖는 서적커버
AU2003288319A1 (en) Storage device, in particular for disc media
JPH0336548B2 (ko)
JPS6412224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