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509Y1 - 앨범지의 테두리 보호용 테이프 - Google Patents

앨범지의 테두리 보호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509Y1
KR200260509Y1 KR2020010031031U KR20010031031U KR200260509Y1 KR 200260509 Y1 KR200260509 Y1 KR 200260509Y1 KR 2020010031031 U KR2020010031031 U KR 2020010031031U KR 20010031031 U KR20010031031 U KR 20010031031U KR 200260509 Y1 KR200260509 Y1 KR 200260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aper
cushioning material
album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균
Original Assignee
김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균 filed Critical 김인균
Priority to KR2020010031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509Y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앨범지의 테두리의 보호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프의 쿳션재가 제공하는 탄성유지와 변형방지의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보호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앨범지(A)의 테두리부에 종이재질로 된 C형의 쿳션재(3)를 가진 테이프(1)를 접착한 것에 있어서, 쿳션재(3)의 내부 중공부(4)에 심재(5)를 적당한 두께로 내장 하여 중공부의 압착 변형을 줄이고 탄성을 향상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앨범지의 테두리 보호용 테이프{TAPE FOR PROTECTING THE RIM OF PHOTO ALBUM SHEETS}
본 고안은 앨범지의 테두리의 보호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앨범지의 테두리에 접착되는 테이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품질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앨범지가 책자형태로 제본된 기존의 앨범은 각각의 앨범지가 서로 맞닿는 면접촉 현상 때문에 접고 펼치기가 불편하며 앨범을 접어 놓았을 때 앨범지가 배부른 형상처럼 볼록하게 변형되고 사진이 서로 맞붙어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근래에는 도1과 같이 앨범지의 테두리에 보호용 테이프를 접착하여 앨범지가 서로 맞붙지 않게 하고 사진도 보호될 수 있으며 앨범지를 손쉽게 넘길 수 있는 손잡이 기능도 겸하고 있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테이프는 도3과 같이 배면이 접착면(2)으로 형성된 테이프(1)의 일측 중앙에 종이재질로 된 C형의 쿳션재(3)를 접착하여 중앙에 중공부(4)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앨범지(A)의 테두리에 접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테이프는 앨범지에 적용 설치하였을 때 얇은 두께의 쿳션재 (3)가 납작하게 접혀져서 목적하는바 심재의 중공부를 이용하는 쿳션효과가 적고 결과적으로는 앨범지 끼리의 간격을 크게 벌려주지도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해서 인출한 것이며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프의 쿳션재가 제공하는 탄성유지와 변형방지의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보호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는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의 도5∼도7에 의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의 테이프를 앨범지에 적용 설치한 상태도
도2는 종래 테이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3은 종래 테이프의 접착과 압착 변형과정도
도4는 본 고안 테이프의 분리 사시도
도5는 본 고안 테이프의 설치상태도
도6은 본 고안의 접착과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테이프 2 :접착면 3 : 쿳션재
4 : 중공부 5 : 심재 A : 앨범지
앨범지(A)의 테두리부에 종이재질로 된 C형의 쿳션재(3)를 가진 테이프(1)를 접착한 것에 있어서, 쿳션재(3)의 내부 중공부(4)에 심재(5)를 적당한 두께로 내장 하여 중공부의 압착 변형을 줄이고 탄성을 향상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한 심재(5)는 적당한 두께의 종이 또는 유연성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며 필요시 복수개의 심재를 내장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접착면을 가진 길다란 테이프(1)에 쿳션재(3)를 접착하고 그 중공부(4)에 길다란 심재(5)를 내장하는 일련의 연속작업에 의해서 보호 테이프가 제작되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테이프를 앨범지에 접착할때는 도3과 같이 앨범지의 테두리(가장자리)에 테이프를 대어주고 쿳션재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접착시키면 쿳션재가 파이프형태로 앨범지의 테두리에 둥굴게 말리듯이 고정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쿳션재의 중공부에 심재를 적당한 두께로 내장하므로서 앨범지에 접착할 때 쿳션재와 심재가 둥굴게 말리듯이 설치되고 탄성도 향상되며 종래처럼 납작하게 눌려져 변형되는 현상이 줄어지므로 적층된 앨범지와 사진이 맞붙지 않게 보호되어 앨범의 풀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앨범지(A)의 테두리부에 종이재질로 된 C형의 쿳션재(3)를 가진 테이프(1)를 접착한 것에 있어서, 쿳션재(3)의 내부 중공부(4)에 심재(5)를 적당한 두께로 내장 하여 중공부의 압착 변형을 줄이고 탄성을 향상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앨범지의 테두리 보호용 테이프.
KR2020010031031U 2001-10-11 2001-10-11 앨범지의 테두리 보호용 테이프 KR200260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031U KR200260509Y1 (ko) 2001-10-11 2001-10-11 앨범지의 테두리 보호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031U KR200260509Y1 (ko) 2001-10-11 2001-10-11 앨범지의 테두리 보호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509Y1 true KR200260509Y1 (ko) 2002-01-10

Family

ID=7306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031U KR200260509Y1 (ko) 2001-10-11 2001-10-11 앨범지의 테두리 보호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5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7481A (en) Paper sheets having recessed pressure-sensitive glued edge with a removable strip
JP3899382B2 (ja) 圧縮可能なシートのディスペンサー
US4007950A (en) Binder unit for stapled booklets
WO2003025887A3 (en) Partial fold printable tab product
US5965225A (en) Note sheet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method of fabrication
EP1162482A3 (en) Synthetic resin laminate having both polarization characteristic and photochromism characteristic
US4024832A (en) Bookmarker
US4893979A (en) Supplemental book cover
KR20190104479A (ko) 책 펼침이 좋은 책과, 그 책의 제작방법
KR200260509Y1 (ko) 앨범지의 테두리 보호용 테이프
US4574727A (en) Bookmark
US6357797B1 (en) Book cover
US5970640A (en) Integrated shelf talk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910180B2 (ja) 冊子
US5503102A (en) Shape retaining book mark
KR101031698B1 (ko) 커버구조체
JPH1035142A (ja) しおり
JPH08324153A (ja) 開きをスムーズにした書籍の製本構造
WO1999038708A1 (fr) Signet a insertion automatique
JP2002321466A (ja) アルバム
JPH0219264Y2 (ko)
JP3608336B2 (ja) しおりを有する並製本の製造方法
JPH0321359B2 (ko)
JPH0111492Y2 (ko)
KR200172205Y1 (ko) 앨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